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2463B1 - 안정기 보호회로 - Google Patents

안정기 보호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2463B1
KR100792463B1 KR1020070095149A KR20070095149A KR100792463B1 KR 100792463 B1 KR100792463 B1 KR 100792463B1 KR 1020070095149 A KR1020070095149 A KR 1020070095149A KR 20070095149 A KR20070095149 A KR 20070095149A KR 100792463 B1 KR100792463 B1 KR 100792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resistor
capacitor
diode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낙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기술단
Priority to KR1020070095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24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2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2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 H05B41/285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02Details
    • H05B41/04Start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4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high frequency ac, or with separate oscillator frequency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기 보호회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방전램프를 아크튜브가 뜨거운 상태에서도 즉시 재점등하여 온 오프가 빈번한곳에 사용하여 효율이 낮은 백열 전구를 대체하여 전력을 절감하며 즉시재점등용 안정기가 램프가 불량이거나 램프가 소켓에 결합되어 있지 않을때 계속적으로 이그나이터 전압이 발생하는 경우 이그나이터 전압이 약 25000볼트가 발생하므로 빠른 시간에 차단하지 않으면 고전압에 의한 감전의 위험이 있고 안정기수명이 짧아지므로 약 5초이내에 차단시키며 즉시점등용 안정기가 램프단이 단락되면 안정기에 단락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는 안정기 보호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안정기 보호회로에 있어서, 입력 단자에 220V가 걸리면 저항 R20을 통하여 다이오드 D9, 저항 R19를 거쳐 저항 R18에 분압된 전압이 걸리고 콘덴서 C10로 평활한 다음 상기 전압이 제너다이오드 ZD4전압 이상이 될 때 SCR Q4의 게이트에 전류가 흘러 Q4가 도통하면 다이오드 D10과 Q4에 의해서 콘덴서 C11는 단자 D점에 연결되고 Q4가 도통하고 단자 F측에 정방향의 전압이 인가 될 때 다이오드 D11을 통해 콘덴서 C11에 전압이 충전되고 다시 단자 D측에 정방향의 전압이 인가되면 콘덴서 C11를 통해 다이오드 D12를 통하고 콘덴서 C13에 콘덴서 C11 전압의 2배인 440V의 전압이 걸리고 다시 단자 F측에 정방향의 전압이 걸리면 콘덴서 C13를 통하고 다이오드 D13을 통하여 콘덴서 C11한쪽 단과 콘덴서 C12 한쪽단 양단에 콘덴서 C11전압의 3배인 660V의 전압이 걸리고 다시 단자 D측에 정방향의 전압이 걸 리면 콘덴서 C11과 C12를 통하고 다이오드 D14를 통하여 콘덴서 C13의 한쪽 단과 콘덴서 C14한쪽단 양단에 콘덴서 C11전압의 4배인 880V의 전압이 만들어지고 콘덴서 C13과 C14의 양단에 걸린 전압은 저항 R21을 통하여 콘덴서 C15에 충전되고 그 충전된 전압이 스파크갭 S1전압 이상이 될 때 스파크갭은 도통하여 T2-2에 