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1788B1 - 백래시 저감 기능을 갖춘 디퍼렌셜 장치 - Google Patents

백래시 저감 기능을 갖춘 디퍼렌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1788B1
KR100791788B1 KR1020060048199A KR20060048199A KR100791788B1 KR 100791788 B1 KR100791788 B1 KR 100791788B1 KR 1020060048199 A KR1020060048199 A KR 1020060048199A KR 20060048199 A KR20060048199 A KR 20060048199A KR 100791788 B1 KR100791788 B1 KR 100791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erential
pair
insulator
side gear
pi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8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4515A (ko
Inventor
정시섭
Original Assignee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8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1788B1/ko
Publication of KR20070114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4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1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1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38Constructional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06Differential gearings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48/08Differential gearings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comprising bevel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B60K17/34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having a transfer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38Constructional details
    • F16H2048/387Shields or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드 기어의 배면을 별도의 부재를 매개로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디퍼렌셜 피니언과의 치합 부위에서 발생하는 백래시를 흡수하고, 사이드 기어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부재에 완충성 재질의 절연체를 내장시켜, 디퍼렌셜 피니언과 사이드 기어 사이의 이상 접촉에 따라 발생되어 디퍼렌셜 케이스를 통해 외부로 방사되는 충돌 소음을 중간에서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변속기의 출력축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트랜스퍼 드리븐 기어(10)와; 상기 트랜스퍼 드리븐 기어(10)와 결합되는 디퍼렌셜 케이스(12);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12)의 내부에 피니언 샤프트(14)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디퍼렌셜 피니언(16); 상기 한 쌍의 디퍼렌셜 피니언(16) 사이에 치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 기어(18); 상기 한 쌍의 사이드 기어(18)의 내주면과 각각 개별적으로 스플라인 결합되는 한 쌍의 드라이브 샤프트(20) 및;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12)와 상기 사이드 기어(18)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사이드 기어(18)를 상기 디퍼렌셜 피니언(16)측으로 가압하는 탄성지지부재(2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퍼렌셜, 피니언, 사이드 기어, 백래시, 스프링 플레이트, 절연체

Description

백래시 저감 기능을 갖춘 디퍼렌셜 장치{differential apparatus with backlash decreasing function}
도 1은 종래 디퍼렌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백래시 저감 기능을 갖춘 디퍼렌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탄성지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탄성지지부재의 스프링 플레이트에 부착된 절연체의 구성을 각각 도시한 정면도와 측단면도.
도 7은 도 4 내지 도 6에 각각 도시된 절연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4 내지 도 7에 각각 도시된 절연체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3에 도시된 탄성지지부재가 디퍼렌셜 케이스에 고정되는 상태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트랜스퍼 드리븐 기어 12-디퍼렌셜 케이스
14-피니언 샤프트 16-디퍼렌셜 피니언
18-사이드 기어 20-드라이브 샤프트
22-탄성지지부재 24,24'-제1,제2 스프링 플레이트
26-절연체
본 발명은 자동차의 디퍼렌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퍼렌셜 피니언과 사이드 기어 사이의 치합 부위에서 발생되는 백래시를 감소시켜 작동중 치합 부위에서 발생되는 이상 접촉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백래시 저감 기능을 갖춘 디퍼렌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에서 발생된 구동력은 주행 상태에 따라 변속기를 거쳐 적정의 속도비로 변환되고, 변환된 구동력은 다시 디퍼렌셜 장치를 통해 좌/우측 드라이브 샤프트로 전달되어 차륜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특히, 전기관 전륜 구동(FF; Front engine Front drive) 차량의 경우에는 디퍼렌셜 장치가 변속기의 출력축과 직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주행중 좌/우측 구동 차륜에 대한 차동 기능을 구현하게 됨과 더불어 구동 토오크를 좌/우측 구동 차륜에 균등하게 배분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종래 디퍼렌셜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기의 출력축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트랜스퍼 드리븐 기어(10)와, 상기 트랜스퍼 드리븐 기어(10)와 결합되는 디퍼렌셜 케이스(12),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12)의 내부에 피니언 샤프트(14)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디퍼렌셜 피니언(16), 상기 디퍼렌셜 피니언(16)과 치합되는 사이드 기어(18) 및, 상기 사이드 기어(18)의 내주면과 스플라인 결합되는 좌/우측 드라이브 샤프트(20)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 디퍼렌셜 장치에서는 직진 주행시 상기 트랜스퍼 드리븐 기어(10)를 장착한 디퍼렌셜 케이스(12)와 상기 디퍼렌셜 피니언(16)이 일체로 회전하여 좌/우측 사이드 기어(18)에 구동력을 전달하게 되고, 상기 사이드 기어(18)와 결합된 좌/우측 드라이브 샤프트(20)를 통해 구동 차륜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선회 주행시 상기 디퍼렌셜 피니언(16)이 좌/우측 구동 차륜의 트랙션(traction) 차이에 따라 상기 피니언 샤프트(14)를 중심으로 자전하게 되고, 상기 디퍼렌셜 피니언(16)의 자전을 매개로 상기 사이드 기어(18)를 통한 좌/우측 드라이브 샤프트(20)의 회전 속도에 차이가 발생하여 이른 바 차동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디퍼렌셜 장치에서는 상기 디퍼렌셜 피니언(16)과 상기 사이드 기어(18) 사이의 치합 부위에서 백래시가 발생하게 되는 데, 이는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12)와 상기 디퍼렌셜 피니언(16) 및 상기 사이드 기어(18)에서 발생하는 가공 오차 등 다양한 원인으로부터 기인되는 것이다.
