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0077B1 - 구내 유.무선 회의 통화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구내 유.무선 회의 통화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0077B1
KR100790077B1 KR1020000048500A KR20000048500A KR100790077B1 KR 100790077 B1 KR100790077 B1 KR 100790077B1 KR 1020000048500 A KR1020000048500 A KR 1020000048500A KR 20000048500 A KR20000048500 A KR 20000048500A KR 100790077 B1 KR100790077 B1 KR 100790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subscriber
wired
call
subscr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8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5411A (ko
Inventor
김지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48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0077B1/ko
Publication of KR20020015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5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0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0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6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1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 H04M3/523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with call distribution or queue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04M3/546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in private branch exch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내 유.무선복합통신시스템의 구내 유.무선가입자간의 회의 통화 즉, 구내의 무선가입자가 두개의 다른 유.무선가입자와의 회의 통화를 하고자 할경우 교환기의 스위치의 연결을 통하여 구현하되, 구내 유.무선복합통신시스템의 가입자로 등록된 무선가입자는 교환기의 내선번호를 부여 받게 되므로 단말기 번호 대신 내선번호를 호출하여도 통화가 가능하며 또한 이에 교환기의 회의 통화로를 이용하여 회의 기능이 가능하여 기존의 공중망에서 요금이 부가되었던 문제점을 개선코자 함에 있다.

구내 유.무선회의 통화방법 및 시스템

Description

구내 유.무선 회의 통화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NFERENCE CALL IN PRIVATE WIRE AND WIRELESS}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내 무선망내의 유.무선단말사이의 접속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공중/사설통신서비스장치(100)의 구체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가입자 A,B,C,D간의 회의 통화순차흐름도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선가입자E,F 및 무선가입자 A,B간의 회의 통화순차흐름도
본 발명은 유.무선 복합통신시스템의 회의 통화방법에 관한것으로, 특히 구내의 무선가입자와 공중/사설통신서비스장치에 연결된 구내 가입자간에 사설교환기의 기능을 유선 또는 구내무선 가입자들간의 호의 회의 통화를 할수 있는 구내 유.무선 회의 통화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것이다.
종래 교환기에서는 유선가입자와 국선가입자와의 회의 통화가 가능하였다. 그러 나 무선가입자와의 회의 통화를 할 경우에는 공중망을 이용하여 무선 가입자를 호출하여 회의 통화를 하므로 공중망의 호출 디지트를 전부 눌려야 하는 점과 공중망을 사용하므로 이용료가 부가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중/사설통신서비스장치의 무선가입자간의 회의 통화를 교환기의 스위치의 연결을 통하여 구현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환기의 유선가입자와 공중/사설통신서비스장치의 무선가입자간의 회의 통화를 교환기의 스위치 연결을 통하여 구현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내의 제1-4무선가입자간의 회의 통화시는 제1무선가입자와 제2무선가입자와의 통화중 상태에서 상기 제2무선가입자가 "SEND" 키를 누르면 상기 제1무선가입자는 홀드상태로 되고 제2무선가입자에서 아이들상태에 있는 제3무선가입자의 내선번호와 "SEND"키를 입력하고, 상기 제3무선가입자의 내선번호와 "SEND"키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2무선가입자에게 링백톤을 들려주고 제3무선가입자를 시이저하여 링을 울려주어 이에 응답하므로 전환음을 들려주고 회의 기능코드와 "SEND"키를 누르면 회의 통화을 하며, 상기 제3무선가입자가 회의 통화상태에서 제4무선가입자의 내선번호와 "SEND" 키를 누르면 제3무선가입자 측으로 링백톤을 들려주며 상기 제4무선가입자를 시이저하여 링을 울려주고 응답시 전환음을 들려주고 회의 기능코드와 "SEND" 키를 누르면 회의 통화를 하게 된다.