전류가 흘러 T2-1에 권선비 만큼 고전압을 발생시켜 램프를 아크튜브가 뜨거운 상태에서도 점등되게 하는 는 즉시재점등 이그나이터; 램프가 점등안되면 단자 D,F 양단 전압이 220V이므로 저항 R13, 다이오드 D7, 저항 R14를 지나 저항 R15에 전압이 걸리고 그 전압이 220V일 때는 제너 다이오드 ZD2 전압 이상이 되어 SCR Q3의 게이트에 전류가 흘러 Q3를 도통되고 상기 Q3가 도통되면 Q3와 다이오드 D6에 의해 타이머 IC1에 그라운드가 형성되며 다이머 IC1에 그라운드가 형성되면 저항 R12, 다이오드 D5를 통하여 콘덴서 C8에 전압이 충전되고 그 전압을 제너 다이오드 ZD1으로 정전압화하여 타이머 IC1의 전원을 만들고 전원이 만들어지면 저항 R11을 통해 콘덴서 C7에 전원이 충전되고 콘덴서 C7에 충전되는 동안 3번 핀으로 전압이 출력되며 콘덴서 C7에 충전되는 전압이 문턱전압 이상이 될 때 저항 R10을 통하여 콘덴서 C7에 충전된 전압이 방전되며 방전되는 동안 3번핀에 출력전압이 0V로되며 3번핀에 전압이 출력되면 PC1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 PC1은 동작하지 않고 3번핀에 전압이 출력되지 않으면 타이머 IC1의 전원 전압이 저항 R9를 통하여 PC1에 전류가 흘러 PC1이 동작여 Q1의 게이트에 전류가 흘러 Q1이 도통되고 Q1이 도통되면 릴레이는 동작하여 전원을 차단하고 램프가 점등되면 단자 D와 F양단에 전압이 100V로 낮아지므로 저항 R15에 걸리는 전압이 낮아져 제너 다이오드 ZD2 전압 이하가 되어 Q3는 도통 되지 않아 타이머가 동작하지 않는 무부하차단회로; 및 단자 E와 F 양단이 단락되면 인덕턴스가 T1에 비하여 무시할정도로 작은 T2에 의해 단자 D와 F사이의 전압은 거의OV가 걸리고 단락이 되면 다이오드 D8, 저항 R16을통하여 저항 R17에 걸리는 전압이 0V가되어 PNP 트랜지스터 Q2가 동작하여 도통되고 PC2에 전류가 흘러 PC2가 동작하고 Q1이동작하여 릴레이가 동작하게 되어 전원을 차단하며 상기 PC2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은 다이오드 D4, 저항 R7,저항 R8을 통하여 저항R6에 전압이 걸리고 콘덴서 C5로 평활하여 저항 R4를 통하고 콘덴서 C4로 리플을 제거하여 PC2에 공급하고 단락 상태가 아닌 램프점등시나 무부하시는 저항 R17에 걸리는 전압이 발생하여 Q2가 동작하지 않는 단락차단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그나이터, 안정기, 콘덴서, 다이오드

Description

안정기 보호회로{STABILIZER PROTECTION CIRCUIT}
본 발명은 안정기 보호회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방전램프를 아크튜브가 뜨거운 상태에서도 즉시 재점등하여 온 오프가 빈번한곳에 사용하여 효율이 낮은 백열 전구를 대체하여 전력을 절감하며 즉시재점등용 안정기가 램프가 불량이거나 램프가 소켓에 결합되어 있지 않을때 계속적으로 이그나이터 전압이 발생하는 경우 이그나이터 전압이 약 25000볼트가 발생하므로 빠른 시간에 차단하지 않으면 고전압에 의한 감전의 위험이 있고 안정기수명이 짧아지므로 약 5초이내에 차단시키며 즉시점등용 안정기가 램프단이 단락되면 안정기에 단락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는 안정기 보호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형광램프는 저압수은증기 속에서의 방전(放電)에 의해 발광(發光)하는 것인데, 방전등의 일반적인 성질로서, 전류가 흐르면 방전에 필요한 전압이 떨어지므로, 일정한 전압을 가하여 방전을 일으키게 한다. 이 때 전류가 지나치게 증가하면, 램프를 파괴될 염려가 있으므로, 안정기를 직렬로 넣어 전류가 증가 되는 것을 방지한다.
원리적으로는 금속저항으로도 되지만 전류에 의해 발열하므로 발열이 적은 초크코일을 사용한다. 안정기와 형광램프를 짜맞추는 데 가장 간단한 것은 램프의 양끝과 스위치 또는 점등관(點燈管)을 연결하고, 다시 전등선과 연결한 다른 배선 속에 스위치와 안정기를 짜넣은 것이다.
고압방전램프에 대하여 알아보면, 일단 광원의 종류에는 온도복사에 의한 광원과 루미네슨스가 있다.
온도복사는 물체의 그 온도에 상응하여 방출하는 복사를 온도 복사라 한다.
