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2349B1 - 양방향 무선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양방향 무선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2349B1
KR100792349B1 KR1020050121428A KR20050121428A KR100792349B1 KR 100792349 B1 KR100792349 B1 KR 100792349B1 KR 1020050121428 A KR1020050121428 A KR 1020050121428A KR 20050121428 A KR20050121428 A KR 20050121428A KR 100792349 B1 KR100792349 B1 KR 100792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adio
code
station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1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1729A (ko
Inventor
이상범
Original Assignee
이상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범 filed Critical 이상범
Priority to KR1020050121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2349B1/ko
Publication of KR20070061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1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2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2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4Circuits using the same frequency for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04B1/56Circuits using the same frequency for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with provision for simultaneous communication in two dir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현재의 단일 채널 무선통신 기기에서 음성 통화시 송신국에서 송신을 할 때는 송신만 가능함으로 상대무선국이 수신중에는 송신을 할 수 없다. 설사 송신을 한다 하여도 상대방이 송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수신을 할 수가 없다. 만약 송신자가 긴 시간 동안 송신을 할 때 수신자가 긴급히 송신을 하고 싶어도 상대무선국에서 송신을 멈출 때까지는 송신을 할 수 없는 것이 현재의 단일채널 방식의 무선통신 시스템이다. 물론 양방향 통신을 위해서 2개 채널을 이용하여 한 채널은 송신 나머지 한 채널은 수신을 하여 양방향 통화를 할 수 있다. 현재의 시스템은 이런 방식 또는 유사 방법으로 양방향 통화가 가능한 시스템이 있다.
본 발명 장치는 단일 채널에서 양방향 통화를 하지 못하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 위해 무선국 간에 단일 채널에서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에서는 단일 채널에서 양방향 통신을 두 개의 무선 통신국뿐만 아니라 동시에 양방향 통신할 수 있는 무선국 수를 늘릴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무선국과 동시에 다중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무선통신 시스템이다.
양방향통신, 무선통신, 음성압축, 데이터통신

Description

양방향 무선통신 시스템{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도 1 양방향 무선통신을 위한 전체 블록도
도 2 송수신 시간에 대한 기본 타임차트
도 3 다수의 무선통신장치의 양방향 무선 송수신기에 대한 타임차트
도 4 마이크로폰의 되먹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블록도
도 5 양방향 통신을 하기 위한 패킷 프레임 구조
도 6 양방향 통화 및 일반 무선통신의 스위칭회로
무선통신기기에 있어서 1개의 채널(주파수)에서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하지 못하고 한쪽에서 송신을 하면 다른 한쪽은 수신을 행하게 된다. 그러나 양방향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채널이 있어야 한쪽 채널은 송신 다른 한쪽 채널은 수신을 하도록 하여 양방향 통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기존의 양방향 통화 장치는 2개의 채널을 이용하여야만 통화가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1개의 주파수(채널)에서 양방향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양방향 통화를 위해 우선 양쪽의 무전기를 일정한 시간으로 쪼개어 서로 번갈아가면서 송신할 수 있는 장치를 준비하고, 송신 장치에서는 연속된 음성 신호를 디지털방식으로 음성을 압축한 후 압축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상대무선국에 전송한다. 상대무선국은 압축된 디지털 신호를 수신 후 압축을 해제하여 원래의 음성으로 재생하여 음성을 들을 수 있도록 한다. 상대무선국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면 양쪽의 무선통신 장치는 일정 시간마다 송신과 수신을 반복하면서 음성신호를 압축하여 송신하고 또 수신부에서는 압축된 음성데이터를 압축 해제하여 코덱(CODEC)이나 D/A 컨버터를 통하여 음성을 재생한다. 본 발명 장치의 실시 예를 들면 0.5초 동안 송신하고 0.5초 동안 수신을 반복하는 무선통신 장치에 1초 간격으로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압축하고, 송신시에 0.5초 내로 압축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에서는 압축된 디지털 신호를 압축 해제하여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에서 연속으로 송수신을 반복하여 무선통신에 있어서 음성신호가 끊김 없이 연속된 음성신호가 재생된다.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양방향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장치는 무선 통신기기의 단일채널에서 양방향 통화가 되도록 하기 위해 무선통신 장치가 일정 시간마다 송신과 수신을 반복하도록 구성하고 송신 장치에서는 음성신호를 압축하여 도 2의 프레임 구조를 만든다. 여기서 도 2의 패킷 프레임에서 무선통신기기의 송신시 상대무선국 수신장치의 스켈치가 열리는 지연시간과 송신기의 송신 주파수가 안정되는 시간을 위해 도 2의 (1)과 같이 프리엠블(스타트 비트) 신호를 적당한 시간 동안 송출하고, 도 2의 (6)에 프레임 시작코드를 송출하고, 도 2의 (2)에는 자신의 ID코드와 수신국의 ID를 송출하고, 도 2의 (3)에는 음성데이터의 시작신호를 알리는 코드를 삽입하고, 도 2의 (4)에 음성신호를 압축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 처리한 데이터 신호를 송출한다. 그리고 도 2의 (5)에 송신종료 코드를 송신하고 수신대기 모드로 들어가도록 한다. 상대 무선국의 무선통신 장치에서는 압축된 음성신호를 압축 해제하여 음성 신호로 변환처리하는 코덱(CODEC)이나 D/A 컨버터를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도록 하고, 도 2의 (5)에서 종료 코드를 수신하였을 때 상대 무선국 무선통신장치도 상기의 동작 예와 같이 동일한 방법으로 송신을 한다. 음성신호는 일정한 시간 간격 단위로 디지털 신호로 변환 및 압축하여 패킷단위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송신하도록 한다. 또한, 무선 통신국 2개국 이상이 동시에 통신을 하기 위해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과정에서 데이터 압축률을 높이고 이 디지털 신호의 전송을 고속 변조 전송방식이나 음성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샘플링시간을 조정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2개국 이상 동시에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가) 시스템 구성
본 발명에서 하나의 무선통신 채널(주파수)에서 양방향 통화를 위한 장치로 송신부와 수신부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송신과 수신을 번갈아 가면서 송수신을 반복하도록 타임슬롯 회로를 구성하고, 음성신호는 실시간 디지털로 변환 후 압축하여 일정시간 간격의 패킷단위로 쪼개어 메모리 모듈로 저장한다. 저장된 패킷 데이터를 자신의 송신 슬롯 시간에 송신하고, 수신부에서는 압축된 데이터를 복원하고 코덱(CODEC)이나 D/A 컨버터를 통해 음성신호를 증폭 후 재생하도록 한다. 여기서, 양방향 통화가 되는 원리는 음성을 압축하여 전송함에 따라 원래의 음성시간보다 짧은 시간에 송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송신기의 변조 전송 효율과 압축 효 율에 따라 양방향 통신뿐만 아니라 3자 통화 또는 그 이상의 여러 무선국과 동시에 단일채널에서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게 하는 원리이다.
