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6682B1 - 디퓨져와 이를 갖는 환기장치 및 그 환기장치의운전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퓨져와 이를 갖는 환기장치 및 그 환기장치의운전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682B1
KR100786682B1 KR1020060095730A KR20060095730A KR100786682B1 KR 100786682 B1 KR100786682 B1 KR 100786682B1 KR 1020060095730 A KR1020060095730 A KR 1020060095730A KR 20060095730 A KR20060095730 A KR 20060095730A KR 100786682 B1 KR100786682 B1 KR 100786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er
air volume
diffusers
flow rate
venti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5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용
박상호
이동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5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6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의 환기를 위한 환기장치에 풍량조절이 가능한 디퓨져를 복수 개 연결하여 넓은 공간을 환기시키기 위한 것으로, 환기장치에 연결되는 각 디퓨져에 풍량조절을 위한 풍량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특정공간의 풍량이 변하여도 다른 공간의 풍량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개선된 디퓨져와 이를 갖는 환기장치 및 그 환기장치의 운전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환기장치에 복수의 디퓨져를 연결하여 운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퓨져 중 적어도 하나의 디퓨져에서 풍량위치가 조절되었는지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결과 상기 복수의 디퓨져 중 적어도 하나의 디퓨져에서 풍량위치가 조절된 것으로 판단되면, 조절된 각 디퓨져의 풍량위치를 환기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전송된 각 디퓨져의 풍량위치에 따라 상기 환기장치의 팬 회전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퓨져와 이를 갖는 환기장치 및 그 환기장치의 운전제어방법{Diffuser and ventil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of ventilat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환기장치에 복수의 디퓨져를 연결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디퓨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환기장치와 디퓨져를 연동하여 운전하기 위한 제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장치와 디퓨져를 연동하여 운전하는 방법의 동작 흐름도,
도 5의 (a)는 종래 일반 디퓨져와 환기장치를 연동하여 운전시킨 경우, 해당 디퓨져의 풍량조절에 따른 나머지 디퓨져의 운전풍량을 나타낸 표,
도 5의 (b)는 본 발명의 디퓨져와 환기장치를 연동하여 운전시킨 경우, 해당 디퓨져의 풍량조절에 따른 나머지 디퓨져의 운전풍량을 나타낸 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환기장치 12 : 환기제어부
14 : 팬 20 : 디퓨져
23 : 급기구 24,25,26 : 위치센서
27 : 풍량위치조절부 30 : 덕트
40 : 통신선
본 발명은 실내의 환기를 위한 환기장치에 풍량조절이 가능한 디퓨져를 복수 개 연결하여 넓은 공간을 환기시키는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디퓨져의 풍량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특정공간의 풍량이 변하여도 다른 공간의 풍량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개선된 디퓨져와 이를 갖는 환기장치 및 그 환기장치의 운전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이나 사무실 등의 밀폐된 공간에서는 사람의 호흡에 의해 시간이 지나면서 이산화탄소(CO2)의 함량이 증가하게 되어 공기가 탁해지고, 이로 인해 사람의 호흡에 지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고 실외의 쾌적한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켜 실내공기를 환기시키는 환기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여름이나 겨울철에 실내외 공기의 온도차가 클 경우 환기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손실을 줄이기 위해 전열교환소자를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전열교환소자를 채용한 환기장치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3-0063856호가 있다.
최근에는 보다 넓은 공간(또는 독립된 공간)을 환기시키기 위해 환기장치에 풍량조절이 가능한 디퓨져를 복수 개 연결하고 있으며, 디퓨져는 환기장치에서 발생된 공기의 풍량을 원하는 공간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덕트를 통해 환기장치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환기장치에 복수의 디퓨져가 연결된 경우 사용자가 하나의 디퓨져 풍량을 조절하면, 풍량조절을 하지 않은(제어대상이 아닌) 다른 디퓨져의 운전풍량도 함께 증가 또는 감소하게 되어 환기효율이나 소음이 사용자 의도와는 상관없이 변화한다. 