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425B1 - 수직 방향의 연속 통공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대응 블록,이를 적층하여 형성되는 블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수직 방향의 연속 통공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대응 블록,이를 적층하여 형성되는 블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425B1
KR100736425B1 KR1020060023390A KR20060023390A KR100736425B1 KR 100736425 B1 KR100736425 B1 KR 100736425B1 KR 1020060023390 A KR1020060023390 A KR 1020060023390A KR 20060023390 A KR20060023390 A KR 20060023390A KR 100736425 B1 KR100736425 B1 KR 100736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anel
retaining wall
hollow
cou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3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영
오성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60023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4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 호안 옹벽 등에 널리 쓰이는 블록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골재 등의 보강재의 채움 상태가 상, 하로 연속되도록 하거나 또는 식물 식재용 토사부를 연속적으로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상, 하 블록간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블록 자중에 의한 응력이 집중되지 않도록 하여 블록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블록 적층 시 중공부가 상, 하로 연통되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역대응 블록 및 상기 역대응 블록을 이용하여 시공됨으로써, 상, 하층 간에 중공부가 수직 방향으로 연통되어 형성되는 블록 옹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옹벽의 정면이 되는 전면패널(21)과, 상기 배면 토사 방향의 배면패널(22)과, 상기 전면패널(21)과 배면패널(22)을 이어주는 격벽패널(23)을 구비하고 있으며, 배치된 층에 중공부(30)가 형성되는 중공 블록(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전면패널이 엇갈리도록 적층되어 옹벽(1)을 형성하며; 상기 격벽패널(23)은, 상기 중공 블록(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적층되었을 때 상기 중공부(30)가 상, 하로 연통될 수 있도록 상, 하부 중공블록의 격벽패널(13)과 중첩되는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대응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옹벽이 제공된다.
옹벽, 친환경, 블록, 중공, 역대응

Description

수직 방향의 연속 통공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대응 블록, 이를 적층하여 형성되는 블록 옹벽 및 그 시공방법{Counter-shaped Block, Retaining Wall Constructed thereby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종래의 블록 옹벽의 평면도이다.
도 1c는 종래의 블록 옹벽에 의하여 시공된 보강토 옹벽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옹벽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블록 옹벽의 축조에 사용된 중공 블록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b 및 도 3c는 각각 도 3a에 도시된 중공 블록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역대응 블록을 형성하는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d는 도 3a에 도시된 상기 중공 블록에 역대응하는 역대응 블록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e는 도 3d에 도시된 역대응 블록을 좀더 간소하게 다듬은 형태의 역대응 블록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f는 도 3a에 도시된 중공 블록의 변형 실시예로서, 중공 블록의 전면패널에 경사진 우수 유입용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 블록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3a 및 도 3d에 도시된 중공 블록과 역대응 블록을 이용하여 블록 옹벽을 축조한 형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옹벽에서의 블록의 적층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a는 격벽패널의 배치를 달리하여 또다른 평단면형상을 가지는 본 발명의 중공 블록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b 및 도 5c는 도 5a에 도시된 중공 블록을 이용하여 역대응 블록을 형성하는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d는 도 5a에 도시된 상기 중공 블록에 역대응하는 역대응 블록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e는 도 5d에 도시된 역대응 블록에서 일부 격벽패널을 제거하여 좀더 간소하게 다듬은 형태의 역대응 블록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5a 및 도 5d에 도시된 중공 블록과 역대응 블록을 이용하여 블록 옹벽을 축조한 형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옹벽에서의 