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7962B1 -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7962B1
KR100787962B1 KR1020060079390A KR20060079390A KR100787962B1 KR 100787962 B1 KR100787962 B1 KR 100787962B1 KR 1020060079390 A KR1020060079390 A KR 1020060079390A KR 20060079390 A KR20060079390 A KR 20060079390A KR 100787962 B1 KR100787962 B1 KR 100787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peaker
broadcasting
control unit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9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터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터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터기술
Priority to KR1020060079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79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7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7962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열차의 스피커 및 화재검출기의 상태정보를 통하여 고장 진단 및 화재 검출 등 유용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으며 운영자로 하여금 유지보수, 수리, 시험 및 검증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구현된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동차의 소정의 위치에 매설되어 있으며, 음성재생과 소음측정 및 화재검출을 위한 장치들과 서로 전선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장치들의 제어 및 그들로부터 전송된 신호들을 연산하는 차량방송장치(100)와; 전동차 객실 내부에 설치되어 음성신호를 재생하며 소음값을 입력하는 실내스피커(120)와, 전동차 외부에 설치되는 실외스피커(130)로 구성되는 스피커와; 화재감지센서를 부착하고 있어, 상기 차량방송장치(100)가 화재임을 감지하도록 객실 내의 대기상태를 측정하여 그 데이터를 상기 차량방송장치(100)로 전송하는 화재감지기(110)와; 상기 차량방송장치(100)에서 각 장치를 제어하도록, 열차의 각 차량방송장치(100)로부터 전송되어지는 차량별신호로 해당 차량방송장치(100)에 명령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차량방송장치(100)에 전송하는 주방송장치(10)로 구성되어 있어, 해당 차량방송장치(100)의 스피커 고장유무 및 음량조절, 화재감지기 고장유무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열차, 소음, 화재감지기, 스피커, 방송장치, 노이즈, 고장

Description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 BROADCASTING IN THE TRAIN}
도 1은 본 발명의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차량방송장치의 회로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 방법의 노이즈검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 방법의 화재검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차량방송장치 101 : 중앙제어부
102 : 버튼 입력 및 표시제어부 103 : 주방송장치 인터페이스부
104 : 전원부 105 : 화재감시기 제어부
106 : 앰프 107 : 노이즈제어부
108 : 콘솔 109 : 리셋
110 : 화재감지기 120 : 스피커
130 : 외부스피커 150 : 입력버튼
본 발명은 지하철이나 열차의 객차 내에 설치되어 있는 스피커와 화재감지기 등의 장비를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차의 각 객실에는 방송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스피커, 모니터 등을 포함하여 화재감지기, 노이즈검출기와 같은 장비들이 객실 간에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들은 각각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어, 어느 하나의 장치에 문제가 발생하여 오작동하게 되면 그에 대한 해결 사항을 서로 간에 통합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 각 장치별로 유지 및 보수와 제어를 해야 하므로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로 인해 장치에 고장이 발생하면 해당 장치를 사용해서 동작하지 않을 때에서야 고장 정보를 표출하게 되어 고장임을 발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여러 개의 동일 장치들이 객실 간에 서로 연결되어 있어 어느 장비에서 고장이 발생했는지 신속하게 발견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즉, 1개 객실마다 복수개의 스피커가 서로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각 객 실마다의 스피커들도 서로 연결되어 있어, 어느 특정 객실의 1개 스피커가 고장이 났다고 해서 그 고장 정보를 바로 인식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객실마다 설치되어 있는 차량방송장치(100)에 의해 스피커의 고장유무를 확인하며, 소음을 측정하여 스피커의 볼륨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차량 방송 장치가 실시간으로 화재감지 및 화재검출기의 예외동작 유무를 판별하는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은 전동차의 소정의 위치에 매설되어 있으며, 음성재생과 소음측정 및 화재검출을 위한 장치들과 서로 전선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장치들의 제어 및 그들로부터 전송된 신호들을 연산하는 차량방송장치(100)와; 전동차 객실 내부에 설치되어 음성신호를 재생하며 소음값을 입력하는 실내스피커(120)와, 전동차 외부에 설치되는 실외스피커(130)로 구성되는 스피커와; 화재감지센서를 부착하고 있어, 상기 차량방송장치(100)가 화재임을 감지하도록 객실 내의 대기상태를 측정하여 그 데이터를 상기 차량방송장치(100)로 전송하는 화재감지 기(110)와; 상기 차량방송장치(100)에서 각 장치를 제어하도록, 열차의 각 차량방송장치(100)로부터 전송되어지는 차량별신호로 해당 차량방송장치(100)에 명령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차량방송장치(100)에 전송하는 주방송장치(10)로 구성되어 있어, 해당 차량방송장치(100)의 스피커 고장유무 및 음량조절, 화재감지기 고장유무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의 차량방송장치의 회로블럭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 방법의 노이즈검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 방법의 화재검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 시스템은 차량방송장치(100), 화재감지기(110), 실내스피커(120), 실외스피커(130), 앰프(106), 입력버튼(150), 주방송장치(10)로 구성된다.
