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8984B1 - 통신 시스템에서 통화 성립 후 통화 서비스 폴백 방법 및 이를 위한 폴백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통화 성립 후 통화 서비스 폴백 방법 및 이를 위한 폴백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8984B1
KR101078984B1 KR1020090048696A KR20090048696A KR101078984B1 KR 101078984 B1 KR101078984 B1 KR 101078984B1 KR 1020090048696 A KR1020090048696 A KR 1020090048696A KR 20090048696 A KR20090048696 A KR 20090048696A KR 101078984 B1 KR101078984 B1 KR 101078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all service
service
messag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0043A (ko
Inventor
최종윤
김낙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90048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8984B1/ko
Priority to PCT/KR2009/007041 priority patent/WO2010062137A2/ko
Publication of KR20100130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872Non-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 H04M3/4874Intercept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4Backbone network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 성립 과정에서 또는 통화 성립 후 음성 통화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의 전환이 가능한 통신 서비스에서 통화 성립 후 특정 형식의 통화 서비스를 차단하는 폴백 방법 및 이를 위한 폴백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폴백 방법은,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 제 1 통화 서비스를 우선으로 한 통화를 개시하는 단계; 상기 발신 단말 또는 상기 착신 단말 중 어느 하나로부터 특정 통화 서비스를 차단하기 위한 폴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폴백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의 통화 상대 단말로 상기 특정 통화 서비스의 차단 사실을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CUDIF, 서비스 전환, SERVICE CHANGE, FALLBACK, 이동통신, 멀티미디어 통화, 음성 통화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통화 성립 후 통화 서비스 폴백 방법 및 이를 위한 폴백 처리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ALL FALLBACK AFTER CALL SETUP IN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화 성립 과정에서 또는 통화 성립 후 음성 통화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의 전환이 가능한 통신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통화 성립 후 특정 형식의 통화 서비스를 차단하는 폴백 방법 및 이를 위한 폴백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서비스는 음성 통신 뿐만 아니라, 사진, 비디오, 음악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멀티미디어를 이동통신시스템에 통합하는 다양한 프로토콜들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규정되어 있으며, 이는 유럽, 일본, 한국, 미국 및 중국 등의 다양한 표준화 바디의 조인트 표준화 프로젝트이다. 3GPP 프로토콜은 예를 들어, 범용 무선 전기 통신 네트워크(UTMS) 표준에 따라 구성된 것과 같은 제 3세대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이동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SM) 표준에 따라 구성되는 것과 같은 제 2세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된다.
3GPP R-99의 3G.324와 같은 이전의 3GPP 프로토콜에서는 단지 음성 통화 서비스 또는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만이 사용 가능하였다. 따라서, 음성 통화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 간에 일시적인 전환을 원하는 사용자는 통화를 종료하고 서비스를 전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SCUDIF(Service Change & Unrestricted Digital Information Fallback)가 3GPP의 R5와 같은 3GPP 프로토콜에 통합되었다.
SCUDIF는, 음성 통화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들 간에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음성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도중에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로 서비스 상태를 전환하거나 또는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도중에 음성 통화 서비스로 서비스 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현재 SCUDIF 규격에 따르면, SCUDIF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들 간에 SCUDIF 통화가 설정되어 통화 중인 상태에서 가입자의 선택에 의하여 또는 네트워크 상태 등에 따라 특정 형식의 통화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방안, 즉 통화 중 폴백(fallback)할 수 있는 방안이 없다. 단말에 미리 특정 형식의 통화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도록 설정함으로써 통화가 성립되는 과정에서 특정 형식의 통화 서비스를 차단할 수 있지만, 통화가 성립된 이후에 특정 형식의 통화 서비스를 차단할 수 있는 방안이 없다.
예컨대, 음성 통화 서비스가 설정된 상태에서 가입자의 선택이나 네트워크 상태 등에 따라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를 차단해야 할 경우, 또는 음성 통화 서비스가 설정된 상태에서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로 통화 서비스를 전환하며 음성 통 화 서비스를 차단해야 할 경우, 현재 SCUDIF 규격에는 이를 처리할 수 있는 적절한 방안이 없는 상태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복수의 통화 서비스를 지원하며 통화 서비스 전환이 가능한 단말 간 통화에 있어서 통화 성립 후에 특정 형식의 통화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도록 하는 통화 성립 후 폴백 방법 및 이를 위한 폴백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통화 중 음성 통화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의 전환이 가능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특정 통화 서비스의 폴백 방법은,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 제 1 통화 서비스를 우선으로 한 통화를 개시하는 단계; 상기 발신 단말 또는 상기 착신 단말 중 어느 하나로부터 특정 통화 서비스를 차단하기 위한 폴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폴백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의 통화 상대 단말로 상기 특정 통화 서비스의 차단 사실을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통화 중 음성 통화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의 전환이 가능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특정 통화 서비스의 폴백 방법은,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 제 1 통화 서비스를 우선으로 한 통화를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로 특정 통화 서비스의 차단 사실을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른, 통화 중 음성 통화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의 전환이 가능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폴백 처리를 하는 폴백 처리 장치는,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 제 1 통화 서비스를 우선으로 한 통화가 개시된 후 특정 통화 서비스 차단을 위한 폴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폴백 요청 수신수단; 및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로 특정 통화 서비스의 차단 사실을 통보하기 위한 폴백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른, 통화 중 음성 통화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의 전환이 가능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폴백 처리를 하는 폴백 처리 장치는,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 제 1 통화 서비스를 우선으로 한 통화가 개시된 후 상기 발신 단말 또는 상기 착신 단말 중 어느 하나로부터 특정 통화 서비스 차단하기 위한 폴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폴백 요청 수신수단; 및 상기 폴백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의 통화 상대 단말로 상기 특정 통화 서비스의 차단 사실을 통보하기 위한 폴백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음성 통화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 간 서비스 전환이 가능한 단말 간 통화에서 통화 성립 후 특정 형식의 통화 서비스를 차단하는 폴백 방안을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 가입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높이고 통신 서비스의 매출을 증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영상 통화 상한 요금제를 이용하는 가입자가 영상 통화 중에 영상 통화 요금을 모두 소진한 경우 종래에는 호를 강제로 단절시켰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으로 음성 통화로 폴백됨으로써 음성 통화의 추가 수익을 올릴 수 있다.
