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6198B1 - 자외선 차단성과 흡한속건성이 우수한 멀티필라멘트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성과 흡한속건성이 우수한 멀티필라멘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198B1
KR100786198B1 KR1020040095338A KR20040095338A KR100786198B1 KR 100786198 B1 KR100786198 B1 KR 100786198B1 KR 1020040095338 A KR1020040095338 A KR 1020040095338A KR 20040095338 A KR20040095338 A KR 20040095338A KR 100786198 B1 KR100786198 B1 KR 100786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filament
titanium dioxide
yarn
cross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5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6073A (ko
Inventor
노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20040095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198B1/ko
Publication of KR20060056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6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53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non-circular cross sec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성과 흡한속건성이 우수한 멀티필라멘트에 관한 것으로서, (ⅰ) 열가소성 수지의 모노필라멘트들로 구성되며, (ⅱ)상기 모노필라멘트들은 6개의 구형돌기들이 모노필라멘트 단면의 장축 길이(L1)를 기준으로 상부면에 2개, 하부면에 2개, 좌측면에 1개, 우측면에 1개씩 대칭적으로 형성된 이형단면을 갖고, (ⅲ) 원사내에 평균 입자직경이 0.1㎛ ~ 1.0㎛인 이산화티탄(TiO2) 2,500 ~ 3,700ppm과 평균 입자직경이 10 ~ 20㎚인 이산화티탄(TiO2) 1,800 ~ 2,300ppm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체로부터 발산되는 땀을 신속하게 흡수한 후 넓은 표면적으로 확산하여 빠르게 건조시키는 흡한속건 기능과 동시에 피부노화나 피부암 등을 유발하는 자외선의 차단기능을 동시에 보유하여 스포츠복 등의 의류용 원사로 유용하다.
자외선 차단성, 흡한속건성, 모노필라멘트, 항균제, 이형단면, 이산화티탄, 나노.

Description

자외선 차단성과 흡한속건성이 우수한 멀티필라멘트{A multi-filament with excellent UV protecting property and antibiotic property}
도 1은 본 발명의 멀티필라멘트를 구성하는 모노필라멘트의 단면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방사구금의 단면 확대도.
도 3 및 도 4는 종래 이형단면사의 단면 모식도.
도 5는 적하법 응용 방식으로 흡수면적을 측정시 시료에 수분이 확산된 부분의 모식도.
도 6 및 도 7은 휴렛 팩카드(Hewlett Packard) 회사의 자외선-가시광선 스펙트로메터로 자외선 파장별 자외선 차단율을 측정한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멀티필라멘트를 제조하는 공정 개략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L1 : 모노필라멘트 단면의 장축 길이
L2 : 모노필라멘트 단면의 단축 길이
L3 : 모노필라멘트 단면의 장축 방향 중앙돌기 간격
D1 : 모노필라멘트 단면의 단축 폭
a : 시료에 수분이 확산된 부분의 최대 폭
b : 시료에 수분이 확산된 부분의 최소 폭
1 : 폴리머 칩 이송배관 3 : 익스트루더
4 : 방사구금 5 : 냉각쳄버
6 : 집속 가이드 7 : 제 1 고뎃롤
8 : 제 2 고뎃롤 9 : 권취기
본 발명은 의류용 원사, 특히 스포츠 의류용 원사로 사용시 땀을 잘 흡수할 뿐만 아니라 흡수한 땀을 쉽게 건조시키는 성질(이하 "흡한속건성"이라고 한다)과 자외선-B 뿐만 아니라 자외선-A의 차단기능(이하 "자외선 차단성"이라고 한다)이 우수한 멀티필라멘트(원사)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A는 파장이 315 ~ 400㎚인 태양 자외선이고, 자외선-B는 파장이 290 ~ 315㎚인 태양 자외선이다.
최근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다양한 기능성을 구비한 의류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다시말해 단순한 물리적, 화학적 내구성 뿐만아니라 흡한속건성과 자외선 차단성을 구비한 의류가 요구되고 있다. 종래 흡수성이 양호한 면사나 면/폴리에스테르 혼방사가 의류용 원사로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땀이 많이 나게 되면 상 기 원사가 땀을 많이 함유하기 때문에 축축하고 차게 느껴질 뿐만아니라 몸에 의류가 휘감기고 끈적거리는 문제와 자외선 차단성이 부족한 문제가 있었다.
