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4183B1 - 비장탄과 토르말린 분말을 함유하는 칫솔모를 갖는 칫솔 - Google Patents

비장탄과 토르말린 분말을 함유하는 칫솔모를 갖는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4183B1
KR100784183B1 KR1020060095806A KR20060095806A KR100784183B1 KR 100784183 B1 KR100784183 B1 KR 100784183B1 KR 1020060095806 A KR1020060095806 A KR 1020060095806A KR 20060095806 A KR20060095806 A KR 20060095806A KR 100784183 B1 KR100784183 B1 KR 100784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toothbrush
tourmaline
powder
brist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5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경
Original Assignee
김용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경 filed Critical 김용경
Priority to KR1020060095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41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4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4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07Bristles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e.g.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06Antimicrobial, disinfectant bristles, handle, bristle-carrier or packag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4Preparing bristles
    • A46D1/055Combing; Mixing; Sorting

Abstract

본 발명은 칫솔의 일측에 구비된 칫솔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칫솔모의 성형과정 중 비장탄 분말과 토르말린 분말을 수지 모재에 혼합시켜 제조하여 제공되는 비장탄과 토르말린 분말을 함유하는 칫솔모를 갖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상기 비장탄 숯 분말은 1200℃ 이상에서 탄화한 것으로 작은 공극이 많아 흡착성이 높고 pH 값이 7.5 (약알칼리성) 이상을 갖는 비장탄의 특성을 갖는 숯을 1~15 ㎛ 이내의 가루로 분쇄시켜 사용하며, 또한 음이온이 30,000/cc이상 방출되는 토르말린(전기석)을 평균 1~15 ㎛로 분쇄하여 수지모재에 비장탄 숯과 토르말린 함량이 0.1∼1.0 w% 성분비로 혼합시켜 성형한 것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원의 칫솔모는 비장탄 숯으로부터 원적외선 방사 효과로 잇몸의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세포기능을 활성화시키며, 특히 잇몸 사이의 유기물의 분해력을 높여주고 치주 사이에 생성되는 오염성분이나 유해 불순물을 흡착,분해하여 정화시키고 냄새를 제거해 주도록 하며, 비장탄 숯과 토르말린 복합성분으로 부터 음이온 발생량의 상승작용으로 칫솔모와 치아 및 잇몸의 마찰시 음이온을 증가시키며 음이온이 부교감신경에 영향을 주어 기분을 안정시키고 몸의 긴장을 이완하는 효과를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칫솔, 비장탄, 토르말린, 원적외선, 음이온

Description

비장탄과 토르말린 분말을 함유하는 칫솔모를 갖는 칫솔{A toothbrush having bursh hair including charcoal and tourmaline}
도 1 : 본 발명의 칫솔과 칫솔모의 확대도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칫솔모 20 : 칫솔모 한가닥 수지재
21 : 비장탄 분말 22 : 토르말린 분말
30 : 칫솔단부 40 : 칫솔자루
50 : 칫솔
본원은 칫솔의 일측에 구비된 칫솔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칫솔모의 성형과정 중 비장탄 숯과 토르말린 분말을 수지모재에 일정성분을 포함하도록 혼합시켜 칫솔모를 제조하여 항균 탈취와 정화 등의 기능을 갖는 숯 분말과 토르말린 분말을 혼합 성형한 칫솔모를 갖는 칫솔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치질에 사용되는 칫솔은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손으로 잡도록 성형된 칫솔자루와 칫솔자루의 일측 길이방향의 단부에는 칫솔모가 다수 군으로 이식 되어져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칫솔모는 일정한 강도와 탄성을 갖고 있어 양치되는 부분인 치아를 따라 양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칫솔에 구비되는 칫솔모는 단순히 치아를 닦도록 하는 기능에 머물러 있으므로, 치아의 표면에 물리적 힘만을 가하게 되어져 이물질이나, 치석 또는 흡연자의 치아에 흡착된 니코틴 등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압력을 가해 닦아야 되며 이러한 물리적 힘으로 인해 치아와 잇몸이 손상되는 문제점도 있어 왔다.