또한, 영상 통화가 집중되는 지역에서 이동통신 가입자가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 호 접속이 원활하지 않게 되어 가입자의 불만이 증가하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통화가 집중되는 지역의 영상 통화 호를 음성 통화 호로 전환시킴으로써 보다 많은 가입자가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가입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이때, 도 1의 이동통신시스템은 3GPP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시스템 등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1에서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이루는 전형적인 다수의 구성 요소들이 있을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해서 발신 교환기(O-MSC:Originating MSC)와 착신 교환기(T-MSC:Terminating MSC)를 도시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은 SCUDIF 기능 또는 이와 유사한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100)은 발신 단말(O-UE:Originating User Equipment)(101), 발신 교환기(O-MSC:Originating MSC)(102), 착신 교환기(T-MSC:Terminating MSC)(103) 및 착신 단말(T-UE:Terminating User Equipment)(104)를 포함하고, SCUDIF 기능은 발신 단말(101), 발신 교환기(102), 착신 교환기(103) 및 착신 단말(104)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외에도,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1의 이동통신시스템(100)은 이동통신시스템을 이루는 전형적인 구성 요소들인 GMSC(Gateway MSC) 및 HLR(Home Location Regis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발신 교환기(102) 또는 착신 교환기(103)는, 발신 단말(101) 또는 착신 단말(104)의 요청에 따라 특정 형식의 통화 서비스를 차단하는 폴백(fallback) 처리를 수행한다. 발신 교환기(102) 또는 착신 교환기(103)는, 발신 단말(101) 또는 착 신 단말(103)로부터 폴백 요청 메시지로서 SCUDIF 규격의 "MODIFY" 메시지 또는 "NOTIFY"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MODIFY" 메시지는 어느 한 통화 서비스에서 다른 통화 서비스로 통화 호를 전환할 때 사용되는 메시지로서, 전환 대상 통화 서비스의 유형 정보가 포함되고, "MODIFY" 메시지를 수신한 통신 단말은 그 "MODIFY" 메시지에 포함된 통화 서비스의 유형 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호로 전환한다.
본 발명에서 발신 교환기(102) 또는 착신 교환기(103)는, 발신 단말(101)과 착신 단말(104) 간 통화가 성립된 후 소정의 시간 내(T1 시간)에 상기 "MODIFY"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그 "MODIFY" 메시지 내에 포함된 통화 서비스 유형 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서비스 이외 다른 통화 서비스는 사용자가 차단한 것으로 인식하고, 이에 따른 폴백 요청 메시지를 통화 상대방 단말에게 전송한다. 통화 상대방 단말은 상기 "MODIFY" 메시지가 소정의 시간 내(T2 시간)에 수신된 경우 상기 "MODIFY" 메시지에 포함된 통화 서비스 유형 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서비스로 자동 전환하며 이외 다른 통화 서비스는 차단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즉, "MODIFY" 메시지의 수신 타이밍에 근거하여 폴백을 처리하는 것이다. 폴백 상황은 통화 성립 직후에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대안으로, 발신 단말(101) 또는 착신 단말(104)은, 사용자가 현재 이용 중인 통화 서비스는 차단하고 다른 통화 서비스로 전환하고자 하면, 그 전환하려는 다른 통화 서비스의 정보는 기존과 마찬가지로 "MODIFY" 메시지에 설정하고 상기 현재 이용 중인 통화 서비스는 차단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MODIFY" 메시지의 추가적인 필드에 설정하고, 그 "MODIFY" 메시지를 폴백 요청 메시지로서 전송한다. 발신 교환기(102) 또는 착신 교환기(103)는 상기 "MODIFY" 메시지에 기록된 정보에 따라 전환하려는 통화 서비스의 정보 및 이용 불가능한(즉, 차단되는) 통화 서비스의 정보를 "APM(Application transport Message)" 메시지에 설정하여 통화 상대의 교환기로 전송한다. 또는, 발신 교환기(102) 또는 착신 교환기(103)는 차단되는 통화 서비스의 정보를 제외한 이용 가능한 그리고 전환하려는 통화 서비스 정보를 "APM" 메시지에 설정하여 통화 상대의 교환기로 전송한다.
또한, 발신 단말(101) 또는 착신 단말(104)은, 사용자가 현재 이용 중인 통화 서비스는 변경하지 않고 다른 통화 서비스는 차단하고자 하면, 현재 이용 중인 통화 서비스 정보를 전환하려는 통화 서비스 정보로서 "MODIFY" 메시지에 설정하고 다른 통화 서비스는 차단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MODIFY" 메시지의 추가적인 특화 필드에 설정하여 폴백 요청 메시지로서 전송한다. 발신 교환기(102) 또는 착신 교환기(103)는 상기 "MODIFY" 메시지에 설정된 전환하려는 통화 서비스 정보와 현재 이용 중인 통화 서비스가 동일하므로 서비스 전환으로 인식하지 않고, 상기 추가적인 필드에 설정된 정보에 따라 최우선으로 이용하려는 정보로서 현재 이용 중인 통화 서비스 정보를 설정하고 이용 불가능한(즉, 차단되는) 통화 서비스의 정보를 "APM(Application transport Message)" 메시지에 설정하여 통화 상대의 교환기로 전송한다. 또는, 발신 교환기(102) 또는 착신 교환기(103)는 차단되는 통화 서비스의 정보를 제외한 이용 가능한 그리고 전환하려는 통화 서비스 정보를 "APM" 메시 지에 설정하여 통화 상대의 교환기로 전송한다.
대안으로, 발신 단말(101) 또는 착신 단말(104)은, 사용자가 현재 이용 중인 통화 서비스는 변경하지 않고 다른 통화 서비스는 차단하고자 하면, 현재 이용 중인 통화 서비스 정보를 변경하려는 통화 서비스 정보로서 "MODIFY" 메시지에 설정하고 그 "MODIFY" 메시지를 폴백 요청 메시지로서 전송한다. 발신 교환기(102) 또는 착신 교환기(103)는 현재 이용 중인 통화 서비스와 상기 "MODIFY" 메시지에 설정된 통화 서비스 정보가 동일하므로 서비스 변경으로 인식하지 않고 다른 통화 서비스를 차단하는 폴백으로 인식하고, 이에 따른 "APM" 메시지를 통화 상대의 교환기로 전송한다. 즉, "MODIFY" 메시지에 추가적인 특화 필드를 설정하지 않고 기존 "MODIFY" 메시지를 그대로 활용한다.
또는, 발신 교환기(102) 또는 착신 교환기(103)는, 특정 통화 서비스의 차단 정보를 "NOTIFY" 메시지로 수신할 수 있다. 발신 단말(101)과 착신 단말(104) 간 통화가 성립된 후 어느 한 사용자가 현재 이용 중인 통화 서비스 이외 다른 통화 서비스를 차단하는 경우, 발신 교환기(102) 또는 착신 교환기(103)는, 해당 단말로부터 특정 통화 서비스의 차단 정보를 포함하는 "NOTIFY" 메시지를 수신하고, 통화 상대방 단말에게도 "NOTIFY" 메시지를 전송한다. 통화 상대방의 교환기에 전송할 때는 상기 "NOTIFY" 메시지에 기초하여 "APM" 메시지를 전송한다. 통화 상대방 단말은 그 수신된 "NOTIFY" 메시지를 분석하여 특정 통화 서비스가 차단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발신 교환기(102) 또는 착신 교환기(103)는, 통화 단말로부터 폴백 요청 메 시지를 수신하는 것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상태에 따른 폴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이에 따른 폴백 요청 메시지를 통화 상대방의 교환기에 전송하거나, 통화 상대방의 단말로 전송한다.
