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2106B1 - 기공층을 구비한 직물구조체 - Google Patents

기공층을 구비한 직물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2106B1
KR100782106B1 KR1020060115807A KR20060115807A KR100782106B1 KR 100782106 B1 KR100782106 B1 KR 100782106B1 KR 1020060115807 A KR1020060115807 A KR 1020060115807A KR 20060115807 A KR20060115807 A KR 20060115807A KR 100782106 B1 KR100782106 B1 KR 100782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abric
coating layer
fabric layer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5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비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비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비노
Priority to KR1020060115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21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2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2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2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ydrocarbon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afterhalogenated or sulfochlorinat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16Synthetic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18Synthetic fibres consisting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2101/20Polyalkenes, 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with alkenyl groups bonded to aromatic group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1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ethylen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propylen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6Packings, gaskets,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공층을 구비한 직물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간직물층; 상기 중간직물층 하면에 형성된 하부코팅층; 및 상기 중간직물층 상면에 형성된 상부코팅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중간직물층과 하부코팅층이 대면하는 제1층간 및 상기 중간직물층과 상부코팅층이 대면하는 제2층간 중 적어도 어느 한 층간의 일부 영역에서는 층간 접착이 이루어지고, 다른 일부 영역에서는 층간 이격이 이루어져 형성된 기공층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상 물질이나 기타 보호가 필요한 물질이나 물체 등을 덮음으로써 보온성을 유지하고, 증발 방지 기능을 가지되, 내부에 포함된 기공층이 직물구조체의 상부나 하부로 돌출된 상태가 아니며, 직물층을 구성하는 위사와 경사의 층간 재질 및 두께나 폭의 차이를 이용하여 그 내부에 형성됨으로써, 평탄한 직물층 자체가 갖는 부피내에 기공층이 포함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보관, 운반 사용시에 큰 부피로 인해 발생되는 상용성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찢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중간직물층이 형성되어 있어 강도가 요구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도 보유하고 있다.
직물, 부유, 커버, 보온, 기공층

Description

기공층을 구비한 직물구조체{Structure of fabric having air-layer}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및 2는 종래의 커버 제품의 일예에 관한 사용 사시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공층을 구비한 직물구조체를 제조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공층을 구비한 직물구조체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직물층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분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7은 도 5의 B부분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공층을 구비한 직물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300...직물층 310...하부코팅층 320...상부코팅층
본 발명은 기공층을 구비한 직물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부코팅층에 감싸여진 직물층을 이루는 위사와 경사에 사용된 필름층의 두께 및 재질의 상이성을 이용하여 일부 영역에 층간 기공층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부유성이나 보온성을 향상시킨 기공층을 구비한 직물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평탄형 커버의 경우에 액상 물질 상부를 덮거나 띄움으로써, 액상물질의 증발방지나 보온 목적 또는 기타 커버가 갖는 여러 보호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특히, 단층이나 복층으로 형성된 커버의 경우로서 그 제조에 사용된 재질에 따라서 액상 물질보다 비중이 작은 커버를 형성할 수도 있지만, 부유성 및 보온성의 향상 목적으로 커버의 상부나 하부에 인위적으로 공기를 포함하는 셀 형태의 기공층을 제작하는 방식이 채택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은 제조 공정의 번거로움은 물론, 그 보관이나 운반 및 사용시에 커버 자체의 부피는 물론 공기를 포함하는 셀층이 갖는 부피로 인하여 상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제품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그 문제점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2는 종래의 커버 제품의 일예에 관한 사용 사시도들이다.
