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7825B1 -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 - Google Patents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7825B1
KR100787825B1 KR1020060046571A KR20060046571A KR100787825B1 KR 100787825 B1 KR100787825 B1 KR 100787825B1 KR 1020060046571 A KR1020060046571 A KR 1020060046571A KR 20060046571 A KR20060046571 A KR 20060046571A KR 100787825 B1 KR100787825 B1 KR 100787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underband
rim
food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6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2965A (ko
Inventor
한강회
Original Assignee
한강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강회 filed Critical 한강회
Priority to KR1020060046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7825B1/ko
Publication of KR20070112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2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7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7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걸림턱(30a)과 걸림편(41)이 회전방향의 기울기(ℓ)를 가지도록 하여 뚜껑(20)과 용기(10)의 긴밀한 조립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며, 뚜껑(20)의 하부 테두리(21)를 감쌀 수 있도록 수평후프(H1)와 수직후프(H2)로 어퍼밴드(40)를 완성함과 동시에 이들 수평후프(H1)와 수직후프(H2)가 서로 벌어지지 않도록(이완되지 않도록) 그 내면에 보강리브(R)를 유기적으로 부여함으로써 용기(10)와 뚜껑(10)의 긴밀한 결합은 물론이거니와 수명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으며, 뚜껑(20)의 하부 테두리(21)가 용기(10)의 상부 테두리(11)의 내주연에 전체적으로 인입되어 안착되도록 상부 테두리(11)의 직경보다 하부 테두리(21)의 직경을 작게 하면서 하부 테두리(21)에 씌워지는 패킹(P)을 포함토록 하여 유리로 된 뚜껑(20) 및 용기(20)의 파손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JAR FOR KEEPING FOODSTUFF}
도 1은 선출원된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에 적용된 용기와 뚜껑의 결합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선출원된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선출원된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에 적용된 용기와 뚜껑의 분리모습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선출원된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를 포함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선출원된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를 나타내는 요부 절개를 포함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용기 11 : 상부 테두리
20 : 뚜껑 21 : 하부 테두리
22 : 반구형 덮개부 23 : 구형 손잡이
23a : 오목홈 23b : 배기구멍
24 : 볼 30 : 언더밴드
30a : 걸림턱 30b : 안내로
30c : 나사홈 30d : 관통구멍
30e : 볼트 31 : 제 1 언더밴드
32 : 제 2 언더밴드 40 : 어퍼밴드
41 : 걸림편 50 : 패킹
H1 : 수평후프 H2 : 수직후프
R : 보강리브 P : 패킹
ℓ : 기울기 100 :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
본 발명은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뚜껑과 용기가 파손되지 않고 서로 긴밀한 조립을 이룰 수 있는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아리는 아래위가 좁고 배가 불룩 나온 질그릇으로 입·목 부분의 특징에 따라 입큰항아리·목긴항아리·목짧은항아리 등으로 나뉜다.
오늘날 알려진 가장 오래된 항아리는 점토로 제작하여 구운 항아리형 토기이고, 토기 발명 이후 최초로 만들어진 것은 아래보다 위가 약간 벌어진 주발모양 옹기가 발견되었다.
항아리의 제작과 사용은 농경시대 즉 인류가 정착하여 농사를 짓기 시작한 신석기시대부터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토기는 주발 등 음식물을 끓이거나 익히기 위한 도구로 발생하여 곡류 재배와 함께 종자보존의 필요성에서 항아리형 토기로 분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점차적으로 발전된 항아리는 식료품, 즉 김치를 보관하고 인삼, 도라지, 더덕, 산딸기 또는 국화 등과 같은 재료를 술과 함께 숙성시키는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항아리는 단지 용기와 뚜껑만으로 구성되어 외부 인에 의하여 뚜껑이 쉽게 분리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하여 식료품의 변질뿐만 아니라 이물질의 침투 등이 수시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노정되었으며 점토로 제작되어 그 내부의 변화과정을 특별히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2006.2.13.자로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10-2006-13756)를 출원한 바 있다.
도 1은 선출원된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에 적용된 용기와 뚜껑의 결합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선출원된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료품을 보관하는 용기(10)와, 이 용기(10)를 덮어주는 뚜껑(20)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도 2는 선출원된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선출원된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에 적용된 용기와 뚜껑의 분리모습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선출원된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100)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를 포함한 분해 사시도이다.
선출원된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의 상부 테두리(11)에 언더밴드(30)를 구비시키면서 이 언더밴드(30)와 체결될 수 있도록 뚜껑(20)의 하부 테두리(21)에 어퍼밴드(40)를 장착한다.
