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2077A - 통화 중 대기 시 3자간 통화로의 전환방법 - Google Patents

통화 중 대기 시 3자간 통화로의 전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2077A
KR20050082077A KR1020040010437A KR20040010437A KR20050082077A KR 20050082077 A KR20050082077 A KR 20050082077A KR 1020040010437 A KR1020040010437 A KR 1020040010437A KR 20040010437 A KR20040010437 A KR 20040010437A KR 20050082077 A KR20050082077 A KR 20050082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way
base station
key
d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0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0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2077A/ko
Publication of KR20050082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207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6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 H04M3/568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audio processing specific to telephonic conferencing, e.g. spatial distribution, mixing of participa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3Manipulation of direct-mod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 중 대기 시 3자간 통화로의 전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화 중 대기 시 사용자가 3자간 통화를 원할 때 간단한 조작으로 3자간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 통화 중 대기 시 3자간 통화로의 전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통화 중 대기 시 3자간 통화로의 전환방법은 통화 중 호 대기 톤이 수신되면, 3자간 통화를 지시하는 응답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3자간 통화가 가능하도록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화 중 대기 시 3자간 통화로의 전환방법{METHOD FOR SWITCH-OVER INTO THREE-PARTY MODE WHEN CALLING OCCURS IN TALKING OVER TELEPHONE}
본 발명은 통화 중 대기 시 3자간 통화로의 전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화 중 대기 시 사용자가 3자간 통화를 원할 때 간단한 조작으로 3자간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 통화 중 대기 시 3자간 통화로의 전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대방과 통화 중에 다른 사람으로부터 전화가 걸려 오면 이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통화 중 대기 서비스가 있다. 이 통화 중 대기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기가 통화 중 상태에 있을 때, 제 3자가 발신 호 설정을 하면 그 제 3자로부터의 착신을 알리는 호 대기 톤(call waitng tone)이 수신되어 제 3자의 착신을 알 수 있게 된다. 통화 중 다른 사람으로부터 전화가 온 상태, 즉 통화 중 대기에서 사용자가 통화키(SEND)를 누르면 이전 통화가 일시 중단되고 전화를 건 상대방과의 통화가 연결된다. 다시 통화키를 누르면 반대로 현재 통화가 중단되고 이전 통화를 재개할 수 있다.
한 편, 통화 중 대기 서비스에서는 상기와 같이 현재 통화 중인 사람을 보류시키고 다른 사람과 통화를 하는 2자간 통화 외에, 현재 통화 중인 사람과 전화를 건 사람 모두와 동시에 통화를 할 수 있는 3자간 통화가 가능하다. 통화 중 대기 시 사용자가 3자간 통화를 하고자 할 때, 일단 한 쪽의 통화를 끊고 다시 3자간 통화를 위해 통화가 끊긴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통화가 연결되면 통화키를 눌러서 3자간 통화를 하게 된다.
예를 들어, A와 B가 서로 통화 중 C가 A에 전화를 걸면 A는 B와 C 중 한 명과 통화를 끊어야 한다. 만약, C와 통화를 끊은 경우 다시 C에게 전화를 걸어 C가 전화를 받으면 A와 C는 통화 상태가 되고 B는 대기 상태가 된다. 이 때, A가 통화키를 누르면 3명이 동시에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통화 중 대기 시 3자간 통화를 할 때 전화를 끊고 다시 전화를 끊은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전화를 해야 하기 때문에 3자간 통화가 번거롭고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통화 중 대기 시 간단한 키 조작으로 쉽고 편리하게 3자간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 통화 중 대기 시 3자간 통화로의 전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통화 중 대기 시 3자간 통화로의 전환방법은 통화 중 호 대기 톤이 수신되면, 3자간 통화를 지시하는 응답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3자간 통화가 가능하도록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통화 중 대기 시 3자간 통화로의 전환방법은 착신자와 제 1발신자간의 통화 중 제 2발신자로부터의 호 대기 톤이 수신되는 단계와, 상기 착신자가 소정의 번호키 및 통화키를 순차적으로 눌러서 응답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응답 메시지에 번호키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기지국이 상기 착신자와 상기 제 1발신자간의 연결에 상기 제 2발신자를 스위칭하는 단계를 통해 3자간 통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00 및 200은 이동교환국(MSC)이 담당하는 서비스 영역으로서 각각 제 1서비스 영역, 제 2서비스 영역을 나타내고, 도면부호 300은 이동교환국(MSC)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홈위치등록기(HLR)를 나타낸다. 제 1서비스 영역(100) 및 제 2서비스 영역(200)에는 공통적으로 기지국(BSC), 이동교환국(MSC) 및 방문자위치등록기(VLR)가 포함되어 있다.