어떤 온도에서 최대의 온도 복사를 하는 물체를 완전 복사체 또는 혹체라 한다.
여기에는 시테판 볼츠만의 법칙이나 비인의 변위법칙 등이 있으며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것이 백열전구 이다.
백열전구는 필라멘트에 전류를 통해서 고온으로 가열하여 온도 복사에 의한 발광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그리고 루미네슨스는 물체의 온도를 높여서 발광시키는 온도복사 이외의 모든 발광현상을 일컫는다.
루미네슨스의 종류는 전기 루미네슨스(방전에 의한 발광)가 있으며 여기에 사용 되는것은 수은등, 나트륨등, 네온관등, 크세논등이 있다.
복사루미네슨스(자극에 의한 발광)는 형광등, 형광, 인광이 있다.
파이로 루메네슨스는 발염 아크등이 있으며 전계 루미네슨스는 EL등 이 있 다.
방전등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탄소아크등은 탄소 전극을 접촉시켜 놓고 그 사이에 전류를 흘리고 전극을 서서히 떼어 놓으면 아크 발생이 일어나는것을 원리로 한다.
영사기, 투광기 등의 광원 및 청사진 굽기, 인쇄 제판용으로 사용한다. 네온관등은 가늘고 긴 유리관의 양 끝에 원통형의 전극을 설치하고 불활성가스 또는 수은을 봉입한 방전등으로 양광주라 불리는 발광부분의 빛을 이용한 것이다.
봉입가스에 따라 발광하는 색이 다르며 네온-주홍, 수은 -청록, 아르곤 -붉은보라, 나트륨 -노랑, 헬륨-붉은노랑, 수소 - 장비, 이산화탄소 -흰색의 색을 가진다..
네온전구는 유리구내에 전극을 장치하고 네온 또는 아르곤 가스를 고압의 압력으로 봉입한것이고 수은등은 저압 수은등은 자외선이 방출되어 살충등 살균,의약용으로 사용 된다.
고압수은등은 가시광선이 발생되어 일반적인 공장이나 광장과 같은곳에 사용 되며 초고압 수은등은 가시광선과 자외선이 방출되고 영사용으로 사용 된다.
나트륨등은 순수황색의 단색광원으로서 실용적인 유일한 단색광원을 지는 램프이다. 이는 투과율이 우수해서 터널이나 안개지역이 많이 쓰이고 있으며 실용상 효율이 가장 우수한 램프입니다. 하지만 연색성이 나빠서 색상의 구분이 힘들다.
크세논등은 석영관에 크세논가스를 10기압 정도의 압력으로 봉입한 방전등 이다. 이는 인공광원 중에서 천연 주황색에 가까우며 연색성이 가장 우수하다.
형광등은 방전관 내에 수은을 넣어서 저저전압으로 방전시키기 위하여 열음극을 사용한 저압 수은등의 일종이며, 방전에 의하여 생긴 자외선이 관의 안벽에 칠해진 형광도료를 자극하여 강한 형광을 발생한다.
형광등의 특징으로는 수명이 길고 임의의 광색을 얻을 수 있으며, 효율이 높고, 휘도가 낮으며 열의 발생이 적으며 광속의 변동이 적으며 가동시간이 길고 주위 온도의 영향을 받으며 역률이 낮고 어른거림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에 있어서 종래의 고압방전등의 문제점으로는 램프를 점등하여 아크튜브가 뜨거운 상태에서 즉시 재점등하면 점등이 되지 않아 온 오프가 빈번한 곳에서는 사용을 할 수가 없다.
