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3672B1 - 중공 연통 블록을 이용한 벽체 - Google Patents

중공 연통 블록을 이용한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3672B1
KR100783672B1 KR1020070075055A KR20070075055A KR100783672B1 KR 100783672 B1 KR100783672 B1 KR 100783672B1 KR 1020070075055 A KR1020070075055 A KR 1020070075055A KR 20070075055 A KR20070075055 A KR 20070075055A KR 100783672 B1 KR100783672 B1 KR 100783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anel
blocks
shaped block
fron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5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영
오성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70075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36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06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08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12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a general shape differing from that of a parallelepi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18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2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the walls being characterised by fillings in all cavities in order to form a wall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이나 방음벽 등과 같은 벽체를 형성함에 있어서,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재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하거나 또는 기둥을 수직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각 블록층에 형성되는 중공이 수직방향으로 연통되도록 하며, 기둥이 형성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적층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새로운 구조로 이루어진 블록을 이용한 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면패널(11), 배면패널(12), 및 격벽패널(13)로 이루어져 I자 형태의 평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어, 측면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I자 블록(10) 사이에 중공부(100)가 형성되는 I자 블록(10)의 층과; 전면패널, 배면패널 및 상기 전면패널과 배면패널의 사이를 이어주는 격벽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I자 블록(10)의 상, 하에 엇갈리게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었을 때 격벽패널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I자 블록(10)의 격벽패널(13) 위에 올려지는 적층블록의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적층블록의 층 내에는 중공부(100)가 형성되어 상기 적층블록 층의 중공부(100)가 상기 I자 블록(10) 층의 중공부(100)와 연통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을 이용한 벽체가 제공된다.
블록, 식생, 옹벽, 벽체, 중공, 적층

Description

중공 연통 블록을 이용한 벽체{Wall Structure having Continuous Hollow Holes Blocks}
본 발명은 중공 연통 블록을 이용한 벽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이나 방음벽 등과 같은 벽체를 형성함에 있어서,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재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하거나 또는 기둥을 수직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각 블록층에 형성되는 중공이 수직방향으로 연통되도록 하며, 기둥이 형성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적층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새로운 구조로 이루어진 블록을 이용한 벽체에 관한 것이다.
수직한 벽체의 일례로서, 옹벽을 시공함에 있어서는, 블록을 차례로 적층하여 전체적인 구조물을 형성하는 사례가 있다. 이와 같이 블록을 이용한 구조물의 일예로서, 기둥을 세워두고 그 기둥 사이에 블록을 삽입하는 종래의 근입식 옹벽의 경우, 블록이 하나의 덩어리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중량이 크며, 그에 따라 블록을 들어 올려 기둥 사이에 끼어 적층하거나 빔을 포괄하여 적층할 때의 작업성이 매우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미관상으로도 빔이 전면에 노출되거나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적층 구조로 인해 위압감을 주거나 삭막한 분위기를 조성하게 된다. 벽체는 구조 특성상 절취 사면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옹벽의 시공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절취 사면의 대부분이 산악 지대의 도로나 아파트 배후 사면에 많기 때문에 환경친화성과 좋은 미관이 강하게 요구된다. 특히, 최근에는 환경에 대한 관심이 지극히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어서, 이러한 블록을 이용한 벽체에 있어서도 환경 친화적이고 양호한 미관을 가질 것이 강력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블록을 이용하여 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블록을 이용함으로써 벽체의 전면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더욱 미려한 미관을 가지도록 하며, 시공이 용이하고, 벽체 전면에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구성을 형성하여 식재를 통해 친환경적인 벽체를 이룰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블록을 이용한 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I자 형태의 평단면 형상을 가지는 "I"자 블록과, 그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는 적층블록이 차례로 적층되는 구조를 가지는 