제1,2유.무선가입자의 회의 통화시는 제1무선가입자와 제1유선가입자와의 통화중 상태에서 상기 제1유선가입자가 "플레쉬" 키를 누르면 상기 제1무선가입자는 홀드상태로 되고 제1유선가입자에서 아이들상태에 있는 제2무선가입자의 내선번호를 입력하고, 상기 제2무선가입자의 내선번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유선가입자에게 링백톤을 들려주고 제2무선가입자를 시이저하여 링을 울려주어 이에 응답하므로 전환음을 들려주고 회의 기능코드 또는 기능키를 누르면 회의 통화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무선가입자가 회의 통화상태에서 제2유선가입자의 내선번호와 "SEND" 키를 누르면 제2무선가입자 측으로 링백톤을 들려주며 상기 제2유선가입자를 시이저하여 링을 울려주고 응답시 전환음을 들려주고 회의 기능코드와 "SEND" 키를 누르면 회의 통화를 하게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각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시 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칩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등에 따라 달라 질수 있으며, 그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것이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내 무선망내의 무선단말사이의 통신 또는 구내 유.무선망과 공중무선망사이의 통신과 접속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공중/사설통신서비스장치(100)의 구체회로도이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본건특허 동일 출원인에 의한 출원번호 제 10- 2000-28087호에 개시하고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할수 있으나 본건특허출원의 요지는 도 1에서 구내의 4개의 제1-4무선가입자(A,B,C,D)와의 회의 통화를 하거나 또는 상기 4개의 제1-4무선가입자(A,B,C,D)의 일부와 구내 제1,2 유선가입자(E,F)와의 회의 통화를 하고저 하는 것이다. 즉, 구내 제1무선가입자(A)가 다른 제2무선가입자(B)와 통화중인 상태에서 무선가입자(B)가 "SEND"키를 누르고, 제3무선가입자(C)를 호출하면 pBTS(205)를 통하여 공중/사설통신서비스장치(100)와 호관리부(109)에서 처리하여 제3무선가입자(C)가 응답하면 제2무선가입자(B)가 회의 기능코드와 "SEND"키를 누르면 제1-3무선가입자(A,B,C)의 각각 간의 회의 통화를 이루며, 또한 제3무선가입자(C)가 제4무선가입자(D)의 내선번호와 "SEND"를 누르면 제4무선가입자(D)를 시이저하여 응답하면 전환음을 들려주고 회의 기능코드와 "SEND"키를 누르면 제3무선가입자(C)와 제4무선가입자(D)와 회의 통화가 가능하여 진다. 상기 본 발명의 무선회의 통화 또는 유.무선회의 통화의 제어관계는 도 3,4의 순차 흐름에 따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의 통화흐름도로서
제1무선가입자와 제2무선가입자와의 통화중 상태에서 상기 제2무선가입자가 "SEND" 키를 누르면 상기 제1무선가입자는 홀드상태로 되고 제2무선가입자에서 아 이들상태에 있는 제3무선가입자의 내선번호와 "SEND"키를 입력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상기 제3무선가입자의 내선번호와 "SEND"키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2무선가입자에게 링백톤을 들려주고 제3무선가입자를 시이저하여 링을 울려주어 이에 응답하므로 전환음을 들려주고 회의 기능코드와 "SEND"키를 누르면 회의 통화을 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상기 제3무선가입자가 회의 통화상태에서 제4무선가입자의 내선번호와 "SEND" 키를 누르면 제3무선가입자 측으로 링백톤을 들려주며 상기 제4무선가입자를 시이저하여 링을 울려주고 응답시 전환음을 들려주고 회의 기능코드와 "SEND" 키를 누르면 회의 통화를 하는 제3과정으로 구성된다.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의 통화흐름도로서