또한, 종래의 안정기에 있어서, 램프가 불량이거나 램프가 소켓에 결합되어 있지 않을때 계속적으로 이그나이터 전압이 발생하는 경우 이그나이터 전압이 약 25000볼트가 발생하므로 빠른 시간에 차단하지 않으면 고전압에 의한 감전의 위험이 있고 안정기 수명이 짧아지므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압방전램프를 아크튜브가 뜨거운 상태에서도 즉시 재점등하여 온 오프가 빈번한곳에 사용하여 효율이 낮은 백열 전구를 대체하여 전력을 절감하며 즉시재점등용 안정기가 램프가 불량이거나 램프가 소켓에 결합되어 있지 않을때 계속적으로 이그나이터 전압이 발생 하는 경우 이그나이터 전압이 약 25000볼트가 발생하므로 빠른 시간에 차단하지 않으면 고전압에 의한 감전의 위험이 있고 안정기수명이 짧아지므로 약 5초이내에 차단시키며 즉시점등용 안정기가 램프단이 단락되면 안정기에 단락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는 안정기 보호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안정기 보호회로에 있어서, 입력 단자에 220V가 걸리면 저항 R20을 통하여 다이오드 D9, 저항 R19를 거쳐 저항 R18에 분압된 전압이 걸리고 콘덴서 C10로 평활한 다음 상기 전압이 제너다이오드 ZD4전압 이상이 될 때 SCR Q4의 게이트에 전류가 흘러 Q4가 도통하면 다이오드 D10과 Q4에 의해서 콘덴서 C11는 단자 D점에 연결되고 Q4가 도통하고 단자 F측에 정방향의 전압이 인가 될 때 다이오드 D11을 통해 콘덴서 C11에 전압이 충전되고 다시 단자 D측에 정방향의 전압이 인가되면 콘덴서 C11를 통해 다이오드 D12를 통하고 콘덴서 C13에 콘덴서 C11 전압의 2배인 440V의 전압이 걸리고 다시 단자 F측에 정방향의 전압이 걸리면 콘덴서 C13를 통하고 다이오드 D13을 통하여 콘덴서 C11한쪽 단과 콘덴서 C12 한쪽단 양단에 콘덴서 C11전압의 3배인 660V의 전압이 걸리고 다시 단자 D측에 정방향의 전압이 걸리면 콘덴서 C11과 C12를 통하고 다이오드 D14를 통하여 콘덴서 C13의 한쪽 단과 콘덴서 C14한쪽단 양단에 콘덴서 C11전압의 4배인 880V의 전압이 만들어지고 콘덴서 C13과 C14의 양단에 걸린 전압은 저항 R21을 통하여 콘덴서 C15에 충전되고 그 충전된 전압이 스파크갭 S1전압 이상이 될 때 스파크갭은 도통하여 T2-2에 전류가 흘러 T2-1에 권선비 만큼 고전압을 발생시켜 램프를 아크튜브가 뜨거운 상태에서도 점등되게 하는 는 즉시재점등 이그나이터; 램프가 점등안되면 단자 D,F 양단 전압이 220V이므로 저항 R13, 다이오드 D7, 저항 R14를 지나 저항 R15에 전압이 걸리고 그 전압이 220V일 때는 제너 다이오드 ZD2 전압 이상이 되어 SCR Q3의 게이트에 전류가 흘러 Q3를 도통되고 상기 Q3가 도통되면 Q3와 다이오드 D6에 의해 타이머 IC1에 그라운드가 형성되며 다이머 IC1에 그라운드가 형성되면 저항 R12, 다이오드 D5를 통하여 콘덴서 C8에 전압이 충전되고 그 전압을 제너 다이오드 ZD1으로 정전압화하여 타이머 IC1의 전원을 만들고 전원이 만들어지면 저항 R11을 통해 콘덴서 C7에 전원이 충전되고 콘덴서 C7에 충전되는 동안 3번 핀으로 전압이 출력되며 콘덴서 C7에 충전되는 전압이 문턱전압 이상이 될 때 저항 R10을 통하여 콘덴서 C7에 충전된 전압이 방전되며 방전되는 동안 3번핀에 출력전압이 0V로되며 3번핀에 전압이 출력되면 PC1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 PC1은 동작하지 않고 3번핀에 전압이 출력되지 않으면 타이머 IC1의 전원 전압이 저항 R9를 