한편, 흡한속건성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미국특허 4,470,407호에서는 원사의 수분확산성을 개선하고자 도 3과 같이 조개껍질 모양의 단면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이형단면사를 제안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7736호에서는 도 4와 같이 3 ~ 5개의 구형 돌출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이형단면사를 제안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이형단면사들은 땀을 배출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돌기가 2 ~ 5개만 형성되어 흡한속건성 및 쾌적성이 미흡한 문제점이 있고, 자외선 차단성도 구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2-71522호에서는 도 2와 같이 6개의 구형돌기들이 대칭적으로 형성된 이형단면사를 제안하고 있으나, 상기 이형단면사의 경우 흡한속건성은 우수하나 자외선 차단성이 부족한 문제가 있었다.
한편, 햇살이 따갑게 느껴지는 계절의 햇볕 아래에서는 자외선을 받아 아이들의 연약한 피부가 손상되기 쉽고 특히 아토피성 피부로 고생하는 아이들은 발열이나 가려움, 발진, 짓무름 등의 증세가 나타날 수 있다. 어른도 갑자기 햇볕에 노출되거나 오래 바깥에 있으면 자외선에 피부가 장기간 노출되어 피부가 거칠어지고 각질이 일며 심한 경우 기미, 주근깨, 잔주름이 생기므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자외선은 구름이나 안개는 물론 웬만큼 얇은 옷도 뚫는다. 따라서 요즘처럼 오존층이 파괴되고 얇아진 상황에선 계절과 상관없이 자외선의 강도가 달라지므로 자외선 차단기능을 가진 의류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자외선은 전자파(전자파는 전파와 같이 파장이 수m 내지 수㎞ 인 것과 X선과 같이 파장이 수㎚ 인 것 등 매우 광범위한 파장영역을 갖는다)의 일부로 가시광의 단파장영역(파장 약 400㎚)에서 X선 장파장영역(파장 약10㎜)의 파장을 갖는 전자파를 자외선이라고 한다.
태양광선은 빛과 열을 우리들에게 주고, 식물을 성장시키고, 살균작용이 있고, 피부 내에 비타민D를 생성시키는 등 자연의 은혜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인체에 대해서 살균작용을 보유함과 동시에 체세포의 세포 장해성을 갖고, 급성 및 만성 일광 피부화, 광독반응, 광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고, 백내장, 피부암의 원인 등 장점을 상회하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통상의 자외선 차단 지수는 자외선 B에 대한 효과만을 표시할 뿐 자외선 A의 차단 효과에 대해서는 표시하지 않는다. 지금까지는 자외선 B에 비해 자외선 A에 대한 관심이 적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자외선 A야말로 진피의 콜라겐을 손상시켜 피부를 노화시키는 주범이기 때문에 오히려 더욱 조심해야 할 존재다. 게다가 자외선 A는 일년 내내 계속되는 데다 주로 오전 일찍이나 오후 늦게 양이 늘어나는 특징이 있다. 다시 말해 피부 노화를 막으려면 일년 내내, 하루 종일 자외선 차단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비해 자외선 B는 한여름에 더욱 강해지고 특히 오후 12시에서 3시 사이에 내리쬐는 태양 광선에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자외선 차단 지수가 높으면 자외선 A를 차단할 확률도 높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둘 사이에는 아무런 상관관계도 없다. 2000년 [미국 피부학회 저 널(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에 발표된 연구에 의하면 자외선 차단 지수가 45, 혹은 50인 일부 자외선 차단제가 자외선 A에 의한 피부 그을림 예방 효능이 가장 적은 반면, 자외선 차단 지수가 20인 제품이 오히려 자외선 A차단 효과가 뛰어나다는 것이 밝혀졌다.