본 발명장치의 양방향 통화 또는 다자간에 통화를 위하여 크게 분류하면 도 1과 같이 음성신호를 디지털로 가공처리하는 과정의 장치들과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원래의 음성신호로 재생하는 디지털 압축 해제 장치 부분과 마이컴 제어회로 장치를 포함한 메모리의 데이터 베이스 기록 장치 그리고, 슬롯타임 장치 및 무선 송수신기의 변복조 장치와 송수신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말기나 컴퓨터 등으로부터 받은 문자나 파일 데이터를 음성과 동시에 전송하기 위해 도 5와 같은 패킷 프레임구조로 전송하여 음성 데이터와 파일 또는 문자 데이터를 동시에 양방향 송수신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일반 무선 통신을 위한 스위칭 회로에 의해 기존의 일반적인 무선통신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도 송수신할 수 있도록 도 1의 (15)에서 스위칭 회로를 통해 제어하도록 하고, 상기와 같은 양방향 통화를 위한 것을 특징으로 구성하고 있다.
(나) 음성신호 가공처리부
음성신호 가공처리부에서는 마이크로폰 또는 오디오 신호를 받아 음성신호를 실시간 디지털 신호로 변환을 한다. 이 음성신호를 실시간 디지털 신호로 변환을 위해 도 1의 (4)에 음성 압축 모듈 회로에서 A/D 컨버터 모듈을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압축 프로그램으로 압축을 하거나, 음성 처리를 위한 전용 칩(Audio codec)을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함과 동시에 압축하고, 압축된 데이터를 도 1의 (6)에 메모리 모듈 회로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이때 저장하는 방법은 아래 (라) 및 (마)의 실시 예와 같이 패킷단위로 데이터 파일을 조각내어 하나의 프레임 단위로 저장한다.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본 발명장치는 단일채널에서 송수신을 하지만 여러 가지 복합적인 장치에 의해 실제로는 양방향 송수신을 하기 때문에 수신장치의 스피커에서 상대 무선국의 음성신호가 송신도중에도 스피커를 통해 들리게 된다. 따라서, 이 수신음이 송신장치의 마이크로폰을 통해 되먹임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도 4의 차동증폭기의 구성과 같이 오디오 증폭회로에서 스피커를 통해 마이크로폰으로 되먹임되는 신호와 송신국의 음성신호를 차동증폭회로에 입력하여 이 차동증폭회로에서 되먹임되는 신호의 크기만큼 이 신호를 감산하여 제거하고 송신국의 음성신호만 출력하도록 도 1의 (3)에 되먹임 방지회로 장치를 구성하였다.
(다) 슬롯타임 장치부
실시간 양방향 송수신을 하기 위해서 일정시간 간격으로 송신과 수신을 반복할 수 있도록 도 1의 슬롯타임 회로(7)를 구성하고, 송신과 수신을 제어하기 위해 도 1의 송수신 제어 회로(10)가 슬롯타임 회로에서 슬롯 제어신호를 받아 송신과 수신을 반복할 수 있도록 무선 송수신 장치의 송신과 수신을 제어한다. 그리고 현재 통화중인 무선통신국 외에 새로운 사용자의 무선국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필요하다. 도 2의 (7)와 도 3의 (1)과 (2)와 (3)은 신규 무선국이 있는지 확인을 위한 대기 시간이다. 이때 새로운 사용자가 있을 때, 도 1의 (9)마이컴 제어회로에서 무선통신국의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에 신규 무선국 사용자를 추가하고, 슬롯타임 회로에서 슬롯타임을 추가된 무선국만큼 더 추가하여 슬롯타임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무선국 사용자가 줄어들 경우에는 반대로 무선국 수가 줄어든 만큼 뺀 슬롯타임 기능을 수행하게 한다. 슬롯타임의 실시 예를 들면 도 3은 3개국이 동시 통화를 위한 슬롯타임차트이다. 만약 2개국이 통화를 할 때는 도 3의 제 1 무선국이 송신을 하고 다음으로 제 2 무선국이 송신 후 다시 제 1 무선국이 송신을 한다. 이와 같이 반복을 하다가 새로운 무선국이 확인되었을 때는 3개국이 통화를 할 수 있도록 도 3의 제 1 무선국, 제 2 무선국, 제 3 무선국 순으로 송수신을 반복할 수 있도록 슬롯타임을 구성하여 송수신을 제어한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에서 송신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은 수신대기 시간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슬롯타임 제어에 대한 내용은 (사) 항에서 기술하였다.