또한, 종래에도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양치 중이거나 칫솔의 보관 중 세균 등이 칫솔모에 생성되어 사용자가 각종 세균으로부터 감염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어 왔으므로 이러한 세균을 제거하기 위해 은 코팅을 실시하거나 숯 가루 를 첨가하는 등의 시도 등이 있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칫솔구조에서는 섭씨 600∼900℃의 온도에서 탄화시켜 얻은 숯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숯의 강도가 약하여 쉽게 부서져서 속히 숯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고, 또한 칫솔구조 내에서 세균번식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은나노 코팅기술 등은 처음 사용될 시 당장은 효과가 있으나 단기효과에 머무르며 효과가 지속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원은 종래기술이 갖는 칫솔모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비장탄으로 제공되는 숯으로부터 원적외선 방사 효과를 얻어 잇몸의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세포기능을 활성화시키며, 특히 잇몸 사이의 유기물의 분해력을 높여주고 치주 사이에 생성되는 오염성분이나 유해 불순물을 흡착 및 분해하고 입냄새를 제거해 주도록 하며, 비장탄 숯과 토르말린 복합성분으로부터 음이온 발생량의 상승작용을 유도하여 칫솔모가 치아 및 잇몸과의 마찰 시 음이온을 증가시키며 음이온이 부교감신경에 영향을 주어 기분을 안정시키고 생체리듬의 긴장을 이완하는 효과를 줄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고자 하는 과제를 갖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으로서 본원에서는 1200℃ 이상에서 탄화시킨 비장탄 숯 분말이 pH 값이 7.5 (약알칼리성) 이상을 갖고 항균성과 탈취효과를 높인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비장탄 숯 분말과 음이온이 방출되는 토르말린(전기석)을 평균 1 ~ 15 ㎛ 범위로 미세분쇄하여 칫솔 수지모재에 비장탄 숯과 토르말린 함량이 0.1∼1.0 w% 성분비로 포함시켜 제공함으로 항균성과 조습, 탈취작용 그리고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효과를 높인 칫솔모를 갖는 칫솔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 것이다.
본원은 칫솔의 일측에 구비된 칫솔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칫솔모의 성형과정 중 비장탄 숯 분말과 토르말린 분말을 수지 모재에 일정성분을 포 함하도록 혼합시켜 칫솔모를 제조하여 항균 탈취와 정화 등의 기능을 갖는 칫솔모를 제공하되, 더욱 구체적으로는 1200℃ 이상에서 탄화시킨 숯 분말로 pH 값이 7.5 (약알칼리성) 이상을 갖는 비장탄 숯 분말이 항균성과 탈취효과를 높인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음이온이 다량 방출되는 토르말린(전기석)을 평균 1 ~ 15 ㎛ 범위로 분쇄하여 칫솔 수지모재에 비장탄 숯과 토르말린 함량이 0.1∼1.0 w% 성분비로 포함하여 제공되는 칫솔모가 개시된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칫솔모에서 남다른 특이점은 비장탄의 숯 분말과 토르말린 분말을 칫솔 수지모재에 일정성분을 포함시켜 제공되는 것이 특징부인바, 이하 이들 원료성분에 대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숯은 크게 분류하면 검탄과 백탄으로 분류할 수 있는바, 검탄은 숯가마에 나무를 넣고 600∼800 °C 로 올린 다음 구멍을 막고 숯가마 내에서 자연적으로 꺼지게 하여 만드는 것으로 탄질이 부드럽고 불이 잘 붙으며 타다가 꺼지는 일이 적고 지속시간은 비교적 짧으나 많은 열을 내는 특성을 갖는 반면, 백탄은 기본적인 생산 방법은 검탄과 유사하지만 1000 °C 이상으로 열을 가한 다음 불을 끌 때 활활 타오르던 나무를 재빨리 숯가마에서 꺼내어 축축한 재와 흙으로 덮어 식혀 만든다.
따라서 백탄과 검탄은 그 제조과정에서 가열된 숯을 식힐 때의 시간차이와 방법에 따라 구분되는바, 백탄은 1000 ~ 1200도 내외의 온도까지 올려서 제공되는 것으로 나무 안에 들어 있던 일산화탄소나 기타 불완전 연소물들을 완전히 태운 후 가마 밖으로 나와서 만들어지는 제품으로 온도가 높이 올라가기 때문에 그만큼 숯에 기공이 많고 또한 식힐 때는 재빨리 꺼내어 깨끗한 모래와 물, 진흙 등을 혼합 하여 꺼서 백탄이 제조되는 반면에, 검탄은 600~800도까지 올렸다가 공기구멍을 막고 자연적으로 천천히 식게 만들어 제공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비장탄은 참나무, 대나무, 소나무류를 탄재로 이용하여 1200 °C 이상의 온도로 비장가마에서 구워내서 스텐재질로 이루어지는 밀봉용기에 넣고 밀봉시킨 후 24시간 후에 꺼낸 것을 사용하거나, 밤나무의 일종인 우바메가시(밤나무의 일종)를 탄재로 이용하여 1200 °C 이상의 온도로 비장가마에서 구워내서 젖은 황토 흙 반죽용액에 침적시킨 것을 밀봉용기에 넣고 24시간 후에 인출하여 제공되는 방법으로 얻어내는 것으로 상기 공정에 의해 얻는 비장탄은 톱으로 자를 수 없을 정도로 높은 강도 특성을 갖는다.