한편, 도 1을 참조한 상기 설명에서 발신 교환기(102)와 착신 교환기(103)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발신 단말(101)과 착신 단말(104)이 동일한 교환기 구역 내에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발신 교환기(102)와 착신 교환기(103)는 동일하고, 교환기 간의 "APM" 메시지의 전송은 생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발신 교환기(102)와 착신 교환기(103)가 서로 다른 경우의 예를 설명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ODIFY" 메시지를 이용한 통화 성립 후 폴백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발신 단말(101)이 착신 단말(104)과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발신 단말(101)은 SCUDIF 호 설정을 위한 "SETUP" 메시지를 발신 교환기(102)에 송신한다(S111). 이때, "SETUP" 메시지에는 발신 단말(101)에서 지원하는 서비스(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나 음성 통화 서비스 등)들과 선호하는 서비스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SETUP" 메시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I(Repeat Indicator), MM(MultiMedia), 및 SP(Speech)와 같은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RI는 SCUDIF 호를 지칭하고, MM은 영상 통화와 같은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 SP는 음성 통화 서비스를 나타낸다. 이때, 선호하는 서비스의 우선순위는 "SETUP"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서비스 순서에 따라 알 수 있으며, 도 2에서는 MM이 SP보다 앞서 있기 때문에 발신 단말(101)은 영상 통화를 선호하며, 차후에 음성 통화도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발신 교환기(102)는 발신 단말(101)로부터 송신된 "SETUP" 메시지를 근거로 하여 착신 교환기(103)로 "IAM(Initial Address Message)" 메시지를 송신한다(S112). 이때, "IAM" 메시지에는 발신 단말(101)에서 지원하는 서비스들과 선호하는 서비스의 코덱 정보가 포함된다. 도 2에서 mm은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를 위한 코덱 정보이며, AMR(Adaptive Multi Rate)은 음성 통화 서비스를 위한 코덱 정보이다.
착신 교환기(103)는 발신 교환기(102)로부터 "IAM" 메시지가 송신되면, 착신 단말(104)과 페이징 절차를 수행하고(S113), 송신된 "IAM" 메시지를 근거로 하여 SCUDIF 호 설정을 위한 "SETUP" 메시지를 착신 단말(104)로 송신한다(S114). 이때, 착신 교환기(103)에서 착신 단말(104)로 송신되는 "SETUP" 메시지는 전술한 S110 단계의 "SETUP" 메시지와 같이 발신 단말(101)에서 지원하는 서비스들과 선호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착신 단말(104)은 착신 교환기(103)로부터 송신된 "SETUP" 메시지에 대하여 착신 단말(104)이 지원하는 서비스들과 선호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CALL CONFIRMED" 메시지를 착신 교환기(103)로 송신한다(S115). 이때, 도 2에서는 발신 단말(101)과 착신 단말(104)이 동일한 서비스들을 지원하고 동일한 서비스를 선호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착신 단말(104)도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와 음성 통화 서비스를 지원하며,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를 선호하 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S115 단계의 "CALL CONFIRED" 메시지에 포함되는 서비스 정보들은 착신 단말(104)의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해 놓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착신 단말(104)의 사용자는 착신 단말(104)에서 지원되는 서비스들을 확인하고, 지원되는 서비스들 중에서 자신이 선호하는 서비스를 사전에 설정해놓음으로써, 발신 단말(101)로부터 호 발신시 기설정된 선호 서비스로 통화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착신 교환기(103)는 착신 단말(104)로부터 송신된 "CALL CONFIRMED" 메시지를 근거로 하여 "APM(Application transport Message)" 메시지를 발신 교환기(102)로 송신한다(S116). 이때, 도 2에서는 착신 단말(104)도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와 음성 통화 서비스를 지원하며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를 선호하므로, "APM" 메시지에는 최우선 순위로서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를 위한 코덱 정보인 mm이 포함되고, AMR도 가능하다는 정보가 포함된다.
발신 교환기(102)는 송신된 "APM" 메시지를 근거로 하여 "CALL PROCEEDING" 메시지를 발신 단말(101)로 송신한다(S117). 이때, 발신 단말(101)로 송신되는 "CALL PROCEEDING" 메시지에는 착신 단말(104)이 지원하는 서비스들과 선호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데, 전술한 도 2에서는 발신 단말(101)과 착신 단말(104)이 동일한 서비스들을 지원하고 동일한 서비스를 선호하는 경우(Normal Case)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CALL PROCEEDING" 메시지에 포함되는 서비스 정보는 동일한 서비스들을 지원하나 서로 다른 서비스를 선호할 수도 있고(Reverse Case), 다수의 서비스들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만을 지원할 수도 있다(Fallback Case). 또한, 전술한 Normal Case, Reverse Case 및 Fallback Case 이외에도 착신 단말(104)이 SCUDIF 호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Not Support SCUDIF Case)도 발생할 수 있다.
발신 단말(101)은 "CALL PROCEEDING" 메시지를 수신한 후, 발신 교환기(102)와 서비스 연결을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절차를 수행하고(S118), 발신 교환기(102)는 무선 자원 할당을 알리는 "COT(Continuity Message)" 메시지를 착신 교환기(103)로 송신한다(S119).
착신 교환기(103)는 착신 단말(104)과 무선 자원 할당 절차를 수행하고(S120), 착신 단말(104)은 무선 자원 할당을 알리는 "ALERTING" 메시지를 착신 교환기(103)로 송신하며(S121), 착신 교환기(103)는 전술한 S119 단계의 "COT"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ACM(Address Complete Message)" 메시지를 발신 교환기(102)로 송신하고(S122), 발신 교환기(102)는 "ALERTING" 메시지를 발신 단말(101)로 송신한다(S123). 이때, 전술한 S121 단계에서 "ALERTING" 메시지가 전송된 다음, 착신 단말(104)에서는 벨소리가 울리게 되고, 착신 교환기(103)에서는 발신 단말(101)로 링백톤을 제공하게 된다.