(라) 패킷 프레임 가공부
슬롯타임 동안에 전송가능한 데이터 파일을 만들 때 도 2의 송신시간에 전송할 수 있는 용량(데이터)만큼 해당하는 패킷 구조로 만든다. 여기서 패킷 구조는 도 2의 패킷 프레임에서 무선통신기기의 송신시 상대무선국 수신장치의 스켈치 지연 시간과 송신기의 송신 주파수가 안정되는 시간을 위해 도 2의 (1)과 같이 프리엠블(스타트 비트) 코드를 적절한 바이트를 패킷 파일의 초기에 삽입하고 도 2의 (6)에 프레임 시작코드를 삽입하고, 도 2의 (2)에는 자신의 ID코드와 수신국의 ID코드를 삽입한다. 여기서 통화 운용 방법에 따라서 송신국 및 상대무선국의 ID코드는 넣지 않을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여러 명의 ID코드가 들어갈 수도 있다. 도 2의 (3)에는 음성데이터의 시작임을 알리는 시작 코드를 삽입하고, 도 2의 (4)에는 메모리 회로의 데이터 베이스에 일정시간 간격으로 저장된 음성 압축 데이터를 적절한 크기로 삽입하고, 도 2의 (5)에 패킷 프레임의 끝임을 알리는 종료 코드를 삽입하여 하나의 패킷 프레임 구조를 완성한다. 완성된 패킷 프레임 데이터를 무선송신기의 변조회로 쪽으로 보내어 신호변조 처리하고, 무선 송수신모듈의 송신회로와 안테나를 통해 무선 전파를 발사한다. 무선송신기의 변조방식은 여러 가지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PSK, QPSK, FSK, GMSK 등등 여러 가지 방식이 있으나 어느 방식을 이용하던 관계는 없다. 다만, 데이터 전송효율이 높은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여기서, 본 패킷 구조는 하나의 기본적인 작동원리의 실시 예이다.
(마) 다기능화한 패킷 프레임 구조의 가공 실시 예
본 발명장치는 음성뿐 아니라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가능 하도록 발명하였다. 여기서 데이터 신호란 컴퓨터와 같은 단말기의 시리얼 포트 및 키보드의 입력 데이터 등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문자나 파일 등등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정보 메시지를 무선으로 송신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음성으로 통화를 하면서 동시에 데이터 정보(문자, 그림, 파일 등등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데이터를 단말기 데이터라 표기하기로 한다.) 그 정보는 송수신기의 단말기의 표시(디스플레이)장치, 도 1의 (19) 단말기의 시리얼 포트 또는 프린트 장치에 문자 또는 그림을 표시 또는 출력 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패킷구조를 좀더 발전시켜야 한다. 물론 아래 실시 예에 국한된 것은 아니며 용도에 따라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방법으로 변경 실시할 수가 있다.
도 5의 패킷 구조는 도 2의 패킷구조를 다기능화한 패킷 프레임 구조의 예이다. 여기서 패킷 구조는 도 5의 패킷 프레임에서 무선통신기기의 송신시 상대 무선국의 수신장치에 스켈치 지연시간과 송신기의 송신 주파수가 안정되는 시간을 위해 도 5의 (1)과 같이 프리엠블(스타트 비트) 코드를 적절한 바이트를 패킷 프레임 초기에 삽입하고, 도 5의 (17)에 프레임 시작코드를 삽입하고, 도 5의 (2)에는 송신국의 ID코드와 도 5의 (3)에 수신국의 ID코드를 삽입한다. 여기서 무선통화 운용방법에 따라 송신국 ID코드와 상대무선국의 ID코드는 넣지 않아도 되고, 필요에 따라 도 5의 (3)에 여러 수신국의 ID코드가 들어갈 수도 있다. 도 5의 (5)에는 음성데이터의 시작임을 알리는 시작코드를 삽입하고, 도 5의 (6)에는 메모리 모듈회로에 음성 압축 데이터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데이터 베이스에 순차적으로 저장된 음성 압축 데이터 하나를 꺼내어 삽입하고, 도 5의 (7)에는 음성 데이터의 끝임을 알리는 음성데이터 종료 코드를 삽입한다. 그리고 도 5의 (8)에는 도 1의 단말기(19)로부터 받은 데이터가 있을 때 전송할 데이터가 있음을 알리는 단말기 데이터 코드와 도 5의 (9)에는 수신국 지정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상대무선국 ID코드를 삽입한다. 여기서 수신국 지정은 전체 무선국에 전송하는 코드나 1개국 이상 개별 무선국을 지정할 때는 각각의 ID코드와 구분코드를 삽입하여 지정할 수가 있다. 도 5의 (11)에는 문자 또는 파일 데이터의 시작임을 알리는 코드를 삽입하고, 도 5의 (12)에는 도 1의 단말기(19)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삽입하고, 도 5의 (13)에 CRC 에러코드를 삽입한다. 도 5의 (18)에 문자 또는 파일 데이터의 끝임을 알리는 종료코드를 삽입한다. 그리고 하나의 패킷 프레임의 끝임을 알리는 종료코드를 도 5의 (14)에 삽입하여 하나의 패킷 프레임을 완성한다.
만약 도 1의 단말기(19)로부터 받은 데이터가 없을 경우에는 도 5의 (8)에 전송할 데이터가 없음을 알리는 코드와 도 5의 (9), (10), (11), (12), (13), (18)에 데이터를 삽입할 필요없이 도 5의 (14)에 프레임 종료코드를 삽입하여 하나의 패킷 프레임을 완성한다. 또한, 전송할 데이터가 없을 경우 시스템 운영방법에 따라서는 패킷 프레임 종료코드를 도 5의 (7)에 삽입하여 전송할 데이터가 없음을 수신국에게 알릴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데이터 전송 바이트 수를 줄일 수 있어 데이터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바) 패킷 프레임 수신 실시 예
상대무선국이 타임슬롯 기간에 전송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복구하여 원래의 음성이나 데이터로 복구하고, 음성 재생 회로에서 실시간으로 재생하도록 하여야 한다. 실시 예 (마)의 경우를 패킷 프레임을 수신하여 음성신호와 정보데이터(문자 또는 파일 데이터)를 원래의 음성신호와 정보 데이터로 복구하는 과정을 실시 예를 들어 본다. 먼저, 프레임의 시작을 알리는 도 5의 (1)의 프리엠블 신호를 일정 수(양) 이상 수신하면 상대 무선국의 패킷 프레임 신호로 인식하고, 도 5의 (17)의 프레임 시작코드를 접수 후, 도 5의 (2)에 상대무선국 ID 코드를 접수하고, 도 5의 (3)에 수신자 ID 코드 있는지 확인하여 자신의 ID 코드가 있거나, 전체 수신가능 코드가 있으면 도 5의 음성데이터(6)를 수신을 시작하고, 도 5의 음성데이터 종료코드(7)를 수신 후 이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압축 해제 장치로 보낸 후 음성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코덱(CODEC)이나 D/A 컨버터를 이용하여 음성신호로 변환처리하고 증폭회로에서 증폭 후 음성을 스피커로 재생한다. 여기서, 만약 수신자 지정 코드 방식일 경우 자신의 ID 코드가 없으면 도 5의 (5) 이후의 데이터는 무시하고 다음의 패킷 프레임을 기다린다. 도 5의 (4)는 타임슬롯 관리코드를 접수하여 (사) 항의 "슬롯타임 관리코드"와 같이 예시한 방법으로 처리하고, 음성데이터 외에 문자 또는 파일 데이터가 함께 수신되었는지 도 5의 (8) 단말기 데이터 코드를 접수하고, 자신에게 보낸 데이터인지 구분을 위해 도 5의 (9)에 전체 사용자에게 보낸 코드이거나, 자신의 ID코드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자신에게 보낸 데이터이면 도 5의 (11)에 데이터 시작코드를 접수한 후 도 5의 (12)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장치 또는 프린터로 출력을 한다. 그리고 패킷 프레임의 종료코드인 도 5의 (14)를 접수하게 되면 하나의 패킷 프레임을 수신완료한 것으로 간주하고 다음 패킷 프레임을 기다리거나 자신의 송신 슬롯타임을 기다린다.