통하여 PC1에 전류가 흘러 PC1이 동작여 Q1의 게이트에 전류가 흘러 Q1이 도통되고 Q1이 도통되면 릴레이는 동작하여 전원을 차단하고 램프가 점등되면 단자 D와 F양단에 전압이 100V로 낮아지므로 저항 R15에 걸리는 전압이 낮아져 제너 다이오드 ZD2 전압 이하가 되어 Q3는 도통되지 않아 타이머가 동작하지 않는 무부하차단회로; 및 단자 E와 F 양단이 단락되면 인덕턴스가 T1에 비하여 무시할정도로 작은 T2에 의해 단자 D와 F사이의 전압은 거의OV가 걸리고 단락이 되면 다이오드 D8, 저항 R16을통하여 저항 R17에 걸리는 전압이 0V가되어 PNP 트랜지스터 Q2가 동작하여 도통되고 PC2에 전류가 흘러 PC2가 동작하고 Q1이동작하여 릴레이가 동작하게 되어 전원을 차단하며 상기 PC2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은 다이오드 D4, 저항 R7,저항 R8을 통하여 저항R6에 전압이 걸리고 콘덴서 C5로 평활하여 저항 R4를 통하고 콘덴서 C4로 리플을 제거하여 PC2에 공급하고 단락 상태가 아닌 램프점등시나 무부하시는 저항 R17에 걸리는 전압이 발생하여 Q2가 동작하지 않는 단락차단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PC1,2 전원은 다이오드 D3, 저항 R6, R3를 통하여 저항 R2에 전압이 걸리고 콘덴서 C3로 평활한 다음 저항 R1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압방전램프를 아크튜브가 뜨거운 상태에서도 즉시 재점등하여 온 오프가 빈번한곳에 사용하여 효율이 낮은 백열 전구를 대체하여 전력을 절감하며 즉시재점등용 안정기가 램프가 불량이거나 램프가 소켓에 결합되어 있지 않을때 계속적으로 이그나이터 전압이 발생하는 경우 이그나이터 전압이 약 25000볼트가 발생하므로 빠른 시간에 차단하지 않으면 고전압에 의한 감전의 위험이 있고 안정기수명이 짧아지므로 약 5초이내에 차단시키며 즉시점등용 안정기가 램프단이 단락되면 안정기에 단락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는 안정기 보호회로로 뜨거운 상태에서도 즉시 재점등이 가능하여 전력을 절감하고 감전과 화재의 위험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정기 보호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즉시재점등 이그나이터는 전원이 A와 B 양단에 입력 되면 릴레이 접점과 초크코일 T1을 지나 D와 F간에 전원 220V가 걸린다.
단자 D,F 간에 220V가 걸리면 저항 R20을 통하여 다이오드 D9, 저항 R19를 거쳐 저항 R18에 분압된 전압이 걸리고 콘덴서 C10로 평활한 다음 그 전압이 제너다이오드 ZD4전압 이상이 될 때 SCR Q4의 게이트에 전류가 흘러 Q4가 도통하면 다이오드 D10과 Q4에 의해서 콘덴서 C11는 단자 D점에 연결된다.
Q4가 도통하고 단자 F측에 정방향의 전압이 인가 될 때 다이오드 D11을 통해 콘덴서 C11에 전압이 충전되고 다시 단자 D측에 정방향의 전압이 인가되면 콘덴서 C11를 통해 다이오드 D12를 통하고 콘덴서 C13에 콘덴서 C11 전압의 2배인 440V의 전압이 걸리고 다시 단자 F측에 정방향의 전압이 걸리면 콘덴서 C13를 통하고 다이오드 D13을 통하여 콘덴서 C11한쪽 단과 콘덴서 C12 한쪽단 양단에 콘덴서 C11전압의 3배인 660V의 전압이 걸리고 다시 단자 D측에 정방향의 전압이 걸리면 콘덴서 C11과 C12를 통하고 다이오드 D14를 통하여 콘덴서 C13의 한쪽 단과 콘덴서 C14한쪽단 양단에 콘덴서 C11전압의 4배인 880V의 전압이 만들어 진다.