상기 차량방송장치(100)는 전동차의 각 객실 벽면에 1개씩 설치되어 있으며, 특히 통상적으로 객차에 1개씩 설치되어 있는 객실과 객실 사이로 연결되는 문쪽의 측벽면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량방송장치(100)는 천정 쪽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화재감지 기(110), 실내외스피커, 주방송장치(10)와는 서로 전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차량방송장치(100)는 객실 내의 노이즈 검출 및 그로 인한 스피커 음량 제어, 화재감지 검출을 할 수 있고, 버튼 입력 및 표시 제어부를 통하여 들어온 버튼의 입력에 따라 호차별 제어, 음량조절제어에 대한 부분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며, 상기의 검출신호 및 제어신호를 주방송장치에 주기적으로 송, 수신한다.
또한 상기 차량방송장치(100)는 그 일측에 입력버튼(150)을 더 구성하고 있어, 하기에 설명될 상기 차량방송장치(100)의 ID의 입력, 기능설정, 스피커의 볼륨조절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차량방송장치(100)는 그 일측에 LCD(152), LED(151) 등의 화면부를 더 구성하고 있어, 상기 입력버튼(150)의 스위치 조작 상태를 디스플레이 해주며 기능 테스트 시 장치의 정상동작 및 고장발생 시 이상 유무를 표출하게 된다.
스피커는 지하철 객실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실내스피커(120)와, 지하철 외벽면 위쪽부분 좌, 우측 양쪽에 설치되는 상기 실외스피커(130)로 구분되며, 상기 실내스피커(120)는 상기 차량방송장치(100)와 추가적으로 인터페이스 될 수 있다.
상기 실내스피커(120)는 지하철에 탑승한 승객에게 안내할 방송을 송출하는 스피커이며, 실외스피커(130)는 지하철 승강장에서 탑승을 대기하는 승객들에게 알리는 방송을 송출하는 스피커이다.
특히 상기 실내스피커(120)는 객차 내에 방송이 나가지 않을 때는, 실시간으로 노이즈를 입력받으며, 상기 노이즈의 최종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음량 조절된 방송이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앰프(106)는 그 일측에 상기 중앙제어부(101)와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에 스피커와 연결되어 있어, 하기에 설명 될 주방송장치(10) 인터페이스부(103)를 통해 상기 중앙제어부(101)에 전송된 자동 및 수동방송에 대한 음성데이터를 전달받아 증폭한 후 출력을 높이고 노이즈가 감소된 음성데이터를 스피커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화재감지기(110)는 화재감지센서를 부착하고 있어, 객실 내의 대기상태를 실시간 검출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화재 발생 시의 연기의 농도와 온도정보를 감지하여 차량방송장치(100)에 상기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화재임을 감지하도록 한다.
상기 주방송장치(10)는 상기 차량방송장치(100)와 주기적으로 통신을 하여 고장 정보 및 화재 감지 정보, 스피커의 음량정보, 스피커의 고장 유무 정보를 전송받아 이상 유무를 체크하는 메인장치이다.