비장탄은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세포기능을 활성화하는 기능을 갖고, 또한 비장탄에는 다공질 속에 유기물 분해력이 뛰어난 방선균이 있어 오염된 성분이나 유해 불순물을 흡착해서 분해 시키고 악취를 제거해 주는 기능이 있다.
또한 본원에서는 음이온이 다량 방출되는 토르말린을 평균 1~15 ㎛로 분쇄하여 사용하고자 하였다.
토르말린은 전자석이라고도 불리우며 화학성분은 철 ·마그네슘 ·알칼리금속 등과 알루미늄의 복잡한 붕규산염으로 굳기 7.0∼7.5, 비중 2.98∼3.20이며 마찰에 의해서 전기가 생기며, 마찰되거나 가열하면 양끝이 양 ·음으로 대전(帶電)하기 때문에 토르말린 성분을 포함한 칫솔모가 치아와 마찰시 음이온을 발생하게 된다.
이온은 눈에 보이지 않는 전하를 띤 미립자로서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나누어지며 양이온을 형성하는 것은 여러 가지 오염물질 즉, 담배연기, 아황산 가스,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오존 및 각종 유기 물질 등이며, 음이온은 이들 양이온을 경화 침전시켜 여러 가지 오염물질들을 제거하므로 공기를 깨끗하게 하고 신선하게 유지 시켜 주게 되는바 숲속이나 폭포 온천 등에서 인체에 상쾌하게 느껴지는 (-)전하를 띤 공기가 바로 음이온으로 알려져 있다.
본원에서는 본원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란에 기재한 바와 같이 비장탄 숯과 토르말린 복합 성분으로부터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발생량의 상승작용으로 칫솔모와 치아 및 잇몸의 마찰시 음이온을 증가시키며 음이온이 부교감신경에 영향을 주어 기분을 안정시키고 몸의 긴장을 이완하는 효과의 최적점을 찾고자 연구하는 과정에서 1200℃ 이상에서 탄화시킨 비장탄 숯 분말이 pH 값이 7.5 (약알칼리성) 이상을 갖고 향균성과 탈취효과를 높인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비장탄 숯 분말과 음이온이 방출되는 토르말린(전기석)을 평균 1 ~ 15 ㎛ 범위로 분쇄하여 수지모재에 비장탄 숯과 토르말린 함량이 0.1∼1.0 w% 성분비로 포함하여 제공할 때 출원인이 기대하는 향균성과 조습, 탈취작용 그리고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을 하는 칫솔모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비장탄 숯과 토르말린 복합성분을 혼합 성형한 칫솔모를 갖는 칫솔에 대해서 ‘도1’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손으로 잡도록 성형된 칫솔자루와 칫솔자루의 일측에 칫솔모를 구비하여서 되는 단부를 갖는 종래의 일반적인 칫솔모를 이루는 조성으로, 나이론 pp수지소재 에 비장탄 숯과 토르말린 복합성분을 혼합, 성형하여서 된 칫솔모(10)를 칫솔(100)의 단부(20)에 다수 개소에 이식하여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장탄 숯 분말(11)은 일본의 난대지방과 중국의 해안선에서 해풍을 맞고 자라는 참나무, 대나무, 소나무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일본에서 밤나무과에 속하는 우바메가시나무를 탄재로 이용하여 1200℃ 이상에서 탄화시켜 비장탄을 얻고 이를 평균 1 ~ 15 ㎛ 범위로 분쇄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비장탄 숯과 토르말린 분말은 칫솔모를 이루는 수지모재에 일정성분 포함시켜 제공되는바 칫솔모에 이용될 수 있는 수지모재로는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또는 실리콘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어 이용될 수 있다.