콘덴서 C13과 C14의 양단에 걸린 전압은 저항 R21을 통하여 콘덴서 C15에 충전되고 그 충전된 전압이 스파크갭 S1전압 이상이 될 때 스파크갭은 도통하여 T2-2에 전류가 흘러 T2-1에 권선비 만큼 고전압을 발생시켜 램프를 아크튜브가 뜨거운 상태에서도 점등 시킨다.
무부하차단회로는 램프가 점등되지 않거나 결합되어있지 않을때 25KV의 고전압이 발생하므로 무부하시 전원을 차단해야한다
먼저 무부하 감지는 램프가 점등되지 않으면 단자 D와 F의 양단 전압이 220V이고 램프가 점등되면 약100V로 되는 차이를 감지한다
램프가 점등안되면 단자 D,F 양단 전압이 220V이므로 저항 R13, 다이오드 D7, 저항 R14를 지나 저항 R15에 전압이 걸리고 그 전압이 220V일 때는 제너 다이오드 ZD2 전압 이상이 되어 SCR Q3의 게이트에 전류가 흘러 Q3를 도통하게 된다
Q3가 도통되면 Q3와 다이오드 D6에 의해 타이머 IC1에 그라운드가 형성된다.
다이머 IC1에 그라운드가 형성되면 저항 R12, 다이오드 D5를 통하여 콘덴서 C8에 전압이 충전되고 그 전압을 제너 다이오드 ZD1으로 정전압화하여 타이머 IC1의 전원을 만들고 전원이 만들어지면 저항 R11을 통해 콘덴서 C7에 전원이 충전되고 콘덴서 C7에 충전되는 동안 3번 핀으로 전압이 출력되며 콘덴서 C7에 충전되는 전압이 문턱전압 이상이 될 때 저항 R10을 통하여 콘덴서 C7에 충전된 전압이 방전되며 방전되는 동안 3번핀에 출력전압이 0V로된다.
따라서 3번핀에 전압이 출력되면 PC1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 PC1은 동작하지 않고 3번핀에 전압이 출력되지 않으면 타이머 IC1의 전원 전압이 저항 R9를 통하여 PC1에 전류가 흘러 PC1이 동작여 Q1의 게이트에 전류가 흘러 Q1이 도통되고 Q1이 도통되면 릴레이는 동작하여 전원을 차단한다.
즉 무부하시 약 5초간 동안 시간 지연후에 5초 이후에도 점등되지 않으면 릴레이를 동작시켜 전원을 차단 한다.
램프가 점등되면 단자 D와 F양단에 전압이 100V로 낮아지므로 저항 R15에 걸리는 전압이 낮아져 제너 다이오드 ZD2 전압 이하가 되어 Q3는 도통되지 않아 타이머가 동작하지 않는다.
단락차단회로는 단자 E와 F 양단이 단락되면 인덕턴스가 T1에 비하여 무시할정도로 작은 T2에 의해 단자 D와 F사이의 전압은 거의OV가 걸린다.
따라서 단락이 되면 다이오드 D8, 저항 R16을통하여 저항 R17에 걸리는 전압이 0V가되어 PNP 트랜지스터 Q2가 동작하여 도통되고 PC2에 전류가 흘러 PC2가 동작하고 Q1이동작하여 릴레이가 동작하게 되며 전원을 차단한다.
PC2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은 다이오드 D4, 저항 R7,저항 R8을 통하여 저항R6에 전압이 걸리고 콘덴서 C5로 평활하여 저항 R4를 통하고 콘덴서 C4로 리플을 제거하여 PC2에 공급하게 된다.
단락 상태가 아닌 램프점등시나 무부하시는 저항 R17에 걸리는 전압이 발생 하여 Q2가 동작하지 않는다.
PC1,2 전원은 다이오드 D3, 저항 R6, R3를 통하여 저항 R2에 전압이 걸리고 콘덴서 C3로 평활한 다음 저항 R1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정기 보호회로의 회로도이다.