이 결과, 종래 디퍼렌셜 장치에서는 기어치 사이의 백래시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의 발생이 유발되고, 특히 출발시 백래시에 의한 무부하 상태에서 저항 상태로의 전이시 구동 토오크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차체가 울컥거리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주행중 선회시 상기 디퍼렌셜 피니언(16)의 회전에 따라 상기 사이 드 기어(18)와의 치접촉에 의해 진동 및 소음이 발생되며, 이러한 소음은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12)를 통해 외부로 방사되어 주행중 차실내의 정숙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이드 기어의 배면을 별도의 부재를 매개로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디퍼렌셜 피니언과의 치합 부위에서 발생하는 백래시를 흡수함으로써, 디퍼렌셜 피니언과 사이드 기어 사이의 이상 접촉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이드 기어의 배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부재에 완충성 재질의 절연체를 내장시켜, 디퍼렌셜 피니언과 사이드 기어 사이의 이상 접촉에 따라 발생되어 디퍼렌셜 케이스를 통해 외부로 방사되는 충돌 소음을 중간에서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이드 기어의 배면을 탄력적으로 부재의 일측을 디퍼렌셜 케이스상에 구속시켜 디퍼렌셜 케이스와 사이드 기어 사이의 마찰 작용을 유도함으로써, 차동 제한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변속기의 출력축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트랜스퍼 드리븐 기어와;
상기 트랜스퍼 드리븐 기어와 결합되는 디퍼렌셜 케이스;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의 내부에 피니언 샤프트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디퍼렌셜 피니언;
상기 한 쌍의 디퍼렌셜 피니언 사이에 치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 기어;
상기 한 쌍의 사이드 기어의 내주면과 각각 개별적으로 스플라인 결합되는 한 쌍의 드라이브 샤프트 및;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와 상기 사이드 기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사이드 기어를 상기 디퍼렌셜 피니언측으로 가압하는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와 상기 사이드 기어에 각각 면착되는 한 쌍의 스프링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스프링 플레이트 사이에 일체로 결합된 완충성 재질의 절연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퍼 드리븐 기어(10)는 변속기의 출력축상에 구비된 트랜스퍼 드라이브 기어(이상 도시안됨)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도록 설치된다. 디퍼렌셜 케이스(12)는 내부에 소정 용적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에 상기 트랜스퍼 드리븐 기어(10)의 중앙 허브부를 결합하여 장착한다.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12)에는 수직한 방향으로 내부를 관통하여 피니언 샤프트(14)가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 샤프트(14)의 상/하측 외주에는 한 쌍의 디퍼렌 셜 피니언(16)이 공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피니언 샤프트(14)는 이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12)에 고정되는 록핀(14a)을 매개로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12)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12)의 내부에는 좌/우측으로 상기 디퍼렌셜 피니언(16)과 치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 기어(18)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사이드 기어(18)에는 좌/우측 드라이브 샤프트(20)가 각각 내접하도록 스플라인 결합된다.