도 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종래의 평탄형 커버 제품은 액상 물질 상부에 서의 부유성 확보, 방수나 보온성 강화를 위해 하부층(110) 상부에 다수의 기공층(125)을 갖는 층을 긴밀하게 접합하여 순차적으로 하부층(110) 및 기공층이 형성된 상부층(120)이 적층된 제품으로 공급되고 있다. 상기 상부층(120)에 형성된 기공층은 상부층(120)을 하부층(110)에 라미네이션시키기 전에 압출과정을 진행하면서 바람 등을 불어주거나 별도의 엠보싱 성형과정을 거침으로서 요철의 반복적인 패턴이 구비되도록 한 후, 그 결과물을 하부층(110) 상에 라미네이션시킴으로써, 하부층(110)과 상부층(120) 간의 이격부에 의해 형성되고 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커버 제품은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나 목적 등을 고려하여 적정한 크기로 재단하고, 그 보관이나 운반의 편리성을 위해서 도 2와 같은 두루마리 형태로 적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2에서는 요철형의 반복적인 엠보싱 패턴이 형성된 상부층(220)을 하부층(210)에 적층시킴으로서 형성된 기공층(225)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기공층(225) 내에는 공기가 채워져 형성됨으로 두루마리 형태로 말게 되는 경우에는 상부층(220)에 형성된 기공층(225)으로 인해 전체적인 면적에 비하여 과도한 부피를 자치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부피 증가는 제품의 보관, 운반 및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음은 자명하게 이해될 수 있다. 즉, 동일 면적에 펼쳐지는 커버 제품을 보관하고 이를 운반하기 위해서는 보다 큰 부피를 차지하는 공간이나 수송 수단이 필요하게 되고, 반복적으로 설치와 철거를 진행하여야 하는 장소에서는 이러한 부피감으로 인해 그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작업 과정에서 외부의 돌출된 물건이나 작업자에 의해 가해지는 예기치 않은 압력 등에 의해 돌출된 기공 층(225)이 터짐으로써 당초 예정하였던 기공층의 기능이 상실될 위험성도 내재되어 있다.
특히, 액상물질, 예컨대 야외용 풀장의 커버로 사용되어, 보온이나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설치하였다가, 이를 제거하는 작업이 요구되는 경우, 그 설치 및 제거의 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시적 보관이나 계절적 요인에 의해 장기적인 보관 또는 장소적 이동 가능성을 고려하는 경우에는 그 운반 상의 여러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의 평탄형 커버 제품의 경우에는 비록 부유성이나 보온성 등에서는 나름의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사용시 부피의 과다함으로 인하여 보관, 운반 및 사용시 제품의 상용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반영구적으로 사용되는 커버 제품의 경우에는 그 문제점이 다소 미약하게 인식될 수 있지만, 반복적으로 설치와 철수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 커버 제품의 경우에는 상용성이 매우 저하되는 단점이 노출되고 있다. 또한, 상부층이나 하부층을 필름재로 제조하게 되는 경우 그 강도가 약하여 장기적인 사용에도 취약한 문제점도 발생하고 있다.
전술한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관련업계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이러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본 발명이 안출된 것이다.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에 기초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직물층을 중간에 개재하여 제품 강도를 개선하고, 전체적으로 액상 물질 상부에 부유되도록 함과 동시에 기공층의 존재로 인해 발생되는 부피증가의 문제를 해소하면 서 사용 목적에 따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제품을 제시하고자 함에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있는 층간 내부에 기공층을 구비한 직물구조체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기공층을 구비한 직물구조체의 하나는, 중간직물층; 상기 중간직물층 하면에 형성된 하부코팅층; 및 상기 중간직물층 상면에 형성된 상부코팅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중간직물층과 하부코팅층이 대면하는 제1층간 및 상기 중간직물층과 상부코팅층이 대면하는 제2층간 중 적어도 어느 한 층간의 일부 영역에서는 층간 접착이 이루어지고, 다른 일부 영역에서는 층간 이격이 이루어져 형성된 기공층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기공층을 