벽체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전면패널, 배면패널, 및 격벽패널로 이루어져 I자 형태의 평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어, 측면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I자 블록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I자 블록의 층과; 전면패널, 배면패널 및 상기 전면패널과 배면패널의 사이를 이어주는 격벽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I자 블록의 상, 하에 엇갈리게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었을 때 격벽패널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I자 블록의 격벽패널 위에 올려지는 적층블록의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적층블록의 층 내에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적층블록 층의 중공부가 상기 I자 블록 층의 중공부와 연통 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을 이용한 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벽체의 실시예로서, 상기 적층블록이, "ㅁ"자 형태의 평단면 형상을 가지는 "ㅁ"자 블록으로 이루어진 것, "ㄷ"자 형상의 평단면 형상을 가지는 "ㄷ"자 블록으로 이루어진 것, 그리고 크랭크 형상의 평단면을 가지는 크랭크형 블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을 이용한 벽체가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있어서, 상기 적층블록이 상기 "ㅁ"자 블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ㅁ"자 블록의 격벽패널이 분할되어 있어 전면부와 배면부로 분할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에서 상, 하로 연통된 상기 중공부에는 기둥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I자 블록의 전면패널에는 그 상, 하면에 돌출턱과 돌출턱삽입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적층블록의 전면패널에도 각각 대응되는 돌출턱과 돌출턱삽입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돌출턱과 돌출턱삽입부가 서로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I자 블록의 전면패널의 양측에는, 이웃하는 I자 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중공부를 밀실된 상태로 형성하기 위하여, 끼움 홈이 형성되어 있고, I자 블록이 이웃한 상태에서 상기 끼움 홈에는 차단판이 삽입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적층블록이 "ㅁ"자 블록으로 이루어진 경우, "ㅁ"자 블록의 층에는, 전면패널이 격벽패널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여 전면패널의 전방으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I자 블록 위에 적층되었을 때, 전면패널 전방으로는 아래에 배치된 I자 블록의 중공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식생용 "ㅁ"자 블록이 하나 이상 포함되어 있도록 하여 식생이 가능한 벽체가 제공된다.
또한, 적층블록이 "ㄷ"자 블록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상기 "ㄷ"자 블록의 층에, 전면패널이 격벽패널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여 전면패널의 전방으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I자 블록 위에 적층되었을 때, 전면패널 전방으로는 아래에 배치된 I자 블록의 중공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식생용 "ㄷ"자 블록이 하나 이상 포함되도록 하여 벽체가 식생기능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적층블록이 크랭크형 블록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상기 크랭크형 블록의 층에는, 전면패널이 격벽패널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여 전면패널의 전방으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I자 블록 위에 적층되었을 때, 전면패널의 전방으로는 아래에 배치된 I자 블록의 중공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식생용 크랭크형 블록이 하나 이상 포함되도록 하여 벽체가 식생기능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는 블록이 적층된 형태를 가지므로 그 자체로도 우수한 미관을 가질 수 있으며, 블록의 전면패널에 다양한 무늬를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게 되므로 더욱 미려한 전면 외관을 가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블록층에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블록이 적층되어도 상, 하로 연통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연통된 중공부에 기둥을 형성할 수 있어 벽체의 강성이 더욱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수직한 철근 콘크리트 기둥을 형성함에 있어서, 중공부를 가진 블록이 거푸집으로서의 기능을 하게 되므로 수직 벽체의 콘크리 트 타설을 위한 별도의 거푸집 설치가 전혀 필요하지 않으며, 그만큼 시공상 경제성이 향상되고, 공기 단축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I자 블록과, 전,후면 분할된 "ㅁ"자 형상의 적층블록, 또는 "ㄷ"자 형상의 적층블록, 또는 크랭크형 적층블록을 이용하게 되므로, 기둥을 설치한 상태에서도, 블록을 높이 들어 올리지 않고 기둥의 측면으로 블록을 삽입하여 차례로 적층할 수 있게 되어 시공이 매우 간편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식생용 적층블록과 식생용 I자 블록을 이용하게 되면 블록의 전면을 통해서 식물을 식재할 수 있으므로 벽체의 전면을 녹화시킬 수 있게 되어 친환경적인 옹벽을 축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다음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자 블록(1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I자 블록(10)은 벽체의 정면이 되는 전면패널(11)과, 벽체의 배면이 되는 배면패널(12)과, 상기 전면패널(11)과 배면패널(12)의 중앙에서 상기 전면 및 배면패널(11, 12)을 이어주는 격벽패널(13)로 이루어진 I자 형태의 평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2에는 상기 I자 블록(10)이 적층된 층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I자 블록(10)은 같은 층에서 이웃하는 I자 블록(10)과 상기 전면패널(11) 및 배면패널(12)이 각각 접하도록 측면으로 나란히 배치되었을 때, 상기 격벽패널(13) 사이에 중공부(100)를 형 성하게 된다.