(사) 슬롯타임 관리코드
슬롯타임 관리코드는 무선국 간에 시간을 쪼개어 송신 순서를 정하여 순차적인 송신을 할 수 있도록 그 순서를 결정하는 중요한 코드이다. 슬롯타임 관리코드를 정할 때는 여러 가지 조건이 발생할 수가 있다. 그 예를 다음과 같이 실시 예를 기술한다.
먼저, 송수신국이 2개국뿐일 경우에는 제 1 무선국과 제 2 무선국 사이에 서로 번갈아 가면서 송수신을 하면 아무런 문제가 없다. 그러나 2개의 무선국이 양방향 통화 도중에 제 3 무선국 또는 그 이상의 추가 무선국이 끼어들기를 요청할 때는 슬롯타임 관리가 필요하고, 송신순서를 정하여야 한다. 그래서 다중 양방향 통화를 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슬롯타임 관리 방법이 있지만 그중에 다음과 같은 실시 예를 들어본다.
여러 무선국이 양방향 통화를 하기 위해서 먼저 아무도 송신을 하지 않는 상태에서 누군가 먼저 송신을 실행하는 무선국을 제 1 무선국으로 보고, 제 1 무선국은 슬롯타임 관리코드에 자신의 ID코드를 삽입하여 제 1 무선국이 송신을 실행한다. 그런 후 어느 누군가 제 2 무선국이 제 1 무선국과 통화를 하고자 할 때 제 2 무선국은 제 1 무선국의 슬롯타임 관리 ID코드를 접수하고 제 2 무선국의 슬롯타임 관리코드는 제 1 무선국 ID코드, 구분코드, 제 2 무선국 ID코드를 삽입하여 제 2 무선국의 슬롯타임 관리코드를 생성하여 패킷 프레임에 삽입하여 송신을 실행한다. 이때 제 1 무선국은 제 2 무선국이 송신하고 있음을 감지하고 슬롯타임 관리 데이터 베이스에 제 2 무선국의 ID코드와 인덱스 코드를 등록하고, 제 1 무선국의 슬롯타임 시간(송신시간)에 슬롯타임 관리 데이터 베이스에서 접수된 송신국의 ID코드를 순서대로 읽어와서 자신(제 1 무선국)의 ID코드, 구문코드, 제 2 무선국 ID코드 순으로 슬롯타임 관리코드를 생성하여 패킷 프레임에 삽입하고 송신을 실행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 1 무선국과 제 2 무선국 사이에 양방향 통화를 하다가 제 3 무선국이 송신하고자 할 때는 제 3 무선국에서는 제 1 무선국이든 제 2 무선국이든 슬롯타임(송신) 때 슬롯타임 관리코드를 접수할 수 있다. 따라서, 제 3 무선국에서는 슬롯타임 관리코드를 접수하여 송신자의 ID코드를 순서대로 데이터 베이스에 인덱스코드와 함께 저장하고, 슬롯타임 관리코드를 제 1 무선국 ID코드, 구문코드, 제 2 무선국 ID코드, 구분코드, 제 3 무선국 ID코드를 순으로 조합하여 슬롯타임 관리코드를 생성하고 패킷 프레임에 삽입하여 송신을 실행한다. 만약 제 4 무선국이 통화를 참여한다면 제 2 무선국, 제 3 무선국이 실시한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통화를 실행하면 된다.
만약 양방향 통화중이던 무선국이 송신을 중단할 경우에는 통화 종료코드를 슬롯타임 관리코드에 삽입하여 패킷 프레임을 완성하여 자신의 송신시간인 슬롯타임에 송신을 실행한다. 이때 수신국들은 통화를 종료한 무선국의 ID코드를 접수하여, 슬롯타임 관리 데이터 베이스에서 통화 종료한 무선국의 ID코드를 삭제를 하고 데이터 베이스의 ID코드와 인덱스 코드를 정렬한다. 또한, 만약에 어느 무선통신국이 전파장애 등으로 인해 통화가 불가능할 때는 상대 무선국에서는 수신을 할 수 없다. 이때는 몇 차례 슬롯타임이 진행 후에도 해당 무선국의 슬롯타임 관리코드가 접수가 되지 않을 때는 해당 무선국의 ID코드를 슬롯타임 관리 데이터 베이스에서 ID코드를 삭제를 하고 데이터 베이스의 ID코드와 인덱스 코드를 정렬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슬롯타임 관리를 하여 다중 양방향 통화를 할 수 있다.
(아) 정보 데이터의 에러복구
일반 음성데이터는 데이터 자체가 조금의 에러가 발생하더라도 우리가 대략 알아들을 수 있는 소리로 들을 수 있다. 그러나 문자 데이터나 파일 등의 데이터는 그 데이터가 깨질 경우 매우 곤란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정보 데이터 파일은 에러체크를 하여 에러가 발생 되었다면 재전송을 요구하여, 정상적인 데이터로 복구하여야 한다. 에러 복구 방법 또한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그중에 한가지 방법의 실시 예를 기술한다.