Claims (2)

  1. 안정기 보호회로에 있어서,
    입력 단자에 220V가 걸리면 저항 R20을 통하여 다이오드 D9, 저항 R19를 거쳐 저항 R18에 분압된 전압이 걸리고 콘덴서 C10로 평활한 다음 상기 전압이 제너다이오드 ZD4전압 이상이 될 때 SCR Q4의 게이트에 전류가 흘러 Q4가 도통하면 다이오드 D10과 Q4에 의해서 콘덴서 C11는 단자 D점에 연결되고 Q4가 도통하고 단자 F측에 정방향의 전압이 인가 될 때 다이오드 D11을 통해 콘덴서 C11에 전압이 충전되고 다시 단자 D측에 정방향의 전압이 인가되면 콘덴서 C11를 통해 다이오드 D12를 통하고 콘덴서 C13에 콘덴서 C11 전압의 2배인 440V의 전압이 걸리고 다시 단자 F측에 정방향의 전압이 걸리면 콘덴서 C13를 통하고 다이오드 D13을 통하여 콘덴서 C11한쪽 단과 콘덴서 C12 한쪽단 양단에 콘덴서 C11전압의 3배인 660V의 전압이 걸리고 다시 단자 D측에 정방향의 전압이 걸리면 콘덴서 C11과 C12를 통하고 다이오드 D14를 통하여 콘덴서 C13의 한쪽 단과 콘덴서 C14한쪽단 양단에 콘덴서 C11전압의 4배인 880V의 전압이 만들어지고 콘덴서 C13과 C14의 양단에 걸린 전압은 저항 R21을 통하여 콘덴서 C15에 충전되고 그 충전된 전압이 스파크갭 S1전압 이상이 될 때 스파크갭은 도통하여 T2-2에 전류가 흘러 T2-1에 권선비 만큼 고전압을 발생시켜 램프를 아크튜브가 뜨거운 상태에서도 점등되게 하는 는 즉시재점등 이그나이터;
    램프가 점등안되면 단자 D,F 양단 전압이 220V이므로 저항 R13, 다이오드 D7, 저항 R14를 지나 저항 R15에 전압이 걸리고 그 전압이 220V일 때는 제너 다이오드 ZD2 전압 이상이 되어 SCR Q3의 게이트에 전류가 흘러 Q3를 도통되고 상기 Q3가 도통되면 Q3와 다이오드 D6에 의해 타이머 IC1에 그라운드가 형성되며 다이머 IC1에 그라운드가 형성되면 저항 R12, 다이오드 D5를 통하여 콘덴서 C8에 전압이 충전되고 그 전압을 제너 다이오드 ZD1으로 정전압화하여 타이머 IC1의 전원을 만들고 전원이 만들어지면 저항 R11을 통해 콘덴서 C7에 전원이 충전되고 콘덴서 C7에 충전되는 동안 3번 핀으로 전압이 출력되며 콘덴서 C7에 충전되는 전압이 문턱 전압 이상이 될 때 저항 R10을 통하여 콘덴서 C7에 충전된 전압이 방전되며 방전되는 동안 3번핀에 출력전압이 0V로되며 3번핀에 전압이 출력되면 PC1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 PC1은 동작하지 않고 3번핀에 전압이 출력되지 않으면 타이머 IC1의 전원 전압이 저항 R9를 통하여 PC1에 전류가 흘러 PC1이 동작여 Q1의 게이트에 전류가 흘러 Q1이 도통되고 Q1이 도통되면 릴레이는 동작하여 전원을 차단하고 램프가 점등되면 단자 D와 F양단에 전압이 100V로 낮아지므로 저항 R15에 걸리는 전압이 낮아져 제너 다이오드 ZD2 전압 이하가 되어 Q3는 도통되지 않아 타이머가 동작하지 않는 무부하차단회로; 및
    단자 E와 F 양단이 단락되면 인덕턴스가 T1에 비하여 무시할정도로 작은 T2에 의해 단자 D와 F사이의 전압은 거의OV가 걸리고 단락이 되면 다이오드 D8, 저항 R16을통하여 저항 R17에 걸리는 전압이 0V가되어 PNP 트랜지스터 Q2가 동작하여 도통되고 PC2에 전류가 흘러 PC2가 동작하고 Q1이동작하여 릴레이가 동작하게 되어 전원을 차단하며 상기 PC2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은 다이오드 D4, 저항 R7,저항 R8을 통하여 저항R6에 전압이 걸리고 콘덴서 C5로 평활하여 저항 R4를 통하고 콘덴서 C4로 리플을 제거하여 PC2에 공급하고 단락 상태가 아닌 램프점등시나 무부하시는 저항 R17에 걸리는 전압이 발생하여 Q2가 동작하지 않는 단락차단회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기 보호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C1,2 전원은
    다이오드 D3, 저항 R6, R3를 통하여 저항 R2에 전압이 걸리고 콘덴서 C3로 평활한 다음 저항 R1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기 보호회로.