상기 I자 블록(1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적층블록이 교차되어 적층되는데, 상기 적층블록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우선 본 발명에서 적층블록은 벽체의 정면이 되는 전면패널과, 벽체의 배면이 되는 배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 및 배면패널 사이를 이어주는 격벽패널로 이루어진다. 상기 격벽패널은 한 개 또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적층블록은 상기 격벽패널에 의하여 형성되는 중공부(100)를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거나, 마치 I자 블록(10)처럼 이웃하는 같은 층 내에서 적층블록과 그 측면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었을 때 중공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적층블록의 격벽패널은 상기 I자 블록(10)의 상, 하에 적층되었을 때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I자 블록(10)의 격벽패널(13) 위에 올려져, 상기 적층블록의 중공부가 I자 블록(10)의 중공부(100)와 수직한 방향으로 상하로 연통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적층블록은 상기 I자 블록(10)의 상, 하에 적층되었을 때, 이웃하는 블록 사이에 전면패널에 의하여 생기는 수직 경계선이, I자 블록(10)의 수직 경계선과 엇갈리게 위치하게 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적층블록이 "ㅁ"자 블록(20)으로 이루어진 경우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상기 적층블록으로서 "ㅁ"자 블록(20)이 I자 블록(20) 위에 적층되어 벽체를 이룬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적층블록은, 전면패널(21)과 배면패널(22), 그리고 상기 전면 및 배면패널(21, 22)의 양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전면패널(21)과 배면패널(22)을 이어주는 격벽패널(23)을 구비하고 있 고, 상기 격벽패널(23)에 의하여 블록 자체에 중공부(100)가 형성되어 있는 "ㅁ"자 형태의 평단면 형상을 가지는 "ㅁ"자 블록(20)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도 5에는 I자 블록(20) 위에 상기 "ㅁ"자 블록(20)이 적층된 상태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I자 블록(10)의 상, 하에 "ㅁ"자 블록(20)이 적층되면, 상기 블록들의 전면패널과 배면패널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고, 상기 "ㅁ"자 블록(20)의 격벽패널(23)은 I자 블록(10)의 격벽패널(13) 위에 일부가 위치하게 되어, 중공부(100)가 수직하게 상, 하로 서로 연통하게 된다.
이와 같이 I자 블록(10)의 상, 하에 적층블록이 번갈아 적층되어 중공부(100)가 수직하게 연통되면, 벽체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연통된 중공부(100)에는 H빔 또는 철근을 이용한 기둥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 내지 도 5의 실시예에 도시된 것처럼, 연통된 중공부(100)의 일부에는 H빔(102)과 콘크리트(103)에 의하여 기둥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수직철근(104)과 콘크리트(103)에 의한 기둥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의 실시예에서는 H빔(102)을 이용한 기둥과 수직철근(104)을 이용한 기둥이 함께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 중 어느 한 가지 종류로만 기둥을 형성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기둥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부(100) 이외에 다른 중공부(100)에는 식생을 위한 토사나 기타 자갈 등이 채워질 수 있다.