제 1 무선국에서 도 5의 (12) 단말기 데이터를 송신할 때는 제 2 무선국이 정상적인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보낼 단말기 데이터의 CRC 연산을 한 후 도 5 의 (13)에 연산한 CRC 코드를 삽입하여 패킷 프레임을 완성하여 송신하도록 하고, 제 2 무선국이 수신한 데이터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여 송신하게 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2 무선국은 제 1 무선국으로부터 수신한 도 5에 (12)의 단말기 데이터를 CRC 연산을 하고, 도 5의 (13)인 CRC 에러코드와 비교하여 같으면 정상 데이터이고 만약 틀리면 불량데이터이다. 정상적인 데이터를 수신하였을 때는 도 5의 (10)에 에러 없음 코드를 삽입하여 전송한다. 만약 불량 데이터이면 도 5의 (10)에 제 1 무선국의 ID코드를 삽입하여 전송한다. 이때 제 1 무선국은 제 2 무선국으로부터 도 5의 (10)을 수신하고 만약 자신의 ID코드가 있다면 도 5의 (12)의 데이터를 재전송을 실행하여 제 2 무선국이 정상적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3개국 이상 통화하는 다중 양방향 무선통신일 경우에는 단말기 데이터 송신은 상기의 제 1 무선국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고, 도 5의 (10)에는 제 1 무선국과 제 2 무선국이 단말기 데이터를 보내었을 때 제 3 무선국에서 수신한 내용이 제 1 무선국의 단말기 데이터는 정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 2 무선국의 단말기 데이터는 불량데이터를 수신하였다면 제 3 무선국은 도 5의 (10)에 제 2 무선국의 ID코드를 삽입하여 송신한다. 만약 제 1 및 제 2 무선국 모두 불량 데이터를 수신했다면 제 3 무선국에서는 도 5의 (10)에 제 1 무선국 ID코드, 구분코드, 제 2 무선국 ID코드를 삽입하여 전송한다. 이때 제 1 무선국이나 제 2 무선국에서 도 5의 (10)에 자신의 ID코드가 있다면 불량데이터를 수신한 무선국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데이터를 재전송하여 수신에러를 복구할 수 있도록 한다.
(자) 음성재생 동기화
본 발명장치는 슬롯타임 관리하에 실시간 무선통화를 할 수 있도록 시스템 구성이 되어있다. 따라서, 다중 양방향 통화시 음성을 디지털로 변환 후 압축하여 전송하는 것을 반복하고, 수신장치에서도 수신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고 코덱(CODEC) 또는 D/A컨버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음성을 재생하는 시스템이다. 실시 예를 들면, 양방향 통화 무선국이 4개국이고 1개의 슬롯타임이 0.25초라고 가정한다면 4개의 무선국이 모두 송신이 되려면 1초라는 시간이 걸리게 된다. 결국, 음성데이터는 1초 동안의 음성데이터를 디지털로 변환 및 압축처리하여 전송하여야 하고 전체 무선국들이 모두 1초와 전송시간 0.25초를 합해서 1.25초의 기본 지연시간은 공통 사항이고 이 시간은 다음 설명에 혼동을 피하기 위해 음성데이터를 디지털로 변환 처리하는 시간 1초를 빼고 설명하기로 한다. 슬롯타임 순서가 제 1, 제 2, 제 3, 제 4 무선국 순으로 되어 있다면 먼저 제 1 무선국이 송신을 하게 되면 제 2, 제 3, 제 4 무선국은 0.25초 후에 음성이 재생된다. 제 2 무선국이 송신을 할 때는 제 1, 제 3, 제 4 무선국은 0.5초 후에 음성이 재생된다. 제 3, 제 4 무선국도 같은 원리로 적용이 되어 음성 재생이 지연되게 된다. 음성데이터는 절대시간 기준을 놓고 볼 때 이미 음성을 데이터로 변환처리하여 전송 대기중에 있고, 슬롯타임에 의해 각각의 무선국 사이에 음성재생 시작시간이 0.25초 단위로 늦어진 음성이 재생되게 된다. 그래서 늦어진 음성데이터를 동기화하여 모든 무선국이 동일한 시간에 대화를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주기 위해 음성데이터 재생 방법을 다음과 같이 시행하여야 한다.
4개국의 무선국이 상기의 예와 같이 실행했을 때 음성데이터 변환 및 압축시간 1초는 4개의 무선국이 모두 동일한 지연 시간이기 때문에 이 시간은 무시하고, 슬롯타임 시간이 0.25초이기 때문에 각 무선국에서 음성데이터를 메모리 모듈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해둔 것을 꺼내어 전송 후 각각의 무선국에서 음성이 재생되는 시간이 순차적으로 0.25초씩 늦어지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음성 재생 지연시간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각각의 무선국마다 0.25초씩 순차적으로 늦어지기 때문에 무선국수에 따라서 재생 시작시간을 조정하여 동기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음성 재생 지연시간은 무선국 수에 비례함을 알 수 있다. 상기의 실시 예에서 음성 재생을 동기화하여 음성 재생 시작 방법의 예를 들면 각각의 무선국이 송신한 음성데이터를 제 4 무선국이 수신하여 음성을 재생한다면 다음과 같이 음성 재생 동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제 1 무선국의 음성데이터는 0.75초 후에 음성 재생을 실행하고, 제 2 무선국의 음성데이터는 0.5초 후에 음성 재생을 하고, 제 3 무선국의 음성데이터는 0.25초 후에 음성 재생을 실행한다. 이렇게 음성을 재생하게 되면 모두 절대시간을 놓고 보면 동일한 시간에 음성이 재생되게 된다.
이와 같은 음성 동기의 필요성이 없을 때는 마이컴 제어부에서 그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수신 즉시 음성재생을 실행하면 된다.