도 2는 차량방송장치(100)의 내부 회로블럭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차량방송장치(100)는 중앙제어부(101), 버튼입력 및 표시제어부(102), 주방송장치 인터페이스부(103), 전원부(104), 화재감지기 제어부(105), 노이즈 제어부(107), 콘솔(108), 리셋(109)으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제어부(101)는 각 장치들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내부 중앙연산 장치에서 연산 및 변환시킨 후 상기의 주방송장치(10)로 전달하며, 상기 콘솔(108)과 리셋(109), 입력버튼제어부(108), 주방송장치 인터페이스부(103), 화재감지기 제어부(105), 노이즈 제어부(107)와 연결되어 있어, 이들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버튼입력 및 표시제어부(102)는 차량설정버튼, 기능설정버튼, 볼륨조절버튼의 세 가지 버튼을 조작하여 상기 차량방송장치(100)의 호차설정, 실내스피커(120)의 볼륨조정, 그리고 상기 화재감지, 스피커, 화면부의 자체 동작 테스트를 위한 재생이 가능하도록 입력버튼과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설정, 볼륨조정, 기능설정을 위한 작업상황은 LCD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기능설정에 의한 장치의 정상동작 혹은 고장으로 인한 이상유무의 상황은 LED로 표시되는 3부분의 램프가 점등 및 소등됨에 따라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입력버튼은 ID입력을 위한 차량설정버튼, 기기테스트를 위한 기능설정버튼, 음량설정버튼, 그리고 선택된 설정버튼의 기능 환경에 맞는 레벨조절을 행하는 레벨조절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ID는 각 객실마다 구비되어 있는 차량방송장치(100)를 서로 구분하기 위한 고유코드번호이다.
상기 입력버튼(150) 중에서 차량설정버튼을 누르게 되면 레벨조절버튼으로 고유코드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레벨조절버튼은 상하이동식 혹은 다이얼 돌림식으로 되어 있으며, 레벨의 조절에 따른 코드값이 LCD상에 표현되고, 이때 레벨조절버튼을 조작하여 상기 레벨값이 입력되도록 한다.
상기의 ID설정에 의해 고유코드번호가 상기 차량방송장치(100)에 입력이 된 다.
또한 각 장비들의 작동상태를 테스트하기 위한 기능설정버튼을 누르게 되면, 스피커, 화재감지기 등의 장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되는 메뉴화면이 LCD화면에 나타나게 되고, 레벨조절버튼으로 해당 장치를 선택하여 누르게 되면 해당 장치가 독립적으로 작동되어 고장 유무를 판별하게 된다.
이때, 해당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게 되면 LED의 램프가 점등이 되고, 만약 고장 시에는 색깔을 달리하는 경고등이 켜지게 된다.
또한, 상기 음량조절버튼을 누르게 되면, 음량조절단계가 LCD화면에 나타나게 되고, 레벨조절버튼으로 음량을 조절한 후 버튼을 눌러 음량을 설정하게 된다.
상기 주방송장치 인터페이스부(103)는 중앙제어부(101)에서의 스피커 볼륨레벨, 스피커의 고장유무, 화재검출기에서 검출된 화재검출 측정데이터와 같은 차량상태정보를 주방송장치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주방송장치로부터 전달된 자동방송과 수동방송에 대한 음성데이터를 앰프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원부(104)는 상기 중앙제어부(101) 및 상기 차량방송장치(100)와 연결되어 있는 장비인 스피커, 화재감지기, 화면부, 앰프(106)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외부에서 DC100V와 DC24V를 이용한다.
상기 콘솔(108)은 PC또는 기기 제어 장치와의 직렬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중앙제어부(101)와 연결되어 있는 각 장비들의 설정 및 제어가 가능하다.
상기 리셋(109)은 장비를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초기화하여, 각 장비들의 이상 동작을 제거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화재감지기 제어부(105)는 그 일측에 중앙제어부(101)와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에 화재감지부에 연결되도록 인터페이스 되어있어,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화재감지센서를 통하여 화재를 감지하게 되면 화재검출로 인한 측정데이터를 컨버트시켜 중앙제어부(101)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노이즈 제어부(107)는 객실 내의 실내스피커(120)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형태의 노이즈값을 A/D(Analog to Digital)컨버터를 통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후 중앙제어부(101)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중앙제어부(101)는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노이즈의 정도를 인식하고 노이즈 체크 후 노이즈 레벨에 맞게 볼륨 조절 및 스피커의 고장유무를 확인한다.