본원의 칫솔모(10)는 비장탄 숯과 토르말린 분말을 수지모재(12)에 0.1∼1.0 w% 혼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장탄 숯과 토르말린 분말을 혼합성형한 칫솔모(10)는 다양한 수지재(12)를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할 수 있는 것이며 이는 나일론계 또는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스테르 그리고 실리콘 등을 원료로 구성되는 수지재에서 선택되어 화학사로 성형되어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비장탄 숯과 토르말린 분말은 수지 모재(12)에 0.1∼1.0 w% 혼합시켜 사용될 때 패널테스트 결과에서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실험예 1] 비장탄과 토르말린 분말 원료를 이용하여 칫솔을 제조하는 방법
밤나무의 일종인 우바메가시(밤나무의 일종)를 탄재로 이용하여 1200 °C 이상의 온도로 비장가마에서 구워내서 젖은 황토 흙 반죽용액에 침적시킨 것을 밀봉 용기에 넣고 24시간 후에 인출하여 제공되는 비장탄을 얻고, 이를 분쇄하여 10 미크론 체로 걸러서 미세분말 비장탄 원료로 이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토르말린 원석을 분쇄하여 10 미크론 체로 걸러진 미세분말을 이용하고자 하였는바, 칫솔 수지재로 나이론이나 PP(polypropylene)수지 모재를 이용하고 10 미크론 체로 걸러 얻은 비장탄 분말을 수지모재 원료량의 0.7 w%로, 10 미크론 체로 걸러 얻은 토르말린을 수지모재 원료량의 0.3 w%로 혼합하여 칫솔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 근거하여 비장탄 숯과 토르말린 분말을 칫솔 수지모재에 0.1w%에서 2 w% 범위까지 다양한 실시예 2, 3, 4, 5 등으로 시행오차를 거치면서 수행하였으며 실험결과 비장탄 숯과 토르말린 분말의 합계량이 칫솔 수지모재량의 1 w% 범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비장탄분말을 0.7 w%로, 토르말린을 0.3 w%로 혼합하여 칫솔모를 제조한 것이 패널테스트 및 자체 실험결과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패널테스트 1]
상기에서 얻은 비장탄 숯과 토르말린 분말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칫솔모의 사용감을 조사하기 위해 10세 이상의 남녀 50명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칫솔모와 일반 비장탄 숯과 토르말린 분말을 포함하지 않은 일반 칫솔로 median 제품 칫솔과 G.U.M칫솔제품을 대조군으로 하여 시험자 각각의 취향에 따라 사용하게 하여 미감, 촉감 을 평가하였고 무응답자는 제외한 조사결과는 하기 [표 1]와 같다.
[표 1]
미감.촉감상의 특징 본 발명 칫솔제품 (응답자수) 대조용median제품 (응답자수) 대조용 GUM제품 (응답자수)
더 상쾌감을 준다 38 6 3
치아의 촉감이 좋다 22 19 7
잇몸의 촉감이 좋다. 28 7 5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원의 칫솔제품이 소비자의 미감측면에서도 대조용 일반 칫솔제품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패널테스트 2]
치주염,구취,충치 등의 증상을 호소하거나 진단되는 성인남녀 50명을 치과의사의 협조를 얻어 이들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비장탄 숯과 토르말린 분말을 함유하는 칫솔제품을 하루 3번씩 대략 30일간 계속 사용하도록 하고, 설문조사에 의해 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과 같다.
[표 2]
효과 판정질환명 별무효과 효과있음 상당한효과 완치근접효과
구취 2 6 2 4 14
치주염 3 7 5 2 17
충치예방 1 10 6 2 19
6(14%) 23(42%) 13(24%) 8(20%) 50(100%)
상기 실험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칫솔제품을 꾸준히 사용할 경우, 치주염(82%), 구취(85%), 충치예방(94%)이 완화되어 기능성 칫솔로서의 효과 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원에 따른 발명의 효과는 비장탄이 pH 값이 7.5 (약알칼리성) 이상을 갖고 향균성과 탈취효과를 높인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또한 비장탄이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잇몸에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세포기능을 활성화하는 기능을 주고, 또한 비장탄의 방선균에 의해 오염된 성분이나 유해 불순물을 흡착해서 분해 시키고 악취를 제거해 주는 기능을 갖는 칫솔을 제공해주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원에서는 음이온을 방출되는 토르말린을 추가시켜 비장탄 숯과 토르말린 복합성분으로부터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발생량의 상승작용으로 칫솔모와 치아 및 잇몸의 마찰 시 음이온을 증가시키며 음이온이 부교감신경에 영향을 주어 기분을 안정시키고 몸의 긴장을 이완시켜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손으로 파지하도록 제공되는 칫솔자루와 칫솔자루의 일측 단부로 칫솔모를 구비하여 제공되는 칫솔에 있어서,