(차) 다중 음성재생 처리방법
2개국이 양방향 통신을 실행할 때는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압축해제하고 코덱(CODEC)이나 D/A컨버터를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3개국 이상의 무선국이 양방향 통화시에는 실시간 음성을 재생함에 있어서 최대 통화 수만큼 각각의 D/A컨버터를 구비하여 오디오 신호로 변환 후 혼합해야 하는데 만일 이런 방법을 사용한다면 회로의 복잡성이 발생하고, 소형통신기기 제작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음성혼합 처리한다.
3개국 이상의 무선국이 양방향 통화시에는 실시간 음성을 재생함에 있어서 두 무선국의 음성을 혼합해서 재생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2개국의 음성데이터를 수신하였을 때 각각의 음성데이터를 압축해제하고 혼합한다. 이 혼합방법은 2개의 음성데이터를 연산처리를 해야 하는데 있어서 데이터 1BYTE(255)를 기준으로 놓고 볼 때 128을 음성의 크기의 기준을 0이라 하고, 음성의 크기가 피크일 때 음성의 최대 크기를 255와 0이 된다. 2개의 음성데이터의 크기가 128보다 클 때는 두 데이터를 128을 빼준 나머지 값을 덧셈 처리하고 결과가 255보다 크면 255로 처리한다. 그리고 또한 하나는 128보다 크고 또 하나는 128보다 작을 때는 큰 수에서 작은 수를 빼주면 된다. 예를 들면 하나의 데이터는 200이고 또 하나의 데이터는 50이라고 가정할 때 두 데이터를 뺄셈을 적용하여 150으로 처리하면 된다. 만약 두 데이터가 모두 128보다 작을 때는 두 데이터를 덧셈 처리한 연산 값(s1)을 128에서 연산 값(s1)을 빼주고 만약 0보다 작을 때는 0으로 처리한다. 상기의 실시 예의 연산결과가 255보다 크거나 0보다 작은 연산 값일 때 실험결과 음질은 약간 떨어지나 음성을 알아듣는 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 다른 방법은 만약 3개국이 통화를 한다면 음성레벨은 2개국의 음성을 듣게 되므로 데이터를 128 + 63 와 128 - 63으로 하여 두면 0보다 적거나 255보다 크게 되지는 않으나 3개국보다 더 많은 무선국이 동시 양방향 통화를 실행할 때는 레벨의 크기가 63에서 31 또는 15등으로 하여야 함으로 오히려 음질이 더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자에 기술한 내용을 적용하기로 하였다.
상기의 과정은 수신장치의 내용이지만 송신부도 음성을 A/D컨버터에서 디지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1BYTE에서 음의 크기를 128을 0으로 하고, 음의 최대 크기를 255와 0가 되도록 데이터 처리하도록 하였다.
(카) 음질 가변
본 발명장치에서의 문제점은 양방향 통화자가 많을 때는 슬롯타임 수가 무선국 수와 같다. 따라서, 한바퀴(주기) 돌아오는 슬롯타임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므로 슬롯타임 주기를 짧게 해 주어야 한다. 짧은 시간에 많은 데이터를 모두 전송하려면 전송속도를 높여야 하는데 이 전송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무선 송신기의 변조 대역폭을 넓게 해야 한다. 그러나 각 나라별 주파수 분배와 대역폭이 정해져 있 으므로 그 범위에서 통화를 해야 하므로 데이터 용량을 줄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음성을 디지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코덱이나 A/D컨버터의 샘플링 타임을 조절하여 메모리 모듈로 저장되는 데이터 파일 용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코덱(CODEC)이나 A/D컨버터의 샘플링 타임을 8KHz/sec, 6KHz/sec, 4KHz/sec, 2KHz/s 이렇게 설정되도록 하고, 슬롯타임 관리 데이터 베이스에서 무선국이 몇 개의 무선국이 통화중인지 알 수 있으므로 그 수에 반비례해서 데이터 용량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2개국이 양방향 통화중일 때는 8KHz/sec 샘플링 타임을 적용하고, 3개국이 통화중일 때는 6KHz/sec로 샘플링 타임을 적용하고, 4개국이 통화중이면 4KHz/sec를 적용하는 방법으로 통화운용을 하면 음질은 다소 떨어지지만 여러 무선국과 동시에 양방향 통화를 할 수 있다. 여기서 샘플링 타임이 무엇으로 설정되었는지는 슬롯타임 관리코드에 구분코드와 샘플링 타임 코드를 추가로 삽입하여 패킷 프레임을 완성하여 전송하도록 한다. 수신부에서는 샘플링 타임이 무엇으로 설정되었는지 패킷 프레임의 슬롯타임 관리코드를 분석하여 음성 재생시 해당 샘플링 타임으로 코덱이나 D/A컨버터에서 처리하도록 한다.
(타) 양방향 통신 및 일반 무선통신기기와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부
본 발명장치는 기존의 무선통신 기기와도 호환성을 가지기 위해 일반 무선통신기기와 동일한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도 1의 (15) 스위칭 제어회로를 구성하고 이 스위칭 제어회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현재 시판중인 일반 무선통신 기기와도 통화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도 1의 (15)는 결선이 복잡하여 일부 결선은 삭제하여 다른 설명이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도 1의 (15)를 좀더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6과 같은 구조로 스위칭 제어부를 구성한다. 스위칭 제어부는 반도체 소자인 아날로그 스위치나 릴레이와 같은 소자를 사용하여 스위칭한다. 본 발명에서는 아날로그 스위치 소자를 이용하였다.
스위칭회로의 동작은 "양방향 통화 / 일반 무선통신 선택" 단자를 통해 스위치의 A 접점과 B접점을 선택하여 C접점과 연결되도록 회로 구성을 하고, 만약 양방향 통화로 선택이 되었다면 각각의 스위칭 회로에서 'C' 와 'B'가 연결이 되고, 일반 무선통신으로 선택이 되면 'C' 와 'A'가 연결이 된다.