이때,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12)와 상기 사이드 기어(18) 사이에는 상기 사이드 기어(18)를 상기 디퍼렌셜 피니언(16)측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지지부재(22)가 설치되는 데, 상기 탄성지지부재(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12)와 상기 사이드 기어(18)에 각각 면착되도록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제2 스프링 플레이트(24,24')와, 상기 한 쌍의 제1,제2 스프링 플레이트(24,24') 사이에 일체로 가류 접착되어 결합된 내열 및 완충성 재질의 절연체(26)를 구비한다. 예컨대, 상기 절연체(26)는 고온용 고무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제1,제2 스프링 플레이트(24,24')는 상기 사이드 기어(18)의 허브부(18a)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중공형상의 원판부(24a,24a')와, 상기 원판부(24a,24a')의 가장자리 부위에서 일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탄성력을 구현하는 경사부(24b,24b')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절연체(26)는 도 4와 도 5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제1,제2 스프링 플레이트(24,24')의 원판부(24a,24a') 사이에 국한되는 중공형 상의 환형태로 이루어져 접착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한 쌍의 제1,제2 스프링 플레이트(24,24')의 원판부(24a,24a')와 경사부(24b,24b') 사이에 걸쳐 전체적으로 면적인 확장된 중공형상의 환형태로 이루어져 접착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절연체(2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제1,제2 스프링 플레이트(24,24')의 원판부(24a,24a')와 경사부(24b,24b')에 대해 각각 독립적으로 분할되어 동심원상으로 중공형상의 이중 환형태로 이루어져 접착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2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제2 스프링 플레이트(24,24')의 중심에 대해 방사상으로 분할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세그먼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상기 절연체(26)는 상기 제1,제2 스프링 플레이트(24,24')의 전 부위에 걸쳐 방사상으로 소정의 이격 거리를 두고 분할된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세그먼트 형태로 분할된 절연체(26)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12)의 회전에 따라 비산되는 오일중 일부를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12)와 상기 사이드 기어(18)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기 디퍼렌셜 피니언(16)측으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디퍼렌셜 피니언(16)에 대한 윤활 작용을 돕게 된다.
즉, 상기 세그먼트 형태로 분할된 절연체(26) 사이의 공간은 비산되는 오일의 이동 경로로서 활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연체(26)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 부위에 걸쳐 진동 및 소음의 흡수를 위한 미세구멍(26a)이 형성되는 바, 상기 미세구멍(26a)은 상기 절 연체(26)의 두께 방향에 대해 지그재그 형태의 절곡된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결과, 상기 제1,제2 스프링 플레이트(24,24')를 통해 입력된 진동 및 소음은 상기 절연체(26)를 지나면서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된 경사진 미세구멍(26a)을 통과(도 8에 화살표로 도시됨)하게 되고, 이때, 방사되는 진동 및 소음은 상기 절연체(26)와 더 많이 접촉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절연체(26)의 두께 방향을 따라 투과를 완료한 진동 및 소음의 정도는 확연하게 감소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탄성지지부재(22)를 매개로 상기 사이드 기어(18)의 배면이 탄력적으로 지지되면, 상기 디퍼렌셜 피니언(16)과 사이드 기어(18) 사이의 치합부위가 타이트하게 되므로, 이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백래시는 효과적으로 저감 내지 제거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디퍼렌셜 장치의 작동시 상기 디퍼렌셜 피니언(16)과 사이드 기어(18) 사이의 치합 부위에서 이상 접촉에 따른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지지부재(22)를 구성하는 제1,제2 스프링 플레이트(24,24') 사이에 접착된 절연체(26)는 상기 제1,제2 스프링 플레이트(24,24')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중간에서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되는 데, 특히 상기 절연체(26)의 전 부위에 걸쳐 절연체(26)의 두께 방향에 대해 지그재그 형태의 절곡된 경사각을 가지는 미세구멍(26a)은 전술한 바대로 상기 사이드 기어(18)로부터 디퍼렌셜 케이스(12)를 통해 외부로 방사되는 소음중 상당 부분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되므로, 차량의 정숙성을 향상시키는 데 큰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제1,제2 스프링 플레이트(24,24')중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12)의 마운팅 면(12a)을 향한 상기 제1 스프링 플레이트(24)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부(25)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12)의 마운팅 면(12a)에는 상기 돌기부(25)를 삽입시켜 고정 지지하기 위한 끼움구멍(12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스프링 