전원의 공급에 의해 상기 차량방송장치(100)는 실내외의 스피커, 화재감지기, 화면부를 작동시키게 된다.
열차의 운행 중 승객에게 알리는 음성정보를 스피커를 통해 방송하게 되는데, 상기 음성정보는 주방송장치에서 상기 주방송장치 인터페이스부(103)를 통해 중앙제어부(101)로 전송되며, 상기 중앙제어부(101)로 전송된 음성정보는 앰프(106)로 전송되어 증폭 된 후,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도 3은 객차의 노이즈감지를 통한 스피커의 볼륨 조절의 과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앙제어부(101)는 상기 음성정보의 전달유무를 확인 한 후 음성정보가 있으면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방송상태확인단계(S10)를 수행하게 된다.
음성정보가 전달되면(S11), 방송을 위한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내보내면서, 계속적으로 방송 상태를 확인하도록 방송상태확인단계(S10)로 돌아가게 된다.
또한 음성정보가 없어 비방송 상태이면(S11), 상기 중앙제어부(101)의 제어에 의해 스피커가 노이즈검출을 하는 노이즈검출단계(S20)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피커에서 검출된 노이즈값을 전달받은 차량방송장치(100)는 상기 특정 스피커로 노이즈가 검출되지 않으면 검출되지 않는 스피커는 고장으로 인식하여 상기 중앙제어부(101)에서 확인하게 된다.
즉, 스피커가 고장이 나서 노이즈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중앙제어부(101)는 이를 감지하고, 기 저장되어 있는 ID와 상기 스피커고장신호를 결합한 차량별 스피커고장신호를 주방송장치로 전송하여 스피커의 고장을 TCMS로 전송하게 되는 고장정보전송단계(S22)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노이즈검출단계(S20)에 의해 상기 실내스피커(120)는 실내의 노이즈값을 아날로그 데이터로 입력받게 되며, 입력받은 노이즈값을 상기 노이즈 제어부(107)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아날로그상태의 노이즈값을 전달받은 노이즈 제어부(107)는 디지털상태의 노이즈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제어부(101)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중앙제어부(101)는 전송되어 온 노이즈신호를 레벨로 판별하여, 기준치 이상의 노이즈임(소음)이 판별되면 해당 레벨에 맞게 볼륨을 높게 조절하는 스피커볼륨조절단계(S30)를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의 노이즈 신호들을 받은 중앙제어부(101)는 스피커의 음량을 더 높 이고 줄이도록 음량조절데이터를 생성하고 음량조절데이터를 통해, 전달받은 음성신호를 더욱 높이고 줄이도록 중앙제어부(101)는 상기 앰프(106)를 제어한 후 상기 앰프(106)에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음량이 증가, 감소한 음성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스피커볼륨조절단계(S30)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노이즈신호를 판별함에 있어서, 노이즈가 기준치 이하일 경우에는 해당 레벨에 맞게 볼륨을 낮게 조절하여 상기 스피커로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도 4는 열차내의 화재감지기의 화재검출 및 예외 동작을 판별하는 과정을 순서도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전원부(104)에 공급에 의해 작동되는 차량방송장치(100) 및 그 중앙제어부(101)는 화재감지기를 작동시켜 화재감지센서가 열차 내의 대기상태를 검출하도록 하는 화재감지기 작동단계(S1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화재감지센서는 대기의 온도 및 연기의 농도를 검출하여 화재감지를 하게 되면(S12), 상기 화재감지기 제어부(105)에서 디지털신호인 화재감지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제어부(101)로 전달한다.
그 후, 상기 화재감지기를 초기화시키는 화재감시기 초기화단계(S20)를 거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중앙제어부(101)는 상기 화재감지기의 전원차단 및 재기동을 통해 화재감지기를 초기화시키도록 한다.