구비한 직물구조체의 하나는, 중간직물층; 상기 중간직물층 하면에 형성된 하부코팅층; 및 상기 중간직물층 상면에 형성된 상부코팅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중간직물층을 이루는 위사와 경사의 사이로 상기 하부코팅층과 상부코팅층이 대면하는 층간의 일부 영역에서 층간 접착이 이루어지면서, 다른 일부 영역에서는 층간 이격이 이루어져 형성된 기공층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직물구조체에서, 상기 하부코팅층 및 상부코팅층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및 폴리프로필렌(PP)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 또는 이들 중 임의로 선택된 둘 이상의 물질의 혼합물로서 제조되면 바람 직하다. 전술한 직물구조체에서, 상기 중간직물층을 이루는 위사와 경사로 이용되는 직물사는, 필름사 또는 원형사이면 바람직하다. 전술한 직물구조체에서, 상기 중간직물층을 이루는 위사와 경사로 이용되는 직물사는,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및 폴리프로필렌(PP)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 또는 이들 중 임의로 선택된 둘 이상의 물질의 혼합물로서 제조된 것이면 바람직하다. 전술한 직물구조체는, 유체 증발방지용 덮개, 유체 보온용 덮개 및 포장용 완충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용도로 이용되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공층을 구비한 직물구조체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먼저 중간직물층을 준비하고(S1), 상기 준비된 중간직물층 상부 또는 하부에 코팅층을 형성한다(S2). 이때, 상부 및 하부코팅층을 모두 형성할 수도 있지만, 중간직물층의 어느 한쪽에만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마지막으로 중간직물층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코팅층이 중간직물층과 긴밀하게 접합이 이루어지되, 그 층간에는 일정한 기공층이 형성될 수 있도록 외표 면에 요철형의 패턴이 형성된 롤러 등으로 눌러 주어 접착성 강화 및 기공층 형성을 돕도록 한다(S3).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중간직물층을 준비하고, 그 상부나 하부에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해 소정의 기공층이 형성될 중간직물층의 오목한 부분의 상면을 감싸는 코팅재를 접촉시킬 때, 일정한 접촉 영역에서 코팅재를 순간적으로 냉각시키면 중간직물층의 오목한 부분으로 유동성 코팅재가 흘러들어가는 문제점을 방지하여 기공층 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냉각수단으로서는 코팅재의 유동성을 국지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방법은 여러 가지를 고려해볼 수 있다. 첫째로, 에어노즐을 설치하여 요구되는 위치에 코팅재가 접촉하기 직전에 에어를 분사하여 유동성을 제한하는 방법이 있다. 둘째로, 직물층과 코팅층의 접합을 긴밀하게 하는 목적으로 이용되는 롤러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직물층에 형성된 오목부에서는 롤러면이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을 통해서 기공층 형성을 유도할 수 있다. 즉, 롤러면에 선택적으로 형성된 요홈부와 직물층의 오목부가 상호 대응하여 정합되면서 롤링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롤러의 접촉면을 통한 힘이 코팅층과 직물층에 연속적으로 전달되는 곳에서는 접합의 긴밀성이 향상되지만, 롤러면의 요홈부는 코팅층과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직물층의 오목부 내로 코팅층이 내려앉지 않게 되어 기공층이 변형되거나 파괴되는 것이 방지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기공층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중간직물층의 평탄부에 접착되는 코팅층은 사용에 따라 그 접착성이 약화되어 서로 층간 분리되거나 외력에 의해 기공층이 파괴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예상되므로, 요철부가 중간직물층의 오목부 내측 가장자리에 정합되면서 접촉되도록 패턴형성된 롤러면으로 가압함으로써, 중간직물층의 오목부의 중심 부위를 제외한 내측 가장자리에서 롤러에 의한 가압에 의해 코팅층이 중간직물층과 보다 긴밀하게 접합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중간직물층의 오목부와 기공층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기공층이 보다 오랜 수명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제품과 달리 중간직물층이 중간에 개재되어 사용됨으로 인해 강도가 증진되고 그로 인해 사용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공층을 구비한 직물구조체의 부분사시도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공층을 구비한 직물구조체는 3개의 적층 구조를 갖고 있다. 