섬유에 자외선 차단성을 부여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는 원사를 방사할 때 방사도프 내에 평균 입자직경이 0.4㎛ 수준이 이산화티탄(TiO2)를 20,000ppm 정도 함유시키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이 경우 과도한 이산화티탄의 함량으로 인해 최종 염색 원단에서 맑은 색상을 얻을 수 없고 드레이프성(Drape property : 중량감)이 과도하여 용도 적용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상기의 종래 방법은 이산화티탄의 함량이 과다하여 방사시 크기가 큰 응집입자에 의해 방사 팩 압력이 급상승하여 절사가 많이 발생하는 등 조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이산화티탄의 함량을 3,500ppm 수준으로 낮출 경우에는 자외선 차단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흡한속건성과 자외선 차단성이 동시에 우수한 원사(멀티필라멘트)를 조업성 저하 없이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사(멀티필라멘트)를 구성하는 모노필라멘트 들의 단면을 도 1과 같이 6개의 구형돌기 들이 대칭적으로 형성된 이형으로 형성함으로서 흡한속건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원사(멀티필라멘트)내에 평균 입자직경이 0.4㎛ 수준인 이산화티탄과 평균 입자직경이 10 ~ 20㎚ 수준인 이산화티탄을 적절한 함량씩 혼합, 분산시키므로서 조업성 및 색상의 저하 없이도 멀티필라멘트에 자외선 차단성을 부여하고자 한다.
이와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멀티필라멘트는 (ⅰ) 열가소성 수지의 모노필라멘트들로 구성되며, (ⅱ)상기 모노필라멘트들은 6개의 구형돌기들이 모노필라멘트 단면의 장축 길이(L1)를 기준으로 상부면에 2개, 하부면에 2개, 좌측면에 1개, 우측면에 1개씩 대칭적으로 형성된 이형단면을 갖고, (ⅲ) 원사내에 평균 입자직경이 0.1㎛ ~ 1.0㎛인 이산화티탄(TiO2) 2,500 ~ 3,700ppm과 평균 입자직경이 10 ~ 20㎚인 이산화티탄(TiO2) 1,800 ~ 2,300ppm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 등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의 모노필라멘트들로 구성된 멀티필라멘트 이다. 상기 모노필라멘트의 단면은 도 1과 같이 서로 다른 크기의 6개 구형돌기가 대 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노필라멘트의 단면은 6개의 구형돌기들이 모노필라멘트 단면의 장축 길이(L1)를 기준으로 상부면에 2개, 하부면에 2개, 좌측면에 1개, 우측면에 1개씩 대칭적으로 형성되어있다. 모노필라멘트의 단면상 모노필라멘트 단면의 단축 길이(L2)/모노필라멘트 단면의 단축 폭(D1) 비는 1.0 ~ 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L2/D1 비가 1.0 미만인 경우에는 흡한속건성이 저하될 수 있고, 4.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흡한속건성과 조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모노필라멘트 단면의 장축 길이(L1)/모노필라멘트 단면의 단축 길이(L2) 비는 1.0 ~ 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조업성과 흡한속건성이 저하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크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소수성인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멀티필라멘트(원사)는 크기가 서로 상이한 6개의 돌기들이 인체에서 발산된 땀을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시키는 통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흡습성이 매우 우수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필라멘트(원사)는 대기와 접촉하는 표면적이 매우 넓어 외부로 배출된 땀을 대기중으로 신속하게 증발시키는 성질(속건성)이 매우 우수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멀티필라멘트(원사)는 인체와의 접촉면이 작아 땀이 많이 배출된 경우라도 의류가 몸에 감기는 현상을 방지 할 수 있어서 착용감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멀티필라멘트(원사)는 단독으로 또는 면이나 폴리프로필렌 원사와 혼용하여 자켓 등의 의류제조에 주로 사용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멀티필라멘트(원사)는 평균 입자직경이 0.1 ~ 1.0㎛인 이산화티탄 2,500 ~ 3,700ppm과 평균 입자직경이 10 ~ 20㎚인 이산화티탄 1,800 ~ 2,300ppm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의 멀티필라멘트(원사)를 휴렛 팩카드(Hewlett Packard) 회사의 파장별 자외선 차단율 측정기기(모델명 : Multicell Transport for Agilent 8453 uv-visible spectrometer)로 측정하면 그래프상 A점의 파장이 315㎚ ~ 325㎚이고 B점의 파장이 355㎚ ~ 365㎚인 도 6과 같은 형태의 그래프가 나타난다.
한편, 원사내에 평균 입자직경이 10 ~ 20㎚인 이산화티탄만 함유된 원사(멀티필라멘트)는 자외선 차단율이 현저하게 떨어져 그래프 상에 A점만 존재하는 도 7과 같은 그래프가 나타난다.