착신 단말(104)의 사용자가 통화 버튼 등을 누르게 되면, "CONNECT" 메시지가 착신 교환기(103)로 송신되고(S124), 착신 교환기(103)에서는 "ANM(Answer Messgea)" 메시지를 발신 교환기(102)로 송신하며(S125), 발신 교환기(102)에서 발신 단말(101)로 "CONNECT" 메시지를 송신하면(S126) 비로소 발신 단말(101)과 착신 단말(104)의 서비스가 연결되어 멀티미디어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후, 착신 단말(104)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성 통화로 전환하며 멀티미디어 통화를 차단하고자 할 경우, 즉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통화에서 음성 통화로 통화 서비스를 전환하고 이후에는 음성 통화를 하지 않는 것으로 차단하는 경우, 착신 단말(104)에서는 전환하고자 하는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MODIFY" 메시지를 착신 교환기(103)로 송신한다(S127).
착신 교환기(103)는 착신 단말(104)로부터 "MODIFY" 메시지가 수신된 시점을 체크하여 통화 연결 후 소정 시간 범위 내(T1 시간)에 수신된 경우 그 "MODIFY" 메시지에 포함된 통화 서비스 유형 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서비스로 서비스 전환을 하며 다른 통화 서비스 유형은 차단하는 통화 성립 후 'Fallback'으로 인식한다. 예를 들면, 음성 통화로 통화 서비스를 전환하고 멀티미디어 통화는 차단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착신 교환기(103)는 착신 단말(104)에 현재 할당된 무선 자원을 해제하고 착신 단말(104)과 음성 통화 서비스를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절차를 수행한 후(S128), 상기 "MODIFY" 메시지를 근거로 하여 착신 단말(104)이 음성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며 추후에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는 이용 불가능하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APM" 메시지를 발신 교환기(102)로 송신한다(S129). 즉, 'APM' 메시지에는 음성 통화 서비스의 코덱 정보(selected:AMR)와 이용 불가능한 멀티미디어 통화 정보(disavailable:mm)가 포함된다.
발신 교환기(102)는 송신된 "APM" 메시지를 근거로 하는 "MODIFY" 메시지를 발신 단말(101)로 송신한다(S130). 발신 단말(101)은 착신 교환기(103)와 마찬가지로 상기 "MODIFY" 메시지의 수신 시점을 체크하여 통화 연결 후 소정 시간 범위 내(T2 시간)에 상기 "MODIFY" 메시지가 수신된 것으로 확인되면, 그 "MODIFY" 메시지에 포함된 통화 서비스 유형 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서비스로 서비스 전환을 하며 다른 통화 서비스 유형은 차단하는 통화 성립 후 'Fallback'으로 인식한다.
"MODIFY" 메시지를 수신한 발신 단말(101)은 착신자가 멀티미디어 통화에서 음성 통화로 서비스를 전환하며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는 차단하였다는 것을 발신자에게 알리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한다. 따라서 발신자가 차후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가 차단되었다는 것을 인지 못하고 다시 멀티미디어 통화로 서비스를 전환하여 통화가 거부되어 단말에 고장이 발생하였거나 통신망에 장애가 있는 것으로 오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발신 단말(101)은 "MODIFY COMPLETE" 메시지를 발신 교환기(102)로 송신한다(S131). 발신 교환기(102)는 발신 단말(101)에 현재 할당된 무선 자원을 해제하고 음성 통화 서비스를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절차를 수행한다(S132). 발신 교환기(102)는 발신 단말(101)에서 전환된 서비스를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절차가 수행되면, 이를 알리는 "APM" 메시지를 착신 교환기(103)로 송신하고, 착신 교환기(103)는 서비스의 전환의 완료를 알리는 "MODIFY COMPLETE" 메시지를 착신 단말(104)로 송신한다(S134).
도 2에서는 착신 단말(104)이 통화 서비스 전환을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한 정되지 않고 발신 단말(101)에서의 서비스 전환도 전술한 S127 단계 내지 S134 단계와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2에서의 착신 교환기(103)의 동작을 발신 교환기(102)가 수행한다. 발신 교환기(102)에서 폴백(Fallback)을 인식하여 S129 단계의 "APM" 메시지를 착신 교환기(103)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MODIFY" 메시지를 이용한 통화 성립 후 폴백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에 있어서 S111 단계 내지 S126 단계는 도 2에 있어서의 S111 단계 내지 S126 단계와 동일하다. 즉, 도 3에 있어서 S111 단계 내지 S126 단계는 발신 단말(101)과 착신 단말(104) 간에 멀티미디어 통화가 성립되는 과정이다.
이와 같이 멀티미디어 통화가 성립된 이후, 착신 단말(104)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성 통화로 전환하며 멀티미디어 통화를 차단하고자 할 경우, 즉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통화에서 음성 통화로 통화 서비스를 전환하고 이후에는 멀티미디어 통화를 하지 않는 것으로 차단하는 경우, 착신 단말(104)에서는 "MODIFY" 메시지에 특화 필드를 추가하여 이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여 착신 교환기(103)로 전송한다(S301). 바람직하게, "MODIFY" 메시지는 서비스 전환을 위한 메시지이므로 서비스 전환과 관련해서는 기존과 동일하게 처리하고, 차단하려는 통신 서비스에 관한 정보만을 추가된 특화 필드에 설정하여 착신 교환기(103)로 전송한다.
착신 교환기(103)는 착신 단말(104)로부터 "MODIFY"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MODIFY" 메시지를 분석하여 통화 서비스 전환과 동시에 특정 통화 서비스를 차단하는, 즉 통화 성립 후 'Fallback'임을 인식한다. 다시 말하면, 음성 통화 로 통화 서비스를 전환하고 동시에 멀티미디어 통화는 차단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착신 교환기(103)는 착신 단말(104)에 현재 할당된 무선 자원을 해제하고 착신 단말(104)과 음성 통화 서비스를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절차를 수행한 후(S303), 상기 "MODIFY" 메시지를 근거로 하여 착신 단말(104)이 음성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며 추후에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는 이용 불가능하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APM" 메시지를 발신 교환기(102)로 송신한다(S305). 즉, 'APM' 메시지에는 음성 통화 서비스의 코덱 정보(selected:AMR)와 이용 불가능한 멀티미디어 통화 정보(disavailable:mm)가 포함된다.
발신 교환기(102)는 수신된 "APM" 메시지를 근거로 하는 "MODIFY" 메시지를 발신 단말(101)로 송신한다(S307). 즉, 착신 단말(104)이 전송한 "MODIFY" 메시지와 동일한 형태의 "MODIFY" 메시지를 발신 단말(101)로 송신한다. 바람직하게, "MODIFY" 메시지는 서비스 전환을 위한 메시지이므로, 발신 교환기(102)는 통신 서비스 전환과 관련해서는 기존과 동일하게 처리하고,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 차단에 관한 정보만을 추가된 특화 필드에 설정하여 발신 단말(101)로 전송한다.
