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2236B1 - 이미지 신호제거 수신기 - Google Patents

이미지 신호제거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2236B1
KR100792236B1 KR1020010088533A KR20010088533A KR100792236B1 KR 100792236 B1 KR100792236 B1 KR 100792236B1 KR 1020010088533 A KR1020010088533 A KR 1020010088533A KR 20010088533 A KR20010088533 A KR 20010088533A KR 100792236 B1 KR100792236 B1 KR 100792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ixer
low pass
outputting
out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8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8146A (ko
Inventor
이세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8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2236B1/ko
Priority to US10/329,949 priority patent/US7046979B2/en
Priority to CNB021583846A priority patent/CN1204694C/zh
Publication of KR20030058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8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2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2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6Circuits for superheterodyne receivers
    • H04B1/28Circuits for superheterodyne receivers the receiver comprising at least one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ree or mor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3/00Demodulation of angle-, frequency- or phase- modulated oscillations
    • H03D3/007Demodulation of angle-, frequency- or phase- modulated oscillations by converting the oscillations into two quadrature related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 신호제거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상변환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저항과 콘덴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변화에 의한 위상 불일치를 없애고 이에 의해 발생하는 이득 불일치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이미지 신호제거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고주파 입력신호를 필터링하여 일정대역의 신호만을 출력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의 출력신호와 제1 주파수 발진기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제1 혼합기와; 상기 필터와 제2 주파수 발진기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제2 혼합기와; 상기 제1 혼합기의 출력신호중 저역만을 통과시켜 출력하는 제1 저역통과 필터와; 상기 제2 혼합기의 출력신호중 저역만을 통과시켜 출력하는 제2 저역통과 필터와; 상기 제1, 제2 저역통과 필터의 출력신호를 감산하여 출력하는 감산부와; 상기 감산부와 제3 주파수 발진기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제3 혼합기와; 상기 제3 혼합기의 출력신호중 저역만을 통과시켜 출력하는 제3 저역통과 필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미지 신호제거 수신기{RECEIVER OF ELIMINATING IMAGE SIGNAL}
도 1은 종래의 Hartley구조의 수신기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Weaver구조의 수신기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 이미지 신호제거의 수신기에 대한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a~4c의 (a)~(f)는 도 3의 각 구성요소의 출력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 이미지 신호제거 수신기에 대한 다른 일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대역통과 필터
52, 55, 60: 제1, 제2, 제3 혼합기
53, 56, 59: 제1, 제2, 제3 주파수 발진기
54, 57, 61: 제1, 제2, 제3 저역통과 필터
71: 저역통과 필터
58, 72: 감산기
본 발명은 이미지 신호제거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상변환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저항과 콘덴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변화에 의한 위상 불일치를 없애고 이에 의해 발생하는 이득 불일치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이미지 신호제거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신기 구성은 헤테로다인 방식과 호모다인 방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헤테로다인 방식은 고주파수의 입력신호를 일정 대역주파수를 갖는 발진기와 중간주파수를 갖는 발진기로 두단계의 기저대역으로의 다운컨버팅한다.
여기서, 상기 고주파수는 대역주파수와 중간주파수의 합 또는 그 대역주파수에 중간주파수를 감산한 주파수를 나타낸다.
상기 호모다인은 직접 고주파수로 기저대역으로의 다운컨버팅하는 방식이다.
상기 헤테로다인 수신기 구조는 일반적으로 듀플렉서를 통과하고 저잡음 증폭기를 거쳐 증폭된 뒤 대역통과 필터를 통해 이미지 신호를 제거한 뒤 대역주파수로 혼합되어 중간주파수로 다운 컨버팅된다.
이후 대역통과 필터를 거쳐 채널 선택을 한뒤 중간주파수로 혼합되어 기저대역으로 컨버팅한뒤 저역통과필터를 통해 원하는 신호를 얻게된다.