단자기능으로 '무선송신 변조부'는 무선송신기의 변조 입력단자를 의미하고, '오디오 증폭회로부'는 오디오 증폭회로 입력단자를 의미하고, '무선송신기의 송신 제어부'는 송신과 수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칭회로 입력단자를 의미한다. 또한, '음성입력(마이크) 증폭회로'는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받은 증폭회로의 출력단자를 의미하고, '디지털 변조부'는 각종 디지털 데이터를 FSK, PSK, GMSK 등과 같은 신호로 변환한 출력단을 의미하고, '오디오 라인부'는 오디오 신호출력단자를 의미하고, 'N.C'단자는 아무것도 연결되지 않은 단자이며, '무선수신 복조회로부'는 무선 수신기의 복조회로의 출력단자를 의미하고, '음성압축 해제모듈'은 무선 수신기의 복조회로에서 음성압축 해제모듈의 음성재생 출력단자를 의미하고, '송신(PTT) 스위치'는 송신키 단자를 의미하고, '슬롯타임 회로부'는 양방향통화를 위해 일정시간 단위로 송신키를 작동시키는 출력단자를 의미한다.
(파) 문자 및 파일데이터 관리
본 발명장치는 양방향 무선통신을 위해 슬롯타임을 관리하여 송신과 수신을 반복하도록 구성이 되어있다. 따라서, 단말기의 데이터가 한 슬롯타임 기간에 전송 할 수 없을 정도로 큰 데이터의 경우는 그 데이터를 분할하여 전송하여야 한다. 따라서, 단말기의 데이터의 파일 용량이 일정크기 이상일 때는 파일을 조각내어 메모리 모듈에 단말기 파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이 저장된 데이터를 자신의 송신 슬롯타임에 하나씩 꺼내어 송신을 하도록 구성한다. 수신부에서는 송신국에서 보내온 데이터를 한 슬롯타임마다 순차적으로 보내온 단말기 데이터를 메모리 모듈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거나 표시장치 또는 프린트장치 등으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 표현하는 용어 중 "단말기 데이터"는 "데이터"라 표현해야 하지만 본 발명에서 용어의 혼동을 막기 위해 도 1의 (18)로 입력되는 키보드 입력 데이터나 컴퓨터의 시리얼 포트 등으로부터 받은 문자 데이터 또는 파일 및 그림 데이터 등등을 포함한 데이터는 "단말기 데이터"로 표현하였다.
무선통신 국이 여러 곳이 있을 경우 통신국 사이에 메시지 전달이나 응답을 받을 경우 송신국에서 송신시 수신국은 송신을 하지 못한다. 따라서, 송신국에서 지나치게 긴 시간 동안 송신을 한다면 수신국에서는 급한 메시지 전달을 하고 싶어도 상대무선국이 송신을 종료할 때까지 송신을 하지 못한다. 그러나 본 발명장치에서는 단일채널에서 쌍방이 동시에 송신과 수신이 가능함으로 기다릴 필요가 없으며,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바로바로 듣고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본 발명장치는 단일 채널에서 두 개국과 양방향 통신뿐만 아니라 두 개국 이상 무선국과도 통신할 수 있어 단일채널로 여러 무선국과 동시에 통화할 수 있어 의견토론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상대무선국의 송신중에 대기해야 하는 시간도 줄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양방향 통화중에도 문자메시지나 그림, 파일 등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기존의 무선통신에 비하여 상당히 효율적인 무선통신 방식이라 생각한다.

Claims (16)

  1. 무선통신기의 단일채널(주파수)에서 1개국 이상의 무선국과 양방향 통신을 하기 위한 무선송신장치에 있어서,
    아날로그 신호인 음성 또는 오디오 신호를 실시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신호변환 장치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모듈과, 상기 데이터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쪼개어 압축하는 압축 모듈과, 상기 압축된 데이터를 패킷프레임으로 가공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패킷프레임의 송신시간을 정하기 위한 슬롯타임 장치와, 상기 패킷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변조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송신장치.
  2. 무선통신기의 단일채널(주파수)에서 지정 무선국과 양방향 통신을 하기 위한 무선송신장치에 있어서,
    아날로그 신호인 음성 또는 오디오 신호를 실시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신호변환 장치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모듈과, 상기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쪼개어 압축하는 압축모듈과, 무선국을 선택할 수 있는 입력 장치와, 상기 압축된 데이터 및 지정 무선국 ID CODE를 패킷프레임으로 가공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패킷프레임의 송신시간을 정하기 위한 슬롯타임 장치와, 상기 패킷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변조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송신장치.
  3. 무선통신기의 단일채널(주파수)에서 1개국 이상의 무선국과 양방향 통신을 하기 위한 수신장치에 있어서,
    송신순서를 정하기 위한 슬롯타임 장치와, 변조된 데이터 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복조회로 장치와, 상기 복조회로 장치에서 압축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압축된 음성데이터를 압축 해제하기 위한 압축 해제 모듈과, 상기 압축 해제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실시간 재생하기 위한 신호변환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수신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압축된 음성 데이터와 단말기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기 위한 패킷프레임으로 가공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송신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데이터를 하나의 슬롯타임 내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크기로 조각내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송신 슬롯타임 때에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송신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변환 장치는,
    무선국 수에 따라 음성 데이터 용량을 조절하기 위한 샘플링타임 가변장치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송신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송신도중에 수신기의 스피커로부터 나오는 상대무선국에서 보내온 소리(음성, 오디오)가 송신기의 마이크로폰으로 되먹임되는 것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되먹임 제거 장치는 마이크로폰에서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마이크 증폭회로의 출력신호(a)와, 수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가 스피커를 통해 송신장치의 마이크로폰으로 유입되는 되먹임 신호(b)를 차동증폭회로 입력단에 상기 (a) 신호와 상기 (b)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차동증폭회로에서 되먹임 신호(b)를 제거한 음성신호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되먹임 제거 장치가 포함되어 있는 무선송신장치.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무선통신기의 단일채널(주파수)에서 1개국 이상의 무선국과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는 무선통신장치와 단방향 무선통신장치와 겸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무선 송신장치로,
    단방향 무선통신장치와 통화하기 위한 접속단자 (a)와 단일채널에서 양방향통화를 할 수 있는 무선통신장치에 접속단자 (b)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단자는 무선송신 변조회로, 음성입력 증폭회로, 송신제어회로와 결선 된 접속단자로써, 상기 접속단자 (a)와 상기 접속단자 (b) 사이에 스위칭소자를 부착하여 상기 단방향 무선통신장치 또는 상기 양방향 무선통신장치를 선택하여 통화할 수 있는 스위칭회로 장치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송신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타임 장치는,
    무선국 수가 증가할 때 슬롯타임 관리코드의 데이터베이스에 신규 무선국 ID CODE를 추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수신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슬롯타임 장치는,
    무선국 수에 따라 송신 및 수신시간 분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송신장치.