블록의 적층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a는 도 5a 및 도 5e에 도시된 중공 블록과 역대응 블록을 이용하여 블록 옹벽을 축조한 형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옹벽에서의 블록의 적층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a는 또다른 평단면 형상을 가지는 본 발명의 중공 블록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b 및 도 8c는 도 8a에 도시된 중공 블록을 이용하여 역대응 블록을 형성하는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d는 도 8a에 도시된 상기 중공 블록에 역대응하는 역대응 블록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a는 도 8a 및 도 8d에 도시된 중공 블록과 역대응 블록을 이용하여 블록 옹벽을 축조한 형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옹벽에서의 블록의 적층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정면패널과 배면패널 사이에 두 개의 격벽패널이 배치되어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평단면형상의 중공 블록이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중공 블록과, 그에 대한 역대응 블록을 이용하여 블록 옹벽을 축조한 형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c는 도 10a에 도시된 옹벽에서의 블록의 적층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중공 블록 20 : 역대응 블록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이나 호안 옹벽의 벽체로 널리 사용되는 블록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 방향으로 연속통공이 형성되는 블록 옹벽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블록을 차례로 적층하여 옹벽을 시공함에 있어서 중공부를 구비한 중공 블록의 상기 중공부가 옹벽의 수직방향으로 상, 하 연통하도록 상기 중공 블록에 역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역대응 블록과, 이러한 역대응 블록에 의하여 시공되는 블록 옹벽, 그리고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옹벽의 일종으로서, 보강토 옹벽이나 호안 옹벽 등에서는 중공부를 가진 블록을 적층하여 옹벽의 전면 벽체를 형성하는 블록 옹벽이 시공되고 있다. 도 1a 및 도 1b에는 종래의 블록 옹벽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c에는 종래의 블록 옹벽에 의하여 시공된 보강토 옹벽의 수직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편의상 도 1a 및 도 1b에서 하부층의 블록은 빗금을 그어서 도시하였고, 그 위에 적층되는 상부층의 블록은 빗금을 표시하지 아니하였으며, 좌측 가장자리의 상부층 블록은, 하부층 블록의 형상이 보이도록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것처럼, 종래의 블록 옹벽을 형성하는 중공 블록(100)은, 옹벽의 정면이 되는 정면패널(110)과, 배면 토사 방향의 배면패널(120)과, 상기 정면패널(110)과 배면패널(120)을 연결하는 격벽패널(130)로 구성되어 있 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종래의 중공 블록(100)의 경우에는 상기 격벽패널(130)에 의하여 블록(100)의 내부에 하나 또는 다수개의 중공부(1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격벽패널(130)의 배치에 따라서 중공 블록(100)의 평단면 형상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중공 블록(100) 자체에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하지만, 동일한 모양의 중공 블록(100)을 측면에 이웃하여 배치하게 되면 두 개의 중공 블록(100)에 의하여 중공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중공 블록(100)을 적층함에 있어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상, 하층 간에 동일한 형상의 중공 블록(100)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된다. 즉, 이와 같이 전면패널이 엇갈려 보이도록 적층하는 것은 옹벽의 미관을 개선하고 블록의 이탈을 방지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중공 블록(100)의 경우에는 상, 하층 블록을 서로 엇갈리게 배치하게 되면, 격벽패널(130)에 의하여 중공부(140)가 차단되어 중공부(140)가 옹벽의 상, 하로 연통되지 못하고 폐쇄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중공 블록(100)에 의한 옹벽의 경우, 상기 중공(140)에 골재 등을 채우더라도 골재 채움 상태가 상, 하로 연속되지 못하게 된다.
특히, 이와 같이 종래의 블록 옹벽의 경우에는 비록 블록이 적층되는 구조를 가지지만 상, 하층 블록간의 결합이 단지 블록의 자중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경우, 배면 토사에 의한 전단력을 충분히 견딜 수 없어 전면쪽으로 블록이 밀려나오는 이른바 옹벽의 배불음 현상이나, 블록들이 이탈하는 현상을 피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블록 옹벽의 경우, 적층되었을 때, 상, 하층 블록(100)의 격벽패널(130)은 일부분만이 상, 하로 접하게 된다. 즉, 상, 하층 블록(100) 간에 접하는 면적이 협소하게 되는 것이다. 