상기 호모다인의 경우 헤테로다인에서의 대역주파수와 중간주파수 발진기 대신 직접 상기 고주파수 발진기를 이용해 기저대역으로 다운컨버팅하여 원하는 신호 를 얻게된다. 여기서는 이미지 신호가 생기지 않으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한 상기 대역통과 필터가 사용되지 않는다.
Hartley와 Weaver는 헤테로다인방식에서 SSB(Single sideband)변조기법을 응용하여 이미지 제거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이미지를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였다.
상기 Hartley구조는 신호를 I와 Q로 분리한 뒤 그 Q신호를 위상 변환기로 통과시킨 뒤 상기 I와 Q신호를 조합하여 이미지를 제거하는 구조이다.
반면, Weaver구조는 주파수가
Figure 112001035553220-pat00001
인 두개의 발진기와 저역통과 필터 또는 대역통과 필터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제거하는 구조로 위상 변환기 대신
Figure 112001035553220-pat00002
인 발진기를 이용한 것이 상기 Hartley구조와 다른점이다.
도 1은 종래의 Hartley구조의 수신기를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역주파수 발진기(15)의 신호를 입력받아 위상을 변환시켜 출력하는 제1 위상변환부(16)와; 상기 제1 위상변환부(16)의 출력신호와 고주파수 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제1 혼합기(11)와; 상기 대역주파수 발진기(15)의 출력신호와 상기 고주파수 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제2 혼합기(12)와; 상기 제1 혼합기(11)의 출력신호중 저역만을 통과시켜 출력하는 제1 저역통과 필터(13)와; 상기 제2 혼합기(12)의 출력신호중 저역만을 통과시켜 출력하는 제2 저역통과 필터(14)와; 상기 제1 저역통과 필터(13)의 출력신호의 위상을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 위상변환부(17)와; 상기 제2 위상변환부(17)와 제2 저역통과 필터(14)의 출력신호를 가산하여 출력하는 가산기(18)와; 상기 가산기(18)와 중간주파수 발진기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출 력하는 제3 혼합기(19)와; 상기 제3 혼합기(19)의 출력신호중 저역만을 통과시켜 출력하는 제3 저역통과 필터(21)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주파수 입력신호(RF input)가 입력되면 대역주파수 발진기(LO OSC, 15)와 제1 위상 변환부(16)를 이용해 I(cosine)와 Q(sine) 성분으로 신호을 나누어 중간주파수로 다운 컨버팅한다.
각 경로(I, Q)에 대해 제1, 제2 저역통과 필터(13, 14)를 통과시켜 고주파수 성분을 제거하면 중간주파수로 다운 컨버팅된 신호와 이미지 신호가 존재하게 된다.
상기 제1 저역통과 필터(13)를 거친 상기 Q신호는 제2 위상 변화부(17)를 통해 90도 위상변환을 갖게 되고, 상기 제2 저역통과 필터(13)를 통과한 상기 I신호와 함께 가산기(18)에 입력되어 가산하여 출력된다.
이를 통해 상기 I와 Q신호는 가산되어 상기 이미지 신호를 제거한다.
상기 가산기(18)의 출력신호는 중간주파수 발진기(IF OSC, 30)의 출력신호와 함께 제3 혼합기(19)를 통해 혼합되어 다운 컨버팅되고, 그 제3 혼합기(19)의 출력신호는 제3 저역통과 필터(21)에 의해 저역만을 통과시켜 출력한다.
이에 의해, 상기 제3 저역통과 필터(21)는 기저대역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각 구성요소마다 출력되는 신호는 아래의 수학식 1과같은 수식에 의해 출력된다.
Figure 112001035553220-pat00003
여기서,
Figure 112001035553220-pat00004
는 원하는 신호의 크기,
Figure 112001035553220-pat00005
은 이미지 신호의 크기를 나타낸다.