제1무선가입자와 제1유선가입자와의 통화중 상태에서 상기 제1유선가입자가 "플레쉬" 키를 누르면 상기 제1무선가입자는 홀드상태로 되고 제1유선가입자에서 아이들상태에 있는 제2무선가입자의 내선번호를 입력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상기 제2무선가입자의 내선번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유선가입자에게 링백톤을 들려주고 제2무선가입자를 시이저하여 링을 울려주어 이에 응답하므로 전환음을 들려주고 회의 기능코드 또는 기능키를 누르면 회의 통화을 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상기 제2무선가입자가 회의 통화상태에서 제2유선가입자의 내선번호와 "SEND" 키를 누르면 제2무선가입자 측으로 링백톤을 들려주며 상기 제2유선가입자를 시이저하여 링을 울려주고 응답시 전환음을 들려주고 회의 기능코드와 "SEND" 키를 누르면 회의 통화를 하는 제3과정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 일 실시예를 도 1에서 도 4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도 1,2에서 개시와 같이 제1무선가입자(A)에서 부터 제4무선가입자(D)의 사이들끼리 회의 통화를 위한 구내무선회의통화모드와 제1,2무선가입자(A,B)와 제1, 2유선가입자(E,F)와의 회의 통화를 위한 구내유.무선통화모드로 두가지로 나눌수 있다. 상기 구내무선회의통화모드는 도 3의 흐름도에 따라 실시되며, 구내유.무선회의통화모드는 도 4의 흐름도에 따라 실시된다. 여기서 상기 구내무선회의통화모드는 제1-4무선가입자(A,B,C,D)의 호처리는 호관리부(109)에서 처리하며, 상기 호관리부(109)의 호처리에 따라 인터넷 프로토콜-사설교환기(Internet Protocol-Private Branch Exchange :이하’IP-PBX’라 칭함)(201)의 단말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이하 ‘MSC’라 칭함)의 제어에 의해 해당하는 스위칭이 이루워지도록 한다. 구내유.무선회의통화모드는 제1,2유선가입자(E,F)의 호처리는 IP-PBX(201)의 타임스위치(224)를 통하여 제어부(225)에서 처리하며,제1,2무선가입자(A,B)는 상기와 같이 호관리부(109)의 호처리에 따라 IP-PBX(201)의 MSC의 제어에 의해 해당하는 스위칭이 이루워지도록 한다. 구내 무선 또는 유선가입자의 제어 스위칭은 IP-BPX(201)에서 제어를 하고 있으나 상기 구내 무선단말기(MT1,MT2)들의 무선호에 따른 관리는 호관리부(109)에 의해 처리하여 상기 IP-BPX(201)의 제어에 의해 스위칭이 이루워진다.
1),제1-4무선가입자(A,B,C,D)간의 구내 무선회의 통화의 경우
도 3의 도시와 같이 호관리부(109)의 제어와 IP-PBX(201)의 제어에 의해 제1무선가입자(A)와 제2무선가입자(B)의 사이에서 통화중에 있을때 예를들어, 제1무선가입자(A)가 IP-PBX(201)에 연결된 제3가입자(C)인 유선가입자(111)와의 협의 통화를 하고저 할 경우 전환을 위한 "SEND" 키를 누른다. 이때 사설 기지국(Private Base Transceiver Station:이하 ‘pBTS’라 칭함)(205)를 통하여 호관리부(109)에서 이를 확인하면 IP-PBX(201)를 제어하여 보류메세지를 발생하여 사설기지국 제어기(Private Base Station Controller:이하 ‘pBSC’라 칭함)(203), pBTS(205)를 통하여 상기 통화중인 제2무선가입자(B)에게 들려준다.