플레이트(24)에 일체로 형성된 돌기부(25)가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12)의 마운팅 면(12a)에 형성된 끼움구멍(12b)으로 결합되면, 상기 탄성지지부재(22)는 배면이 고정 지지된 일종의 마찰판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주행중 좌/우측 구동 차륜 사이에서 미세한 슬립율의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에 일종의 차동제한 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탄성지지부재(22)는 상기 디퍼렌셜 피니언(16)의 자전을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사이드 기어(18)에 탄발력을 제공하게 되므로, 슬립이 발생되는 반대편 구동 차륜으로 구동 토오크의 전달이 가능하게 되어 차동 기능을 제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탄성지지부재(22)의 일측이 디퍼렌셜 케이스(12)에 고정 지지되는 경우에도 도 2와 도 3에 도시된 경우와 동일하게 상기 디퍼렌셜 피니언(16)과 상기 사이드 기어(18) 사이의 백래시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디퍼렌셜 피니언(16)과 상기 사이드 기어(18)의 치합 부위에서 발생하는 방사 소음도 중간에서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래시 저감 기능을 갖춘 디퍼렌셜 장치에 의하면, 디퍼렌셜 피니언(16)과 사이드 기어(18) 사이의 백래시에 의한 치접촉 소음의 발생을 사이드 기어(18)의 배면을 디퍼렌셜 케이스(12)로부터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22)를 매개로 하는 백래시의 저감을 통해 1차적으로 감소시키고, 2차적으로는 상기 탄성지지부재(22)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제1,제2 스프링 플레이트(24,24') 사이에 접착된 절연체(26)가 가지는 물성적 특징을 통해 감소시켜 디퍼렌셜 케이스(12)를 통해 외부로 방사되는 진동 및 소음을 중간에서 효과적으로 차폐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내부에 소정 용적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서 일종의 공명통 역할을 수행하는 디퍼렌셜 케이스(12)를 통해 외부로 방사되는 진동 및 소음은 상기 한 쌍의 제1,제2 스프링 플레이트(24,24') 사이에 접착된 절연체(26)에 의해 효과적으로 완충 및 감쇠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 상기 절연체(26)에 형성된 다수의 미세구멍(26a)은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12)로 방사되는 진동 및 소음중 일부를 상기 절연체(26)로 다시 방사되도록 하여 즉, 미세구멍(26a)을 통해 방사되는 진동 및 소음이 반대편 제1,제2 스프링 플레이트(24,24')로 직접 방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강체인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12)를 통해 외부로 방사되는 진동 및 소음의 상당 부분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변속기의 출력축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트랜스퍼 드리븐 기어(10)와;
    상기 트랜스퍼 드리븐 기어(10)와 결합되는 디퍼렌셜 케이스(12)와;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12)의 내부에 피니언 샤프트(14)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디퍼렌셜 피니언(16)와;
    상기 한 쌍의 디퍼렌셜 피니언(16) 사이에 치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 기어(18)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기어(18)의 내주면과 각각 개별적으로 스플라인 결합되는 한 쌍의 드라이브 샤프트(20)와;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12)와 상기 사이드 기어(18)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사이드 기어(18)를 상기 디퍼렌셜 피니언(16)측으로 가압하는 탄성지지부재(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편;
    상기 탄성지지부재(22)는,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12)와 상기 사이드 기어(18)에 각각 면착되는 한 쌍의 제1,제2 스프링 플레이트(24,24')와;
    상기 한 쌍의 제1,제2 스프링 플레이트(24,24') 사이에 일체로 결합된 완충성 재질의 절연체(26);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래시 저감 기능을 갖춘 디퍼렌셜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제2 스프링 플레이트(24,24')는 상기 사이드 기어(18)의 허브부(18a)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중공형상의 원판부(24a,24a')와, 상기 원판부(24a,24a')의 가장자리 부위에서 일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는 경사부(24b,24b')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래시 저감 기능을 갖춘 디퍼렌셜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26)는 상기 제1,제2 스프링 플레이트(24,24')의 원판부(24a,24a') 사이에 중공형상의 환형태로 이루어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래시 저감 기능을 갖춘 디퍼렌셜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26)는 상기 제1,제2 스프링 플레이트(24,24')의 원판부(24a,24a')와 경사부(24b,24b') 사이에 걸쳐 중공형상의 환형태로 이루어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래시 저감 기능을 갖춘 디퍼렌셜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26)는 상기 제1,제2 스프링 플레이트(24,24')의 원판부(24a,24a')와 경사부(24b,24b')에 대해 각각 분할되어 중공형상의 이중 환형태로 이루어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래시 저감 기능을 갖춘 디퍼렌셜 장치.