적층블록이 "ㅁ"자 블록(20)으로 이루어진 위의 실시예에서, 필요에 따라서는 벽체의 횡방향으로 보강용 횡방향 철근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6에는 횡방향 철근(105)이 배치된 벽체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 및 도 8에는 각각 위 와 같이 횡방향 철근(105)이 배치될 수 있도록 그 형상이 변형된 "ㅁ"자 블록(20)과 I자 블록(10)의 변형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횡방향 철근(105)이 사용되는 경우, "ㅁ"자 블록(20)의 격벽패널(23)과 I자 블록(10)의 격벽패널(13) 각각에는 횡방향 철근(105)이 놓일 수 있도록 오목부(25, 1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목부(25, 15)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격벽패널(23, 13)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지만, 전면패널 또는 배면패널 방향으로 치우쳐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25, 15)는 격벽패널(23, 13)의 위아래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지만, 격벽패널(23, 13)의 위 또는 아래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수직철근(104)을 이용한 기둥이나 횡방향 철근(105)은, 블록(10, 20)을 차례로 적층하면서 시공하거나 또는 미리 기둥을 설치한 후 블록(10, 20)을 적층할 수 있으나, H빔(102)을 이용한 기둥의 경우는 미리 기둥을 시공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기둥을 미리 설치한 경우에는, 이와 같이 적층블록을 기둥을 위에서 끼워서 적층하여야 한다. 이 때, 적층블록의 중량으로 인하여 위에서부터 끼우는 것이 매우 불편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다음과 같이 변형된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에는 상기 적층블록의 일예인 "ㅁ"자 블록(20)을 조립식으로 변형한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9a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9b는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것처럼, "ㅁ"자 블록(20)의 전면패널(21)을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되면, 기둥이 미리 형성되어 있다고 하더 라도, 배면패널(22) 및 격벽패널(23)의 조립체를 기둥에 끼워 미리 설치한 후, 전면패널(21)을 조립하면 되므로, 블록의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I자 블록(10)의 경우에도 이와 같이 전면패널(11)이 조립되는 구조로 만들 수 있는데, 도 10a 및 도 10b에는 I자 블록(10)을 이와 같이 조립식으로 변형한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10a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b는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그러나 I자 블록(10)의 경우는 위와 같이 조립식으로 만들지 아니하여도 기둥의 전, 후면에서 용이하게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는 조립식으로 변형한 "ㅁ"자 블록(20)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와 조립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ㅁ"자 블록(20)은 격벽패널(23)이 분할되어 있어, "ㅁ"자 블록(20)이 전면부와 배면부로 분할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ㅁ"자 블록(20)을 전면부와 배면부로 분할된 구조로 만드는 경우, I자 블록과의 결합을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격벽패널(23)의 상부에 돌기부(24)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돌기삽입부(26)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2a에는 이에 대응되도록 변형된 I자 블록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ㅁ"자 블록(20)의 돌기부(24)와 돌기삽입부(26)에 대응하여 상기 I자 블록(10)의 격벽패널(13)에도 돌기부(14)와 돌기삽입부(16)가 형성된다.
도 9a, 9b, 11a 및 11b에 도시된 것처럼, "ㅁ"자 블록(20)을 조립식으로 구성하게 되면 기둥이 이미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블록(20)을 설치할 때, 기둥의 전후면에서 기둥을 감싸도록 상기 전면부와 배면부를 조립하여 블록(20)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블록의 적층이 용이해진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 하로 연통된 중공부(100)에는 기둥 형성을 위하여 콘크리트(103)가 타설되거나, 식생을 위한 토사 또는 자갈이 채워지는데, 이러한 콘크리트(103) 또는 토사, 자갈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I자 블록(10)의 전면패널(11)에는 돌출턱(17)과 돌출턱삽입부(18)를 각각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적층블록 즉,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ㅁ"자 블록의 전면패널(21)에도 각각 대응되는 돌출턱(27)과 돌출턱삽입부(28)를 형성하여 서로 끼워지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돌출턱(27)과 돌출턱삽입부(28)는 위에서 언급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I자 블록(10)과 적층블록에 전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2b에는 I자 블록(10)의 또 다른 실시예가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는 상태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b에서는, 이웃하는 I자 블록(10) 사이에 형성되는 중공부(100)를 밀실된 상태로 형성하기 위하여, I자 블록(10)의 전면패널(11)의 양측에 끼움 홈(19)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 홈(19)에 차단판(70)이 삽입되는 구조를 가진다.