이는 각 디퓨져의 풍량조절에 관계없이 환기장치에서 일정한 풍량을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환기장치에 연결되는 각 디퓨져에 풍량조절을 위한 풍량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특정 디퓨져의 풍량을 조절하여도 풍량조절을 하지 않은 다른 디퓨져에서는 풍량변화가 거의 없어 독립적인 공간의 개별제어가 가능한 디퓨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디퓨져의 풍량위치에 따라 환기장치의 팬 회전수를 변경하는 연동 운전으로 특정공간의 풍량이 변하여도 다른 공간의 풍량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환기장치 및 그 환기장치의 운전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디퓨져는, 급기되는 풍량의 위치를 조절하는 풍량위치조절부; 및 상기 풍량위치조절부에 의해 조절된 풍량위치를 감지 하는 위치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퓨져는 상기 위치센서에서 감지된 풍량위치를 외부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환기장치는, 급기되는 풍량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센서가 각각 설치된 복수의 디퓨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디퓨져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기장치는 환기되는 공기의 풍량을 발생하기 위한 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센서에 의해 감지된 각 디퓨져의 풍량위치에 따라 상기 팬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기장치는 복수의 디퓨져에 덕트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팬의 회전에 따라 발생되는 공기의 풍량을 덕트를 통해 복수의 디퓨져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기장치는 복수의 디퓨져에 통신선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위치센서에서 감지된 각 디퓨져의 풍량위치를 통신선을 통해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환기장치에 복수의 디퓨져를 연결하여 운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퓨져 중 적어도 하나의 디퓨져에서 풍량위치가 조절되었는지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결과 상기 복수의 디퓨져 중 적어도 하나의 디퓨져에서 풍량위치가 조절된 것으로 판단되면, 조절된 각 디퓨져의 풍량위치를 환기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전송된 각 디퓨져의 풍량위치에 따라 상기 환기장치의 팬 회 전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기장치의 팬 회전수를 제어하는 단계는, 각 디퓨져의 풍량위치가 낮아질수록 팬 회전수를 낮게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환기장치에 디퓨져를 연결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환기장치와 디퓨져를 연결한 시스템은 실내의 환기를 위한 환기장치(10)와, 환기장치(10)에서 발생된 공기의 풍량을 원하는 공간으로 유입하기 위한 복수(예를 들어, 3대)의 디퓨져(20)가 하나의 환기장치(10)에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환기장치(10)와 복수의 디퓨져(20) 사이에는 덕트(30)가 연결되어 환기장치(10)에서 발생된 공기의 풍량을 디퓨져(20) 쪽으로 안내하고, 또한 통신선(40)이 연결되어 정해진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회로를 통해 상호간 통신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디퓨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에서, 디퓨져(20)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21) 상부에 덕트(30)를 통해 환기장치(10)로부터 안내된 풍량이 흡입되는 흡입구(22)가 형성되고, 몸체(21) 하부에는 디퓨져(20)를 통해 조절된 풍량을 원하는 공간(실내)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급기풍량을 배출하는 급기구(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21)의 둘레면에는 디퓨져(20)에서 조절되는 풍량위치("약", "강", "특강")를 감지하는 세 개의 위치센서(24~26)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21)의 하단에는 누름 동작에 따라 위치센서(24~26)에서 감지되는 풍량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풍량위치조절부(27)가 마련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환기장치와 디퓨져를 연동하여 운전하기 위한 제어 구성도로서, 도 1 및 도 2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 및 동일명칭을 병기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서, 환기장치(10)는 전체적인 제반동작을 제어하는 환기제어부(12)와 환기를 위한 풍량을 발생하는 팬(14)을 포함하며; 일반적인 환기장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 환기제어부(12)는 복수의 디퓨져(20)에서 조절한 각 디퓨져(20)의 풍량위치를 통신선(40)을 통해 전송받아 각 디퓨져(20)의 풍량위치에 따라 팬(14)의 회전수를 미리 정해진 롬 테이블상에 저장된 값으로 제어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디퓨져와 이를 갖는 환기장치 및 그 환기장치의 운전제어방법의 동작과정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장치와 디퓨져를 연동하여 운전하는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환기장치(10)의 운전이 시작되면 팬(14)의 동작에 따라 환기를 위한 풍량이 발생하기 시작하고, 환기장치(10)와 복수 디퓨져(20)는 통신을 시작한다.
따라서, 환기장치(10)에 설치된 환기제어부(12)는 환기장치(10)와 복수 디퓨져(20)가 통신상태인가를 판단하여(S100), 환기장치(10)와 복수 디퓨져(20)가 통신 상태인 경우 복수의 디퓨져(20) 중 어느 하나의 디퓨져(20)라도 풍량위치가 조절되었는가를 판단한다(S102).
상기 디퓨져(20)의 풍량위치 조절은 사용자가 원하는 공간 쪽의 디퓨져(20)에 마련된 풍량위치조절부(27)를 조작하여 해당 디퓨져(20)의 원하는 풍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복수의 디퓨져(20) 중 어느 하나의 디퓨져(20)라도 풍량위치가 조절된 경우, 조절된 해당 디퓨져(20)의 풍량위치를 각 디퓨져(20)에 설치된 위치센서(24~26)에서 감지하여 통신선(40)을 통해 환기장치(10)로 전송한다(S104).
따라서, 환기제어부(12)는 해당 디퓨져(20)로부터 전송된 풍량위치에 따라 미리 정해진 롬 테이블상에 저장된 값을 판독하여 환기장치(10)의 팬(14) 회전수를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경한다(S106).