제 2서비스 영역(200)에서 이동단말기(M2)(110)와 이동단말기(M3)(150)가 통화 상태에 있을 때, 제 1서비스 영역(100)에 있는 이동단말기(M1)(10)가 이동단말기(M2)(110)에 전화를 거는 동작을 살펴본다.
먼저, 이동단말기(10)가 호 발신을 요구하면(S1), 기지국(BSC1)(20)은 이를 수신하여 이동교환국(MAC1)(30)에 호 발신 요구를 전달하고(S2), 호 발신 요구를 수신한 이동교환국(30)은 방문자위치등록기(VLR1)(40)로 발신 단말기(10)의 정보를 요구한다(S3). 정보 요구를 수신한 방문자위치등록기(40)는 발신 단말기(10)의 정보를 이동교환국(30)에 전송하고(S4), 이 정보를 수신한 이동교환국(30)은 홈위치등록기(300)에 착신 단말기의 위치 및 호 설정 정보를 요구한다(S5).
착신 단말기의 위치 및 착신 호 설정 정보 요구를 수신한 홈위치등록기(300)는 제 2서비스 영역(200)의 이동교환국(MSC2)(130)에 착신 호 설정 정보를 요구하고(S6), 이를 수신한 이동교환국(130)은 착신 호 설정 요구에 대한 응답을 홈위치등록기(300)에 전달한다(S7). 홈위치등록기(300)는 착신 호 설정 요구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착신 단말기의 위치 및 착신 호 설정 정보를 이동교환국(30)에 전달하고(S8), 이를 수신한 이동교환국(30)은 제 2서비스 영역(200)의 이동교환국(130)에 착신 호 설정을 요구한다(S9).
착신 호 설정을 요구 받은 이동교환국(130)은 방문자위치등록기(VLR2)(140)에 착신 단말기(110)의 정보를 요구하고(S10), 착신 단말기(110)의 정보를 수신하면(S11) 기지국(BSC2)(120)에 착신 단말기 호출을 요구한다(S12). 착신 단말기 호출 요구를 받은 기지국(120)은 현재 통화 중인 이동단말기(110)에 호 대기 톤을 보내어(S13) 전화가 왔음을 알려준다.
이동단말기(110)가 호출 요구에 응답하면(통화키를 누름)(S14), 기지국(120)은 호출 응답을 이동교환국(130)에 전달한다(S15). 호출 응답을 수신한 이동교환국(130)은 현재 이동단말기(110)와 통화 중인 이동단말기(M3)(150)에 보류음을 전송하는(S16) 동시에 제 1서비스영역(100)의 이동교환국(30)에 착신 호 설정 응답을 하게 되고(S17), 이동교환국(30)은 기지국(20)에 호 설정 완료를 통지하고(S18), 마지막으로 이를 수신한 기지국(20)은 호 설정 완료 통지를 이동단말기(10)에 보내면, 이동단말기(10)과 이동단말기(110)간에 통화가 연결되고, 이동단말기(150)는 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만약 이동단말기(110)가 다시 이동단말기(150)와 통화를 하고자 할 때, 통화키를 누르면 상기 단계(S14-S19)를 거쳐 이동단말기(10)에 보류음이 전송되고, 동시에 이동단말기(110)와 이동단말기(150)간 통화가 재개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통화 중 대기 시 3자간 통화로의 전환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서비스영역(200)에서 착신자로서의 이동단말기(110)와 제 1발신자로서의 이동단말기(150)가 통화 중에 있을 때 제 1서비스영역(100)에 있는 제 2발신자로서의 이동단말기(10)가 이동단말기(110)에 전화를 걸게 되면 이동단말기(110)에 호 대기 톤이 수신된다.
이동단말기(110)에 호 대기 톤이 수신되면 이동단말기(110)는 통화 중 대기에 들어게 된다. 이 때, 이동단말기(110)의 사용자 즉 착신자는 제 2발신자와의 통화를 위해 통화키(SEND)를 누르게 되는데, 이 통화키를 누르게 되면 이동단말기와 기지국간에 교환되는 메시지(flash with information message)가 기지국에 전달된다. 이 메시지에는 제 2발신자의 전화번호 정보가 담겨져 있어서, 기지국이 전화번호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착신자와 제 2발신자간에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통화 중 대기 시 3자간 통화를 위한 전환방법을 제안한 것으로, 종래에는 한쪽의 전화를 끊고 전화를 끊은 상대방에게 다시 전화를 걸어 3자간 통화를 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3자간 통화를 지시하는 응답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함으로써 간단히 3자간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단말기와 기지국간에 교환되는 메시지에 3자간 통화를 알리는 신호를 첨부하여 보냄으로써, 3자간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착신자는 통화키를 누르기 전에 이동단말기의 키패드에 있는 특정키 즉 번호키(1-9, #, *)를 눌러 3자간 통화를 알리는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어서 통화키를 누르게 되면 상기 이동단말기와 기지국간에 교환되는 메시지에 번호키가 포함되어 3자간 통화를 지시하는 응답 메시지가 생성된다. 다시 말해서, 번호키(예를 들어, 숫자 3)와 통화키를 순차적으로 누르게 되면 3자간 통화를 지시하는 응답 메시지가 생성되어, 그 응답 메시지가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기지국은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그 응답 메시지에 3자간 통화를 알리는 신호 즉 번호키가 존재하는지를 조사한다. 번호키가 존재하지 않으면 종래와 같이 2자간 통화가 수행되고, 번호키가 존재하면 3자간 통화가 가능하도록 착신자와 제 1발신자간의 연결에 제 2발신자를 스위칭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통화 중 대기 시 키패드의 간단한 입력조작으로 3자간 통화를 할 수 있어서 3자간 통화를 하고자하는 단말기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통화 중 대기 시 3자간 통화로의 전환방법의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110, 150 : 이동통신 단말기 20, 120 : 기지국
30, 130 : 이동교환국 40, 140 : 방문자 위치등록기
100 : 제 1서비스지역 200 : 제 2서비스지역
300 : 홈위치등록기