다음에서는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또 다른 형상의 적층블록을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적층블록이 "ㄷ"자 블록(30)으로 이루어진 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4에는 상기 "ㄷ"자 블록(3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에는 I자 블록(10) 위에 상기 "ㄷ"자 블록(30)이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ㄷ"자 블록(30)은 전면패널(31)과 배면패널(32), 그리고 일측의 격벽패널(33)로 구성되고 타측은 개방된 "ㄷ"자 형상의 평단면을 가진다. 따라서 기둥이 미리 형성된 상태에서도 기둥을 감싸도록 "ㄷ"자 블록(30)을 적층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 상기한 "ㄷ"자 블록(30)의 경우, 일측의 격벽패널(33)에는 삽입턱(39)이 형성되어 있어, 이웃하는 "ㄷ"자 블록(30)을 측면으로 나란하게 배치하게 되면 이웃하는 "ㄷ"자 블록(30)의 전면패널(31)과 배면패널(32) 사이의 개방된 측면에 상기 삽입턱(39) 부분이 위치하여, 이웃하는 "ㄷ"자 블록(30) 간에 측면 연결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웃하는 "ㄷ"자 블록(30) 사이에 "ㅁ"자 형상의 중공부(100)가 형성된다.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ㄷ"자 블록(30)은 I자 블록(10) 위에 적층되었을 때, 격벽패널(33)이 I자 블록(10)의 격벽패널(13) 위에 놓이게 되어 중공부(100)가 상, 하로 수직하게 연통된다. 이와 같이 연통된 중공부(100)에는 "ㅁ"자 블록(20)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H빔(102) 또는 수직철근(104)을 이용한 기둥이 형성될 수 있으며, 식생을 위한 토사 또는 자갈이 채워질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앞서 설명한 "ㅁ"자 블록(20)처럼, 횡방향 철근(105)이 설치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격벽패널(33)에는 오목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의 반복은 생략한다. 또한, "ㄷ"자 블록(30)의 전면패널(31)에도 돌출턱과 돌출턱삽입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에서는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또 다른 형상의 적층블록을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적층블록이 크랭크형 블록(40)으로 이루어진 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7에는 상기 크랭크형 블록(4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8에는 I자 블록(10) 위에 상기 크랭크형 블록(40)이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크랭크형 블록(40)은 전면패널(41)과 배면패널(42), 그리고 전면패널(41)의 일단과 배면패널(42)의 타단을 연결하는 격벽패널(43)로 구성되어 크랭크 형상의 평단면을 가진다. 따라서 기둥이 미리 형성된 상태에서도 기둥을 감싸도록 크랭크형 블록(40)을 적층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크랭크형 블록(40)은 이웃하는 블록(40)과 결합하여 중공부(100)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크랭크 블록(40)이 I자 블록(10) 위에 적층되었을 때, 상기 격벽패널(43)은 I자 블록(10)의 격벽패널(13) 위에 겹쳐져 위치하게 되며 중공부(100)가 상, 하로 수직하게 연통된다. 기타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ㅁ"자 블록(20)의 내용과 중복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벽체는 다음과 같은 변형된 식생용 적층블록 또는 식생용 I자 블록(10a)을 이용함으로써 벽체 전면에서 녹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9에는 I자 블록(10)의 층 위에 식생용 "ㅁ"자 블록(20a)이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식생용 "ㅁ"자 블록(20a)은 전면패널(21)이 격벽패널(23)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여 전면패널(21)의 전방으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I자 블록(10) 위 에 상기 식생용 "ㅁ"자 블록(20a)이 적층되면 상기 식생용 "ㅁ"자 블록(20a)의 전면패널(21) 전방으로는 아래에 배치된 I자 블록(10)의 중공부(100)가 노출된다. 그러므로 상기 노출된 중공부(100)에 토사를 채우게 되면 이를 통하여 식물을 식재할 수 있게 되어 벽체 전면의 녹화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식생용 "ㅁ"자 블록(20a)을 형성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격벽패널(23) 중간에 위치하게 되는 전면패널(21)이 상부에서 끼워지는 방식의 조립식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전면패널(21)이 격벽패널(23)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0에는 I자 블록(10)의 층 위에 식생용 "ㄷ"자 블록(30a)이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된 것처럼 식생용 "ㄷ"자 블록(30a) 역시 전면패널(31)이 격벽패널(33)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여 전면패널(31)의 전방으로 공간이 형성되며, I자 블록(10) 위에 상기 식생용 "ㄷ"자 블록(30a)이 적층되면 상기 식생용 "ㄷ"자 블록(30a)의 전면패널(31) 전방으로는 아래에 배치된 I자 블록(10)의 중공부(100)가 노출되어 식물을 식재할 수 있게 된다.