다음은 종래의 Weaver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도 2는 종래의 Weaver구조의 수신기를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주파수 발진기(25)의 신호를 입력받아 위상을 변환시켜 출력하는 제1 위상변환부(16)와; 상기 제1 위상변환부(16)의 출력신호와 고주파수 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제1 혼합기(21)와; 상기 제1 주파수 발진기(25)의 출력신호와 상기 고주파수 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제2 혼합기(22)와; 상기 제1 혼합기(21)의 출력신호중 일정 대역만을 통과시켜 출력하는 제1 대역통과 필터(23)와; 상기 제2 혼합기(22)의 출력신호중 일정 대역만을 통과시켜 출력하는 제2 대역통과 필터(24)와; 제2 주파수 발진기(29)의 신호를 입력받아 위상을 변환시켜 출력하는 제2 위상변환부(30)와; 상기 제2 위상변환부(30)와 상기 제1 대역통과 필터(23)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제3 혼합기(27)와; 상기 제2 주파수 발진기(29)와 상기 제2 대역통과 필터(24)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제4 혼합기(28)와; 상기 제3 혼합기(27)와 제4 혼합기의 출력을 감산하여 출력하는 감산기(31)와; 상기 감산기(31)와 중간주파수 발진기(34)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제5 혼합기(32)와; 상기 제5 혼합기(32)의 출력신호중 저역만을 통과시켜 출력하는 저역통과 필터(3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주파수 신호가 입력되면 제1 주파수 발진기(25)와 제1 위상 변환부(26)를 이용해 I(cosine) 와 Q(sine) 성분으로 신호를 나누어 (RF-w1)주파수로 다운 컨버팅한다. 각 패스에 대해 제1, 제2 대역통과 필터(23, 24)(또는 저역통과 필터)를 통과 시킨다. 이는 제1, 제2 주파수 발진기(25, 29)의 제1, 제2 주파수(w1, w2)에 의해 생기는 2차적인 이미지 신호를 제거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2차적인 이미지 신호는 상기 제1, 제2 주파수(W1, W2)로 다운 컨버팅함에 따라 상기 제2 주파수(W2)에 대한 원하는 신호 주파수에 위치하게 되는 이미지 신호를 말한다.
이후 각 경로의 신호을 제2 주파수 발진기(29)로 다운 컨버팅한뒤 (RF-w1-w2)주파수에 대한 이미지를 제거하기 위해 제3, 제4 혼합기(27, 28)의 출력신호는 감산기(31)로 입력되어 감산되어 출력된다.
상기 감산기(31)의 출력은 중간주파수 발진기(34)의 출력신호와 함께 제5 혼합기(32)로 입력되어 중간주파수로 다운 컨버팅되어 저역통과 필터(33)를 통과한다.
이에 의해, 상기 저역통과 필터(33)는 기저대역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각 구성요소마다 출력되는 신호는 아래의 수학식 2와같은 수식에 의해 출력된다.
Figure 112001035553220-pat00006
여기서,
Figure 112001035553220-pat00007
은 이미지 신호의 크기,
Figure 112001035553220-pat00008
는 이미지 신호에 대한 이미지 신호의 크기를 나타낸다.