통상적으로 항아리의 재질이 점토임을 감안할 때 용기(10)와 뚜껑(20) 자체에 상호간의 결합을 위한 구성을 부여하기에는 그 파손 및 제작상의 어려움 등에 기인되어 극히 용이하지 않으며, 이를 고려하여 선출원에서는 언더밴드(30)와 어퍼 밴드(40)로서 뚜껑(20)과 용기(10)의 결합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언더밴드(30)와 어퍼밴드(40)를 제공함으로써 용기(10)의 상부 테두리(11) 및 뚜껑(20)의 하부 테두리(21)를 보호하는 작용이 추가로 구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용기(10)와 뚜껑(20)을 언더밴드(30)와 어퍼밴드(40)로서 체결함으로써 식료품에 대한 외부인의 무단 훼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선출원된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100)에 적용된 언더밴드(30)는 용기(10)의 상부 테두리(11)에 장착되며 그 외주연에 돌출되어 안내로(30b)를 제공하는 걸림턱(30a)을 구비하고, 다른 한편으로 어퍼밴드(40)는 뚜껑(20)의 하부 테두리(21)에 장착되며 그 내주연에 돌출되어 언더밴드(30)의 안내로(30b)를 경유하여 끼워진 후 회전에 의하여 걸림턱(30a)에 걸쳐져 체결되는 걸림편(41)을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뚜껑(20)의 하부 테두리(21)에 장착된 어퍼밴드(40)의 걸림턱(30a)이 용기(10)의 상부 테두리(11)에 장착된 언더밴드(30)의 안내로(30b)를 경유하여 끼워진 후 뚜껑(20)과 함께 어퍼밴드(40)를 돌리게 되면 걸림편(41)이 걸림턱(30a)에 걸쳐져 결합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언더밴드(30)는 제 1 언더밴드(31) 및 제 2 언더밴드(32)로 분할될 수 있으며, 이중 제 1 언더밴드(31)는 횡방향으로 2개 1조의 관통구멍(30d)이 뚫려지고, 제 2 언더밴드(32) 역시 횡방향으로 2개 1조의 나사홈(30c)이 뚫려지며, 이들 관통구멍(30d)을 경유하여 나사홈(30c)에 결합되는 볼트(30e)에 의하여 언더밴드(30)의 결합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선출원된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1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선출원된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100)에 적용된 뚜껑(2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의 상부 테두리(11)에 걸쳐지는 반구형 덮개부(22)를 구비하고, 이 덮개부(22)의 중앙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구형 손잡이(23)를 포함하며, 구형 손잡이(23)의 상부에는 오목홈(23a)이 함몰 성형되고, 이 오목홈(23a)의 중심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뚫려진 배기구멍(23b)을 구비함과 동시에 오목홈(23a)에 놓여져 배기구멍(23b)을 가로막는 볼(24)을 포함한다.
구형 손잡이(23)에 부여된 배기구멍(23b)은 용기(10) 속에 내장된 식료품으로부터 가스가 발생될 경우 자연스럽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경로가 되고, 오목홈(23a) 위에 놓여지는 볼(24)은 용기(10) 속의 공기압이 작을 경우에는 배기구멍(23b)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지만 용기(10) 속의 공기압이 클 경우에는 볼(24)을 살짝 밀어내면서 가스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일종의 숨쉬는 구멍의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선출원된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100)는 용기(10)와 뚜껑(20)을 유리로 제작한다.
보통의 항아리는 점토로 이루어져 둔탁한 질감을 보여주지만 선출원의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100)는 유리로 제작되어 그 내용물, 즉 식료품에 대한 숙성과정 내지는 보관상태를 육안으로 판별할 수 있도록 하여 특히 바람직하고, 더욱이 이러한 외부 식별기능을 십분 활용하여 필요에 따라서 내용물(식용색소 등을 투여한 음료 등)을 적절히 배합하여 장식미까지 연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선출원된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100)는 용기(10)의 상부 테두리(11)에 패킹(50)을 씌워 그 기밀성을 함께 보장하면서 파손의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선출원된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100)의 결합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기(10)의 상부 테두리(11)에 패킹(50)을 끼우고 제 1 언더밴드(31) 및 제 2 언더밴드(32)를 씌우면서 관통구멍(30d)과 나사홈(30c)에 볼트(30e)를 끼워 체결함으로써 언더밴드(30)의 결합을 완료한다.
