KR200342299Y1 - 정수용 침전필터 - Google Patents

정수용 침전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2299Y1
KR200342299Y1 KR20-2003-0034639U KR20030034639U KR200342299Y1 KR 200342299 Y1 KR200342299 Y1 KR 200342299Y1 KR 20030034639 U KR20030034639 U KR 20030034639U KR 200342299 Y1 KR200342299 Y1 KR 2003422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water purification
bodies
sedi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6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돈
Original Assignee
이평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평호 filed Critical 이평호
Priority to KR20-2003-00346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22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2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2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series connection
    • B01D29/5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series connection arranged concentrically or c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1Other construction deta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에 포함된 입자상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용 침전필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정수용 침전필터는 필터하우징의 하나의 여과체가 설치되었기 때문에 유입구로 공급되는 수질에 따라 다른 정수용 침전필터를 사용하여야 할 뿐 아니라 수명이 짧고 여과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필터하우징(10)의 내부에 메쉬가 서로 다른 원통형 여과체(30)(40)(50)를 적어도 2개 이상 설치하고, 각 여과체(30)(40)(50)의 사이에 하부 여과체(30)(40) 내부의 물을 상부 여과체(40)(50)의 외부로 유도하는 칸막이부재(6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의하면 굵은 입자상의 이물질은 물론 미세한 크기의 이물질도 여과할 수 있게 되므로 지역에 따라 다른 침전필터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어 침전필터의 설치 및 사후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며, 굵은 입자상의 이물질을 먼저 제거한 후 미세한 입자상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므로 여과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침전필터의 수명도 크게 연장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정수용 침전필터 { a sediment filter }
본 고안은 물에 포함된 입자상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물에 포함된 녹이나 흙, 먼지 등의 입자상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하는 정수용 침전필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특히 하단부에 유입구가 마련되고 상단부에 유출구가 마련되는 중공상의 필터하우징의 내부에 원통형 여과체가 설치되는 침전필터에 관계하는 것인 바, 이와 같은 침전필터에서는 유입구를 통해 필터하우징 내부로 진입되는 물이 원통형 여과체의 외측으로 공급되고, 여과체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입자상의 이물질이 걸러지게 되며, 이물질이 제거되어 깨끗해진 여과체의 내측의 물이 유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종래에 있어서 상기 정수용 침전필터는 필터하우징의 하나의 여과체가 설치되었기 때문에 유입구로 공급되는 수질에 따라 다른 정수용 침전필터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정수용 침전필터의 여과능력은 여과체의 메쉬(mesh)에 의해 좌우되는 바, 종래의 정수용 침전필터는 일정 메쉬로 된 하나의 여과체만이 설치되기 때문에 메쉬가 큰 여과체를 설치한 경우 굵은 녹과 흙, 먼지 등을 여과할 수 있게 될 뿐이고 미세한 크기의 불순물을 제거할 수 없게 문제가 있게 되며, 메쉬가 작은 여과체를 설치한 경우 굵은 입자상의 이물질은 물론 미세한 크기의 불순물도 함께 제거할 수 있게 되지만 침전필터의 수명이 짧게 될 뿐 아니라 여과속도가 현저하게 저하되어 정수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 있어서는 정수할 물에 굵은 입자상의 이물질이 많이 포함된경우 메쉬가 큰 여과체가 설치된 정수용 침전필터를 사용하고, 정수할 물에 굵은 이물질이 없고 미세한 크기의 불순물만이 포함된 경우 메쉬가 작은 여과체가 설치된 정수용 필터를 사용하는 등 정수지역이나 정수기로 공급되는 수질에 따라 다른 침전필터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침전필터의 제작 및 사후관리가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정수용 침전필터의 제결함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굵은 입자상의 이물질은 물론 미세한 크기의 불순물을 여과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보다 오랜 기간동안 안정적으로 여과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용 침전필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동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정수용 필터 10 : 필터하우징
11 : 유출구 12 : 상부 여과체 결합관
13 : 하부 여과체 받침 20 : 하부캡
21 : 유입구 30,40,50 : 여과체
60 : 칸막이부재 61 : 하부 여과체 결합체
61a : 하부 여과체 결합관 61b : 유도원판
61c : 받침리브 62 : 상부 여과체 결합관
62a : 상부 여과체 결합관 62b : 결합원판
62c : 유도홈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터하우징의 내부에 메쉬가 다른 원통형 여과체를 적어도 2개 이상 설치하고 하부 여과체와 상부 여과체의 사이에 하부 여과체 내부의 물을 상부 여과체의 외부로 유도하는 칸막이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에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동 실시예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본 고안은 상단부에 유출구(11)가 마련되고 하단부에 유입구(21)가 마련되는 중공상의 필터하우징(10)의 내부에 원통형 여과체(30)가 설치되는 정수용 침전필터(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필터하우징(10)의 내부에 메쉬가 서로 다른 원통형 여과체(30)(40)(50)를 적어도 2개 이상 설치하고, 각 여과체(30)(40)(50)의 사이에 하부 여과체(30)(40) 내부의 물을 상부 여과체(40)(50)의 외부로 유도하는 칸막이부재(60)를 설치하여서 되는 것이다.