상기 제1무선가입자(A)는 제3가입자(C)를 호출하기 위한 다이얼링을 하면 pBTS(205),pBSC(203)을 통하여 호관리부(109)에서 받아 IP-PBX(201)를 제어하여 상기 제1무선가입자(A)에게 다이얼톤을 들려주고 상기 IP-PBX(201)에서 제3가입자(C)를 시이저(Seizer)하면 링을 울려주며 링백톤을 듣는다. 상기 제3가입자(C)는 링을 듣고 후크호프하여 제1가입자(A)와 협의 통화를 실행한다. 이후 다시 상기 제2무선가입자(B)와 통화를 하고자 할경우 제1무선가입자(A)가 "SEND"를 2회 누르면 제3무선가입자(C)에게 보류메세지를 보내고, 제2무선가입자(B)에게 보내던 보류음을 끊고 제1,2무선가입자(A),(B)와의 통화로를 연결한다. 그리고 제1무선가입자(A)가 "SEND"를 2회 연속하여 누를때 마다 제1무선가입자(A)는 제2무선가입자(B)와 제3가입자(C)를 번갈아 가며, 통화를 할수 있는 협의 통화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2),제1,2 유.무선가입자(A-B, E-F)간의 구내 유.무선회의 통화의 경우
도 4의 도시와 같이 호관리부(109)의 제어와 IP-PBX(201)의 제어에 의해 제1무선가입자(A)와 제2무선가입자(B)의 사이에서 통화중에 있을때 예를들어, 제1무선가입자(A)가 IP-PBX(201)에 연결된 제3가입자(C)인 유선가입자(111)와의 협의 통화를 하고저 할 경우 전환을 위한 "SEND" 키를 누른다. 이때 pBTS(203)를 통하여 호관리부(109)에서 이를 확인하면 IP-PBX(201)를 제어하여 보류메세지를 발생 하여 pBSC(203), pBTS(205)를 통하여 상기 통화중인 제2무선가입자(B)에게 들려준다.
상기 제1무선가입자(A)는 제3가입자(C)를 호출하기 위한 다이얼링을 하면 pBTS(205),pBSC(203)을 통하여 호관리부(109)에서 받아 IP-PBX(201)를 제어하여 상기 제1무선가입자(A)에게 다이얼톤을 들려주고 상기 IP-PBX(201)에서 제3가입자(C)를 시이저(Seizer)하면 링을 울려주며 링백톤을 듣는다. 상기 제3가입자(C)는 링을 듣고 후크호프하여 제1가입자(A)와 협의 통화를 실행한다. 이후 다시 상기 제2무선가입자(B)와 통화를 하고자 할경우 제1무선가입자(A)가 "SEND"를 2회 누르면 제3무선가입자(C)에게 보류메세지를 보내고, 제2무선가입자(B)에게 보내던 보류음을 끊고 제1,2무선가입자(A),(B)와의 통화로를 연결한다. 그리고 제1무선가입자(A)가 "SEND"를 2회 연속하여 누를때 마다 제1무선가입자(A)는 제2무선가입자(B)와 제3가입자(C)를 번갈아 가며, 통화를 할수 있는 협의 통화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무선가입자가 구내 가입자로 등록이 되면 구내 가입자가 통화중인 호를 무선가입자에게로 공중망을 통하지 않고 사설교환기를 통하여 협의 기능을 제공하므로써 구내 사용자와 무선가입자가 상호간에 내선 번호만으로 쉽게 호를 전환하며, 협의 할수 있어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이점이 있다.

Claims (9)

  1. 공중망과 유선망과 연결되고, 제1,2무선가입자, 제3가입자를 가진 복합 구내 통신시스템의 협의 통화방법에 있어서,
    호관리부의 제어 및 인터넷 프로토콜-사설교환기(IP-PBX)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2무선가입자간의 통화중인가를 체크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상기 제1무선가입자로부터 특정키의 입력이 있으면 사설 기지국(pBTS)을 통해 상기 호관리부에서 확인하고 상기IP-PBX를 제어하여 제2무선가입자에게 사설기지국 제어기(pBSC)와 상기 pBTS를 통하여 홀드메시지를 보내어 통화보류 상태로 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상기 특정키의 입력으로부터 제2무선가입자의 보류상태에서 제3가입자를 호출하면 상기 IP-PBX 제어에 의해 통화로가 형성되어 협의 통화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제3가입자와 협의 통화를 한 후 상기 제2무선가입자와 다시 통화를 수행하고자 할 시 제1무선가입자가 특정키의 입력으로 제3가입자에게 보류음을 들려주고 홀드시키며 상기 특정키를 n회 눌려 제2무선가입자의 보류음을 끊고 통화를 다시 재개하는 제4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유.무선 협의 통화방법.