그러나, 종래의 Hartley구조에서는 저항과 콘덴서를 이용하여 90도의 위상 변환을 구현하는데 이때, 주파수나 주변 환경에 대해 변하는 상기 저항과 콘덴서의 값에 따라 위상 발란스가 맞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이득도 일치하지 않게되어 이미지를 정확히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Weaver구조에서는 90도 위상 변환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문제점은 없으나 2차 이미지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고, 저역통과 필터단 통과이후의 혼합기에서의 비선형성에 의한 하모닉에 의해 위상이나 크기의 정확한 매 칭이 있지 않을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저항과 콘덴서로 구성된 위상변환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저항과 콘덴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변화에 의한 위상 불일치를 없애고 이에 의해 발생하는 이득 불일치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선형 소자인 혼합기의 수를 줄임으로써 비선형성으로부터 발생하는 하모닉영향을 줄인 수 있도록 한 이미지 신호제거 수신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주파 입력신호를 필터링하여 일정대역의 신호만을 출력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의 출력신호와 제1 주파수 발진기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제1 혼합기와; 상기 필터와 제2 주파수 발진기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제2 혼합기와; 상기 제1 혼합기의 출력신호중 저역만을 통과시켜 출력하는 제1 저역통과 필터와; 상기 제2 혼합기의 출력신호중 저역만을 통과시켜 출력하는 제2 저역통과 필터와; 상기 제1, 제2 저역통과 필터의 출력신호를 감산하여 출력하는 감산부와; 상기 감산부와 제3 주파수 발진기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제3 혼합기와; 상기 제3 혼합기의 출력신호중 저역만을 통과시켜 출력하는 제3 저역통가 필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 이미지 신호제거 수신기에 대한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주파 입력신호를 필터링하여 일정대역의 신호만을 출력하는 필터(51)와; 상기 필터(51)의 출력신호와 제1 주파수 발진기(53)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제1 혼합기(52)와; 상기 필터(51)와 제2 주파수 발진기(56)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제2 혼합기(55)와; 상기 제1 혼합기(52)의 출력신호중 저역만을 통과시켜 출력하는 제1 저역통과 필터(54)와; 상기 제2 혼합기(55)의 출력신호중 저역만을 통과시켜 출력하는 제2 저역통과 필터(57)와; 상기 제1, 제2 저역통과 필터(54, 57)의 출력신호를 감산하여 출력하는 감산부(58)와; 상기 감산부(58)와 제3 주파수 발진기(59)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제3 혼합기(60)와; 상기 제3 혼합기(60)의 출력신호중 저역만을 통과시켜 출력하는 제3 저역통과 필터(61)로 구성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Hartley구조에서 나타날 수 있는 위상변환기에서의 저항, 콘덴서값의 변화에 의한 위상, 이득의 불일치를 없애기 위해 상기 위상변환기를 사용하지 않고 Weaver구조에서의 혼합기의 비선형성 영향을 줄이기 위해 상기 혼합기의 갯수를 줄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의 출력신호를 수학식 및 도 3의 예시도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주파수 입력신호(RF input)는 아래의 수학식과 도 4의 (i)에 도시된 바와 같다.
Figure 112001035553220-pat00009
I:
여기서,
Figure 112001035553220-pat00010
는 원하는 신호의 크기,
Figure 112001035553220-pat00011
은 이미지신호의 크기를 나타내며
Figure 112001035553220-pat00012
는 이미지신호에 대한 이미지의 크기를 나타낸다.
상기 고주파수 입력신호(RF input)는 대역통과 필터(51)를 통해 일정대역의 신호만이 출력된다.
이때, 상기 대역통과 필터(51)의 출력신호(A)는 아래의 수학식 4와 도 4의 (a)와 같이 2W1-WRF와 WRF에 대한 신호의 대역을 감싸는 대역통과 필터를 통과시켜 4W1-3WRF를 중심으로 한 이미지 신호의 이미지신호를 걸러낸다.
Figure 112001035553220-pat00013
상기 대역통과 필터(51)의 출력신호(A)는 제1, 제2 혼합기(52, 55)로 입력된다.
이에, 상기 제1 혼합기(52)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51)의 출력신호(A)와 제1 주파수(3W1-2WRF) 발진기(53)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주파수가 하향조정된 출력신호(B)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2 혼합기(55)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51)의 출력신호(A)와 제2 주파수(W1) 발진기(56)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주파수가 하향조정된 출력신호(C)를 출력한다.
상기 제1 혼합기(52)와 제2 혼합기의 출력신호(B, C)는 아래의 수학식 5와 6과 같고, 이는 도 4의 (b), (c)와 같다.
Figure 112001035553220-pat00014
Figure 112001035553220-pat00015
여기서, 3W1-2WRF의 주파수를 가지는 제1 주파수 발진기(크기는 1로 가정)와 W1의 주파수를 갖는 제2 주파수 발진기(크기는 1로 가정)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51)의 출력신호(A)와 혼합되어 고주파수 성분과 저주파수 성분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상기 제1, 제2 혼합기(52, 55)의 출력(B, C)은 제1, 제2 대역통과 필터()를 통해 저역만을 통과시켜 출력하는데 이때의 출력신호(D, E)는 아래의 수학식 7, 8에 명시한 바와 같고, 도 4의 (d), (e)와 같다.
