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8763B1 - 치아 보호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치아 보호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8763B1
KR100788763B1 KR1020050115764A KR20050115764A KR100788763B1 KR 100788763 B1 KR100788763 B1 KR 100788763B1 KR 1020050115764 A KR1020050115764 A KR 1020050115764A KR 20050115764 A KR20050115764 A KR 20050115764A KR 100788763 B1 KR100788763 B1 KR 100788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protector
mold
forming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5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6742A (ko
Inventor
이기영
Original Assignee
이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영 filed Critical 이기영
Priority to KR1020050115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8763B1/ko
Publication of KR20070056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6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8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8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97Artificial teeth; Making same characterised by occlusal profiles, i.e. chewing contact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05Devices for dental prophyl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90Oral protectors for use during treatment, e.g. lip or mouth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31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non-metallic elements or compounds thereof, e.g.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4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metals or allo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와 잇몸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치아와 치아 사이로 음식물이 끼이지 않게 함으로서 치아는 물론 잇몸을 보호할 수 있는 치아보호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아보호구는, 각각의 치아가 끼워지는 치아 보호구에 치아 수용홈이 인접되게 형성되며, 상기 치아 보호구에 형성된 치아 수용홈은 치아의 표면의 형상과 동일하여 치아에 억지 끼움 되게 형성되는 치아 보호구에 있어서, 상기 치아 보호구의 교합부에는 저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체보다 강한 재질로 이루어진 저작부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저작부는 고강도의 합금이나 상아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틀 형성용 분말을 반죽하고 반죽된 틀 성형 반죽을 치아에 덮어 씌운 상태에서 굳혀 치아의 형상이 음각으로 형성된 틀을 성형하는 틀 성형단계와, 상기 틀 성형단계에서 형성된 틀의 내부에 석고의 치형 성형 재료를 상기 틀에 넣은 후 굳히고 틀을 분리하여 치형을 형성하는 치형 성형 단계와, 상기 치형 성형 단계에서 형성된 치형의 표면에 합성수지 등의 치아 보호구 재료를 덮어 치아 보호구를 형성하는 치아 보호구 성형 단계로 이루어진 치아 보호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치아 보호구 재료를 덮어 치아 보호구를 형성한 후 그 내부에 남아 있는 치형을 제거하며, 상기 보호구 성형 단계에서는 치형의 교합면에 고강도의 금속이나 합성수지를 덮어 교합부를 형성한 후, 상기 교합부가 굳기 전에 합성수지 등의 보호구의 재료를 덮어 교합부와 본체가 일체로 성형되도록 하는 것이다.
치아 사이, 보호, 음식물, 교합부, 치아 노출구, 잇몸

Description

치아 보호구 및 그 제조 방법{A dental care imp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보호구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보호구의 일예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보호구의 다른 일예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보호구의 또 다른 일예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보호구의 또 다른 일예들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잇몸 20 : 치아
30 : 치아보호구 31 : 저작부
32 : 치아 노출구 33 : 잇몸 보호부
본 발명은 치아 및 잇몸 보호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와 치아 사이 및 치아의 교합면에 음식물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여 치아와 잇몸을 보호할 수 있는 치아 및 잇몸 보호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생활의 변화에 따라 당분이나 염분의 식음이 늘고 있으며, 이러한 음식물이 치아와 치아 사이 또는 치아의 저작면에 형성된 요홈에 끼일 경우 이들에 의해 번식하는 세균 등에 의해 치아가 손상되는 일이 많다.
손상된 치아는 소정의 보철물을 이용하여 손상된 부분을 메우거나 손상된 치아를 뺀 후 새로운 의치를 심어 고치고 있으며, 심하게는 틀니 등의 의치를 하거나 인프란트 등의 수단으로 의치를 심는 방법으로 치과 치료가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치의 경우 본 치아와 달리 저작이 불편함은 물론 음식 본래의 맛을 제대로 느낄 수 없는 단점이 있으므로 본래의 치아의 보존을 위해 많은 종류의 치과 치료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치아 보존을 위한 치과 치료에는 치석을 제거한다든가 정기적으로 치과 진료를 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수시로 치과 치료를 위해 시간을 내야하는 등의 번로움이 있었다.
또한, 정기적으로 치과시료를 받는 다 하더라도 치아와 치아 사이에 음식물 의 찌꺼기가 끼이고, 치러한 찌꺼기들은 단순한 칫솔질 만으로는 제거되지 않아 많은 불편이 있었다.