  2. 삭제
  3. 공중 무선망과, 유선망과 연결되는 제1,2무선가입자, 제1,2 유선가입자를 가진 복합 구내 통신시스템의 협의 통화방법에 있어서,
    제1,2유.무선가입자들의 회의 통화할 경우, 호관리부의 제어 및 인터넷 프로토콜-사설교환기(IP-PBX)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무선가입자와 상기 제1유선가입자와의 통화중 상태에서, 상기 제1유선가입자가 "플레쉬" 키를 누르면 사설 기지국(pBTS)을 통해 상기 호관리부에서 확인하고 상기IP-PBX를 제어하여 상기 제1무선가입자에게 사설 기지국 제어기(pBSC)와 상기 pBTS를 통하여 홀드메시지를 보내어 통화보류 상태로 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유선가입자가, 아이들상태에 있는 상기 제2무선가입자의 내선번호를 입력하면, 상기pBSC와 pBTS를 통하여 상기 호관리부에서 확인하고 상기IP-PBX를 제어하여 상기 제1유선가입자에게 링백톤을 들려주고 상기 제2무선가입자를 시이저하여 링을 울려주어 이에 응답시 전환음을 들려주고 상기 제 1 유선가입자가 회의 기능코드 또는 기능키를 누르면 상기 제 2무선가입자와 통화로가 형성되어 회의 통화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무선가입자가 회의 통화상태에서 상기 제2유선가입자의 내선번호와 "SEND" 키를 입력하면,상기pBSC와 pBTS를 통하여 상기 호관리부에서 확인하고 상기IP-PBX를 제어하여 상기 제2무선가입자 측으로 링백톤을 들려주며 상기 제2유선가입자를 시이저하여 링을 울려주고 응답시 전환음을 들려주고 상기 제 2 무선가입자가 회의 기능코드와 "SEND" 키를 누르면 상기IP-PBX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2 유선가입자와 통화로가 형성되어 회의 통화하는 제3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유.무선 협의 통화방법.
  4. 공중망과 유선망과 연결되고 제1,2무선가입자, 제3가입자를 가진 복합 구내 통신시스템의 협의 통화시스템에 있어서,
    호관리부와,
    인터넷프로토콜- 사설교환기(IP-PBX)를 포함하며,
    상기 호관리부의 제어 및 상기 IP-PBX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2무선가입자간의 통화중인가를 체크하며, 상기 제1무선가입자로부터 특정키의 입력이 있으면 사설 기지국(pBTS)을 통해 상기 호관리부에서 확인하고 상기IP-PBX 를 제어하여 제2무선가입자에게 사설 기지국 제어기(pBSC)와 상기 pBTS를 통하여 홀드메시지를 보내어 통화보류 상태로 하며, 상기 특정키의 입력으로부터 제2무선가입자의 보류상태에서 제3가입자를 호출하면 상기 IP-PBX의 제어에 의해 통화로가 형성되어 협의 통화하며, 그리고 제3가입자와 협의 통화를 한 후 상기 제2무선가입자와 다시 통화를 수행하고자 할 시 제1무선가입자가 특정키의 입력으로 제3가입자에게 보류음을 들려주고 홀드시키며 상기 특정키를 n회 눌려 제2무선가입자의 보류음을 끊고 통화를 다시 재개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유.무선 협의 통화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P-PBX는 유선망에 위치한 유선 가입자들 간에 스위칭시키는 제 1 기능, 공중망에 위치한 무선 가입자들 간에 스위칭시키는 제 2 기능 및 상기 유선 가입자들과 상기 무선 가입자들 간에 스위칭시키는 제 3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유.무선 협의 통화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가입자는 공중망에 위치한 무선 가입자 또는 유선망에 위치한 유선 가입자 양자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유.무선 협의 통화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선번호는 상기 IP-PBX로부터 부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유.무선 협의 통화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IP-PBX는 유선망에 위치한 유선 가입자들 간에 스위칭시키는 제 1 기능, 공중망에 위치한 무선 가입자들 간에 스위칭시키는 제 2 기능, 상기 유선 가입자들과 상기 무선 가입자들 간에 스위칭시키는 제 3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유.무선 협의 통화시스템.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가입자는 공중망에 위치한 무선 가입자 또는 유선망에 위치한 유선 가입자 양자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유.무선 협의 통화시스템.