"MODIFY" 메시지를 수신한 발신 단말(101)은 착신자가 멀티미디어 통화에서 음성 통화로 서비스를 전환하며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는 차단하였다는 것을 발신자에게 알리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한다. 따라서 발신자가 차후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가 차단되었다는 것을 인지 못하고 다시 멀티미디어 통화로 서비스를 전환하여 통화가 거부되어 단말에 고장이 발생하였거나 통신망에 장애가 있는 것으로 오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신 단말(101)은 "MODIFY COMPLETE" 메시지를 발신 교환기(102)로 송신하고(S309), 발신 교환기(120)는 발신 단말(101)에 현재 할당된 무선 자원을 해제하고 발신 단말(101)과 음성 통화 서비스를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절차를 수행한다(S311). 발신 교환기(102)는 발신 단말(101)과 전환된 통화 서비스를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절차가 완료되면, 이를 알리는 "APM" 메시지를 착신 교환기(103)로 송신하고(S313), 착신 교환기(103)는 서비스의 전환의 완료를 알리는 "MODIFY COMPLETE" 메시지를 착신 단말(104)로 송신한다(S315).
도 3에서는 착신 단말(104)이 통화 서비스 전환을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신 단말(101)에서의 서비스 전환도 전술한 S301 단계 내지 S315 단계와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에서의 착신 교환기(103)의 동작을 발신 교환기(102)가 수행한다. 발신 교환기(102)에서 폴백(Fallback)을 인식하여 S305 단계의 "APM" 메시지를 착신 교환기(103)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NOTIFY" 메시지를 이용한 통화 성립 후 폴백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에 있어서 S111 단계 내지 S126 단계는 도 2에 있어서의 S111 단계 내지 S126 단계와 동일하다. 즉, 도 4에 있어서 S111 단계 내지 S126 단계는 발신 단말(101)과 착신 단말(104) 간에 멀티미디어 통화가 성립되는 과정이다.
이와 같이 멀티미디어 통화가 성립된 이후, 착신 단말(104)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성 통화로 전환하며 멀티미디어 통화를 차단하고자 할 경우, 즉 사용자 가 멀티미디어 통화에서 음성 통화로 통화 서비스를 전환하고 이후에는 멀티미디어 통화를 하지 않는 것으로 차단하는 경우, 착신 단말(104)에서는 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NOTIFY" 메시지를 착신 교환기(103)로 송신한다(S401). "NOTIFY" 메시지는 3GPP TS 24.008에 따르면 7 비트로 이루어진다. 7 비트의 조합을 통해 폴백 메시지로 활용한다.
착신 교환기(103)는 착신 단말(104)로부터 "NOTIFY"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NOTIFY" 메시지를 분석하여 착신 단말(104)이 멀티미디어 통화에서 음성 통화로 통화 서비스를 전환하고 멀티미디어 통화를 차단하는 것으로 확인한다. 이어서 착신 교환기(103)는 착신 단말(104)에 현재 할당된 무선 자원을 해제하고 착신 단말(104)과 음성 통화 서비스를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절차를 수행한 후(S403), 상기 "NOTIFY" 메시지를 근거로 하여 착신 단말(104)이 음성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며 추후에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는 이용 불가능하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APM" 메시지를 발신 교환기(102)로 송신한다(S405). 즉, 'APM' 메시지에는 음성 통화 서비스의 코덱 정보(selected:AMR)와 이용 불가능한 멀티미디어 통화 정보(disavailable:mm)가 포함된다.
발신 교환기(102)는 송신된 "APM" 메시지를 근거로 하는 "NOTIFY" 메시지를 발신 단말(101)로 송신한다(S407). 즉, 착신 단말(104)이 전송한 "NOTIFY" 메시지와 동일한 형태의 "NOTIFY" 메시지를 발신 단말(101)로 송신한다.
"NOTIFY" 메시지를 수신한 발신 단말(101)은 착신자가 멀티미디어 통화에서 음성 통화로 서비스를 전환하며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는 차단하였다는 것을 발신 자에게 알리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한다. 따라서 발신자가 차후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가 차단되었다는 것을 인지 못하고 다시 멀티미디어 통화로 서비스를 전환하여 통화가 거부되어 단말에 고장이 발생하였거나 통신망에 장애가 있는 것으로 오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신 단말(101)은 "NOTIFY ACK" 메시지를 발신 교환기(102)로 송신하고(S409), 발신 교환기(120)는 발신 단말(101)에 현재 할당된 무선 자원을 해제하고 발신 단말(101)과 음성 통화 서비스를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절차를 수행한다(S411). 발신 교환기(102)는 발신 단말(101)과 전환된 서비스를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절차가 완료되면, 이를 알리는 "APM" 메시지를 착신 교환기(103)로 송신하고(S413), 착신 교환기(103)는 서비스의 전환의 완료를 알리는 "NOTIFY ACK" 메시지를 착신 단말(104)로 송신한다(S415).
도 4에서는 착신 단말(104)이 통화 서비스 전환을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신 단말(101)에서의 서비스 전환도 전술한 S401 단계 내지 S415 단계와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4에서의 착신 교환기(103)의 동작을 발신 교환기(102)가 수행한다. 발신 교환기(102)에서 폴백(Fallback)을 인식하여 S405 단계의 "APM" 메시지를 착신 교환기(103)로 전송한다.
도 4를 참조한 실시예는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도중에 음성 통화 서비스로 전환하고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를 차단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음성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도중에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로 서비스 전환을 하며 음성 통화 서비스를 차단하는 과정은 도 4를 참조한 것과 동일한 과정으로 처리된다. 단지, "NOFITY" 메시지와 "APM" 메시지에는 각 경우에 따른 정보가 설정되어 전송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한 실시예에서는 착신 단말(104)의 폴백 요청에 대해 발신 단말(101)이 승낙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선택적으로 발신 단말(101)의 사용자는 착신 단말(104)의 폴백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 이때, 발신 단말(101)로부터 "MODIFY REJECT" 메시지, 또는 폴백 거절의 "NOTIFY ACK" 메시지가 전송되어 폴백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MODIFY" 메시지를 이용한 통화 성립 후 폴백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발신 단말(101)과 착신 단말(104) 간에 멀티미디어 통화가 진행된다(S501). 여기서, 발신 단말(101)과 착신 단말(104) 간의 멀티미디어 통화는 도 2에 있어서의 S111 단계 내지 S126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즉, 발신 단말(101)과 착신 단말(104)은 음성 통화로의 서비스 전환이 가능한 상태에서 멀티미디어 통화를 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와 같이 멀티미디어 통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도중에, 착신 교환기(103)가 관할하는 기지국 제어기(RNC) 중 착신 단말(104)이 위치하고 있는 기지국 제어기에서 멀티미디어 통화가 집중되어 과부하가 발생하게 되면(S503), 착신 교환기(103)는 발신 단말(101)과 착신 단말(104) 간의 멀티미디어 통화를 강제로 음성 통화로 서비스 전환하고 멀티미디어 통화를 차단하기 위한 폴백 처리를 시작한다.