상기 화재감지기를 초기화 시킨 후, 다시 화재감지센서가 화재감지를 하게 되면(S21), 상기 화재감지기 제어부(105)에서 디지털신호인 화재감지신호로 변환하고 중앙제어부(101)로 전달되어 중앙제어부(101)는 화재감지로 인식하여 주방송장 치(10)로 상태정보 전송을 하게 된다. 화재 감지기를 통해 화재검출이 되지 않으면, 예외처리단계(S22)로 넘어가게 된다.
즉, 상기 중앙제어부(101)는 화재검출기의 초기화 후 다시 검출하였을 시 화재감지가 되지 않게 되면, 상기 화재검출기가 예외 동작 상태인 것으로 판명하고, 예외 동작 상태를 저장하여, 상기 차량방송장치에서 로그파일을 생성하도록 한다.
상기 로그파일에는 화재감지기가 예외 동작 발생 시간 등이 기재되어 있어, 화재감지기의 고장유무를 판별이 가능하며, 열차의 정비 시에 점검자가 해당 화재검출기의 예외 동작 및 고장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중앙제어부(101)는 전송된 화재감지신호와 기 전송된 화재감지신호를 통해 화재감지기가 올바르게 작동되고 있음을 판별하게 되고, 상기 화재감지신호와 ID를 결합한 차량별 화재감지신호를 주방송장치로 전송하게 되는 화재검출정보전송단계(S30)를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 방법의 전 과정을 마치게 된다.
상기 주방송장치로 전송된 상기 차량별 화재감지신호에 따라 어느 차량에서 화재가 발생했는지가 파악되면, 상기 주방송장치는 수동방송으로 각 열차의 스피커에 화재가 발생했음을 알리게 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장치는 서로간의 장치들을 통합하여 어느 하나의 장치가 고장이 발생하여도 그에 대한 문제점 을 즉각 해결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어 안정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 시스템은 스피커 및 화재검출기의 상태정보를 통하여 고장 진단 및 화재 검출 등 유용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으며 운영자로 하여금 유지보수, 수리, 시험 및 검증을 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 시스템은 모듈화 구조 및 공간절약형 구조로 되어 있으며, 시스템 인터페이스가 간결하고 확장성이 용이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 시스템의 차량방송장치(100)는 추후 설치되는 장치와도 연동가능하고 유지보수가 쉬우며, 무엇보다도 통합된 시스템과 실시간으로 노이즈 검출, 화재감지, 고장유무 상태 정보를 확인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 시스템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13)

  1. 전동차의 각 객실 벽면에 매설되어 있으며, 음성재생과 소음측정 및 화재검출을 위한 장치들과 서로 전선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장치들의 제어 및 장치들로부터 전송된 신호들을 연산하는 차량방송장치(100)와;
    전동차 객실 내부에 설치되어 음성신호를 재생하며 소음값을 입력하는 실내스피커(120)와, 전동차 외부에 설치되는 실외스피커(130)로 구성되는 스피커와;
    그 일측에 상기 차량방송장치(100)와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에 스피커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차량방송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음성데이터를 전달받아 증폭한 후 출력을 높이고 노이즈가 감소된 음성데이터를 스피커로 전달하는 앰프(106)와;
    화재감지센서를 부착하고 있어, 상기 차량방송장치(100)가 화재임을 감지하도록 객실 내의 대기상태를 측정하여 그 데이터를 상기 차량방송장치(100)로 전송하는 화재감지기(110)와;
    상기 차량방송장치(100)에서 각 장치를 제어하도록, 열차의 각 차량방송장치(100)로부터 전송되어지는 차량별신호로 해당 차량방송장치(100)에 명령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차량방송장치(100)에 전송하는 주방송장치(10)로 구성되어 있어, 해당 차량방송장치(100)의 스피커 고장유무 및 음량조절, 화재감지기 고장유무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방송장치(100)는 그 일측에 입력버튼(150)을 더 구성하고 있어, 상기 차량방송장치(100)의 ID 입력, 기능설정, 스피커의 볼륨조절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버튼은, ID입력을 위한 차량설정버튼과;
    음량설정을 위한 음량설정버튼과;
    기능테스트를 위한 기능설정버튼과;
    상기 차량설정버튼, 음량설정버튼, 기능설정버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레벨조절을 행하는 레벨조절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 시스템.