Figure 112001035553220-pat00016
Figure 112001035553220-pat00017
여기서, 상기 제1, 제2 저역통과 필터(54, 57)의 출력신호(D, E)를 좀더 상 세히 설명하자면 WRF-W1주파수성분(저주파수 성분)만을 걸러내기 위해 저역통과 필터를 사용하여 얻은 출력신호로서, 주파수의 범위가 위와 같은 이유는 우선 원하는 신호(Desired Signal)의 주파수가 상기 제1 주파수(3W1-2WRF) 발진기(53)의 주파수보다 큰 신호로 가정했기 때문에(low side injection) W1이 WRF보다 작고, 이미지 신호(Image Signal)에 대한 이미지 신호의 주파수는 주파수 영역에서 0보다 큰 영역에서 의미가 있으므로 상기 이미지 신호에 대한 이미지 신호의 주파수 4W1-3WRF가 0보다 크다는 조건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2 저역통과 필터(57)의 출력신호(E)는 WRF-W1 주파수 성분(저주파수 성분)만을 걸러내기 위해 사용되며 이를 통과한 결과이다.
상기 제1, 제2 저역통과 필터(54, 57)의 출력신호는 감산기(58)를 통해 감산되어 도 4의 (e)와 같은 결과를 얻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감산기(58)와 제3 주파수(WRF-W1) 발생기의 출력신호가 제3 혼합기(60)에 의해 혼합되어 제3 저역통과 필터(61)로 출력되고, 그 제3 저역통과 필터에 의해 저역만을 통과시켜 기저대역 신호(B.B Output)를 출력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과정에서 여러 W1범위에 대해 제1 주파수(3W1-2WRF) 발진기의 주파수가 +/-로서 부호가 바뀔수 있으며 이에 대해 고주파 입력신호(RF input)단 구조도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 5와 같이 (5/8)WRF< W1 <(3/4) WRF 의 W1인 경우에 대해 수정이 가능하며 이 때 주파수 스펙트 럼은 도 6과 같이 나타난다.
즉, 이전에 오른쪽 분면(양의 주파수 영역)에 있었던 이미지 신호의 이미지 신호가 왼쪽 분면(음의 주파수 영역)으로 이동한 것처럼 나타난다. 이때의 상기 이미지 신호의 이미지 신호를 미리 저역통과 필터(71)를 이용해 통과 시키면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에 의해, 상기 저역통과 필터(71)와 상기 고주파 입력신호(RF input)는 감산기(72)에 의해 도 6(b)와 같은 출력신호(B)를 출력한다.
결국, 상기 감산기의 출력신호는 제1, 제2 혼합기(52, 55)로 출력하고, 이에, 상기 제1 혼합기(52, 55)는 제1 주파수(3W1-2WRF) 발진기(53)와 상기 감산기(72)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상기 도 2와 같은 과정을 통해 기저대역의 출력신호(B.B output)를 출력하고, 상기 제2 혼합기(55)는 제2 주파수(W1) 발진기(56)와 상기 감산기(72)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다운 컨버젼된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Quadrature SSB modulation기법을 응용한 이미지 신호제거의 수신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득과 위상 오차에 따른 불일치의 영향을 제거하고, 비선형 소자인 혼합기의 수를 줄임으로써 비선형성으로부터 발생하는 하모닉영향을 줄이며 상기 이미지 신호를 제거하여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저항과 콘덴서로 구성된 위상변환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저항과 콘덴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변화에 의 한 위상 불일치를 없애고 이에 의해 발생하는 이득 불일치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선형 소자인 혼합기의 수를 줄임으로써 비선형성으로부터 발생하는 하모닉영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고주파 입력신호를 필터링하여 일정대역의 신호만을 출력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의 출력신호와 제1 주파수 발진기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제1 혼합기와; 상기 필터와 제2 주파수 발진기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제2 혼합기와; 상기 제1 혼합기의 출력신호중 저역만을 통과시켜 출력하는 제1 저역통과 필터와; 상기 제2 혼합기의 출력신호중 저역만을 통과시켜 출력하는 제2 저역통과 필터와; 상기 제1, 제2 저역통과 필터의 출력신호를 감산하여 출력하는 감산부와; 상기 감산부와 제3 주파수 발진기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제3 혼합기와; 상기 제3 혼합기의 출력신호중 저역만을 통과시켜 출력하는 제3 저역통과 필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신호제거 수신기.
