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6060B1 - 발효식품 저장용기의 뚜껑 - Google Patents

발효식품 저장용기의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6060B1
KR100716060B1 KR1020060003000A KR20060003000A KR100716060B1 KR 100716060 B1 KR100716060 B1 KR 100716060B1 KR 1020060003000 A KR1020060003000 A KR 1020060003000A KR 20060003000 A KR20060003000 A KR 20060003000A KR 100716060 B1 KR100716060 B1 KR 100716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gas
pressur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3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9044A (ko
Inventor
강석동
김태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엔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엔씨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엔씨테크
Priority to KR1020060003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6060B1/ko
Publication of KR20060009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9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8Ground anchors anchored by using exclusively a bond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 식품이 저장되는 용기에 결합되어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발효식품 저장용기의 뚜껑이 개시된다.
종래에는 뚜껑에 가스 압력에 의해 작용하는 볼이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배출구를 개방하도록 한 발효용 용기 뚜껑이 있으나, 이는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제조 코스트가 상승되며 작동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높이가 낮게 원호모양으로 형성된 상면부의 가장자리 저면에는 용기의 개구부에 밀착되도록 외측면에 경사부를 가지는 밀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부의 가장자리에는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측면부의 내측에 용기의 개구부에 분리 가능케 결합하도록 나사부를 형성한 뚜껑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의 외측 가장자리와 측면부의 사이에는 내부 가스의 압력에 의해 상면부가 상측으로 변형된 후 가스 압력이 해제되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안내하는 작동부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 저장용기의 뚜껑을 제공한다.
따라서 용기 내부의 가스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으로 되거나 일정 압력 이하로 될 때 작동부에 의해 뚜껑의 상면부 및 밀착돌기가 원활하게 작동됨으로써 용기 내부의 가스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용기 또는 뚜껑의 손상이 방지되고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된다.
발효, 식품, 뚜껑, 가스, 배출

Description

발효식품 저장용기의 뚜껑{CAP FOR CONTAIN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발효식품 저장용기의 뚜껑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발효식품 저장용기의 뚜껑을 도시한 결합 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발효식품 저장용기의 뚜껑을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효식품 저장용기의 뚜껑를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용기 11: 개구부
20: 뚜껑 21: 측면부
23: 상면부 24: 작동부
25: 밀착돌기 25a,25b: 경사부
본 발명은 발효식품 저장용기의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효식품을 저장할 때 발효식품에서 발생되는 가스 등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발효식품 저장용기의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장, 된장, 고추장, 청국장 등의 장류와, 김치, 주류, 젓갈류, 식초, 식혜 등의 발효식품들은 우리나라 고유의 발효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예전에 이와 같은 발효식품들은 가정에서 직접 만들어서 항아리 등의 용기에 저장하였으나, 근래에는 시간 상의 제약은 물론 제조가 까다롭고 어려운 등의 이유로 전문적인 제조공장에서 대량으로 제조한 후 유통을 통하여 소비자가 간편하게 구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제조된 발효식품은 합성수지 또는 유리재질의 용기에 저장되고, 이 용기에는 합성수지재의 뚜껑이 결합되어 유통되는데, 유통 중에 발효과정에서 발생된 가스의 압력에 의해 뚜껑의 결합 상태가 이완 되거나 내용물이 누출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59302호로 발효용 용기 뚜껑이 제안되어 있는데, 이는 뚜껑에 가스배출구 형성하고, 이 가스배출구의 내측에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볼을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유통 중에 용기의 내측에서 발생되는 가스의 압력에 따라 볼이 스프링을 누르면서 가스배출구를 개방함으로써 가스가 배출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조립 등의 공수를 필요로 하여 코스트를 상승시키는 한 요인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가스를 배출시키는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뚜껑에 형성된 상면부 및 밀착돌기가 용기의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의 압력이 적정 압력 이상으로 되면 변형되어 외부로 가스를 배출시키고 압력이 해제되면 가스의 배출이 차단되도록 하는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내용물의 누출이나 뚜껑의 이완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발효식품 저장용기의 뚜껑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효식품 저장용기의 뚜껑은,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높이가 낮게 원호모양으로 형성된 상면부의 가장자리 저면에는 용기의 개구부에 밀착되도록 외측면에 경사부를 가지는 밀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부의 가장자리에는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측면부의 내측에 용기의 개구부에 분리 가능케 결합되도록 나사부를 형성한 뚜껑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의 외측 가장자리와 측면부의 사이에는 내부 가스의 압력에 의해 상면부가 상측으로 변형된 후 가스 압력이 해제되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안내하는 작동부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 내부의 가스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으로 되거나 일정 압력 이하로 될 때 작동부에 의해 뚜껑의 상면부 및 밀착돌기가 원활하게 작동됨으로써 용기 내부의 가스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용기 또는 뚜껑의 손상이 방지되고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발효식품 저장용기의 뚜껑을 도시한 분리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용기(10)의 상측에는 뚜껑(2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용기(10)는 상측에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11)의 외주면에는 나사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10)는 유리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11)의 나사부(12)와 결합되도록 측면부(21)의 내측면에 나사부(22)가 형성되어 있고, 상측에는 상면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면부(23)는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원호 모양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부(21)와 상면부(23)의 사이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는 작동부(2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면부(23)의 가장자리에 저면에는 용기(10)의 개구부(11)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돌기(25)가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밀착돌기(25)는 외측 면에 개구부(11) 내측 면에 밀착되도록 경사부(25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밀착돌기(25)는 상면부(23)의 중앙부가 낮아지도록 원호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출 성형 후에 외측으로 탄성력을 가지게 됨으로써 용기(10)의 개구부(11)에 결합된 후에는 개구부(11)의 상부 내측 면과 더욱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밀착돌기(25)에 형성된 경사부(25a)는 하나를 형성하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착돌기(25)의 외측 면에 복수 개의 경사부(25a)(25b)를 다단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1) 및 뚜껑(20)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다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발효식품 저장용기의 뚜껑은 용기(10)의 내측에 발효 식품을 투입하여 저장한 상태에서 개구부(11)에 뚜껑(20)을 결합한 후 보관하거나 유통시키게 된다.
이때 보관중이거나 유통 중에서 식품의 발효 작용에 의해 용기(10)의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되면 도 3에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20)의 상면부(23) 저면에 압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 압력은 상기 상면부(23)를 들어올리게 됨으로써 밀착돌기(25)가 내측으로 변형되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11)의 상단 내측 모서리면과 밀착돌기(25)의 경사부(25a) 간에 간격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 간격을 통하여 용기(10)의 내부에서 발생된 발효 가스가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용기(10)의 개구부(11)와 뚜껑(20)의 밀착돌기(25) 사이 간격을 통하여 용기(10) 내에서 발생된 가스의 배출이 이루어지면 다시 상기 상면부(23)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밀착돌기(25)의 경사부(25a)와 개구부(11)의 상단 내측 모서리면이 밀착됨으로써 가스 및 내용물의 누출이 차단되고, 이후에 용기(10)의 내부에서는 원활하게 발효 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면부(23) 및 밀착돌기(25)의 복원 작용은 상면부(23)가 내부 압력에 의해 상승된 후 가스의 배출에 의하여 내부 압력이 해제되면 상면부(23)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작동부(24)에 의해 더욱 용이하게 원 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 내부의 가스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으로 되거나 일정 압력 이하로 될 때 작동부에 의해 뚜껑의 상면부 및 밀착돌기가 원활하게 작동됨으로써 용기 내부의 가스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용기 또는 뚜껑의 손상이 방지되고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높이가 낮게 원호모양으로 형성된 상면부의 가장자리 저면에는 용기의 개구부에 밀착되도록 외측면에 경사부를 가지는 밀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부의 가장자리에는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측면부의 내측에 용기의 개구부에 분리 가능케 결합하도록 나사부를 형성한 뚜껑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의 외측 가장자리와 측면부의 사이에는 내부 가스의 압력에 의해 상면부가 상측으로 변형된 후 가스 압력이 해제되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안내하는 작동부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 저장용기의 뚜껑.
  2. 삭제
  3. 삭제
KR1020060003000A 2006-01-09 2006-01-09 발효식품 저장용기의 뚜껑 KR100716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000A KR100716060B1 (ko) 2006-01-09 2006-01-09 발효식품 저장용기의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000A KR100716060B1 (ko) 2006-01-09 2006-01-09 발효식품 저장용기의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044A KR20060009044A (ko) 2006-01-27
KR100716060B1 true KR100716060B1 (ko) 2007-05-08