블록(100)을 높이 적층하였을 때, 블록(100)의 자중은 상, 하층 블록(100)의 접촉면을 통하여 지반으로 전달되는데, 이와 같이 종래의 블록 옹벽에서는 상, 하층 블록(100) 간의 접촉 면적이 협소하여 블록(100) 자중에 의한 응력이 협소한 부분에 집중될 수밖에 없고, 그에 따라 블록(100)에 균열, 깨짐 등의 파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블록 옹벽의 경우에는, 중공부(140)가 연통되지 못하여 폐쇄되므로,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토사를 채울만한 공간의 확보가 가능하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의 블록 옹벽이 가지는 한계 및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골재 등의 보강재의 채움상태가 상, 하로 연속되도록 하거나 또는 식물 식재용 토사부를 연속적으로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상, 하 블록간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블록 자중에 의한 응력이 집중되지 않도록 하여 블록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블록의 적층시에 격벽 패널이 중첩되거나 중공부가 옹벽의 상, 하로 연통되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역대응 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역대응 블록을 이용하여 시공됨으로써, 상, 하 층 간에 중공부가 연통되어 형성되는 블록 옹벽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옹벽의 정면이 되는 전면패널과, 상기 배면 토사 방향의 배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과 배면패널을 이어주는 격벽패널을 구비하고 있으며, 중공 블록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전면패널이 엇갈리도록 적층되어 옹벽을 형성하며; 상기 격벽패널은, 상기 중공 블록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적층되었을 때 상기 중공 블록이 위치한 층에 형성된 중공부가 상, 하로 연통될 수 있도록, 격벽 패널이 상기 중공 블록의 평면 형상에 역대응하여 중첩되는 평면 형상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대응 블록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중공 블록과 역대응 블록의 전면패널이 엇갈리도록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축조되며; 상기 역대응 블록은, 옹벽의 정면이 되는 전면패널과, 상기 배면 토사 방향의 배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과 배면패널을 이어주는 격벽패널을 구비하고 있으며; 중공 블록과 역대응 블록이 순차적으로 엇갈리도록 적층되었을 때, 중공 블록이 위치한 층에 형성된 중공부가 상, 하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옹벽이 제공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역대응 블록은, 상기 중공 블록을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구분하였을 때, 상기 중공 블록의 좌측 격벽패널과 우측 격벽패널이 서로 위치를 바꾸어서 측면으로 연결시켜 일체를 이루고 있는 단면 형 상을 가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블록을 수직하게 적층하여 블록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전면패널, 배면패널, 및 상기 전면패널과 배면패널을 이어주는 격벽패널을 구비하고 있는 중공 블록을 적층하여 중공부가 형성되는 블록의 층을 형성하고; 전면패널, 배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과 배면패널을 이어주는 격벽패널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중공 블록과 순차적으로 엇갈리도록 적층되었을 때, 격벽 패널이 중첩되어 중공부가 폐쇄되지 않고 상하로 연통되도록 하는 평면 구조를 가진 역대응 블록을 상기 중공 블록과 엇갈리도록 적층하여, 상기 중공부가 옹벽의 상, 하로 연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옹벽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다음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봄으로써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옹벽(1)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블록 옹벽(1)의 축조에 사용된 중공 블록(1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b 및 도 3c에는 도 3a에 도시된 중공 블록(10)을 이용하여 역대응 블록(20)을 형성하는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d에는 도 3a에 도시된 상기 중공 블록(10)에 역대응하는 역대응 블록(2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e에는 도 3d에 도시된 역대응 블록(20)을 좀더 간소하게 다듬은 형태의 역대응 블록(2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f에는 도 3a에 도시된 중공 블록(10)의 변형 실 시예로서, 중공 블록(10)의 전면패널(11)에 경사진 우수 유입용 경사부(15)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 블록(1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에는 도 3a 및 도 3d에 도시된 중공 블록과 역대응 블록을 이용하여 블록 옹벽을 축조한 형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b에는 도 4a에 도시된 옹벽에서의 블록의 적층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편의상 도 4b에서 하부층에 배치된 역대응 블록(20)은 빗금을 그어서 도시하였고, 그 위에 적층되는 상부층에 배치된 중공 블록(10)에는 빗금을 표시하지 아니하였다.
도 2, 도 3a 내지 도 3d,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중공 블록(10)과 역대응 블록(20)이 차례로 번갈아 가며 수직하게 적층되어 옹벽(1)을 축조하게 된다. 상기 옹벽(1)의 배면에는 배면 토사가 채워지게 된다. 옹벽고가 높은 경우에는, 도 1c에 도시된 경우처럼, 배면 토사 내에 그리드와 같은 보강재를 깔아 보강토 옹벽 형식으로 축조할 수도 있다.