또한 잇몸과 치아 사이에 끼인 음식물에 의해 잇몸에 염증이 생기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치아와 치아 사이는 물론 치아의 교합면에 음식물이 끼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치아를 보호할 수 있는 치아 및 잇몸 보호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각각의 치아가 끼워지는 치아 보호구에 치아 수용홈이 인접되게 형성되며, 상기 치아 보호구에 형성된 치아 수용홈은 치아의 표면의 형상과 동일하여 치아에 억지 끼움 되게 형성되는 치아 보호구에 있어서,
상기 치아 보호구의 교합부에는 저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체보다 강한 재질로 이루어진 저작부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저작부는 고강도의 합금이나 상아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호구를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본 발명은 틀 형성용 분말을 반죽하고 반죽된 틀 성형 반죽을 치아에 덮어 씌운 상태에서 굳혀 치아의 형상이 음각으로 형성된 틀을 성형하는 틀 성형단계와, 상기 틀 성형단계에서 형성된 틀의 내부에 석고의 치형 성형 재료를 상기 틀에 넣은 후 굳히고 틀을 분리하여 치형을 형성하는 치형 성형 단계와, 상기 치형 성형 단계에서 형성된 치형의 표면에 합성수지 등의 치아 보호구 재료를 덮어 치아 보호구를 형성하는 치아 보호구 성형 단계로 이루어진 치아 보호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치아 보호구 재료를 덮어 치아 보호구를 형성한 후 그 내부에 남아 있는 치형을 제거하며, 상기 보호구 성형 단계에서는 치형의 교합면에 고강도의 금속이나 합성수지를 덮어 교합부를 형성한 후, 상기 교합부가 굳기 전에 합성수지 등의 보호구의 재료를 덮어 교합부와 본체가 일체로 성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호구 제조 방법을 마련함에 의한다.
삭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보호구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보호구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보호구의 일예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보호구의 다른 일예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보호구의 또 다른 일예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보호구의 또 다른 일예들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보호구(30)는 사용자의 원치(原齒)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의 치아 수용홈을 갖는다.
상기 치아 수용홈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치아(20)의 형상을 그대로 본떠 형성된 것으로 사용자의 치아(2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치아보호구(30)의 개방된 면 즉, 잇몸(10)과 대향되는 단부는 도시한 바와 같이 얇게 형성하여 그 부가 치아(20)와 부드럽게 이어질 수 있게 형성하였다.
상기 치아 보호구(3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치아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치아 수용홈을 형성하여 구성되며, 각 치아 수용홈들은 서로 연결되거나 분리되어 있다.
상기 치아 보호구(30)는 도 2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얇은 벽체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재질은 합성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치아 보호구(30)는 본체 즉, 치아(20)의 몸체 부분을 감싸는 본체와 치아(20)의 교합면인 저작면에 대향되는 저작부(31)로 구성되며, 상기 저작부(3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도가 큰 합금이나 상아 등으로 만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저작부(31)를 합금 등의 고강도 재질로 제작함으로서 본체는 강도가 낮은 합성수지로 제작할 수 있어 제작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작부를 절개하여 구멍 즉, 치아가 노출될 수 있는 치아 노출구(32)를 형성함으로서 원래의 치아(20)의 저작면이 노출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치아 노출구(32)를 형성하여 원래의 치아(20)의 저작면이 노출되게 함으로서 사용자는 음식물의 저작시 본래의 미각을 유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치아 보호구(30)는 본 치아(20)의 외형을 그대로 본떠 치아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치아에 끼워넣는 것만으로도 치아에 고정될 수 있다.
즉, 통상적인 치아는 중단이 돌출되어 불룩한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이러한 치아(20)의 형상을 본떠서 형성된 치아 보호구(30)의 개방된 부분은 폭이 좁아 치아에 끼웠을 때 치아로부터 쉬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치아(2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그 일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치아 보호구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잇몸을 덮는 잇몸 보호부(33)를 연장하여 형성하여 잇몸(10)과 치아(20) 사이로 음식물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여 잇몸(20)이 손상되고 손상된 잇몸에 염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치아 보호구의 제조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틀 형성용 분말을 반죽하고 반죽된 틀 성형 반죽을 치아에 덮어 씌운 상태에서 굳혀 치아의 형상이 음각으로 형성한다.
음각 형상으로 치아의 형상이 형성된 틀의 내부에 석고 등의 치형 성형 재료를 상기 틀에 넣은 후 굳히고 상기에서 형성된 틀을 분리하여 치형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형성된 치형의 표면에 합성수지 등의 치아 보호구 재료를 덮어 치아 보호구를 형성한 후 그 내부에 남아 있는 치형을 제거하는 보호구를 형성한다.
상기 과정에서 보호구 성형 단계에서는 치형의 교합면에 고강도의 금속이나 합성수지를 덮어 교합부를 형성한 후 상기 교합부가 굳기 전에 합성수지 등의 보호구의 재료를 덮어 교합부와 본체가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보호구 성형 단계에서 만들어진 보호구는 교합면의 일부를 절단하여 치아가 노출되는 치아 노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치아 보호구는 치아와 치아 사이는 물론 치아의 교합면에 음식물이 끼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치아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잇몸과 치아 사이로 음식물이 끼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잇몸이 손상되고 염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각각의 치아가 끼워지는 치아 보호구에 치아 수용홈이 인접되게 형성되며, 상기 치아 보호구에 형성된 치아 수용홈은 치아의 표면의 형상과 동일하여 치아에 억지 끼움 되게 형성되는 치아 보호구에 있어서,
    상기 치아 보호구의 교합부에는 저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체보다 강한 재질로 이루어진 저작부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저작부는 고강도의 합금이나 상아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호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보호구의 교합부는 치아의 교합면이 노출될 수 있도록 치아 노출구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호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보호구의 잇몸과 대향되는 부분은 잇몸의 일부까지 연장시켜 잇몸 보호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호구.