  11. 제 3항에 있어서,
    통화하던 무선국으로부터 통화 종료코드를 접수받거나, 또는 정해진 슬롯타임 횟수 내에 상대무선국의 ID CODE가 접수되지 않으면 슬롯타임 장치에서 슬롯타임 관리코드의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무선국 ID CODE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수신장치.
  12. 제 3항에 있어서,
    상대 무선국으로부터 수신한 단말기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장치를 더 포함한 무선수신장치.
  13.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타임 장치는,
    슬롯타임 관리 데이터베이스에서 음성 수신국 지정 ID CODE를 추출하고 자신의 ID CODE 또는 전체 수신 CODE가 있을 때만 음성재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수신장치.
  1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타임 장치는,
    슬롯타임 관리 데이터베이스에서 단말기 데이터 수신국 지정 ID CODE를 추출하고 자신의 ID CODE 또는 전체 수신 CODE가 있을 때만 단말기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수신장치.
  15. 무선통신기의 단일채널(주파수)에서 1개국 이상의 무선국과 양방향 통신을 하기 위한 무선수신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무선송신국에서 슬롯타임에 의해 순차적으로 송신을 하기 때문에 각각의 수신 무선국에서는 음성재생 신호가 무선국 수만큼 순차적으로 음성재생 지연시간이 발생한 것을 수신국에서 음성재생을 동기화하기 위한 수단;
    상기 음성재생을 동기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수신한 음성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장치와 무선 송신국 수가 저장되어 있는 슬롯타임 장치와 상기 슬롯타임 장치에서 무선국 수를 추출한 후 음성재생을 동기화하기 위해 음성재생 지연시간을 계산하고, 음성재생 장치에서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도록 하는 신호변환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수신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수신한 단말기 데이터를 CRC 연산 후 에러 유무를 확인하고, 상기 에러발생시 송신국에게 에러 코드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수신장치.
KR1020050121428A 2005-12-11 2005-12-11 양방향 무선통신 시스템 KR100792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428A KR100792349B1 (ko) 2005-12-11 2005-12-11 양방향 무선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428A KR100792349B1 (ko) 2005-12-11 2005-12-11 양방향 무선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729A KR20070061729A (ko) 2007-06-14
KR100792349B1 true KR100792349B1 (ko) 2008-01-07

Family

ID=38357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1428A KR100792349B1 (ko) 2005-12-11 2005-12-11 양방향 무선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234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7158A (en) 1974-10-07 1977-07-19 Motorola, Inc. Two-way FM radio system operating on a single channel and providing simulated duplex operation
US4903257A (en) 1987-05-27 1990-02-20 Fujitsu Limited Digital two-way radio-communication system using single frequency
WO1997042730A1 (en) 1996-05-08 1997-11-13 Ericsson Inc. Half duplex uart control for single channel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s
KR19980065016U (ko) * 1997-04-30 1998-11-25 윤종용 하울링 방지회로
JPH11234292A (ja) 1998-02-17 1999-08-27 Nec Mobile Commun Ltd 双方向通信装置
US20040255203A1 (en) * 2002-07-01 2004-12-16 Kenichi Miyoshi Receiver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7158A (en) 1974-10-07 1977-07-19 Motorola, Inc. Two-way FM radio system operating on a single channel and providing simulated duplex operation
US4903257A (en) 1987-05-27 1990-02-20 Fujitsu Limited Digital two-way radio-communication system using single frequency
WO1997042730A1 (en) 1996-05-08 1997-11-13 Ericsson Inc. Half duplex uart control for single channel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s
KR19980065016U (ko) * 1997-04-30 1998-11-25 윤종용 하울링 방지회로
JPH11234292A (ja) 1998-02-17 1999-08-27 Nec Mobile Commun Ltd 双方向通信装置
US20040255203A1 (en) * 2002-07-01 2004-12-16 Kenichi Miyoshi Receiver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729A (ko) 200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87724B1 (en) Mixed-media telecommunication call set-up
US7221662B2 (en) Tone detection elimination
US5170490A (en) Radio functions due to voice compression
JP3862757B2 (ja) 無線通信チャンネルで音声およびデータ信号を伝送する回路および方法
US20060217061A1 (en) RF amplification system and method
JPS60142636A (ja) 同時送受通話伝送方式及び装置
US4682350A (en) Equipment for wireless telephone transmission
US6256354B1 (en) Voice recording and playback mode using the G.726 half-rate within the personal handy phone system
JPH07131858A (ja) 1周波同時送受話方式無線機のdtmf信号伝送方式
US20060211428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92349B1 (ko) 양방향 무선통신 시스템
JP4719377B2 (ja) 2つの別々の送/受信インターフェイスの間での信号処理をともなう転送方法
JP2002164999A (ja) 移動局ユーザに関連する電話の呼びの一部を記録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3001366B2 (ja) Tdma方式を用いた無線通信方法
US20230396711A1 (en) High density dect based wireless audio system
JP3027820B2 (ja) 無線機
JP4459035B2 (ja) 送信機、及び通信フレームの生成方法
JP2848093B2 (ja) 移動体衛星通信の音声伝送方式
JP3347631B2 (ja) デジタルコ−ドレス電話システム
JP202004360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機、無線通信方法、パケットの生成方法およびパケットからのデータ再生方法
JPH11261519A (ja) 無線ローカルループ・システムの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JP2005217830A (ja) デジタル無線通話システム
JPH07235977A (ja) 録音機能付き通信装置
JP2019071645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機、無線通信方法、パケットの生成方法およびパケットからのデータ再生方法
KR20030050025A (ko) 공중통신망용 단말기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전송장치 및 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