KR1020000048500A 2000-08-22 2000-08-22 구내 유.무선 회의 통화방법 및 시스템 KR100790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500A KR100790077B1 (ko) 2000-08-22 2000-08-22 구내 유.무선 회의 통화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500A KR100790077B1 (ko) 2000-08-22 2000-08-22 구내 유.무선 회의 통화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5411A KR20020015411A (ko) 2002-02-28
KR100790077B1 true KR100790077B1 (ko) 2007-12-31

Family

ID=19684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8500A KR100790077B1 (ko) 2000-08-22 2000-08-22 구내 유.무선 회의 통화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00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362B1 (ko) * 2004-10-06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삼자 통화 중 호 처리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7340A (ko) * 1997-01-31 1998-10-15 유기범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회의통화제어방법
KR19990041509A (ko) * 1997-11-21 1999-06-15 구자홍 구내교환기의 국선보류 신호방법
KR100221547B1 (ko) * 1996-05-21 1999-09-15 정선종 디지털 셀룰러 이동전화교환기에서의 호 보류 서비스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1547B1 (ko) * 1996-05-21 1999-09-15 정선종 디지털 셀룰러 이동전화교환기에서의 호 보류 서비스방법
KR19980067340A (ko) * 1997-01-31 1998-10-15 유기범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회의통화제어방법
KR19990041509A (ko) * 1997-11-21 1999-06-15 구자홍 구내교환기의 국선보류 신호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5411A (ko) 200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2312B2 (en) Audio call screening for hosted voicemail systems
JPH11512265A (ja) 電話会議回路及び方法
JPH08223302A (ja) 電話端末の制御下での自動コールバック
US200200770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ler identification during call waiting
KR100790077B1 (ko) 구내 유.무선 회의 통화방법 및 시스템
KR100606154B1 (ko) 가입자 기반 링백톤 음원 설정 시스템과 그 방법
KR100569029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지능망 및 회의통화 기능을 이용한통화연결음 및 통화 배경음의 동시 서비스 방법 및 그시스템
WO2009074071A1 (fr) Commutateur et procede de commande de tonalites de retour d'appel personnalisee
KR20020036262A (ko)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 발신 단말에서의 착신 응답 표시방법
KR100941753B1 (ko) 수신자가 지정한 통화 연결음을 제공하는 인터넷 전화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758674B1 (ko)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KR20020005104A (ko) 구내 유.무선 협의 통화방법
KR100253794B1 (ko) 씨디엠에이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의 이동국, 기지국간 호처리 방법
KR100606022B1 (ko) 사설교환기에서 착신호에 대하여 타 내선에서의 응답완료 톤 제공방법
JPH0198358A (ja) 即時接続交換機の被呼加入者話中時伝言呼処理方式
JPH04286259A (ja) Isdn電話機
KR20050082077A (ko) 통화 중 대기 시 3자간 통화로의 전환방법
JPH03201756A (ja) 応答拒否サービス方式
JPH02123862A (ja) サービス中継装置
KR19990056006A (ko) 사설교환기에서 다양한 회의 기능 수행방법
JPH05219245A (ja) 多者発信通話制御方式
JPH11122362A (ja) キャンプオンサービス方法及び相手話中時ダイヤル方法
JP2008113283A (ja) 固定電話着信時の応答方式
KR20060069555A (ko) 통신시스템에서의 통화중 대화음 제공 방법
JPH06177988A (ja) 交換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