  6. 틀 형성용 분말을 반죽하고 반죽된 틀 성형 반죽을 치아에 덮어 씌운 상태에서 굳혀 치아의 형상이 음각으로 형성된 틀을 성형하는 틀 성형단계와, 상기 틀 성형단계에서 형성된 틀의 내부에 석고의 치형 성형 재료를 상기 틀에 넣은 후 굳히고 틀을 분리하여 치형을 형성하는 치형 성형 단계와, 상기 치형 성형 단계에서 형성된 치형의 표면에 합성수지 등의 치아 보호구 재료를 덮어 치아 보호구를 형성하는 치아 보호구 성형 단계로 이루어진 치아 보호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치아 보호구 재료를 덮어 치아 보호구를 형성한 후 그 내부에 남아 있는 치형을 제거하며, 상기 보호구 성형 단계에서는 치형의 교합면에 고강도의 금속이나 합성수지를 덮어 교합부를 형성한 후, 상기 교합부가 굳기 전에 합성수지 등의 보호구의 재료를 덮어 교합부와 본체가 일체로 성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호구 제조 방법.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 성형 단계에서 만들어진 보호구는 교합면의 일부를 절단하여 치아가 노출되는 치아 노출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호구 제조 방법.
KR1020050115764A 2005-11-30 2005-11-30 치아 보호구 및 그 제조 방법 KR100788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764A KR100788763B1 (ko) 2005-11-30 2005-11-30 치아 보호구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764A KR100788763B1 (ko) 2005-11-30 2005-11-30 치아 보호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742A KR20070056742A (ko) 2007-06-04
KR100788763B1 true KR100788763B1 (ko) 2007-12-26

Family

ID=38354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5764A KR100788763B1 (ko) 2005-11-30 2005-11-30 치아 보호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87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0293A1 (ko) * 2013-08-09 2015-02-1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에 피착되는 가철식 덴탈기구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925B1 (ko) * 2018-11-07 2020-02-21 김동진 치아 보강 및 잇몸보호구
KR102103478B1 (ko) * 2019-12-17 2020-04-22 윤상원 마우스 가드
KR102093593B1 (ko) * 2020-03-02 2020-03-27 김오봉 저작을 통해 tmj를 교정하는 치과 스플린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6394A (ja) * 2000-07-10 2002-01-25 Nichia Chem Ind Ltd 半導体発光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6394A (ja) * 2000-07-10 2002-01-25 Nichia Chem Ind Ltd 半導体発光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공개실용신안 1992-315
국내공개특허 2002-26394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0293A1 (ko) * 2013-08-09 2015-02-1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에 피착되는 가철식 덴탈기구 및 그 제조방법
US10188485B2 (en) 2013-08-09 2019-01-29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 Hee University Dental appliance detachably attached to the teeth, and fabricating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742A (ko) 2007-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8474653U (zh) 用于在患者的口部中形成牙修复体的定制工具
ES2599983T3 (es) Sistema y método para la fabricación de prótesis dentales en capas
US9867683B2 (en) Hydraulic pressure bite-down dental impression
WO1997031585A1 (en) Single tooth dental restoration system
WO1997031585A9 (en) Single tooth dental restoration system
US9662187B2 (en) Hydraulic pressure dental impression
JP6006880B2 (ja) 有床義歯用アタッチメント
KR100788763B1 (ko) 치아 보호구 및 그 제조 방법
US8070485B2 (en) Notched pontic and system for fabricating dental appliance for use therewith
EP3449866B1 (en) Orthodontic appliance
KR20200003654A (ko) 하이브리드 치유 지대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44790B1 (ko) 교합면 성형기구 및 그를 구비하는 교합면 성형용 키트
JP5876356B2 (ja) 局部用印象用トレー
US20050221254A1 (en) Device and method for vacuum assisted dental impression
KR101629667B1 (ko) 크라운 제거장치
JP5778611B2 (ja) 上顎用の印象用トレー
WO2016116951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repairing tooth cavities
JPH10174697A (ja) いびき防止具
KR101657432B1 (ko) 절결홈이 형성된 의치 일체용 잇몸을 이용한 틀니 제조방법
KR102537008B1 (ko) 부분 틀니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부분 틀니
JP3121987U (ja) 義歯
JP2000262541A (ja) 暫間被覆冠
KR20090018312A (ko) 교합기용 모형 치아틀의 베이스 부재 보호장치 및 그사용방법
RU2019130911A (ru) Способ имплантации зубных имплантов
KR101657431B1 (ko) 연장부재가 결합된 의치 일체용 잇몸을 이용한 틀니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