그리고, 뚜껑(20)의 하부 테두리(21)에 어퍼밴드(40)를 장착되도록 한 후 구형 손잡이(23)를 파지하면서 걸림편(41)이 언더밴드(30)의 안내로(30b)를 따라 끼워지도록 함과 동시에 뚜껑(20)을 조금 회전시켜 걸림편(41)이 걸림턱(30a)에 걸쳐지도록 함으로써 용기(10)와 뚜껑(20)의 체결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선출원된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1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30a)과 걸림편(41)이 서로 수평상태로 맞물리도록 돌출 성형되므로 인하여 상호 결합시 유격이 발생되어 결국 뚜껑(20)과 용기(10)의 긴밀한 조립을 실현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용기(10)와 뚜껑(20)이 유리로 제작될 경우 구형 손잡이(23)를 잡고 들어 올리려고 할 때 뚜껑(20)과 용기(10) 상호간의 유격으로 인하여 덜커덩거려 쉽게 깨지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빈번 하였다.
또한, 선출원된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100)는 용기(10)의 상부 테두리(11)에 뚜껑(20)의 하부 테두리(21)가 걸쳐져 조립되면서 상부 테두리(11)에 패킹(50)이 씌워지므로 인하여 도 5의 부분 확대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리로 된 뚜껑(20)의 하단이 용기(10)의 상부 테두리(11) 내주연에 직접 마찰되어 빈번히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용기(10) 속의 내용물을 꺼내기 위하여 뚜껑(20)을 다른 위치로 내려놓을 경우 뚜껑(20)의 하부 테두리(21)가 바닥 등에 부딪혀 유리 성질의 특성상 쉽게 깨지는 단점을 안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뚜껑과 용기가 파손되지 않고 서로 긴밀한 조립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식료품을 보관하는 용기의 상부 테두리에 장착된 언더밴드와, 상기 용기를 덮어주는 뚜껑의 하부 테두리에 장착되어 상기 언더밴드와 체결되는 어퍼밴드를 포함하는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에 있어서,
상기 언더밴드의 외주연에 돌출되어 안내로를 제공하면서 회전방향으로 기울 기를 갖는 걸림턱과,
상기 어퍼밴드의 내주연에 돌출되어 상기 언더밴드의 안내로를 경유하여 끼워진 후 회전에 의하여 상기 걸림턱에 슬라이딩 체결되도록 회전방향으로 기울기를 갖는 걸림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선출원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며 설명상의 번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그 구체적인 기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를 나타내는 요부 절개를 포함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1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료품을 보관하는 용기(10)와, 이 용기(10)를 덮어주는 뚜껑(20)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그리고, 용기(10)의 상부 테두리(11)에 언더밴드(30)를 구비시키면서 이 언더밴드(30)와 체결될 수 있도록 뚜껑(20)의 하부 테두리(21)에 어퍼밴드(40)를 장착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100)에 적용된 언더밴 드(30)는 용기(10)의 상부 테두리(11)에 장착되며 그 외주연에 돌출되어 안내로(30b)를 제공하는 걸림턱(30a)을 구비하고, 다른 한편으로 어퍼밴드(40)는 뚜껑(20)의 하부 테두리(21)에 장착되며 그 내주연에 돌출되어 언더밴드(30)의 안내로(30b)를 경유하여 끼워진 후 회전에 의하여 걸림턱(30a)에 걸쳐져 체결되는 걸림편(41)을 포함한다.
이때, 걸림턱(30a)은 언더밴드(30)의 외주연에 돌출되어 안내로(30b)를 제공하면서 회전방향으로 기울기(ℓ)를 가지도록 설계되며, 걸림편(41)은 어퍼밴드(40)의 내주연에 돌출되어 언더밴드(30)의 안내로(30b)를 경유하여 끼워진 후 회전에 의하여 걸림턱(30a)에 슬라이딩 체결되도록 회전방향으로 기울기(ℓ)를 갖도록 설계된다.