  7.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26)는 상기 제1,제2 스프링 플레이트(24,24')의 전 부위에 걸쳐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분할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세그먼트 형태로 이루어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래시 저감 기능을 갖춘 디퍼렌셜 장치.
  8.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26)는 전 부위에 걸쳐 진동 및 소음 흡수용 미세구멍(26a)이 다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래시 저감 기능을 갖춘 디퍼렌셜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미세구멍(26a)은 상기 절연체(26)의 두께 방향에 대해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래시 저감 기능을 갖춘 디퍼렌셜 장치.
  10.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12)의 마운팅 면(12a)을 향한 상기 제1 스프링 플레이트(24)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부(25)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12)의 마운팅 면(12a)에는 상기 돌기부(25)를 삽입시켜 고정 지지하는 끼움구멍(12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래시 저감 기능을 갖춘 디퍼렌셜 장치.
KR1020060048199A 2006-05-29 2006-05-29 백래시 저감 기능을 갖춘 디퍼렌셜 장치 KR100791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199A KR100791788B1 (ko) 2006-05-29 2006-05-29 백래시 저감 기능을 갖춘 디퍼렌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199A KR100791788B1 (ko) 2006-05-29 2006-05-29 백래시 저감 기능을 갖춘 디퍼렌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4515A KR20070114515A (ko) 2007-12-04
KR100791788B1 true KR100791788B1 (ko) 2008-01-03

Family

ID=39141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8199A KR100791788B1 (ko) 2006-05-29 2006-05-29 백래시 저감 기능을 갖춘 디퍼렌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17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8000316B4 (de) 2017-01-05 2022-08-11 Gkn Sinter Metals, Llc. NVH Modifizierung für Differentialanordnung
KR102078066B1 (ko) * 2018-06-25 2020-02-17 주식회사 에스 피 지 기어의 소음 저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3548U (ko) * 1988-03-04 1989-09-12
JPH10141476A (ja) * 1996-11-12 1998-05-29 Tochigi Fuji Ind Co Ltd 差動制限装置
KR200416907Y1 (ko) * 2006-02-20 2006-05-23 주식회사 케이 이 엠 백래쉬 자동보정형 차동기어장치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3548U (ko) * 1988-03-04 1989-09-12
JPH10141476A (ja) * 1996-11-12 1998-05-29 Tochigi Fuji Ind Co Ltd 差動制限装置
KR200416907Y1 (ko) * 2006-02-20 2006-05-23 주식회사 케이 이 엠 백래쉬 자동보정형 차동기어장치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4515A (ko) 2007-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5432B1 (ko) 차량의 회전축의 지지 구조
US6050383A (en) Damper disk assembly
JPH02173457A (ja) 歯車列ガタガタ防止装置
KR100791788B1 (ko) 백래시 저감 기능을 갖춘 디퍼렌셜 장치
KR20220101563A (ko) 차량용 진동 댐퍼 및 차량
JP2019081522A (ja) 車両用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
US8225688B2 (en) Device for reducing rattling noises in variable-speed transmissions
KR102369866B1 (ko) 전동식 조향장치의 웜휠
JP2002340094A (ja) 回転ダンパ
KR102138773B1 (ko) 전동식 조향 장치
KR101571172B1 (ko)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
KR102341383B1 (ko) 댐핑 기어휠 구조체
JP5187170B2 (ja) トルクリミッタ及び駆動力伝達装置
JP4108959B2 (ja) ピニオンシャフトの固定構造
JPH09273618A (ja) 低騒音ギヤ
JP3468874B2 (ja) 遠心振り子式吸振器
JPH0849758A (ja) 終減速機の歯車装置
KR20050020905A (ko) 클러치 디스크
JP2014037856A (ja) ファイナルドライブ装置の振動低減構造
CN111442062B (zh) 减振盘组件
JPH0517483Y2 (ko)
JP2003056605A (ja) ラチェットワンウェイクラッチ及びラチェットワンウェイクラッチを用いたステータ
KR100364913B1 (ko) 파워 윈도우 모터의 드라이버용 다중 댐핑 구조
KR20080066109A (ko) 트랜스미션 기어축 이완방지 고정 브라켓
US7334494B2 (en) Apparatus for the absorption of rotational vibration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