먼저, 착신 교환기(103)는 멀티미디어 통화에서 음성 통화로의 서비스 전환을 위한 "MODIFY" 메시지를 생성한 후 특화 필드에 멀티미디어 통화 차단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여 착신 단말(104)로 전송한다(S505). 착신 단말(104)은 멀티미디어 통화에서 음성 통화로 서비스를 전환되며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는 차단되었음을 착신자에게 알리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한다. 따라서 착신자가 차후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가 차단되었다는 것을 인지 못하고 다시 멀티미디어 통화로 서비스를 전환하여 통화가 거부되어 단말에 고장이 발생하였거나 통신망에 장애가 있는 것으로 오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착신 단말(104)은 "MODIFY COMPLETE" 메시지를 착신 교환기(103)로 송신하고(S507), 착신 교환기(103)는 착신 단말(104)에 현재 할당된 무선 자원을 해제하고 착신 단말(104)과 음성 통화 서비스를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절차를 수행한다(S509).
그리고 착신 교환기(103)는 음성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며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는 이용 불가능하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APM" 메시지를 발신 교환기(102)로 송신한다(S511). 즉, 'APM' 메시지에는 음성 통화 서비스의 코덱 정보(selected:AMR)와 이용 불가능한 멀티미디어 통화 정보(disavailable:mm)가 포함된다.
발신 교환기(102)는 수신된 "APM" 메시지를 근거로 하는 "MODIFY" 메시지를 발신 단말(101)로 송신한다(S513). 즉, 착신 교환기(103)가 착신 단말(104)로 전송한 "MODIFY" 메시지와 동일한 형태의 "MODIFY" 메시지를 발신 단말(101)로 송신한 다. 바람직하게, "MODIFY" 메시지는 서비스 전환을 위한 메시지이므로, 발신 교환기(102)는 통신 서비스 전환과 관련해서는 기존과 동일하게 처리하고, 차단하려는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에 관한 정보만을 추가된 특화 필드에 설정하여 발신 단말(101)로 전송한다.
"MODIFY" 메시지를 수신한 발신 단말(101)은 멀티미디어 통화에서 음성 통화로 서비스를 전환하며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는 차단하였다는 것을 발신자에게 알리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한다. 따라서 발신자가 차후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가 차단되었다는 것을 인지 못하고 다시 멀티미디어 통화로 서비스를 전환하여 통화가 거부되어 단말에 고장이 발생하였거나 통신망에 장애가 있는 것으로 오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신 단말(101)은 "MODIFY COMPLETE" 메시지를 발신 교환기(102)로 송신하고(S515), 발신 교환기(120)는 발신 단말(101)에 현재 할당된 무선 자원을 해제하고 발신 단말(102)과 음성 통화 서비스를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절차를 수행한다(S517). 발신 교환기(102)는 발신 단말(101)과 전환된 서비스를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절차가 완료되면, 이를 알리는 "APM" 메시지를 착신 교환기(103)로 송신하고(S519),
도 5를 참조한 실시예에서는 착신 교환기(103)가 통화 성립 후 폴백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신 교환기(102)에서 통화 성립 후 폴백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5에서의 착신 교환기(103)의 동작을 발신 교환기(102)가 수 행한다. 발신 교환기(102)에서 발신 단말(101)로 "MODIFY"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리고 착신 교환기(104)로 폴백을 위한 "APM" 메시지를 전송한다.
한편, 도 5에서는 교환기(103)가 자체적으로 기지국 제어기의 과부하 상태를 판단하여 통화 성립 후 폴백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 다른 통신 장비로부터 폴백과 관련된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폴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동통신시스템의 관리자가 원격에서 교환기를 제어하여 통화 성립 후 폴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통화 성립 후 폴백을 위한 메시지로서 "MODIFY" 메시지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도 4를 참조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NOTIFY" 메시지를 이용하여 폴백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한 실시예에서는 현재 사용 중인 통화 서비스(즉, 코덱)에서 다른 통화 서비스(즉, 코덱)로 전환하며 현재 사용 중인 통화 서비스는 차단하는 폴백의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현재 사용 중인 통화 서비스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다른 통화 서비스는 차단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이때는, 무선 자원 할당의 과정이 필요없고 통화가 계속 진행되면서 폴백 처리가 된다. 도 2 내지 도 5을 참조한 실시예에서 "MODIFY" 메시지, "NOFITY" 메시지, "APM" 메시지에는 이에 따른 정보가 설정되어 전송된다.
구체적으로, "MODIFY" 메시지에는 전환하려는 통화 서비스 정보로서 현재 사용 중인 통화 서비스의 정보가 설정되고(도 3의 경우 특화 필드에 차단 정보(즉, 현재 사용 중인 통화 서비스 이외 다른 통화 서비스 차단 정보) 포함), "NOFITY" 메시지에는 현재 사용 중인 통화 서비스는 변경하지 않고 다른 통화 서비스는 차단함을 나타내는 정보가 설정된다. 이때, 도 2 및 도 3을 참조한 실시예에서 착신 교환기(103)는 상기 "MODIFY" 메시지가 소정 시간 내에 수신되거나 특화 필드에 설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폴백을 인식한다. 대안으로 현재 사용 중인 통화 서비스는 변경하지 않고 다른 통화 서비스는 차단하는 폴백의 경우 폴백을 하려는 통화 단말은 "MODIFY" 메시지에 현재 사용 중인 통화 서비스 정보를 설정하여 전송하고, 착신 교환기(103)는 "MODIFY" 메시지는 서비스 변경을 위한 메시지인데 현재 사용 중인 통화 서비스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서비스 변경으로 인식하지 않고 현재 사용 중인 통화 서비스를 변경하지 않고 다른 통화 서비스는 차단하는 폴백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특화 필드를 이용하지 않고 기존 "MODIFY" 메시지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한 실시예에서 착신 교환기(103)는 "APM" 메시지에 최우선 서비스 정보로서 음성 통화 서비스의 코덱 정보(selected:AMR)와 이용 불가능한 멀티미디어 통화 정보(disavailable:mm)를 설정하여 발신 교환기(102)로 전송한다. 대안으로, 착신 교환기(103)는 "APM" 메시지에 이용 불가능한 멀티미디어 통화 정보를 설정하지 않고 이용 가능한 음성 통화 서비스의 코덱 정보만을 설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착신 교환기(103)는 "APM" 메시지에 최우선 서비스 정보로서 이용 가능한 음성 통화 서비스의 코덱 정보(selected:x)와 이용 가능한 모든 음성 통화 서비스의 코덱 정보(available:x, y, z)를 설정하여 발신 교환기(102)로 전송할 수 있다. 발신 교환기(102)는, "APM" 메시지에 멀티미디어 통화 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또는 호 설정 과정에서 착신 교환기(102)로부터 수신된 이용 가능한 통화 서비스 정보와 폴백 과정에서 착신 교환기(102)로부터 수신된 이용 가능한 통화 서비스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멀티미디어 통화에서 음성 통화로 전환하며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는 차단하는 폴백으로 인식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백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한 폴백 처리 장치(600)는, 단말 간 이용 가능한 통화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통화 서비스만을 사용 가능하도록 하고 이외 통화 서비스는 사용할 수 없도록 차단 처리하는 장치로서, 발신 교환기(102) 또는 착신 교환기(103)에 포함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폴백 처리 장치(600)는, 폴백 요청 수신부(601) 및 폴백 처리부(603)를 포함한다.