또한, 원사내에 평균 입자직경이 0.1 ~ 1.0㎛인 이산화티탄만 2,500 ~ 3,700ppm 함유된 원사(멀티필라멘트)는 그래프 상에 A점의 파장이 315㎚ ~ 320㎚이고 B점의 파장이 325 ~ 340㎚인 도 6과 같은 형태의 그래프가 나타난다.
다시말해, 이 경우에는 B점의 파장이 본 발명의 멀티필라멘트 보다 짧아져 파장이 315㎚ ~ 400㎚인 자외선-A의 차단기능이 나빠짐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멀티필라멘트는 도 8과 같은 공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멀티필라멘트를 제조하는 공정 개략도이다.
구체적으로, 열가소성 폴리머 칩 이송배관(1)을 통해 열가소성 폴리머 칩과 평균 입자직경이 서로 상이한 2종의 이산화티탄을 익스트루더(3)에 공급한 다음, 익스트루더(3)에서 공급된 열가소성 폴리머 칩과 이산화티탄을 혼합, 용융한다.
계속해서, 용융된 폴리머를 도 2와 같은 단면을 갖는 방사구금(4)을 통해 용융방사한 후, 냉각쳄버(5)로 냉각하고, 집속가이드(6)를 거쳐 제 1 고뎃롤(7)과 제 2 고뎃롤(8) 사이에서 연신한 후 권취기(9)로 권취하여 본 발명의 멀티필라멘트를 제조할 수 있다.
제 1 고뎃롤(7)의 온도는 85℃정도, 회전 선속도는 1,500m/분 정도가 바람직하다.
제 2 고뎃롤(8)의 온도는 123℃정도, 회전 선속도는 4,300m/분 정도가 바람직하다.
권취기(9)의 권취속도는 4,200m/분 정도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제 1 고뎃롤(7), 제 2 고뎃롤(8) 및 권취기(9)의 회전 선속도 및 온도를 특별하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나노 크기 수준의 이산화티탄을 병용, 투입하기 때문에 조업성이 우수하여 만권율(Full-Dull rate)이 95% 이상이다.
본 발명의 멀티필라멘트는 KS K 0850 방법으로 측정한 자외선 차단율이 97% 이상이고, 자외선 차단 지수가 30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필라멘트를 휴렛 팩카드(Hewlett Packard) 회사의 측정기기(모델명 : Multicell Transport for Agilent 8453 UV-Visible Spectrophotometer)로 측정한 자외선 차단율이 97% 이상 이고, 자외선-A와 자외선-B의 차단비율(UV-B 차단율/UV-A 차단율)이 1 ~ 1.05이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필라멘트는 바이렉 법(Wicking Test)으로 측정한 흡수속도가 100 ~ 185㎜/10분 이고, 적하법 응용 방식으로 측정한 흡수면적이 8 ~ 14㎠/30초 이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필라멘트는 원사내 0.05㎖의 수분이 완전 건조될 때 까지 걸린시간(건조시간)이 20 ~ 40분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멀티필라멘트는 50㎎의 원사(시료)내에 평균 입자직경이 5㎛ 이상인 이산화티탄의 개수(조대입자수)가 15 ~ 16개 이고, 색상(Yellowish Index)인 L치가 58 ~ 63 이고, b치가 4 ~ 18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조업성 및 원사의 각종 물성은 아래와 같이 측정(평가)하였다.
· 조업성(F/D율)
방사공정에서 생산된 드럼(Drum)의 전체개수 중에서 만권드럼(Full-Drum)의 비율로 구한다.
· 원사내 이산화티탄 함량
일본 세이코(SEIKO) 회사의 플라스마 스펙트로메터(모델명 : SPS 1200 AR)로 측정한다.
· 이산화티탄의 입자직경
네덜란드 필립스 인스터리얼 일렉트로닉 회사(Philips Industrial Electronic B.V. Z)의 주사전자현미경(모델명 : Philips SEM 515)으로 측정한다.