도 21에는 I자 블록(10)의 층 위에 식생용 크랭크형 블록(40a)이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1에 도시된 것처럼 식생용 크랭크형 블록(40a) 역시 전면패널(41)이 격벽패널(43)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여 전면패널(41)의 전방으로 공간이 형성되며, I자 블록(10) 위에 상기 식생용 크랭크형 블록(40a)이 적층되면 상기 식생용 크랭크형 블록(40a)의 전면패널(41) 전방으로는 아래에 배치된 I자 블록(10)의 중공부(100)가 노출되어 식물을 식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식생용 "ㄷ"자 블록(30a) 및 식생용 크랭크형 블록(40a)에 있어서도 상 기 전면패널(41)은, 식생용 "ㅁ"자 블록(10a)처럼, 조립식 또는 일체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I자 블록(10)을 변형하는 방법으로도 위와 같은 벽체의 전면 녹화가 가능하게 되는데, 도 22에는 적층블록의 층 위에 식생용 I자 블록(10a)을 포함한 층이 "ㄷ"자 블록(30)의 층 위에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2에 도시된 것처럼 식생용 I자 블록(10a)은 전면패널(11)이 일측에서 격벽패널(13)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여 전면패널(11)의 전방으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적층블록 위에 상기 식생용 I자 블록(10a)이 적층되면 상기 식생용 I자 블록(10a)의 전면패널(11) 전방으로는 아래에 배치된 적층블록의 중공부(100)가 노출된다. 그러므로 상기 노출된 중공부(100)에 토사를 채우게 되면 이를 통하여 식물을 식재할 수 있게 되어 벽체 전면의 녹화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자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자 블록이 적층된 층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적층블록이 "ㅁ"자 블록으로 이루어진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적층블록으로서 "ㅁ"자 블록이 I자 블록 위에 적층되어 벽체를 이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I자 블록 위에 "ㅁ"자 블록이 적층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벽체에 있어서 블록층에 횡방향 철근이 배치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횡방향 철근이 배치될 수 있도록 그 형상이 변형된 본 발명에 따른 "ㅁ"자 블록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횡방향 철근이 배치될 수 있도록 그 형상이 변형된 본 발명에 따른 I자 블록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각각 적층블록의 일예인 "ㅁ"자 블록을 조립식으로 변형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9a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9b는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각각 I자 블록을 조립식으로 변형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10a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b는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각각 조립식으로 변형한 "ㅁ"자 블록의 또 다른 실시예 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와 조립 사시도이다.
도 12a는 조립식으로 변형한 "ㅁ"자 블록에 대응되도록 변형된 I자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2b는 I자 블록의 또 다른 실시예가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적층블록이 "ㄷ"자 블록으로 이루어진 벽체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벽체에 구비된 "ㄷ"자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I자 블록 위에 "ㄷ"자 블록이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적층블록이 크랭크형 블록으로 이루어진 벽체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에 사용된 크랭크형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I자 블록 위에 크랭크형 블록이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I자 블록의 층 위에 식생용 "ㅁ"자 블록이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I자 블록의 층 위에 식생용 "ㄷ"자 블록이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I자 블록의 층 위에 식생용 크랭크형 블록이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적층블록의 층 위에 식생용 I자 블록을 포함한 층이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I자 블록
100 : 중공부

Claims (5)

  1. 전면패널(11), 배면패널(12), 및 격벽패널(13)로 이루어져 I자 형태의 평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어, 측면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I자 블록(10) 사이에 중공부(100)가 형성되는 I자 블록(10)의 층과;
    전면패널(21), 배면패널(22) 및 상기 전면패널(21)과 배면패널(22)의 양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전면패널(21)과 배면패널(22) 사이를 이어주는 격벽패널(23)을 구비하며 상기 격벽패널(23)에 의해 블록 자체에 중공부(100)가 형성되어 "ㅁ"자의 평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격벽패널(23)은 분할되어 있어 전면부와 배면부로 분할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ㅁ"자 블록(20)으로 층으로서, 상기 I자 블록(10)의 상, 하에 엇갈리게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었을 때 상기 "ㅁ"자 블록(20)의 격벽패널(23)이 상기 I자 블록(10)의 격벽패널(13) 위에 올려지는, "ㅁ"자 블록(20)의 층을 포함하며;