폴백 요청 수신부(601)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선택에 따라 발신 단말(101) 또는 착신 단말(104)로부터 폴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또는 교환기(102, 103)의 제어부로부터 또는 통신망의 다른 네트워크 장비(예컨대, 고객 정보 시스템 또는 홈 위치 등록기 등)로부터 폴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로부터의 폴백 요청은, 발신 단말(101)과 착신 단말(104) 간에 통화 서비스가 이용되고 있는 도중에 발신자 또는 착신자가 현재 이용중인 통화 서비스 이외 다른 통화 서비스의 이용을 차단하거나, 또는 현재 이용중인 통화 서비스에서 다른 통화 서비스로 서비스 전환을 하며 현재 이용중인 통화 서비스의 이용을 차단하는 경우에 수신될 수 있다.
폴백 요청 수신부(601)는 발신 단말(101) 또는 착신 단말(103)로부터 폴백 요청 메시지로서 전술한 "NOTIFY" 메시지 또는 "MODIFY" 메시지를 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MODIFY" 메시지의 경우 통화 성립 후 소정 시간 내에 수신될 때 폴백 요청 메시지로 인식될 수 있고, 또는 특화 필드 내에 특정 통화 서비스의 차단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폴백 요청 수신부(601)는 "MODIFY" 메시지에 현재 사용 중인 통화 서비스 정보가 포함된 경우 현재 사용 중인 통화 서비스는 변경하지 않고 다른 통화 서비스는 차단하는 폴백 요청 메시지로 인식한다. 또한, 폴백 처리 장치(600)가 직접 단말로부터 폴백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지 않고, 통화 상대 교환기의 폴백 처리 장치로부터 폴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의 폴백 요청 메시지는 "APM" 메시지이다.
단말로부터의 폴백 요청이 아닌 경우는, 발신 단말(101) 또는 착신 단말(104)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에서 많은 트래픽을 점유하는 통화 서비스(예컨대, 멀티미디어 통화)가 집중되고 있는 경우, 그 통신 서비스를 차단하고 그 보다 트래픽 점유가 작은 통화 서비스(예컨대, 음성 통화)로 서비스 전환을 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또는 발신 단말(101) 또는 착신 단말(104)이 특정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지역으로 진입하게 될 때로서, 폴백 요청 수신부(601)는, 교환기(102, 103)의 제어부로부터 또는 통신망의 다른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폴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폴백 처리부(603)는 상기 폴백 요청 수신부(601)에 폴백 요청이 수신되면, 발신 단말(101) 또는 착신 단말(104)로 폴백 처리를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고, 또한 통신 상대방의 교환기에 포함된 폴백 처리 장치로 폴백 처리를 위한 메시지를 전송한다. 발신 단말(101) 또는 착신 단말(104)로 전송하는 폴백 처리를 위한 메시지는 전술한 "NOTIFY" 메시지이거나 또는 "MODIFY" 메시지일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상대방의 교환기에 포함된 폴백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폴백 처리를 위한 메시지는 "APM" 메시지일 수 있다. "APM" 메시지는 이용 가능한 통화 서비스 정보 그리고 이용 불가능한 통화 서비스 정보가 포함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 통화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 간 서비스 전환이 가능한 단말 간 통화에서 통화 성립 후 특정 형식의 통화 서비스를 차단하는 폴백 방안을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 가입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높이고 통신 서비스의 매출을 증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음성 통화와 영상 통화를 바꿔가며 통화를 하던 중에 탈의실과 같이 영상 통화를 할 수 없는 곳에 들어가는 경우에 음성 통화만 가능하도록 영상 통화를 차단함으로써 영상 통화로 전환 시도를 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반대로 음성 통화를 할 수 없는 공연장에 들어갈 경우에 영상 통화만 가능하게 하고 음성 통화를 차단함으로써 음성 통화로 전환 시도를 하는 것을 방지하여 가입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영상 통화 상한 요금제를 이용하는 가입자가 영상 통화 중에 영상 통화 요금을 모두 소진한 경우 종래에는 호를 강제로 단절시켰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으로 음성 통화로 폴백됨으로써 음성 통화의 추가 수익을 올릴 수 있다.
또한, 영상 통화가 집중되는 지역에서 이동통신 가입자가 음성 또는 영상 통 화를 시도하는 경우 호 접속이 원활하지 않게 되어 가입자의 불만이 증가하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통화가 집중되는 지역의 영상 통화 호를 음성 통화 호로 전환시킴으로써 보다 많은 가입자가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가입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두 명의 가입자가 멀티미디어 통화를 하고 있는 도중에 어느 한 가입자가 멀티미디어 통화가 지원되지 않는 지역으로 이동할 때, 통신망에서는 자체적으로 이를 판단하여 멀티미디어 통화를 강제로 음성 통화로 서비스 전환하고 멀티미디어 통화를 차단함으로써, 통화 단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한 부결합(subcombination)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어떤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 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상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ODIFY" 메시지를 이용한 통화 성립 후 폴백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MODIFY" 메시지를 이용한 통화 성립 후 폴백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NOTIFY" 메시지를 이용한 통화 성립 후 폴백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MODIFY" 메시지를 이용한 통화 성립 후 폴백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백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8)

  1. 통화 중 제 1 통화 서비스와 제 2 통화 서비스의 전환이 가능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폴백 처리를 하는 폴백 처리 장치로서,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 제 1 통화 서비스를 우선으로 한 통화가 개시된 후, 상기 발신 단말 또는 상기 착신 단말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 2 통신 서비스를 차단하기 위한 폴백 요청 메시지로서 상기 제 1 통화 서비스의 정보를 전환 대상 서비스 정보로서 포함하는 통화 서비스 전환 메시지를 수신하는 폴백 요청 수신수단; 및
    상기 폴백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의 통화 상대 단말 측으로 상기 제 2 통신 서비스의 차단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폴백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폴백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백 처리수단은,
    상기 폴백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의 통화 상대 단말로 제 1 통화 서비스의 정보를 전환 대상 서비스 정보로서 포함하는 통화 서비스 전환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백 처리 장치.