이와 같이, 걸림턱(30a)과 걸림편(41)이 상호 회전방향의 기울기(ℓ)를 구비함으로써 상호 회전 결합시 유격이 전혀 발생치 않아 뚜껑(20)과 용기(10)의 긴밀한 조립을 보장할 수 있게 되고, 특히 용기(10)와 뚜껑(20)이 유리로 제작되는 경우를 상정하더라도 뚜껑(20)과 용기(10) 자체의 긴밀한 결합이 가능하여 구형 손잡이(23)를 잡고 들어 올리더라도 덜커덩거리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깨지거나 파손되지 않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100)에 적용된 어퍼밴드(40)는 뚜껑(20)의 하부 테두리(21)를 감쌀 수 있도록 수평후프(H1)와 수직후프(H2)로 이루어지고, 이들 수평후프(H1)와 수직후프(H2)가 수직으로 만나는 내면에는 보강리브(R)가 형성되어 견고함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뚜껑(20)과 용기(10)가 유리로 제작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어퍼밴드(40) 및 언더밴드(30)를 합성수지로 제작하여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할 경우 뚜껑(20)의 하부 테두리(21)를 감쌀 수 있도록 수평후프(H1)와 수직후프(H2)라는 구조를 가지는 어퍼밴드(40)를 완성할 수 있으며, 이들 수평후프(H1)와 수직후프(H2)가 서로 벌어지지 않도록(잦은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이완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그 내면에 보강리브(R)를 유기적으로 부여함으로써 용기(10)와 뚜껑(10)의 긴밀한 결합은 물론이거니와 수명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100)는 뚜껑(20)의 하부 테두리(21)가 용기(10)의 상부 테두리(11)의 내주연에 전체적으로 인입되어 안착되도록 상부 테두리(11)의 직경보다 하부 테두리(21)의 직경을 작게 하면서 하부 테두리(21)에 씌워지는 패킹(P)을 포함토록 설계하여 유리로 된 뚜껑(20) 및 용기(20)의 파손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7의 부분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의 상부 테두리(11)의 직경보다 하부 테두리(21)의 직경을 작게 하여 뚜껑(20)의 하부 테두리(21)가 용기(10)의 상부 테두리(11)의 내주연에 전체적으로 인입되어 안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하부 테두리(21)에 패킹(P)을 씌움으로써 유리로 된 뚜껑(20)의 하단이 패킹(P)에 의하여 상부 테두리(11)의 내주연에 전혀 마찰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용기(10) 속의 내용물을 꺼내기 위하여 뚜껑(20)을 바닥에 내려놓더라도 뚜껑(20)의 하부 테두리(21)가 패킹(P)에 의하여 보호되어 깨지거나 파손되는 현상 역시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언더밴드(30)는 제 1 언더밴드(31) 및 제 2 언더밴드(32)로 분할될 수 있으며, 이중 제 1 언더밴드(31)는 횡방향으로 2개 1조의 관통구멍(30d)이 뚫려지고, 제 2 언더밴드(32)는 횡방향으로 2개 1조의 나사홈(30c)이 뚫려지며, 이들 관통구멍(30d)을 경유하여 나사홈(30c)에 결합되는 볼트(30e)에 의하여 언더밴드(30)의 결합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100)의 결합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기(10)의 상부 테두리(11)에 제 1 언더밴드(31) 및 제 2 언더밴드(32)를 씌우면서 관통구멍(30d)과 나사홈(30c)에 볼트(30e)를 끼워 체결함으로써 언더밴드(30)의 결합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뚜껑(20)의 하부 테두리(21)에 패킹(P)을 끼우면서 어퍼밴드(40)를 장착되도록 한 후 구형 손잡이(23)를 파지하면서 걸림편(41)이 언더밴드(30)의 안내로(30b)를 따라 끼워지도록 함과 동시에 뚜껑(20)을 조금 회전시켜 걸림편(41)이 걸림턱(30a)에 기울기(ℓ)를 따라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용기(10)와 뚜껑(20)의 긴밀한 체결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100)는 걸림턱(30a)과 걸림편(41)이 회전방향의 기울기(ℓ)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뚜껑(20)과 용기(10) 의 긴밀한 조립 및 슬라이딩 조립을 실현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뚜껑(20)의 하부 테두리(21)를 감쌀 수 있도록 수평후프(H1)와 수직후프(H2)라는 구조로서 어퍼밴드(40)를 완성함과 동시에 이들 수평후프(H1)와 수직후프(H2)가 서로 벌어지지 않도록 그 내면에 보강리브(R)를 유기적으로 부여함으로써 용기(10)와 뚜껑(10)의 긴밀한 결합은 물론이거니와 수명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뚜껑(20)의 하부 테두리(21)가 용기(10)의 상부 테두리(11)의 내주연에 전체적으로 인입되어 안착되도록 상부 테두리(11)의 직경보다 하부 테두리(21)의 직경을 작게 하면서 하부 테두리(21)에 씌워지는 패킹(P)을 포함토록 하여 유리로 된 뚜껑(20) 및 용기(20)의 파손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용기(10)의 상부 테두리(11)의 직경보다 하부 테두리(21)의 직경을 작게 하여 뚜껑(20)의 하부 테두리(21)가 용기(10)의 상부 