상기 중공 블록(10)은, 도 3a에 예시된 것처럼, 옹벽의 정면이 되는 전면패널(11)과, 상기 배면 토사 방향의 배면패널(12)과, 상기 전면패널(11)과 배면패널(12)을 이어주는 격벽패널(13)을 구비하고 있다. 도 3a에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격벽패널(13)에 의하여 중공 블록(10)의 내부에 한개 또는 복수개의 중공부(30)가 형성되어 있다. 도 3a에 도시된 중공 블록(10)의 평단면형상은 일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상기 중공 블록(10)의 단면형상은 전면패널(11), 배면패널(12) 및 격벽패널(13)의 크기 및 배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또다른 평단면 형상을 가진 중공 블록(10)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역대응 블록(20) 역시 옹벽의 정면이 되는 전면패널(21)과, 상기 배면 토사 방향의 배면패널(22)과, 상기 전면패널(21)과 배면패널(22)을 이어주는 격벽패널(2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역대응 블록(20)은 상기 중공 블록(10)과 전면패널이 엇갈리도록 상기 중공 블록(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적층되어 상기 중공 블록(10)이 배치된 층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부(30)가 상, 하로 연통될 수 있도록 하는 평단면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역대응 블록(20)에 있어서, 상기 격벽패널(23)은 상기 중공 블록(10)을 중심선(C)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구분하였을 때, 상기 역대응 블록(20)은 상기 중공 블록(10)의 좌측 격벽패널(13-1)과 우측 격벽패널(13-2)이 서로 위치를 바꾸어서 측면으로 연결시켜 일체를 이루고 있는 단면 형상을 가지게 된다.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역대응 블록(20)의 단면 형상을 이루는 과정을 상세히 살펴보면, 우선 도 3a에 도시된 중공 블록(10)을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중공 블록(10)을 중심선(C)을 기준으로 좌측 격벽패널(13-1)이 있는 부분과 우측 격벽패널(13-2)이 있는 부분으로 구분하여 분리한 후, 상기 좌측 격벽패널(13-1)과 상기 우측 격벽패널(13-2)이 도 3c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 수평 이동하여 자리바꿈을 하고, 좌,우측의 배면패널과 전면패널을 각각 연결하고 전면패널의 모양을 상기 중공 블록(10)과 동일하게 되도록 수정하게 되면 도 3d에 도시된 것과 같은 역대응 블록(20)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단면 형상을 가진 상기 중공 블록(10)과 역대응 블록(20)을 엇갈리도록 차례로 적층하게 되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상, 하층에 적층된 블록에서 중공부(30)가 상, 하로 연통된다. 한편, 위와 같이 역대응 블록(20)을 형성함에 있어서, 도 3e에 도시된 것처럼 역대응 블록(20)의 격벽 패널(23)의 돌출부를 제거하여 좀 더 간소화된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f에 도시된 것처럼, 중공 블록(10)의 전면패널(11)에 경사진 우수 유입용 경사부(15)를 형성하게 되면, 후술하는 것처럼, 상,하로 연통된 중공부(30)에 식재용 토사를 채웠을 때, 옹벽의 전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우수 등이 상기 경사부(15)를 통하여 용이하게 토사로 유입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우수 유입용 경사부(15)는 역대응 블록(20)의 전면패널(21)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a에는 격벽패널(13)의 배치를 달리하여 또다른 평단면 형상을 가지는 중공 블록(1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b 및 도 5c에는, 앞서 살펴본 도 3b 및 도 3c 처럼, 도 5a에 도시된 중공 블록(10)을 이용하여 역대응 블록(20)을 형성하는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d에는 도 5a에 도시된 상기 중공 블록(10)에 역대응하는 역대응 블록(2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e에는 도 5d에 도시된 역대응 블록(20)에서 일부 격벽패널을 제거하여 좀더 간소하게 다듬은 형태의 역대응 블록(2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a에는 도 5a 및 도 5d에 도시된 중공 블록(10)과 역대응 블록(20)을 이용하여 블록 옹벽(1)을 축조한 형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b에는 도 6a에 도시된 옹벽(1)에서의 블록의 적층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a에는 도 5a 및 도 5e에 도시된 중공 블록(10) 과 역대응 블록(20)을 이용하여 블록 옹벽(1)을 축조한 형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b에는 도 7a에 도시된 옹벽(1)에서의 블록의 적층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한 도 5a 내지 도 5e, 도 6a, 도 