  3. 통화 중 제 1 통화 서비스와 제 2 통화 서비스의 전환이 가능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폴백 처리를 하는 폴백 처리 장치로서,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 제 1 통화 서비스를 우선으로 한 통화가 개시된 후, 상기 발신 단말 또는 상기 착신 단말 중 어느 하나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 1 통화 서비스에서 상기 제 2 통화 서비스로의 통화 서비스 전환을 위한 통화 서비스 전환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통화 서비스 전환 메시지를 제 1 통화 서비스 차단을 위한 폴백 요청 메시지로 판단하는 폴백 요청 수신수단; 및
    상기 폴백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의 통화 상대 단말 측으로 상기 제 1 통신 서비스의 차단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폴백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폴백 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백 처리수단은,
    상기 폴백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의 통화 상대 단말로 상기 제 1 통화 서비스에서 상기 제 2 통화 서비스로의 통화 서비스 전환을 위한 통화 서비스 전환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백 처리 장치.
  5. 통화 중 제 1 통화 서비스와 제 2 통화 서비스의 전환이 가능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폴백 처리를 하는 폴백 처리 장치로서,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 제 1 통화 서비스를 우선으로 한 통화가 개시된 후, 상기 발신 단말 또는 상기 착신 단말 중 어느 하나로부터, 특정 필드에 상기 제 1 통화 서비스의 차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통화 서비스에서 상기 제 2 통화 서비스로의 통화 서비스 전환을 요청하는 통화 서비스 전환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통화 서비스 전환 메시지를 제 1 통화 서비스 차단을 위한 폴백 요청 메시지로 판단하는 폴백 요청 수신수단; 및
    상기 폴백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의 통화 상대 단말 측으로 상기 제 1 통신 서비스의 차단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폴백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폴백 처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폴백 처리수단은,
    상기 폴백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의 통화 상대 단말로, 상기 제 1 통화 서비스의 차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통화 서비스에서 상기 제 2 통화 서비스로의 통화 서비스 전환을 요청하는 통화 서비스 전환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백 처리 장치.
  7. 통화 중 제 1 통화 서비스와 제 2 통화 서비스의 전환이 가능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폴백 처리를 하는 폴백 처리 장치로서,
    통신 단말에 대해 제 1 통화 서비스를 우선으로 한 통화가 개시된 후, 상기 제 2 통화 서비스 차단을 위한 폴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폴백 요청 수신수단; 및
    상기 통신 단말로 상기 제 2 통화 서비스 차단을 통보하기 위해, 상기 제 1 통화 서비스의 정보를 전환 대상 서비스 정보로서 포함하는 통화 서비스 전환 메시지를 상기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폴백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폴백 처리 장치.
  8. 통화 중 제 1 통화 서비스와 제 2 통화 서비스의 전환이 가능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폴백 처리를 하는 폴백 처리 장치로서,
    통신 단말에 대해 제 1 통화 서비스를 우선으로 한 통화가 개시된 후, 상기 제 1 통화 서비스 차단을 위한 폴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폴백 요청 수신수단; 및
    상기 통신 단말로 상기 제 1 통화 서비스 차단을 통보하기 위해, 특정 필드에 상기 제 1 통화 서비스의 차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통화 서비스에서 상기 제 2 통화 서비스로의 통화 서비스 전환을 요청하는 통화 서비스 전환 메시지를 상기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폴백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폴백 처리 장치.
KR1020090048696A 2008-11-28 2009-06-02 통신 시스템에서 통화 성립 후 통화 서비스 폴백 방법 및 이를 위한 폴백 처리 장치 KR101078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696A KR101078984B1 (ko) 2009-06-02 2009-06-02 통신 시스템에서 통화 성립 후 통화 서비스 폴백 방법 및 이를 위한 폴백 처리 장치
PCT/KR2009/007041 WO2010062137A2 (ko) 2008-11-28 2009-11-27 이용 가능 통화 서비스의 상대 단말에 대한 통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696A KR101078984B1 (ko) 2009-06-02 2009-06-02 통신 시스템에서 통화 성립 후 통화 서비스 폴백 방법 및 이를 위한 폴백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043A KR20100130043A (ko) 2010-12-10
KR101078984B1 true KR101078984B1 (ko) 2011-11-01

Family

ID=43506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696A KR101078984B1 (ko) 2008-11-28 2009-06-02 통신 시스템에서 통화 성립 후 통화 서비스 폴백 방법 및 이를 위한 폴백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89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5143A (ko) * 2011-09-29 2013-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로컬 네트워크에서 로컬 엑세스와 음성 통화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043A (ko) 2010-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7876B2 (ja) 緊急通報受付センターの受呼者によって発呼者の電話サービス機能を支配する方法
RU2188517C2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радиотелефонной системы для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экстренн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радиотелефона и радиотелефон, приспособленный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совместимой радиотелефонной системе
KR100319124B1 (ko) 무선통신망에서의 우선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20110230184A1 (en) Dropped call re-establishment system with inter-network capabilities
CA2568709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reception of calling number by the terminal in advance
JP3796408B2 (ja) 接続を確立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CN102577283B (zh) 用于语音和其他cs域服务的规定的设备及方法
US20040028204A1 (en) Call completion to busy subscribers despite of call forwarding
JP4421187B2 (ja) 通信システム
JP4463313B2 (ja) 通信制御システム、移動通信交換装置、加入者情報管理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101078984B1 (ko) 통신 시스템에서 통화 성립 후 통화 서비스 폴백 방법 및 이를 위한 폴백 처리 장치
KR100641326B1 (ko)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의 호처리 방법
WO2016082187A1 (zh) 终端、移动管理实体和交换中心、业务处理方法和系统
JP4705208B2 (ja) 脱落呼を処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7024182B2 (en) Subscriber activated, time limited cellular incoming call redirection system
CN101166300B (zh) 业务切换方法和系统
KR10056622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긴급 통화임을 알리기 위한 방법
CN100571446C (zh) 移动通信交换设备及呼叫控制方法
KR20010028310A (ko) 통화중인 가입자에게 접속 요청을 알리는 방법
CN100550948C (zh) 一种无应答前转的控制方法及系统
KR20050110532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 설정 방법 및 장치
JPH11298968A (ja) 事業所型プライベートシステムにおける呼制御方式および呼制御装置
KR100540568B1 (ko) 시 디 엠 에이 망에서 팩스및 데이타 정보 자동 수신 지정방법
KR100326118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화 호 전환방법
KR101064838B1 (ko)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