    칫솔모를 이루는 수지모재 중량의 0.1∼1.0 w% 성분비로 비장탄과 토르말린 혼합분말을 첨가시켜 사용하되, 비장탄은 참나무, 대나무, 소나무, 밤나무 중에서 선택되는 나무를 탄재로 이용하여 1200°C 이상의 온도로 비장가마에서 구워 탄화시켜 얻은 비장탄을 1 ~ 15 ㎛ 범위로 분쇄하여 사용하고, 혼합분말의 사용량을 1로 기준하는 경우 비장탄 0.7에 토르말린 0.3 비율로 사용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60095806A 2006-09-29 2006-09-29 비장탄과 토르말린 분말을 함유하는 칫솔모를 갖는 칫솔 KR100784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806A KR100784183B1 (ko) 2006-09-29 2006-09-29 비장탄과 토르말린 분말을 함유하는 칫솔모를 갖는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806A KR100784183B1 (ko) 2006-09-29 2006-09-29 비장탄과 토르말린 분말을 함유하는 칫솔모를 갖는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4183B1 true KR100784183B1 (ko) 2007-12-10

Family

ID=39140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5806A KR100784183B1 (ko) 2006-09-29 2006-09-29 비장탄과 토르말린 분말을 함유하는 칫솔모를 갖는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41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4518A (ko) 2018-02-05 2019-08-14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무독성 구강 보건 기능을 갖는 천연물을 활용한 항균 칫솔모 조성물과 그 칫솔모 및 그 제조방법
US20220211169A1 (en) * 2019-04-09 2022-07-07 M+C Schiffer Gmbh Oral Care Instru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8826A (ja) * 1998-12-14 2000-06-27 Akitake Ozaki 合成高分子繊維、およびこの繊維を用いたブラシと布地
KR20020071055A (ko) * 2001-03-02 2002-09-12 서병연 헤어 브러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8826A (ja) * 1998-12-14 2000-06-27 Akitake Ozaki 合成高分子繊維、およびこの繊維を用いたブラシと布地
KR20020071055A (ko) * 2001-03-02 2002-09-12 서병연 헤어 브러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4518A (ko) 2018-02-05 2019-08-14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무독성 구강 보건 기능을 갖는 천연물을 활용한 항균 칫솔모 조성물과 그 칫솔모 및 그 제조방법
US20220211169A1 (en) * 2019-04-09 2022-07-07 M+C Schiffer Gmbh Oral Care Instru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2611B1 (ko) 머드성분을 함유한 칫솔
Thakur et al. Charcoal in dentistry
Gurudath et al. Oral hygiene practices: ancient historical review
KR200186951Y1 (ko) 숯분말을 혼합 성형한 칫솔모를 갖는 칫솔
KR100784183B1 (ko) 비장탄과 토르말린 분말을 함유하는 칫솔모를 갖는 칫솔
KR100944799B1 (ko) 보리새싹 성분을 칫솔모에 포함시켜 제공되는 칫솔
KR20080014290A (ko) 차와 맥반석 분말을 이용한 담배필터
CN100593989C (zh) 含有金和抗菌成分的牙刷的制造方法及牙刷
KR100796574B1 (ko) 솔잎가루와 항균성분이 함유된 칫솔 제조방법 및 그 칫솔
KR100969854B1 (ko) 자염 칫솔 및 자염을 이용한 죽염칫솔
JP2007089985A (ja) 毛材中にゲルマニウムを含有してなるブラシ
KR100772674B1 (ko) 현무암과 자석을 이용한 온열침대용 패널과 그 제조방법
CN105267083A (zh) 一种竹碳薰衣草牙膏
KR101225308B1 (ko) 항균 미백 칫솔모 및 그 제조방법
WO2005039353A1 (ja) 歯ブラシ
JP2008110194A (ja) 寝具
KR100972657B1 (ko) 몬모릴로나이트를 함유하는 흡연 여과용 여과물질 및 이를포함하는 담배
KR200348370Y1 (ko) 향기를 발산하는 항균 위생 칫솔
JP3146818U (ja) 毛材中にゲルマニウムを含有してなるブラシ
CN106309170A (zh) 清新口气口腔清洁剂
KR100913191B1 (ko) 곡물껍질의 가공 처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베개
KR101275250B1 (ko) 맥섬석 과립을 이용한 치약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0765473B1 (ko) 활성탄소섬유를 함유한 치약 조성물
CN202069145U (zh) 一种牙刷
Aruna et al. Comparative Evaluation of Clinical Efficacy of Manual and Powered Tooth Bru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