즉, 중간의 직물층(300)과 그 하부의 하부코팅층(310) 및 그 상부의 상부코팅층(320)으로 이루어진 3개 층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시된 바와 달리, 사용목적이나 제조 공정의 간편화를 위해 상부코팅층(320) 또는 하부코팅층(310)의 어느 하나의 층은 형성하지 않은 상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4의 직물층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부분에 대한 상세도이며, 도 7은 도 6의 B부분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도 4의 중간의 직물층(300)은 경사와 위사가 서로 교차하면서 직조된 것이다. 보다 상세한 직조 패턴을 이해하기 위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경사는 각각 폭과 두께가 상이한 필름사가 교번하여 상하로 교차하면서 직조된 것이 이용된다. 즉, 하나의 필름사는 제1두께를 갖는 협폭의 필름사(516)로서 제2경사로 이용되고, 다른 하나의 필름사는 제1두께보다는 큰 수치의 제2두께를 갖는 하나의 광폭의 필름사가 이용될 수도 있지만, 도 6에서는 일체를 이루는 광폭의 필름사가 아닌 제2두께를 갖는 협폭의 필름사가 그 측단이 대접되면서 나란하게 배치되는 형태로(512과 513, 514와 515) 광폭을 갖도록 하여 제1경사로 이용됨을 도시하였다. 한편, 협폭의 제1두께를 갖는 제2위사(511)는 상기 제1경사의 상부에서 제2경사의 하부로, 다시 인접한 제1경사의 상부로 배향되도록 반복적으로 직조되어 있다. 이러한 직물층 상부에 상부코팅층(520)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하부코팅층(510)이 형성된다. 한편, 얇은 두께를 갖는 협폭의 필름사(516)가 제2경사로 이용되면서, 주변의 다른 위사나 경사에 비해 오목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상부코팅층(520)의 저면과는 접합이 이루어지지 않고 기공층(530)을 형성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위사는 각각 폭과 두께가 상이한 필름사가 교번하여 상하로 교차하면서 직조된 것이 이용된다. 즉, 하나의 필름사는 제1두께를 갖는 협폭의 필름사(616)로서 제2위사로 이용되고, 다른 하나의 필름사는 제1두께보다는 큰 수치의 제2두께를 갖는 하나의 광폭의 필름사가 이용될 수도 있지만, 도 7에서는 일체를 이루는 광폭의 필름사가 아닌 제2두께를 갖는 협폭의 필름사가 그 측단이 대접되면서 나란하게 배치되는 형태로(612과 613, 614와 615) 광폭을 갖도록 하여 제1위사로 이용됨을 도시하였다. 한편, 광폭의 제1두께를 갖는 제1경사(611)는 상기 제1위사의 상부에서 제2위사의 하부로, 다시 인접한 제1위사의 상부로 배향되도록 반복적으로 직조되어 있다. 한편, 협폭의 제1두께를 갖는 제2위사(611)는 상기 제1 경사의 상부에서 제2경사의 하부로, 다시 인접한 제1경사의 상부로 배향되도록 반복적으로 직조되어 있다. 이러한 직물층 상부에 상부코팅층(620)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하부코팅층(610)이 형성된다. 한편, 얇은 두께를 갖는 협폭의 필름사(516)가 제2위사로 이용되면서, 주변의 다른 위사나 경사에 비해 오목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상부코팅층(620)의 저면과는 접합이 이루어지지 않고 기공층(630)을 형성하게 된다.
즉, 도 6의 제2위사(516)나 도 7의 제2경사(616)가 직조된 영역은 그 주위의 다른 부분의 직조 영역에 비해 두께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두께가 두꺼운 주변의 다른 직조 영역의 최상부면이나 최하부면을 기준하면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직물층(300)에 상부코팅층(320)이나 하부코팅층(310)을 직물층(300)의 최상부면이나 최하부면을 기준하여 평탄하게 형성한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직물층(300)의 오목한 부분과 이를 덮는 상부코팅층(320) 또는 하부코팅층(310)에 둘러싸여진 밀폐된 기공층이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공층은 상부코팅층(320) 또는 하부코팅층(310)의 평탄면을 기준하여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상태로서 전체적인 직물구조체 내부에 구비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이 종래의 커버 제품과 다른 기공층을 구비하게 되는 것을 확연하게 구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공층을 구비한 직물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경사는 각각 폭과 두께가 상이한 필름사가 교번하여 상하로 교차하면서 직조된 것이 이용된다. 