테두리(11)의 내주연에 전체적으로 인입되어 안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하부 테두리(21)에 패킹(P)을 씌움으로써 유리로 된 뚜껑(20)의 하단이 패킹(P)에 의하여 상부 테두리(11)의 내주연에 전혀 마찰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아울러 용기(10) 속의 내용물을 꺼내기 위하여 뚜껑(20)을 바닥에 내려놓더라도 뚜껑(20)의 하부 테두리(21)가 패킹(P)에 의하여 보호되어 깨지거나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식료품을 보관하는 용기(10)의 상부 테두리(11)에 장착된 언더밴드(30)와, 상기 용기(10)를 덮어주는 뚜껑(20)의 하부 테두리(21)에 장착되어 상기 언더밴드(30)와 체결되는 어퍼밴드(40)와, 상기 언더밴드(30)의 외주연에 돌출되어 안내로(30b)를 제공하면서 회전방향으로 기울기(ℓ)를 갖는 걸림턱(30a)과, 상기 어퍼밴드(40)의 내주연에 돌출되어 상기 언더밴드(30)의 안내로(30b)를 경유하여 끼워진 후 회전에 의하여 상기 걸림턱(30a)에 슬라이딩 체결되도록 회전방향으로 기울기(ℓ)를 갖는 걸림편(41)을 포함하는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100)에 있어서,
    상기 어퍼밴드(40)는 상기 뚜껑(20)의 하부 테두리(21)를 감쌀 수 있도록 수평후프(H1)와 수직후프(H2)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후프(H1)와 수직후프(H2)가 수직으로 만나는 내면에 형성된 보강리브(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의 하부 테두리(21)가 상기 용기(10)의 상부 테두리(11)의 내주연에 전체적으로 인입되어 안착되도록 상기 상부 테두리(11)의 직경보다 상기 하부 테두리(21)의 직경을 작게 하면서 상기 하부 테두리(21)에 씌워지는 패킹(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100).
  3. 삭제
KR1020060046571A 2006-05-24 2006-05-24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 KR100787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571A KR100787825B1 (ko) 2006-05-24 2006-05-24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571A KR100787825B1 (ko) 2006-05-24 2006-05-24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2965A KR20070112965A (ko) 2007-11-28
KR100787825B1 true KR100787825B1 (ko) 2007-12-21

Family

ID=39091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6571A KR100787825B1 (ko) 2006-05-24 2006-05-24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782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955Y1 (ko) 2005-06-09 2005-10-18 이강복 식품 용기의 뚜껑 결합구조
KR200415129Y1 (ko) 2006-02-13 2006-04-27 한강회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955Y1 (ko) 2005-06-09 2005-10-18 이강복 식품 용기의 뚜껑 결합구조
KR200415129Y1 (ko) 2006-02-13 2006-04-27 한강회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2965A (ko) 200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66151B (zh) 食品罐
US20060032860A1 (en) Container with lid prop and/or lid latch
KR100787825B1 (ko)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
KR200423653Y1 (ko)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
KR100980768B1 (ko) 이중용기
KR200449757Y1 (ko) 음료 용기
KR200415129Y1 (ko)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
KR100724113B1 (ko)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
JP2006321540A (ja) 飲料用ボトル
WO2004024585A1 (en) Closing stopper for containers
KR20090008895U (ko) 식품용기의 결합구조
JP4708774B2 (ja) 複合式容器
KR100920184B1 (ko) 용기 밀폐용 진공펌프
KR100606603B1 (ko) 밀폐성이 개선된 진공용기
KR20050081341A (ko) 용량가변 밀폐용기
KR200426745Y1 (ko) 식료품 보관용 항아리
CA3083908A1 (en) Freshness plug
KR200483477Y1 (ko) 김치용 밀폐용기
KR200380070Y1 (ko) 식품보관용 개폐구조
KR100716060B1 (ko) 발효식품 저장용기의 뚜껑
KR200385832Y1 (ko) 실링지를 이용한 식품보관용 밀폐구조
KR200363580Y1 (ko) 용이한 성형 및 밀폐구조를 갖는 음료뚜껑
KR102096907B1 (ko) 손잡이가 조립되는 마개
KR200420267Y1 (ko) 용기와 뚜껑의 결합구조.
KR200415293Y1 (ko) 수납공간을 갖은 음료용 병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