6b,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해서는 앞서 도 2, 도 3a 내지 도 3f, 도 4a 및 도 4b와 관련한 설명이 적용되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8a에는 또다른 평단면 형상을 가지는 중공 블록(1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8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공 블록(10)은 "ㅁ" 형상을 갖도록 정면패널(11), 배면패널(12) 및 격벽(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역대응 블록(20) 자체에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하지만 역대응 블록(20)이 이웃하여 배치된 상태에서는 이웃하는 역대응 블록(20) 사이에 중공부(30)가 형성된다. 도 8b 및 도 8c에는 앞서 살펴본 도 3b 및 도 3c 처럼, 도 8a에 도시된 중공 블록(10)을 이용하여 역대응 블록(20)을 형성하는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d에는 도 8a에 도시된 상기 중공 블록(10)에 역대응하는 역대응 블록(2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a에는 도 8a 및 도 8d에 도시된 중공 블록(10)과 역대응 블록(20)을 이용하여 블록 옹벽(1)을 축조한 형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b에는 도 9a에 도시된 옹벽(1)에서의 블록의 적층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한 I자 형상의 역대응 블록(20)과 "ㅁ"자 모양의 중공 블록(10)을 엇갈리도록 상, 하로 적층하게 되면 역 대응블록(20) 사이에 형성된 중공부(30)와 중공 블록의 중공부(30)가 상, 하로 연통된다. 기타 사항은 도 2, 도 3a 내지 도 3f, 도 4a 및 도 4b와 관련한 설명이 적용되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a에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정면패널(11)과 배면패널(12) 사이에 두 개의 격벽패널(13)이 배치되어 중공부(30)가 형성되어 있는 평단면형상의 중공 블록(10)이 개략적인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중공 블록 (10)과 역대응 블록(20)이 동일한 형상을 갖는 특수한 경우이다. 도 10b에는 도 10a에 도시된 중공 블록(10)과, 그에 대한 역대응 블록(20)을 이용하여 블록 옹벽(1)을 축조한 형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c에는 이에 대한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도 10a에 도시된 중공 블록(10)과 이에 대한 역대응 블록(20)의 경우도 이를 차례로 엇갈리도록 적층하게 되면 상기 중공부(30)가 상, 하로 연통된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중공부(30)가 수직방향으로 상, 하로 연통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그러한 구성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이점을 발휘하게 된다. 우선, 상기 중공부(30)에 골재 등의 채움재를 채우게 되면, 이러한 채움재가 수직하게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채움재는 옹벽(1)으로 유입되는 우수 등을 용이하게 배수하는 기능 이외에도 중공 블록(10) 및 역대응 블록(20)이 적층된 각 행의 전단지지력을 보강하는 기능을 한다. 즉, 적층된 블록의 각 행에 배면 토사 등으로부터의 전단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연통된 중공부(30)에 채워져 연속적으로 형성된 채움재는 일종의 연속된 기둥과 같은 기능을 발휘하여 블록의 각 행 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옹벽에서 발생하였던 배불음 현상이나 블록의 이탈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옹벽(1)의 구조적인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상기 중공부(30)에는 골재 등의 채움재 이외에도 콘크리트 부재, 강재 빔 등의 연속적인 기둥부재(도시되지 않음)를 삽입 설치하여 위와 같이 옹벽(1)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통된 중공(30)에는 토사를 채워 상, 하 연속적인 토사부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토사부는 식물의 뿌리가 식재되어 활착될 수 있는 공간이 된다. 따라서 옹벽(1)에 형성되어 상하로 연통된 중공부(30)의 일부에 토사를 채우고 식물을 식재한 다음에 블록간 틈새를 통하여 식물이 뻗어나올 수 있도록 하여 미관이 좋고 자연친화적인 옹벽 외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중공부(30)에 토사를 채워 토사부를 형성하는 경우, 전면패널(11, 21)에 경사진 형태의 우수 유입용 경사부를 형성하여, 옹벽(1)의 전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우수 등이 토사부로 수분이 용이하게 흘러들어 가도록 하여 식물 생장을 위한 수분 공급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와 같이 옹벽의 상, 하로 연속적으로 연통된 중공부(30)를 형성하게 되는 효과 이외에도 블록(10, 20)의 자중에 의하여 블록(10, 