    상기 "ㅁ"자 블록(20)의 층 내에 형성된 상기 중공부(100)가 상기 I자 블록(10) 층의 중공부(100)와 연통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을 이용한 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 하로 연통된 상기 중공부(100)에는 기둥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을 이용한 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I자 블록(10)의 전면패널(11)에는 그 상, 하면에 돌출턱(17)과 돌출턱삽입부(18)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ㅁ"자 블록(20)의 전면패널(21)에도 상기 I자 블록(10)의 돌출턱(17) 및 돌출턱삽입부(18)에 각각 대응되는 돌출턱과 돌출턱삽입부가 형성되어 있어, 양 블록(10, 20)의 상기 돌출턱과 돌출턱삽입부가 각각 서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을 이용한 벽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I자 블록(10)의 전면패널(11)의 양측에는, 이웃하는 I자 블록(10) 사이에 형성되는 중공부(100)를 밀실된 상태로 형성하기 위하여, 끼움 홈(19)이 형성되어 있고,
    I자 블록(10)이 이웃한 상태에서 상기 끼움 홈(19)에는 차단판(70)이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을 이용한 벽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ㅁ"자 블록(20)의 층에는, 전면패널(21)이 격벽패널(23)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여 전면패널(21)의 전방으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I자 블록(10) 위에 적층되었을 때, 전면패널(21) 전방으로는 아래에 배치된 I자 블록(10)의 중공부(100)가 노출되도록 하는 식생용 "ㅁ"자 블록(20a)이 하나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을 이용한 벽체.
KR1020070075055A 2007-07-26 2007-07-26 중공 연통 블록을 이용한 벽체 KR100783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055A KR100783672B1 (ko) 2007-07-26 2007-07-26 중공 연통 블록을 이용한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055A KR100783672B1 (ko) 2007-07-26 2007-07-26 중공 연통 블록을 이용한 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378A Division KR100774375B1 (ko) 2006-10-16 2006-10-16 중공 연통 블록을 이용한 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3672B1 true KR100783672B1 (ko) 2007-12-07

Family

ID=39140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5055A KR100783672B1 (ko) 2007-07-26 2007-07-26 중공 연통 블록을 이용한 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36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657B1 (ko) * 2013-08-22 2015-03-1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비정형모듈을 활용한 모듈러 건축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882Y1 (ko) 2004-06-29 2005-01-15 (주)신우콘크리트산업 조립식 축조블록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882Y1 (ko) 2004-06-29 2005-01-15 (주)신우콘크리트산업 조립식 축조블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657B1 (ko) * 2013-08-22 2015-03-1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비정형모듈을 활용한 모듈러 건축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508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CN109555153B (zh) 一种拼装式生态重力式挡土墙
CA2258637A1 (en)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KR100827782B1 (ko) ㅂ자 형상의 중공 연통 블록을 이용한 벽체
KR100783672B1 (ko) 중공 연통 블록을 이용한 벽체
KR100768484B1 (ko) ㄷ자 블록과 i자 블록을 이용한 블록 옹벽
KR100783673B1 (ko) 중공 연통 블록을 이용한 벽체
KR100644795B1 (ko) 조립 패널 옹벽
KR100774375B1 (ko) 중공 연통 블록을 이용한 벽체
KR100448438B1 (ko) 옹벽용 강재틀 및 이를 형성하는 형강부재
KR100783678B1 (ko) 블록을 이용한 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20076530A (ko) 블록식 녹화 옹벽
KR100636085B1 (ko) 조립식 옹벽 구조체
KR100393515B1 (ko) 블록식 녹화 옹벽
KR100736269B1 (ko) 수직 방향의 연속 통공이 형성되는 근입식 블록 옹벽 및 그시공방법
KR100694874B1 (ko) 사면안정용 방틀형 조립블록
KR100827783B1 (ko) 블록을 이용한 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431882Y1 (ko) 블록 조립구조
KR100603920B1 (ko) 화분일체식 방음벽형 옹벽
JP3132557U (ja) 環境保全型ブロック
KR100593181B1 (ko)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12102U (ko) 옹벽용 블럭
KR100736425B1 (ko) 수직 방향의 연속 통공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대응 블록,이를 적층하여 형성되는 블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680246B1 (ko) H빔과 선반블록을 이용한 녹화 옹벽
KR200389239Y1 (ko) 조립 패널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