즉, 하나의 필름사는 제1두께를 갖는 협폭의 필름사(816)로서 제2경사로 이용되고, 다른 하나의 필름사는 제1두께보다는 큰 수치의 제2두께를 갖는 하나의 광폭의 필름사가 이용될 수도 있지만, 도 6에서는 일체를 이루는 광폭의 필름사가 아닌 제2두께를 갖는 협폭의 필름사가 그 측단이 대접되면서 나란하게 배치되는 형태로(812과 813, 814와 815) 광폭을 갖도록 하여 제1경사로 이용됨을 도시하였다. 한편, 협폭의 제1두께를 갖는 제2위사(811)는 상기 제1경사의 상부에서 제2경사의 하부로, 다시 인접한 제1경사의 상부로 배향되도록 반복적으로 직조되어 있다. 이러한 직물층 상부에 상부코팅층(820)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하부코팅층(810)이 형성된다. 한편, 얇은 두께를 갖는 협폭의 필름사(816)가 제2경사로 이용되면서, 주변의 다른 위사나 경사에 비해 오목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상부코팅층(820)의 저면과는 접합이 이루어지지 않고 기공층(830)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기공층(830)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제품 사용에 따라 코팅층과 직물층 간의 접합부분이 떨어지면서 기공층이 파괴될 수 있으므로, 그 접합력을 강화하기 위해 외표면에 요철형의 패턴이 형성된 롤러(840) 등으로 눌러 주는 공정을 추가적으로 진행하여 보다 견고하게 기공층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전술한 직물구조체의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로서는, 중간직물층이 망사조직으로 직조된 경우를 들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중간직물층의 망사의 눈이 형성된 영역에서 상부와 하부에 각각 코팅되는 상부코팅층 및 하부코팅층이 중간직물층을 이루는 직물사인 위사와 경사와 직접 마주보면서도 접촉하지 않은 상태를 갖도록 하면서 층간 접착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중간직물층의 망사구조에서 망사의 눈은 가장 일반적으로는 사각형 형태를 갖도록 직조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삼각형, 육각형, 팔각형,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도형 형태의 눈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동일한 기술을 이용하여, 중간직물층을 이루는 위사와 경사에는 상부코팅층 및 하부코팅층이 접착되지만, 망사의 눈과 정합될 수 있는 요철형의 패턴을 구비한 롤러로 가압함으로써 중간직물층의 망사의 눈이 형성된 영역의 가장자리에서 서로 마주보는 상부코팅층과 하부코팅층이 직접 접하면서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중간직물층 망사의 눈 내부 중심부에서는 상부코팅층과 하부코팅층이 접착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게 함으로써 중간직물층 망사의 눈 내부 중심부 영역에는 본 발명에서 의도하는 바와 같은 기공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직물구조체에 형성된 다수의 기공층은 전체적인 직물구조체에의 부유성, 보온성 등의 기능이 부각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충분하게 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간에 개지된 직물층에 의해 제품 강도가 현저하게 개선 되며, 액상 물질이나 기타 보호가 필요한 물질이나 물체 등을 덮음으로써 보온성을 유지하고, 증발 방지 기능을 가지되, 내부에 포함된 기공층이 직물구조체의 상부나 하부로 돌출된 상태가 아니며, 직물층을 구성하는 위사와 경사의 층간 재질 및 두께나 폭의 차이를 이용하여 그 내부에 형성됨으로써, 평탄한 직물층 자체가 갖는 부피 내에 기공층이 포함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보관, 운반 사용시에 큰 부피로 인한 상용성 저하의 문제가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찢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중간직물층이 형성되어 있어 강도가 요구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도 보유하고 있다.

Claims (6)

  1. 중간직물층;
    상기 중간직물층 하면에 형성된 하부코팅층; 및
    상기 중간직물층 상면에 형성된 상부코팅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중간직물층과 하부코팅층이 대면하는 제1층간 및 상기 중간직물층과 상부코팅층이 대면하는 제2층간 중 적어도 어느 한 층간의 일부 영역에서는 층간 접착이 이루어지고, 다른 일부 영역에서는 층간 이격이 이루어져 형성된 기공층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구조체.