2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에서는 역대응 블록(20)을 설치하게 되므로, 중공 블록(10)과 역대응 블록(20)의 각 격벽패널(13, 23)도 서로 중첩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블록 옹벽과는 달리, 상, 하층 블록(10, 20) 간의 접촉 면적이 종래의 경우보다 더 넓어 지므로, 블록 자중에 의한 응력의 집중 현상 및 그에 따른 블록(10, 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이와 같이 상, 하층 블록(10, 20) 간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고, 전단력에 대한 안정성이 증가되므로, 블록(10, 20) 자체의 두께를 줄일 수 있게 되며, 블록(10, 20)의 경량화 및 그에 따른 경제성 제고, 작업성 향상의 효과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층된 블록에 수직방향으로 중공부가 연속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공부를 연속되도록 하게 되면, 상기 연속된 중공부에 토사를 채워 식물이 식생될 수 있는 공간을 만들 수 있어 친환경적인 옹벽을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연속된 중공에 골재를 연속적으로 채우거나 또는 연속된 기둥부재를 삽입함으로써, 적층된 블록의 각 행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종래의 옹벽에서 발생하였던 배불음 현상이나 블록의 이탈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옹벽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 하층 블록 간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블록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옹벽의 전면이 되는 전면패널(11)과, 배면 토사 방향의 배면패널(12)과, 상기 전면패널(11)과 배면패널(12)을 이어주는 격벽패널(13)을 구비하고 있으며 블록 내에 한 개 또는 다수개의 중공부(30)를 갖거나 일렬로 나란히 놓일 때 인접 블록 사이에 중공부(30)가 형성되는 중공 블록(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엇갈리도록 적층되어 옹벽을 형성하는 역대응 블록(20)으로서,
    상기 역대응 블록(20)은, 옹벽의 정면이 되는 전면패널(21)과, 상기 배면 토사 방향의 배면패널(22)과, 상기 전면패널(21)과 배면패널(22)을 이어주는 격벽패널(23)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역대응 블록(20)은, 상기 중공 블록(10)을 중심선(C)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구분하였을 때, 상기 중공 블록(10)의 좌측 격벽패널(13-1)과 우측 격벽패널(13-2)이 서로 위치를 바꾸어서 측면으로 연결시켜 일체를 이루고 있는 평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역대응 블록(20)은, 상기 중공 블록(10)의 전면패널(11)과 상기 역대응 블록(20)의 전면패널(21)이 엇갈리도록 상기 중공 블록(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적층되어도 상기 블록들의 격벽패널(13, 23)들이 중공부를 폐쇄하지 않도록 중첩됨으로써, 상기 중공부(30)가 옹벽의 상,하로 연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대응 블록.
  2. 옹벽의 전면이 되는 전면패널(11)과, 배면 토사 방향의 배면패널(12)과, 상기 전면패널(11)과 배면패널(12)을 이어주는 격벽패널(13)을 구비하고 있으며 블록 내에 한 개 또는 다수개의 중공부(30)를 갖거나 일렬로 나란히 놓일 때 인접 블록 사이에 중공부(30)가 형성되는 중공 블록(10); 및
    옹벽의 정면이 되는 전면패널(21)과, 상기 배면 토사 방향의 배면패널(22)과, 상기 전면패널(21)과 배면패널(22)을 이어주는 격벽패널(23)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중공 블록(10)을 중심선(C)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구분하였을 때, 상기 중공 블록(10)의 좌측 격벽패널(13-1)과 우측 격벽패널(13-2)이 서로 위치를 바꾸어서 측면으로 연결시켜 일체를 이루고 있는 평단면형상을 가지는 역대응 블록(20)을 포함하며;
    상기 중공 블록(10)의 전면패널(11)과 상기 역대응 블록(20)의 전면패널(21)이 엇갈리도록 상기 역대응 블록(20)이 상기 중공 블록(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적층되어도 상기 블록들의 격벽패널(13, 23)들이 중공부(30)를 폐쇄하지 않도록 중첩됨으로써, 상기 중공부(30)가 옹벽의 상,하로 연통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블록(10) 또는 역대응 블록(20)의 전면패널에는, 중공부(30) 내부에 토사가 채워졌을 때 상기 토사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중공부(30) 방향으로 경사진 우수 유입용 경사부(1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4. 블록을 수직으로 적층하여 블록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옹벽의 정면이 되는 전면패널(11), 배면 토사 방향의 배면패널(12), 및 상기 전면패널(11), 배면패널(12) 및 상기 전면패널(11)과 배면패널(12)을 이어주는 격벽패널(13)을 구비하고 있는 중공 블록(10)을 적층하여 중공부(30)가 형성되어 있는 블록의 층을 형성하고;