· 조대입자수
원사(폴리머) 50㎎을 글라스 필름이 깔려있는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올려놓은 다음, 이를 250℃의 핫-플레이트 위에 올려 상기 원사(폴리머)를 녹인 후 그 위에 슬라이드 글라스 1장을 덮고 200g의 분동으로 눌러 얇게 편 후, 총 200배율의 광학현미경으로 시료 전영역을 스캐닝하면서 입경이 5㎛ 이상인 조대입자수를 측정한다.
· 자외선 차단율 / 자외선 차단 지수
▷ 평가법 ① KS K 0850 : 1999
· 모델명 : UV-VISIBLE-NIR Spectrophotometer
· 시험광원 : Xenon Arc
· 측정방법 : 파장 290 ~ 400㎚를 최소한 매 5㎚ 단위로 주사하면서, 시료의 자외선 투과율을 측정한다. 이때 형광증백제 및 형광성 영향 차단 필터 적용
▷ 평가법 ②
· 모델명 : Multicell Transport for Agilent 8453 UV-Visible Spectrophotometer
· 제조사 : Hewlett Packard社
· 시험광원 : Xenon Arc
· 시험처 : 연구소 내부에 기기 있어 측정 가능
· 측정방법 : 원사를 녹여 15㎛ 내외의 박막의 필름 시편을 제조한 다음 파장 범위 290 ~ 400㎚에서 파장간격 1㎚의 광원을 일시에 주사하여 각 파장대에서의 투과율을 측정
· 흡수성
(ⅰ) 흡수속도(㎜/10분)
KS K 0815.5.27 방법인 바이렉 법(Wicking Test)으로 측정한다. 본 발명의 멀티필라멘트를 사용하여 32게이지 인터록 양면 환편기에서 환편지를 제편한 후, 이를 가로 2.5㎝, 세로 20㎝로 제단하여 시료를 제조 한다. 상기 원단시료의 한쪽 부분을 수중에서 2.5㎝ 침지시킨 후 10분 동안 방치하고, 원단에 흡수된 수분의 높이를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한다.
(ⅱ) 흡수면적(㎠/30분)
적하법 응용 방식으로 측정한다.
직경이 7.5㎝인 원통관 위에 본 발명의 멀티필라멘트로 제조된 환편지(20 × 20㎝)인 시료를 씌워 고정하고, 그 위에 물 0.05㎖를 떨어뜨린 다음 30초 경과 후에 시료에 물이 확산된 부분의 최대폭(a)과 최소폭(b)을 측정하고, 측정값(a, b)들을 아래식에 대입하여 흡수면적을 계산한다.
Figure 112004054093098-pat00001
· 속건성 : 건조시간(분)
본 발명의 멀티필라멘트를 사용하여 32게이지 인터록 양면 환편기에서 환편지를 제편한 후, 이를 가로 20㎝ × 세로 20㎝로 제단하여 시료를 제조한다. 상기 원단 시료에 물 0.05㎖를 떨어뜨린 후 완전 건조되는데 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 하여 건조속도로 하였다.
이때 공조 조건은 20℃ 65% RH로 하였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에스테르 칩과 폴리에스테르 칩 중량대비 평균 입자직경이 0.4㎛인 이산화티탄 3,000ppm과 평균 입자직경이 15㎚인 이산화티탄 2,000ppm을 이송배관(1)을 통해 익스트루더(3)에 함께 공급한 후 이들을 혼합 용융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한다.