KR1020010088533A 2001-12-29 2001-12-29 이미지 신호제거 수신기 KR100792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8533A KR100792236B1 (ko) 2001-12-29 2001-12-29 이미지 신호제거 수신기
US10/329,949 US7046979B2 (en) 2001-12-29 2002-12-27 Receiver for rejecting image signal
CNB021583846A CN1204694C (zh) 2001-12-29 2002-12-30 用于抑制镜像信号的接收器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8533A KR100792236B1 (ko) 2001-12-29 2001-12-29 이미지 신호제거 수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8146A KR20030058146A (ko) 2003-07-07
KR100792236B1 true KR100792236B1 (ko) 2008-01-07

Family

ID=19717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8533A KR100792236B1 (ko) 2001-12-29 2001-12-29 이미지 신호제거 수신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046979B2 (ko)
KR (1) KR100792236B1 (ko)
CN (1) CN120469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0600B2 (ja) * 2000-08-04 2009-08-12 ソニー株式会社 受信回路および受信用集積回路
US7177609B1 (en) * 2003-05-16 2007-02-13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Chopper-direct-conversion (CDC) radio architecture
JP3918838B2 (ja) * 2003-09-22 2007-05-23 ソニー株式会社 イメージ・リジェクション・ミキサ、マルチバンド・ジェネレータ、並びに縦続接続ポリフェーズ・フィルタ
US20050075089A1 (en) * 2003-09-22 2005-04-07 Sony Corporation Image rejection mixer and multiband generator
US7406136B2 (en) * 2004-08-05 2008-07-29 Broadcom Corporation Channel select filter and applications thereof
US7684778B1 (en) * 2005-02-23 2010-03-23 Marvell International Ltd. Image cancellation in receivers
US7375741B2 (en) * 2005-03-24 2008-05-20 Himax Technologies Limited Circuit and method for eliminating image interfering with desired channel
CN100426686C (zh) * 2005-06-01 2008-10-15 鼎芯通讯(上海)有限公司 带镜频抑制自动校准电路的低中频无线接收机
KR100788638B1 (ko) * 2006-10-20 2007-12-26 (주)에프씨아이 이미지 신호를 억제하는 로우 if 수신기 및 이미지 신호억제 방법
US8285241B2 (en) * 2009-07-30 2012-10-09 Broadcom Corporation Receiver apparatus having filters implemented using frequency translation techniques
US8693967B2 (en) * 2011-03-28 2014-04-08 Mediatek Inc. Receiver capable of concurrently collecting dual band signals, and method thereof
US8787860B2 (en) 2011-07-21 2014-07-22 Marvell World Trade Ltd. Image cancellation in receivers using dual adaptive filters
CN103208978B (zh) * 2012-01-12 2016-08-03 上海创远仪器技术股份有限公司 基于镜像法的宽频带自适应谐波消除装置
CN111669196B (zh) * 2019-03-05 2021-07-16 瑞昱半导体股份有限公司 用于处理信号的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1470A (ja) * 1998-09-25 2000-04-07 Nec Corp 無線受信機
KR20020002648A (ko) * 2000-06-30 2002-01-10 이형도 수평/수직 편파 분리특성을 개선한 원케이블 저잡음주파수 변환기
US6714604B1 (en) * 1999-06-28 2004-03-30 Kabushiki Kaisha Toshiba Receiver
US6944423B2 (en) * 2002-10-28 2005-09-13 Prime Electronics & Satellitcs, Inc. Structure for preventing intermodulation interference in satellite trans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5281B2 (ja) * 1993-10-08 2004-09-15 ソニー株式会社 受信機