  4. 제 2항 혹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방송장치(100)는 그 일측에 화면부를 더 구성하고 있어, 상기 입력버튼(150)의 스위치 조작 상태를 디스플레이 해주며 기능 테스트 시 LED를 통하여화재감지기와 스피커의 정상동작 혹은 고장발생 유무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스피커(120)는 상기 차량방송장치(100)와 추가적으로 인터페이스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방송장치(100)는, 각 장치들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연산 및 변환시킨 후 상기 주방송장치(10)로 전달하며, 상기 주방송장치(10)로부터 전송된 신호로 각 장치들을 동작 제어하는 중앙제어부(101)와;
    상기 중앙제어부(101)가 상기 입력버튼의 데이터 값을 입력받고 그 상태가 화면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입력버튼의 데이터 값을 상기 중앙제어부(101)로 전송하는 버튼입력 및 표시제어부(102)와;
    상기 중앙제어부(101)의 차량상태정보를 주방송장치(10)로 전달하며, 상기 주방송장치로부터 전달된 음성신호 및 제어신호를 중앙제어부(101)로 전달하는 주방송장치 인터페이스부(103)와;
    상기 차량방송장치(100) 및 그와 연결되어 있는 스피커, 화재감지기, 화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4)와;
    그 일측에 중앙제어부(101)와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에 화재감지부에 연결되 도록 인터페이스 되어있어, 화재감지센서의 측정데이터를 전송받아 디지털신호인 화재감지신호로 변환시킨 후 중앙제어부(101)로 전송하는 화재감지기 제어부(105)와;
    객실 내의 실내스피커(120)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형태의 노이즈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중앙제어부(101)로 전송하는 노이즈 제어부(10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방송장치(100)는 화재감지기의 작동상태를 초기화하도록 전원차단과 재기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 시스템.
  8. 중앙제어부(101)의 음성정보 수신 유무를 확인 한 후 음성정보가 있으면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방송상태확인단계(S10)와;
    상기 방송상태확인단계(S10)에서, 음성정보가 없어 스피커에 출력시킬 방송이 없으면(S11), 상기 중앙제어부(101)는 실내스피커(120)를 제어하여 실내의 소음값을 입력받는 노이즈검출단계(S20)와;
    상기 중앙제어부(101)에서 노이즈값으로 판명되면(S21) 차량방송장치(100)는 스피커의 음량을 조절하도록 음량조절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피커볼륨조절단계(S30) 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볼륨조절단계(S30)는 차량방송장치(100)에서 생성된 음량조절데이터로 음성신호의 음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앰프(106)를 제어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감지단계(S21)에서 노이즈정보를 전송하지 않은 스피커가 발생하면, 상기 중앙제어부(101)는 기 저장되어 있는 차량방송장치(100)의 해당ID와 상기 스피커고장정보를 결합한 차량별 스피커고장신호를 주방송장치(10)로 전송하는 특징을 갖는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볼륨조절단계(S30)를 수행한 후 다시 방송상태확인단계(S10)로 되돌아가 방송을 위한 음성신호가 있는지를 판별하여 실시간으로 노이즈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 방법.
  12. 전원부(104)의 전원 공급에 의해 작동되는 차량방송장치(100)가 화재감지기를 작동시켜 화재감지센서가 열차 내의 대기상태를 검출하는 화재감지기 작동단계(S10)와; 상기 화재감지센서의 화재감지에 의해(S12), 상기 화재감지기 제어부(105)에서 디지털신호인 화재감지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제어부(101)로 전달하고, 상기 화재감지기를 초기화시키는 화재감시기 초기화단계(S20)와; 상기 화재감지기를 초기화 시킨 후, 다시 화재감지센서가 화재감지를 하게 되면(S21), 상기 화재감지기 제어부(105)에서 디지털신호인 화재감지신호로 변환하고 중앙제어부(101)로 전달되고, 상기 화재감지신호와 ID를 결합한 차량별 화재감지신호를 주방송장치로 전송하게 되는 화재검출정보전송단계(S30)의 단계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주방송장치(10)로 전송된 상기 차량별 화재감지신호에 따라 화재가 발생한 해당 차량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시기 초기화단계(S20) 후 다시 화재감지센서가 화재감지를 하지 않게 되면(S21), 상기 중앙제어부(101)는 예외동작신호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로그파일을 생성하는 예외처리단계(S22)를 더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 방법.