도 5의 (b)는 본 발명의 디퓨져와 환기장치를 연동하여 운전시킨 경우, 해당 디퓨져의 풍량조절에 따른 나머지 디퓨져의 운전풍량을 나타낸 표이다.
도 5의 (b)에서, 복수 디퓨져(20)의 풍량위치에 따라 환기장치(10)의 RPM(팬 회전수)이 가변되어 해당 디퓨져(20)의 풍량을 조절하여도 풍량조절을 하지 않은 다른 디퓨져(20)의 풍량은 거의 변화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3대의 디퓨져(20)를 모두 "특강"의 풍량위치로 조절한 경우, 환기장치(10) RPM이 1400으로 설정되고, 이때 A,B,C 디퓨져(20)의 급기풍량은 333으로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이때, 3대의 디퓨져(20) 중 A 디퓨져(20)만 "강"으로 조절한 경우, 환기장 치(10) RPM이 1350으로 변경됨에 따라 A 디퓨져(20)의 급기풍량은 230으로 낮게 조절된 반면 B,C 디퓨져(20)의 급기풍량은 345로 A,B,C 디퓨져(20)가 모두 "특강"일 때의 급기풍량 333에 비해 풍량변화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다른 또 하나의 예를 들면, 3대의 디퓨져(20) 중 A 디퓨져(20)만 "약"으로 조절한 경우, 환기장치(10) RPM이 1300으로 변경됨에 따라 A 디퓨져(20)의 급기풍량은 160으로 낮게 조절된 반면 B,C 디퓨져(20)의 급기풍량은 340으로 A,B,C 디퓨져(20)가 모두 "특강"일 때의 급기풍량 333에 비해 풍량변화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도 5의 (a)와 비교해 보면, 그 차이를 확실히 알 수 있다.
도 5의 (a)는 종래 일반 디퓨져와 환기장치(10)를 연동하여 운전시킨 경우, 해당 디퓨져의 풍량조절에 따른 나머지 디퓨져의 운전풍량을 나타낸 표이다.
도 5의 (a)에서, 3대의 디퓨져(20) 중 A 디퓨져(20)만 "강"으로 조절한 경우, 환기장치(10) RPM이 A,B,C 디퓨져(20)가 모두 "특강"일 때와 마찬가지로 1400이므로 A 디퓨져(20)의 급기풍량은 250으로 낮게 조절된 반면 B,C 디퓨져(20)의 급기풍량은 375로 A,B,C 디퓨져(20)가 모두 "특강"일 때의 급기풍량 333에 비해 현저히 커져 A 디퓨져(20)의 풍량조절에 따라 풍량조절을 하지 않은 나머지 B,C 디퓨져(20)의 풍량까지도 크게 변화함을 알 수 있다.
다른 또 하나의 예를 들면, 3대의 디퓨져(20) 중 A 디퓨져(20)만 "약"으로 조절한 경우, 환기장치(10) RPM이 A,B,C 디퓨져(20)가 모두 "특강"일 때와 마찬가지로 1400이므로 A 디퓨져(20)의 급기풍량은 190으로 낮게 조절된 반면 B,C 디퓨 져(20)의 급기풍량은 405로 A,B,C 디퓨져(20)가 모두 "특강"일 때의 급기풍량 333에 비해 현저히 커져 A 디퓨져(20)의 풍량조절에 따라 풍량조절을 하지 않은 나머지 B,C 디퓨져(20)의 풍량까지도 크게 변화함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종래에는 환기장치(10)에 복수의 디퓨져(20)를 연결하여 운전하는 경우, 복수의 디퓨져(20) 중 어느 하나의 디퓨져(20)라도 풍량을 조절하게 되면 풍량조절을 하지 않은 다른 디퓨져(20)까지 풍량변화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환기장치(10)는 복수의 디퓨져(20) 중 어느 하나의 디퓨져(20) 풍량을 조절하여도 풍량조절을 하지 않은 다른 디퓨져(20)는 풍량변화가 거의 없게 되므로 각 디퓨져(20)의 개별 제어가 가능하고,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과다풍량과 소음발생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퓨져와 이를 갖는 환기장치 및 그 환기장치의 운전제어방법에 의하면, 환기장치에 연결되는 각 디퓨져에 풍량조절을 위한 풍량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특정 디퓨져의 풍량을 조절하여도 풍량조절을 하지 않은 다른 디퓨져에서는 풍량변화가 거의 없어 독립적인 공간의 개별제어가 가능하고, 또한 각 디퓨져의 풍량위치에 따라 환기장치의 팬 회전수를 변경하는 연동 운전으로 특정공간의 풍량이 변하여도 다른 공간의 풍량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흡입구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급기구와,
    상기 몸체의 하단에 형성되어 급기되는 풍량의 위치를 조절하는 풍량위치조절부; 및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풍량위치조절부에 의해 조절된 풍량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를 포함하는 디퓨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센서에 의해 감지된 풍량위치를 외부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디퓨져.