US6643501B1 (en) * 1999-12-02 2003-11-04 Sierra Wireless, Inc. Flexible ferrite gasket for receiver second image protection
DE20019677U1 (de) * 2000-11-20 2001-02-15 Hirschmann Electronics Gmbh Antennensystem
KR100437742B1 (ko) * 2001-03-14 2004-06-26 인티그런트 테크놀로지즈(주) 부정합 보상에 의한 영상 주파수 제거 특성을 갖는 믹서
US20020183033A1 (en) * 2001-04-05 2002-12-05 Sarnoff Corporation Commutating image-reject mixer
JP2003018057A (ja) * 2001-07-05 2003-01-17 Alps Electric Co Ltd アンテナ受信装置
US20030064699A1 (en) * 2001-09-28 2003-04-03 Olsen Gordon A. Down-converting multiple received radio frequency signals
US7333791B2 (en) * 2001-12-11 2008-02-19 Microtune (Texas), L.P. Use of an image reject mixer in a forward data channel tu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1470A (ja) * 1998-09-25 2000-04-07 Nec Corp 無線受信機
US6714604B1 (en) * 1999-06-28 2004-03-30 Kabushiki Kaisha Toshiba Receiver
KR20020002648A (ko) * 2000-06-30 2002-01-10 이형도 수평/수직 편파 분리특성을 개선한 원케이블 저잡음주파수 변환기
US6944423B2 (en) * 2002-10-28 2005-09-13 Prime Electronics & Satellitcs, Inc. Structure for preventing intermodulation interference in satellite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4694C (zh) 2005-06-01
KR20030058146A (ko) 2003-07-07
CN1430336A (zh) 2003-07-16
US20030125005A1 (en) 2003-07-03
US7046979B2 (en) 200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2236B1 (ko) 이미지 신호제거 수신기
US6330290B1 (en) Digital I/Q imbalance compensation
US4789897A (en) Frequency converting apparatus for converting an RF television signal to a video signal employing low IF techniques
JP3310114B2 (ja) 周波数変換機能を有するa/d変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無線機
JP2005168035A (ja) ダイレクト変換受信機
KR100429329B1 (ko) 부정합 보상에 의해 스퓨리어스 신호가 제거된 믹서 회로
US7031686B2 (en) Image rejection mixer with mismatch compensation
US20090286499A1 (en) High dynamic range receiver
KR100524326B1 (ko) 직접변환 낮은 중간주파수 방식 상향변환에 의한 동위상채널과 직교채널간 부정합 추출 장치와 그를 이용한 직접변환 디지털 직교 송신 시스템 및 그 방법
JPH11341098A (ja) 無線装置
KR20060052603A (ko) 채널 필터링 방법 및 회로
EP0875988A2 (en) Interference suppression in RF signals
KR100606123B1 (ko) 직접 변환 수신기의 직류 오프셋 제거 장치
KR20040062738A (ko) 위상 미스매칭을 개선한 믹서 및 주파수 변환장치
US20030228860A1 (en) Integrated radio-frequency receiver
KR20010111051A (ko) 직접 변환 수신기 및 송수신기
KR100631210B1 (ko) IF direct sampling 방식을 적용한 수신기의 복조회로
JP4284089B2 (ja) 受信機
KR20030006627A (ko) 우수 고주파 혼합기를 이용한 누설 신호 제거 장치 및 그방법
US757418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jammer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receiver
JP3788222B2 (ja) 高周波ic回路
KR100424474B1 (ko) 다이렉트 컨버젼 회로에서의 dc-오프셋 제거 회로
JP2000092021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KR100224104B1 (ko) 주파수 하강변환장치 및 방법
KR100595272B1 (ko) 호모다인 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호 수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