  2. 중간직물층;
    상기 중간직물층 하면에 형성된 하부코팅층; 및
    상기 중간직물층 상면에 형성된 상부코팅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중간직물층을 이루는 위사와 경사의 사이로 상기 하부코팅층과 상부코팅층이 대면하는 층간의 일부 영역에서 층간 접착이 이루어지면서, 다른 일부 영역에서는 층간 이격이 이루어져 형성된 기공층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구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코팅층 및 상부코팅층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 에틸렌(LLDPE) 및 폴리프로필렌(PP)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 또는 이들 중 임의로 선택된 둘 이상의 물질의 혼합물로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구조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직물층을 이루는 위사와 경사로 이용되는 직물사는, 필름사 또는 원형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직물층을 이루는 위사와 경사로 이용되는 직물사는,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및 폴리프로필렌(PP)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 또는 이들 중 임의로 선택된 둘 이상의 물질의 혼합물로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구조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구조체는, 유체 증발방지용 덮개, 유체 보온용 덮개 및 포장용 완충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용도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공층을 구비한 직물구조체.
KR1020060115807A 2006-11-22 2006-11-22 기공층을 구비한 직물구조체 KR100782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807A KR100782106B1 (ko) 2006-11-22 2006-11-22 기공층을 구비한 직물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807A KR100782106B1 (ko) 2006-11-22 2006-11-22 기공층을 구비한 직물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2106B1 true KR100782106B1 (ko) 2007-12-05

Family

ID=39139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5807A KR100782106B1 (ko) 2006-11-22 2006-11-22 기공층을 구비한 직물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21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211B1 (ko) 2007-11-14 2009-04-02 주식회사 파비노 커버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431765B1 (ko) 2012-11-01 2014-09-23 (주)엠시피 포장용 폴리프로필렌 천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304A (ko) * 2001-05-07 2001-08-04 윤성문 올레핀계 타포린
KR20030059606A (ko) * 2002-01-03 2003-07-10 기영상 통기성 및 통수성과 미끄럼 방지를 위한 타포린
KR20060129754A (ko) * 2005-06-13 2006-12-18 주식회사 파비노 미끄럼 방지용 직물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304A (ko) * 2001-05-07 2001-08-04 윤성문 올레핀계 타포린
KR20030059606A (ko) * 2002-01-03 2003-07-10 기영상 통기성 및 통수성과 미끄럼 방지를 위한 타포린
KR20060129754A (ko) * 2005-06-13 2006-12-18 주식회사 파비노 미끄럼 방지용 직물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211B1 (ko) 2007-11-14 2009-04-02 주식회사 파비노 커버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431765B1 (ko) 2012-11-01 2014-09-23 (주)엠시피 포장용 폴리프로필렌 천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0882B2 (en) Honeycomb structure element
US20120164365A1 (en) Vacuum insulation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540072B2 (en) Zipper construction for enhanced sealing
JP4974861B2 (ja) 真空断熱材
KR100782106B1 (ko) 기공층을 구비한 직물구조체
JP6022037B2 (ja) 真空断熱材
JP2007518595A (ja) エンボス加工された交差積層フィルム
JP2007056903A (ja) 断熱材及びその断熱材を用いた断熱構造体
MXPA01008135A (es) Protector de carga mediante celdas de aire.
GB2496739A (en) Insulating material comprising corrugated cellular material and metallised film
JP5779523B2 (ja) 結露防止用シート
WO2018230343A1 (ja) 断熱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積層断熱シート
GB2336565A (en) Vacuum insulation panel
JP2007278388A (ja) 真空断熱材、および、真空断熱材の製造方法
US20090041999A1 (en) Constructional sealant material
TWI596050B (zh) 真空隔熱材料、真空隔熱材料之製造裝置以及使用真空隔熱材料之隔熱箱
KR20170097169A (ko) 개선된 밀봉을 갖는 진공 단열 패널
CN217105536U (zh) 一种气膜建筑保温隔热结构
JPS6133133Y2 (ko)
CN216466550U (zh) 一种保温防水卷材
KR101358218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방벽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단열구조물
KR100659041B1 (ko) 기능성 입체형 보강 시트재 및 이를 이용한 액상형 방수공법
JP4076066B2 (ja) 通気性袋
KR100808616B1 (ko) 부유·보온커버 제조 방법
KR20110137076A (ko) 플로팅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