도시된 각 실시예에서 필터하우징(10)은 상단부에 유출구(11)가 일체로 마련되고 하단부에 유입구(21)가 형성된 하부캡(20)이 결합되는 형태를 갖으며, 칸막이부재(60)는 필터하우징(10)의 내부 직경과 대응되고 내부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받침리브(61c)가 형성된 유도원판(61b)이 하단이 개구된 하부 여과체 결합관(61a)의 상부에 마련된 하부 여과체 결합체(61)와, 유도원판(61b)의 내상부에 결합되고 둘레에 다수의 유도홈(62c)이 형성된 결합원판(62b)이 상단이 밀폐된 상부 여과체 결합관(62a)의 하부에 마련된 상부 여과체 결합체(62)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도시된 각 실시예는 필터하우징(10)의 내상단부에 상부 여과체 결합관(12)이 일체로 형성되고, 필터하우징(10)의 내부 직경과 대응되고 바깥 둘레에 다수의 유도홈(13c)이 형성된 유도원판(13b)이 상단이 밀폐된 하부 여과체 결합관(13a)의 하부에 마련된 형태의 하부 여과체 받침(13)이 필터하우징(10)의 내하부에 설치되는 형태를 갖는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실시예는 필터하우징(10)의 내부에 메쉬가 서로 다른 2개의 여과체(30)(40)와 한 개의 칸막이부재(60)를 설치한 형태를 갖으며, 도 3에 도시한 실시예는 필터하우징(10)의 내부에 메쉬가 서로 다른 3개의 여과체(30)(40)(50)와 2개의 칸막이부재(60)를 설치한 형태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유입구(21)를 통해 필터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 메쉬가 서로 다른 여과체(30)(40)(5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되면서 물속에 포함된 입자상의 이물질이 효율적으로 제거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와 같이 2개의 여과체(30)(40)를 설치하는 경우 필터하우징(10)의 유입구(21) 측에 메쉬가 큰 여과체(30)를 설치하고, 필터하우징(10)의 유출구(11) 측에 메쉬가 작은 여과체(40)를 설치하게 되는 바, 유입구(21)를 통해 필터하우징(10)의 내부로 진입하는 물이 메쉬가 큰 하부 여과체(3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과정에서 굵은 입자상의 이물질이 제거되고, 하부 여과체(30) 내부에서 칸막이부재(60)를 통해 메쉬가 작은 상부 여과체(40)의 외측으로 유도된 물이 상부 여과체(40)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미세한 입자상의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게 되며, 2차에 걸쳐 굵고 미세한 입자상의 이물질이 모두 제거된 물은 유출구(11)를 통해 다른 정수용 필터로 공급된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도 3과 같이 필터하우징(10)의 내부에 메쉬가 다른 3개의 여과체(30)(40)(50)를 설치한 경우에는 3차에 걸쳐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필터하우징(10)의 내부에 메쉬가 각각 다른 2개이상의 원통형 여과체(30)(40)(50)를 설치하고, 각 여과체(30)(40)(50)의 사이에 하부 여과체의 내부의 물을 상부 여과체의 외측으로 유도하는 칸막이부재(60)를 설치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굵은 입자상의 이물질은 물론 미세한 크기의 이물질도 여과할 수 있게 되므로 지역에 따라 다른 침전필터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어 침전필터의 설치 및 사후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며, 굵은 입자상의 이물질을 먼저 제거한 후 미세한 입자상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므로 여과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침전필터의 수명도 크게 연장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상단부에 유출구(11)가 마련되고 하단부에 유입구(21)가 마련되는 중공상의 필터하우징(10)의 내부에 원통형 여과체(30)가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필터하우징(10)의 내부에 메쉬가 서로 다른 원통형 여과체(30)(40)(50)를 적어도 2개 이상 설치하고, 각 여과체(30)(40)(50)의 사이에 하부 여과체(30)(40) 내부의 물을 상부 여과체(40)(50)의 외부로 유도하는 