Family

ID=37119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000A KR100716060B1 (ko) 2006-01-09 2006-01-09 발효식품 저장용기의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60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261B1 (ko) * 2014-10-31 2015-10-13 김무철 발효 음료 용기의 뚜껑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19788A2 (en) 1983-03-14 1984-09-26 Metal Closures Group Plc Improvements relating to closures
JP2004217292A (ja) * 2003-01-17 2004-08-05 Alcoa Closure Systems Japan Ltd キャップ、閉止装置および容器詰め飲料
JP2005170473A (ja) * 2003-12-12 2005-06-30 Alcoa Closure Systems Japan Ltd 合成樹脂製キャップ、閉止装置、および容器詰め飲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19788A2 (en) 1983-03-14 1984-09-26 Metal Closures Group Plc Improvements relating to closures
JP2004217292A (ja) * 2003-01-17 2004-08-05 Alcoa Closure Systems Japan Ltd キャップ、閉止装置および容器詰め飲料
JP2005170473A (ja) * 2003-12-12 2005-06-30 Alcoa Closure Systems Japan Ltd 合成樹脂製キャップ、閉止装置、および容器詰め飲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044A (ko) 200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768B1 (ko) 뚜껑 부재 및 이 뚜껑 부재를 구비하는 용기
KR100752223B1 (ko) 밀폐의 편리성을 증진시킨 친환경적 다목적용 밀폐뚜껑
CN108502347B (zh) 食品罐
KR101807359B1 (ko) 발효식품 보관 용기
KR100716060B1 (ko) 발효식품 저장용기의 뚜껑
KR100957526B1 (ko) 밀폐용 용기 뚜껑
KR200477513Y1 (ko) 발효 식품 밀폐 용기
KR100556608B1 (ko) 용량가변 밀폐용기
KR0164651B1 (ko) 김치 진공포장용기 뚜껑
KR200451620Y1 (ko) 체크 밸브
US20070007163A1 (en) Container and a lock therefor
KR101187030B1 (ko) 보관용기
KR20150004669U (ko) 식품 저장용 진공 용기
CN205801937U (zh) 用于连接盒体和盖子的连接部件
KR200308962Y1 (ko) 가스의 배출구조를 갖는 용기 덮개
KR200385832Y1 (ko) 실링지를 이용한 식품보관용 밀폐구조
KR200385831Y1 (ko) 실링지를 이용한 식품보관용 밀폐구조
KR200478706Y1 (ko) 식품 용기용 체크 밸브장치
KR100886171B1 (ko) 용기
CN214002670U (zh) 一种容器密封盖
CN205470322U (zh) 一种双层陶瓷储物罐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KR101622918B1 (ko) 다층 밀폐용기
KR200380071Y1 (ko) 실링지를 이용한 식품보관용 밀폐구조
KR101552621B1 (ko) 통풍구조를 갖는 투명한 덮개사용 과일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