Claims (4)

  1. 통화 중 호 대기 톤이 수신되면, 3자간 통화를 지시하는 응답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3자간 통화가 가능하도록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 대기 시 3자간 통화로의 전환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특정키 및 통화키를 순차적으로 눌러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 대기 시 3자간 통화로의 전환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키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중 임의의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 대기 시 3자간 통화로의 전환방법.
  4. 착신자와 제 1발신자간의 통화 중 제 2발신자로부터의 호 대기 톤이 수신되는 단계와,
    상기 착신자가 소정의 번호키 및 통화키를 순차적으로 눌러서 응답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응답 메시지에 번호키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기지국이 상기 착신자와 상기 제 1발신자간의 연결에 상기 제 2발신자를 스위칭하는 단계를 통해 3자간 통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 대기 시 3자간 통화로의 전환방법.
KR1020040010437A 2004-02-17 2004-02-17 통화 중 대기 시 3자간 통화로의 전환방법 KR200500820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0437A KR20050082077A (ko) 2004-02-17 2004-02-17 통화 중 대기 시 3자간 통화로의 전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0437A KR20050082077A (ko) 2004-02-17 2004-02-17 통화 중 대기 시 3자간 통화로의 전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077A true KR20050082077A (ko) 2005-08-22

Family

ID=37268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0437A KR20050082077A (ko) 2004-02-17 2004-02-17 통화 중 대기 시 3자간 통화로의 전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207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2886A (ko) * 2010-08-03 2012-02-1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착신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13949677A (zh) * 2021-11-19 2022-01-18 中邮通建设咨询有限公司 一种多人同时通话方法及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2886A (ko) * 2010-08-03 2012-02-1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착신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13949677A (zh) * 2021-11-19 2022-01-18 中邮通建设咨询有限公司 一种多人同时通话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108425A1 (zh) 提供ip语音交换机业务的方法及装置
US20020077128A1 (en) Method and apparatus in a network for advising and placing a calling party on hold/delay until call completion
KR100677362B1 (ko) 삼자 통화 중 호 처리 방법
US8744517B2 (en) Mobile terminal with the function of wired communication
KR20050082077A (ko) 통화 중 대기 시 3자간 통화로의 전환방법
JPH06291849A (ja) 通信システムの発番号伝達方法
US20020077157A1 (en) Method and apparatus in a wireless transceiver for advising and placing a calling party on hold/delay
CN101316294A (zh) 基于码分多址网络的移动终端通话状态管理方法及装置
JP2020102781A (ja) 複数のsimを用いて省エネモードを実現する端末及びその通信設備装置
KR20020036262A (ko)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 발신 단말에서의 착신 응답 표시방법
KR100978114B1 (ko) 사용자 기반의 호 대기 서비스 방법
WO2010066174A1 (zh) 非跨接彩振通信的方法、终端及系统
KR101078984B1 (ko) 통신 시스템에서 통화 성립 후 통화 서비스 폴백 방법 및 이를 위한 폴백 처리 장치
KR101207035B1 (ko) 다자간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다자간 통화 서비스 방법
KR100964107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20090038232A (ko) 영상 호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52131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상태 서비스 방법
WO2012031470A1 (zh) 移动终端
KR10045247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중 호 대기/2-넘버 서비스 방법
KR100251721B1 (ko) 착신서비스를제공하기위한씨티-2착신정합교환시스템및그제어방법
KR100621679B1 (ko) 발신측 요구에 따른 착신측 음성 사서함 연결방법
KR100274160B1 (ko) 발신전용 ct-2의 접착신 호처리 방법
KR100894797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813809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호 처리 방법
KR100541990B1 (ko) 단발성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