    옹벽의 정면이 되는 전면패널(21)과, 상기 배면 토사 방향의 배면패널(22)과, 상기 전면패널(21)과 배면패널(22)을 이어주는 격벽패널(23)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중공 블록(10)을 중심선(C)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구분하였을 때, 상기 중공 블록(10)의 좌측 격벽패널(13-1)과 우측 격벽패널(13-2)이 서로 위치를 바꾸어서 측면으로 연결시켜 일체를 이루고 있는 평단면형상을 가지는 역대응 블록 (20)을, 상기 중공 블록(10)과 엇갈리도록 적층하여, 상기 중공부(30)가 옹벽의 상, 하로 연통되는 구조를 되도록 블록 옹벽을 축조하여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옹벽 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로 연통된 중공부(30)에 채움재를 넣어 기둥 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옹벽 시공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로 연통된 중공부(30)에 식재용 토사를 채워 넣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옹벽 시공방법.
KR1020060023390A 2006-03-14 2006-03-14 수직 방향의 연속 통공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대응 블록,이를 적층하여 형성되는 블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736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390A KR100736425B1 (ko) 2006-03-14 2006-03-14 수직 방향의 연속 통공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대응 블록,이를 적층하여 형성되는 블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390A KR100736425B1 (ko) 2006-03-14 2006-03-14 수직 방향의 연속 통공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대응 블록,이를 적층하여 형성되는 블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6425B1 true KR100736425B1 (ko) 2007-07-09

Family

ID=38503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3390A KR100736425B1 (ko) 2006-03-14 2006-03-14 수직 방향의 연속 통공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대응 블록,이를 적층하여 형성되는 블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42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819A (ja) 1996-06-27 1998-01-13 Sanyu Create:Kk 魚巣用護岸ブロッ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819A (ja) 1996-06-27 1998-01-13 Sanyu Create:Kk 魚巣用護岸ブロッ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5048B2 (en) Method for river/lake level regulation and water conservancy system
KR10140508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20110003195U (ko)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녹화 옹벽
KR100736269B1 (ko) 수직 방향의 연속 통공이 형성되는 근입식 블록 옹벽 및 그시공방법
CN201261879Y (zh) 一种节约型生态驳岸
KR101166491B1 (ko) 생태블록옹벽
KR101311257B1 (ko) 옹벽용 블록 구조
KR100736425B1 (ko) 수직 방향의 연속 통공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대응 블록,이를 적층하여 형성되는 블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379040B1 (ko) 방파제 구조물
KR102010119B1 (ko) 방파제 구조물
KR100768484B1 (ko) ㄷ자 블록과 i자 블록을 이용한 블록 옹벽
KR200389264Y1 (ko) 생태옹벽블록
KR20050105137A (ko) 어소 및 옹벽겸용블럭과 그 시공방법
KR100700021B1 (ko) 침수방틀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827782B1 (ko) ㅂ자 형상의 중공 연통 블록을 이용한 벽체
KR100694874B1 (ko) 사면안정용 방틀형 조립블록
JP5006072B2 (ja) 水貯留槽用の構造部材
KR102287339B1 (ko) 다목적 블록
KR100783678B1 (ko) 블록을 이용한 벽체 및 그 시공방법
CN209836935U (zh) 一种堤坝水土保持装置
CN112761113A (zh) 一种装配式生态框格结构及岸坡防护结构
KR100827783B1 (ko) 블록을 이용한 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783672B1 (ko) 중공 연통 블록을 이용한 벽체
KR100783673B1 (ko) 중공 연통 블록을 이용한 벽체
KR20110005277U (ko) 식생옹벽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