칸막이부재(6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용 침전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칸막이부재(60)는 필터하우징(10)의 내부 직경과 대응되고 내부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받침리브(61c)가 형성된 유도원판(61b)이 하단이 개구된 하부 여과체 결합관(61a)의 상부에 마련된 하부 여과체 결합체(61)와, 유도원판(61b)의 내상부에 결합되고 둘레에 다수의 유도홈(62c)이 형성된 결합원판(62b)이 상단이 밀폐된 상부 여과체 결합관(62a)의 하부에 마련된 상부 여과체 결합체(6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용 침전필터.
KR20-2003-0034639U 2003-11-05 2003-11-05 정수용 침전필터 KR2003422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639U KR200342299Y1 (ko) 2003-11-05 2003-11-05 정수용 침전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639U KR200342299Y1 (ko) 2003-11-05 2003-11-05 정수용 침전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2299Y1 true KR200342299Y1 (ko) 2004-02-18

Family

ID=49424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639U KR200342299Y1 (ko) 2003-11-05 2003-11-05 정수용 침전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229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479B1 (ko) 2007-05-15 2008-01-10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고탁도 수질 여과용 이중구조식 여과장치
KR100829536B1 (ko) 2008-02-05 2008-05-16 주식회사 현진기업 광촉매와 은분말이 코팅된 정수용 세라믹여과필터
CN114873664A (zh) * 2021-02-05 2022-08-09 吴教善 净水过滤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479B1 (ko) 2007-05-15 2008-01-10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고탁도 수질 여과용 이중구조식 여과장치
KR100829536B1 (ko) 2008-02-05 2008-05-16 주식회사 현진기업 광촉매와 은분말이 코팅된 정수용 세라믹여과필터
CN114873664A (zh) * 2021-02-05 2022-08-09 吴教善 净水过滤器
CN114873664B (zh) * 2021-02-05 2023-12-19 吴教善 净水过滤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8549B1 (ko) 버켓 타입 스트레이너장치
KR200342299Y1 (ko) 정수용 침전필터
KR200462817Y1 (ko) 필터하우징의 호환성이 가능한 정수필터
CN201997155U (zh) 一种过滤器
CN2343155Y (zh) 净水器
CN206940650U (zh) 一种具有分体式结构的净水机滤芯
SU1530081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механ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потока охлаждающей воды
KR20200060566A (ko) 정수기용 ro필터를 갖는 복합 정수필터
CN108714323A (zh) 一种水处理用石英砂过滤器
CN201064690Y (zh) 自清洗过滤器
CN203281188U (zh) 一种用于气体分离净化的高效低阻除尘器
KR20030006466A (ko) 정수용 필터
CN210367185U (zh) 一种净水器的多重滤芯结构
KR200296368Y1 (ko) 이중필터 구조를 갖는 필터카트리지
KR200370743Y1 (ko) 정수용 전처리침전필터
CN105413275B (zh) 高通量抗污染微孔过滤器及其过滤方法
CN2102148U (zh) 微孔过滤管水处理过滤器
CN103285701A (zh) 一种用于气体分离净化的高效低阻除尘器
CN2264036Y (zh) 侧向进水旋流自清洗净水器
CN109794084A (zh) 一种净水器的滤芯
KR200253302Y1 (ko) 정수용 필터
CN217450536U (zh) 一种磁铁分离过滤器
CN209583808U (zh) 滤芯和净水装置
CN209378539U (zh) 一种设有布水器的过滤罐
CN217051944U (zh) 一种多重净化纯水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