계속해서 제조된 방사용액을 도 2의 방사구금을 통해 289℃의 방사온도 하에서 방사(토출량 : 35.1g/분)하고, 풍속이 0.5m/초인 냉각풍으로 고화하고, 82℃의 제 1 고뎃롤(회전 선속도 : 1,500m/분)와 125℃의 제 2 고뎃롤(회전 선속도 : 4,300m/분)를 연속적으로 통과시킨 후 4,200m/분의 속도로 권취하여 [L1/L2] 비가 2.5이고 [L2/L1] 비가 1.5인 75데니어/24필라멘트의 멀티필라멘트를 제조한다. 제조된 멀티필라멘트를 사용하여 34게이지 싱글 환편기에서 직경이 28인치인 환편지를 제편한 후 염색하여 가공 환편지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멀티필라멘트 및 환편지의 각종 물성과 조업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실시예 1 내지 비교실시예 5
모노필라멘트의 단면 형태, 평균 입자직경이 0.4㎛인 이산화티탄의 함량 및 평균 입자직경이 15㎛인 이산화티탄의 함량을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멀티필라멘트와 그의 환편지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멀티필라멘트 및 환편지의 각종 물성과 조업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제조조건
구분 이산화티탄 함량(ppm) 모노필라멘트 단면형태
평균 입자직경이 0.4㎛인 이산화티탄 평균 입자직경이 15㎚인 이산화티탄
실시예 1 3,000 2,000 도 1
실시예 2 2,800 2,300 도 1
실시예 3 3,500 1,800 도 1
비교실시예 1 0 5,000 도 1
비교실시예 2 3,800 500 원형
비교실시예 3 3,000 2,000 원형
비교실시예 4 2,800 2,300 원형
비교실시예 5 3,500 5,000 원형
조업성 및 물성평가결과
구분 실시예 비교실시예
1 2 3 1 2 3 4 5
조업성(F/D율, %) 98 97 96 96 95 96 95 89
조대입자수(개) 18 22 48 21 42 18 22 71
KS K 0850 방법으로 측정한 자외선 차단성 자외선 차단율(%) 99.0 99.3 99.2 95.0 96.1 99.0 99.3 99.9
자외선 차단지수 50 50 40 20 20 50 50 40
휴렛 팻카드 회사 측정기기로 측정한 자외선 차단성 자외선 차단율(%) 99.0 99.3 99.2 95.0 96.1 99.0 99.3 99.9
자외선 A와 자외선 B의 차단비율 1.02 1.04 1.01 0.91 0.92 1.02 1.04 1.01
그래프상 B점의 파장(㎚) 359 362 357 없슴 325 359 362 357
흡수성 흡수속도(㎜/10분) 125 134 155 128 46 54 48 61
흡수면적(㎠/30분) 8.6 9.2 12.2 9.3 3.9 4.1 3.2 4.5
속건성 건조시간(분) 34 32 24 31 51 52 58 48

본 발명은 흡한속건성과 동시에 자외선 차단성이 우수하며, 조업성 및 색상의 저하도 없다.
이로인해 본 발명은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암 발생 등을 방지 할 수 있고, 쾌적감도 매우 우수하다.
그 결과 본 발명은 스포츠 의류와 같은 의류용 원사 등으로 유용하다.

Claims (10)

  1. (ⅰ) 열가소성 수지의 모노필라멘트들로 구성되며, (ⅱ)상기 모노필라멘트들은 6개의 구형돌기들이 모노필라멘트 단면의 장축 길이(L1)를 기준으로 상부면에 2개, 하부면에 2개, 좌측면에 1개, 우측면에 1개씩 대칭적으로 형성된 이형단면을 갖고, (ⅲ) 원사내에 평균 입자직경이 0.1㎛ ~ 1.0㎛인 이산화티탄(TiO2) 2,500 ~ 3,700ppm과 평균 입자직경이 10 ~ 20㎚인 이산화티탄(TiO2) 1,800 ~ 2,300ppm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성과 흡한속건성이 우수한 멀티필라멘트.
  2. 1항에 있어서, 모노필라멘트 단면의 단축 길이(L2)가 모노필라멘트 단면의 단축 폭(D1)의 1.0 ~ 4.0배이며, 모노필라멘트 단면의 장축 길이(L1)가 모노필라멘트 단면의 단축 길이(L2)의 1.0 ~ 4.0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성과 흡한속건성이 우수한 멀티필라멘트.
  3. 1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성과 흡한속건성이 우수한 멀티필라멘트.
  4. 1항에 있어서, KS K 0850 방법으로 측정한 자외선 차단율이 97% 이상이고, 자외선 차단 지수가 3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성과 흡한속건성이 우수한 멀티필라멘트.
  5. 1항에 있어서, 휴렛 팩카드(Hewlett Packard) 회사의 측정기기(모델명 : Multicell Transport for Agilent 8453 UV-Visible Spectrophotometer)로 측정한 자외선 차단율이 97% 이상이고, 자외선-A와 자외선-B의 차단비율(UV-B 차단율/UV-A 차단율)이 1 ~ 1.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성과 흡한속건성이 우수한 멀티필라멘트.