KR1020070095149A 2007-09-19 2007-09-19 안정기 보호회로 KR100792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149A KR100792463B1 (ko) 2007-09-19 2007-09-19 안정기 보호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149A KR100792463B1 (ko) 2007-09-19 2007-09-19 안정기 보호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2463B1 true KR100792463B1 (ko) 2008-01-08

Family

ID=39216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149A KR100792463B1 (ko) 2007-09-19 2007-09-19 안정기 보호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246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671Y1 (ko) 1999-12-27 2000-06-01 주식회사삼립전기 고압방전 램프용 타이머가 결합된 안정기회로
KR200251437Y1 (ko) 2001-07-20 2001-11-17 권혜경 메탈할라이드등 및 나트륨등 점등회로 차단 시스템
KR20060055087A (ko) * 2004-11-18 2006-05-23 유길연 고압방전등용 자기식 안정기의 보호회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671Y1 (ko) 1999-12-27 2000-06-01 주식회사삼립전기 고압방전 램프용 타이머가 결합된 안정기회로
KR200251437Y1 (ko) 2001-07-20 2001-11-17 권혜경 메탈할라이드등 및 나트륨등 점등회로 차단 시스템
KR20060055087A (ko) * 2004-11-18 2006-05-23 유길연 고압방전등용 자기식 안정기의 보호회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277188A (ja) Led照明灯及び該led照明灯を用いた灯器具
JP2010192242A (ja) 直管形蛍光灯型led照明装置、照明管、および灯器具
US20150260384A1 (en) Fluorescent lamp fixture with leds
JP2006100036A (ja) Led照光装置
TWI620464B (zh) 用於線性螢光燈的發光二極體燈置換驅動器
US5252891A (en) Uninterruptible fluorescent lamp circuit available for emergency lighting
JP3278429B2 (ja) 蛍光ランプ
KR100792463B1 (ko) 안정기 보호회로
JP2003187609A (ja) 直流型白熱電球と交流型白熱電球の口金と蛍光ランプの口金を使用するすべての半永久、省消費電力設計の発光ダイオードを使用したあらゆるすべての電球とランプ。
JP2007250323A (ja) 光源装置および照明装置
CN100565780C (zh) 一种包括荧光灯和扩展装置的组件
JP2008130535A (ja) Led蛍光灯
KR200374516Y1 (ko) 형광등 점등장치
KR101449945B1 (ko) 제논램프 조명장치
KR200160956Y1 (ko) 가로등 점등장치의 이상여부 표시회로
KR200184782Y1 (ko) 형광등 점등회로
KR101693172B1 (ko) 세라믹 메탈 할라이드 램프용 안정기
KR0165218B1 (ko) 램프용 안정기 회로
JPH10275600A (ja) 放電ランプと放電ランプ器具
JP2007035566A (ja) 放電ランプの点灯装置
KR100685171B1 (ko) 고휘도 방전램프용 안정기
JP4760406B2 (ja) 電球形蛍光ランプ
CN2445542Y (zh) 用于荧光灯的直流电源
JPH0348880Y2 (ko)
Pumar Pérez Efficient of the Bulb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