  13. 삭제
KR1020060079390A 2006-08-22 2006-08-22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87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390A KR100787962B1 (ko) 2006-08-22 2006-08-22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390A KR100787962B1 (ko) 2006-08-22 2006-08-22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7962B1 true KR100787962B1 (ko) 2007-12-24

Family

ID=39147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9390A KR100787962B1 (ko) 2006-08-22 2006-08-22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79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1763B1 (ko) 2014-10-23 2016-05-1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사고시 여객 자동안내 시스템
CN113746584A (zh) * 2021-09-07 2021-12-03 青岛汉桦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轨道交通环境的车载乘客信息广播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202A (ko) * 1997-06-19 1999-01-15 김영환 자동음량 조절장치
KR20050006726A (ko) * 2003-07-10 2005-01-17 주식회사 탑시스템 디지털 화재감지기, 이를 이용한 통합화재감지시스템과화재판단방법
KR20060050300A (ko) * 2004-08-24 2006-05-19 샬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열차 자동 화재진압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202A (ko) * 1997-06-19 1999-01-15 김영환 자동음량 조절장치
KR20050006726A (ko) * 2003-07-10 2005-01-17 주식회사 탑시스템 디지털 화재감지기, 이를 이용한 통합화재감지시스템과화재판단방법
KR20060050300A (ko) * 2004-08-24 2006-05-19 샬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열차 자동 화재진압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9-002202
10-2005-0006726
10-2006-0050300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1763B1 (ko) 2014-10-23 2016-05-1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사고시 여객 자동안내 시스템
CN113746584A (zh) * 2021-09-07 2021-12-03 青岛汉桦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轨道交通环境的车载乘客信息广播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8815B2 (en) Remotely observable analysis for an elevator system
US8553902B2 (en) Multi-channel broadcasting system using digital matrix amplifi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946964B1 (ko) 실시간 pc 자가 진단을 이용한 방송의 상태 및 고장 유무의 판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KR20180001953A (ko) 오작동 방지 기능을 구비한 화재 감지 시스템
KR102096091B1 (ko) 진동 지진과 스피커 회선의 이상 자동감지 및 상시 비상 방송 가능 시스템
WO2006095804A1 (ja) 放送システムおよびスピーカ故障検査方法
KR100790812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통신 이상 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100738593B1 (ko) 철도, 지하철차량용 화재감지시스템.
KR100872868B1 (ko) 방송장비의 상호간 이상 체크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구내방송장치
KR100787962B1 (ko) 전동차 통합 차량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25485B1 (ko) 일체형 재난감지 스피커
KR100515091B1 (ko) 디지털 화재감지기, 이를 이용한 통합화재감지시스템과화재판단방법
KR100647233B1 (ko) 철도, 지하철차량용 화재감지시스템.
KR101894748B1 (ko) 로컬용 오디오 앰프 시스템
KR102015969B1 (ko) 승강장안전문용 안전 다중화 장치
KR101651084B1 (ko) 고장진단모듈을 탑재한 선박용 방송시스템 및 고장진단 방법
JPS6252699A (ja) 分離型感知器
KR102505979B1 (ko) 실시간 상황별 멀티섹션 방송이 가능한 네트웍 멀티미디어 이중화 시스템
KR200409382Y1 (ko) 철도, 지하철차량용 화재감지시스템.
KR20100117370A (ko)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
JP3957600B2 (ja) 火災受信機
KR20080079911A (ko) 화재 발신기의 발신위치 식별장치
WO2016174975A1 (ja) パッケージ型自動消火設備
KR200350113Y1 (ko) 통합방송시스템의 자동감지 디지털 중앙방송제어장치
JP2010028686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