  6. 1항에 있어서, 원사 50㎎ 내에 평균 입자직경이 5㎛ 이상인 이산화티탄(TiO2)의 개수(조대입자수)가 15 ~ 16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성과 흡한속건성이 우수한 멀티필라멘트.
  7. 1항에 있어서, 원사의 색상(Yellowish Index)인 L치가 58 ~ 63이고, b치가 4 ~ 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성과 흡한속건성이 우수한 멀티필라멘트.
  8. 1항에 있어서, 바이렉 법(Wicking Test)으로 측정한 흡수속도가 100 ~ 185 ㎜/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성과 흡한속건성이 우수한 멀티필라멘트.
  9. 1항에 있어서, 적하법 응용 방식으로 측정한 흡수면적이 8 ~ 14㎠/30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성과 흡한속건성이 우수한 멀티필라멘트.
  10. 1항에 있어서, 0.05㎖의 수분이 완전 건조될 때 까지 걸린 시간이 20 ~ 4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성과 흡한속건성이 우수한 멀티필라멘트.
KR1020040095338A 2004-11-19 2004-11-19 자외선 차단성과 흡한속건성이 우수한 멀티필라멘트 KR100786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338A KR100786198B1 (ko) 2004-11-19 2004-11-19 자외선 차단성과 흡한속건성이 우수한 멀티필라멘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338A KR100786198B1 (ko) 2004-11-19 2004-11-19 자외선 차단성과 흡한속건성이 우수한 멀티필라멘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6073A KR20060056073A (ko) 2006-05-24
KR100786198B1 true KR100786198B1 (ko) 2007-12-17

Family

ID=37151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5338A KR100786198B1 (ko) 2004-11-19 2004-11-19 자외선 차단성과 흡한속건성이 우수한 멀티필라멘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61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475B1 (ko) * 2014-02-11 2015-06-22 주식회사 효성 고기능성 편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816A (ko) * 2001-09-07 2003-03-15 벤텍스 주식회사 자외선 차단과 항균방취기능을 갖는 흡한속건성 원사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816A (ko) * 2001-09-07 2003-03-15 벤텍스 주식회사 자외선 차단과 항균방취기능을 갖는 흡한속건성 원사의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475B1 (ko) * 2014-02-11 2015-06-22 주식회사 효성 고기능성 편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6073A (ko) 200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180B1 (ko) 나일론 섬유를 포함하는 냉감 방적사 및 원단
EP2808428B1 (en) Polyester composite fiber with excellent heat-shielding property and coloration
WO2006054816A1 (en) A multi-filament with excellent absorption-dry property and antibiotic property
JP5443068B2 (ja) 涼感性布帛
KR20130060609A (ko) 항균ㆍ소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KR100786198B1 (ko) 자외선 차단성과 흡한속건성이 우수한 멀티필라멘트
KR101554614B1 (ko) 흡한속건성 직물
EP3150751B1 (en) Polyamide fibers, fiber structure using same, and clothing
JP2008285780A (ja) 涼感性布帛
JP2008111221A (ja) 抗菌性染色布帛
KR101421709B1 (ko) 다층구조의 흡한속건성 직물
KR102611936B1 (ko) 기능성 원단
KR100486882B1 (ko) 이면돌출층과 이면배수로를 갖는 흡습속건성 원단
KR20090021566A (ko) 자외선 차단 및 흡한 속건성 나일론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60087685A (ko) 항균성과 흡한속건성이 우수한 공기교락사
JP2014177716A (ja) 遮熱性及び防透性に優れた芯鞘型異形断面複合繊維
JP2003096648A (ja) 快適性シャツ地
JPH03213535A (ja) 織編物
KR100459381B1 (ko) 삼엽상 폴리에스터 섬유의 제조방법
TW201800631A (zh) 扁平剖面捲縮絲、該捲縮絲的製造方法和含有該捲縮絲的編織物
KR101530475B1 (ko) 고기능성 편지
JP6199661B2 (ja) 機能性を有する織編物及びその製造方法
Jamshaid et al. The mechanical, comfort & UV resistance properties on interlock derivatives
JP2011047080A (ja) 芯鞘型複合仮撚加工糸を含む布帛および繊維製品
JP2018119229A (ja) 黒原着異型断面マルチフィラメント延伸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