  3.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흡입구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급기구와,
    상기 몸체의 하단에 형성되어 급기되는 풍량의 위치를 조절하는 풍량위치조절부; 및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풍량위치조절부에 의해 조절된 풍량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를 포함하는 디퓨져가 복수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는 환기를 위한 풍량을 발생하는 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센서에 의해 감지된 각 디퓨져의 풍량위치에 따라 상기 팬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는 복수의 디퓨져에 덕트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팬의 회전에 따라 발생되는 풍량을 덕트를 통해 복수의 디퓨져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는 복수의 디퓨져에 통신선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위치센서에 의해 감지된 각 디퓨져의 풍량위치를 통신선을 통해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7. 환기장치에 복수의 디퓨져를 연결하여 운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퓨져 중 적어도 하나의 디퓨져에서 풍량위치가 조절되었는지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결과 상기 복수의 디퓨져 중 적어도 하나의 디퓨져에서 풍량위치가 조절된 것으로 판단되면, 조절된 각 디퓨져의 풍량위치를 환기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전송된 각 디퓨져의 풍량위치에 따라 상기 환기장치의 팬 회전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의 운전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의 팬 회전수를 제어하는 단계는,
    각 디퓨져의 풍량위치가 낮아질수록 팬 회전수를 낮게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의 운전제어방법.
KR1020060095730A 2006-09-29 2006-09-29 디퓨져와 이를 갖는 환기장치 및 그 환기장치의운전제어방법 KR100786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730A KR100786682B1 (ko) 2006-09-29 2006-09-29 디퓨져와 이를 갖는 환기장치 및 그 환기장치의운전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730A KR100786682B1 (ko) 2006-09-29 2006-09-29 디퓨져와 이를 갖는 환기장치 및 그 환기장치의운전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6682B1 true KR100786682B1 (ko) 2007-12-21

Family

ID=39147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5730A KR100786682B1 (ko) 2006-09-29 2006-09-29 디퓨져와 이를 갖는 환기장치 및 그 환기장치의운전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66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443B1 (ko) * 2009-10-23 2012-03-27 김송이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의 환기밸런싱 제어방법과 제어장치
KR20180130972A (ko) * 2017-05-31 2018-12-10 주식회사 한일이엠씨 Ir환기제어시스템
CN110440418A (zh) * 2019-08-12 2019-11-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可按需调节的中央通风系统及其风量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167A (ko) * 2001-04-13 2002-10-19 한국하니웰 주식회사 개별환경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167A (ko) * 2001-04-13 2002-10-19 한국하니웰 주식회사 개별환경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443B1 (ko) * 2009-10-23 2012-03-27 김송이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의 환기밸런싱 제어방법과 제어장치
KR20180130972A (ko) * 2017-05-31 2018-12-10 주식회사 한일이엠씨 Ir환기제어시스템
KR101935844B1 (ko) * 2017-05-31 2019-04-03 주식회사 한일이엠씨 Ir환기제어시스템
CN110440418A (zh) * 2019-08-12 2019-11-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可按需调节的中央通风系统及其风量控制方法
CN110440418B (zh) * 2019-08-12 2020-06-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可按需调节的中央通风系统及其风量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53216B2 (en) Ventilation controller
EP2208005B1 (en) Ventilating device
JP5096356B2 (ja) 空気密度基準制御
EP1114970B1 (en) Ventilating system
KR102359867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공기조화기
JP4432467B2 (ja) 換気制御装置
KR20090116120A (ko) 에너지 절약형 주방환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827239B (zh) 一种具有换新风功能的空调及换新风方法
KR100786682B1 (ko) 디퓨져와 이를 갖는 환기장치 및 그 환기장치의운전제어방법
EP1751472A1 (en) Demand controlled ventilation system with central air quality measurement and method herefor
JP4416299B2 (ja) 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
JP2010071489A (ja) 空調制御装置および空調制御方法
JP2007187335A (ja) 空気調和機
EP1659346A2 (en) Air conditioner
CA3059735A1 (en) Hvac apparatus with dynamic pressure balancing
JP4130788B2 (ja) 換気装置
JPH07332737A (ja) 空調設備
KR20110070123A (ko) 실내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20085271A (ja) 熱交換型換気装置
JP2005241159A (ja) 多室換気装置
KR20050055105A (ko) 환기 장치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및 그 운용 방법
JP4196616B2 (ja) 空気調和機
JP4282499B2 (ja) 空気調和装置
KR20080065195A (ko) 급기량 제어 기능을 갖는 환기장치
KR200247238Y1 (ko) 산소공급수단이 구비된 공기조화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