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943B1 - 플래트형 토오크 경첩 - Google Patents

플래트형 토오크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943B1
KR100781943B1 KR1020060115591A KR20060115591A KR100781943B1 KR 100781943 B1 KR100781943 B1 KR 100781943B1 KR 1020060115591 A KR1020060115591 A KR 1020060115591A KR 20060115591 A KR20060115591 A KR 20060115591A KR 100781943 B1 KR100781943 B1 KR 100781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urling
insertion tube
insert pipe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5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선영
Original Assignee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5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19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06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컬링스프링이 부여되어 힌지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되 샤프트가 양분되어 컬링스프링 및 가동삽지관 양측에서 끼워지므로 컬링스프링 왜곡이 방지되어 힌지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샤프트 직진도가 정확하게 형성되어 신뢰성 및 품질특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도록 하는 플래트형 토오크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평판부 일측 중앙에 샤프트가 끼워지기 위한 가동삽지관이 돌출 형성되는 도어측 브라켓, 상기 가동삽지관 양측으로 배치되는 고정삽지관이 평판부에 돌출형성되는 본체측 브라켓, 상기 가동삽지관과 고정삽지관에 걸쳐 결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와 가동삽지관 사이에 삽지되는 컬링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플래트형 경첩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가 2개 부재로 균등하게 분할형성되어 도어측 브라켓의 가동삽지관 및 컬링스프링 양측에서 삽입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래트형 토오크 경첩{A FLAT-TYPE TORQUE HIN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 일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에의 샤프트 조립상태도
도 7은 종래기술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종단면 일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의 플래트형 토오크 경첩 10: 도어측 브라켓
11: 평판부 13: 가동삽지관 13a: 스토퍼단
13b: 키이홈 20: 본체측 브라켓 21: 평판부
23: 고정삽지관 23a: 결합부 23b: 마감단
30a,30b: 샤프트 31: 고정삽지관 결합부 33: 단차부
50(50a,50b): 컬링스프링 51: 키이돌조 61: 스페이서 와셔
본 발명은 플래트형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컬링스프링이 부여되어 힌지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되 샤프트가 양분되어 컬링스프링 및 가동삽지관 양측에서 끼워지므로 컬링스프링 왜곡이 방지되어 힌지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샤프트 직진도가 정확하게 형성되어 신뢰성 및 품질특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도록 하는 플래트형 토오크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힌지장치는 도어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는 구조에서 필수적으로 수반되는데, 개폐회전동작에서 토오크를 지니게 함으로써 개폐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힌지장치의 토오크 발생구조는 대체로 스프링의 탄성 및 마찰구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주로 전자제품 등과 같이 정밀제품에 장착되는 힌지장치에 적용되어 제품의 안전성 향상과 사용감의 고급화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 가구 또는 주방가구 등의 도어에 장착되는 힌지장치인 플래트형 경첩은 여전히 사프트, 본체측에 고정되는 평판부에 상기 샤프트가 끼워지는 삽지관이 형성된 본체측 브라켓, 도어측에 고정되는 평판부에 상기 샤프트가 끼워지는 삽지관이 형성된 도어측 브라켓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측 및 본체측의 브라켓은 그 삽지관을 대개 평판부의 일부를 벤딩하여 형성함으로 구성이 극히 간단한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샤프트를 중심으로 도어측 브라켓이 자유회전되어 단순히 도어의 개폐를 가능케할뿐 개폐 회전동작에 따르는 탄력을 전혀 지니지 아니함으로 개폐동작시 본체나 도어에 충격이 크고 소음이 발생되는 등으로 사용감이 떨어지며 제품의 품격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본 출원인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프트(130), 본체측에 고정되는 평판부에 상기 샤프트가 끼워지는 삽지관(123)이 형성된 본체측 브라켓(120), 도어측에 고정되는 평판부에 상기 샤프트가 끼워지는 삽지관(113)이 형성된 도어측 브라켓(110)으로 구성되되, 샤프트(130)에 파이프형태에 가까운 컬링스프링(150)을 부여함으로써 일정한 토오크를 지니도록 하는 기술을 실용신안등록 제0352373호(이하 "선등록 기술"이라함)로서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선등록 기술은 삽지관에 컬링스프링이 결합된 상태에서 샤프트 후삽입시 컬링스프링에 비틀림이 발생되는 등으로 컬링스프링과 샤프트의 마찰구조가 불안정하게 자리매김되므로 도어 개방회전시와 닫힘회전시의 토오크 편차가 발생되는 등으로 힌지장치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상의 플래트형 경첩에 컬링스프링이 부여되어 힌지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되 샤프트가 양분되어 컬링스프링 및 가동삽지관 양측에서 끼워지므로 컬링스프링 왜곡이 방지되어 힌지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샤프트 직진도가 정확하게 형성되어 신뢰성 및 품질특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도록 하는 플래트형 토오크 경첩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래트형 토오크 경첩은
평판부 일측 중앙에 샤프트가 끼워지기 위한 가동삽지관이 돌출 형성되는 도어측 브라켓, 상기 가동삽지관 양측으로 배치되는 고정삽지관이 평판부에 돌출형성되는 본체측 브라켓, 상기 가동삽지관과 고정삽지관에 걸쳐 결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와 가동삽지관 사이에 삽지되는 컬링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플래트형 경첩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가 2개 부재로 균등하게 분할형성되어 도어측 브라켓의 가동삽지관 및 컬링스프링 양측에서 삽입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플래트형 토오크 경첩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플래트형 토오크 경첩(1)은 평판부(11) 일측 중앙에 샤프트가 끼워지기 위한 가동삽지관(13) 이 돌출 형성되는 도어측 브라켓(10), 상기 가동삽지관(13) 양측으로 배치되는 고정삽지관(23)이 평판부(21)에 돌출형성되는 본체측 브라켓, 상기 가동삽지관(13)과 고정삽지관(23)에 걸쳐 결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와 가동삽지관(13) 사이에 삽지되는 컬링스프링(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플래트형 경첩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0a)(30b)가 2개 부재로 균등하게 분할형성되어 도어측 브라켓의 가동삽지관(13) 및 컬링스프링(50) 양측에서 삽입 결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본체측 브라켓(20a)(20b)은 고정삽지관(23)이 일측에 돌출 형성된 두 개 부재로 분할형성되며, 각 고정삽지관 및 샤프트의 상호 결합부(23b)(31)가 일체로 회전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두 개 부재로 분할형성된 본체측 브라켓(20a)(20b)의 상호 접속부는 상호 대응하는 요철결합단턱(21a)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삽지관과 샤프트의 상호 결합부(23b)(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플라인 결합 또는 샤프트 결합부(31)의 단면이 "D"형상으로 가공되는 일명 "D 컷팅" 결합 등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고정삽지관(23)은 샤프트(30a)(30b)의 부식방지를 위한 캡을 겸하도록 외측단에 마감단(23b)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동삽지관(13)은 내주면에 상기 컬링스프링(50a)(50b)이 양측에서 삽입되어 위치를 잡도록 길이방향 가운데에 스토퍼단(13a)이 형성되어 두 구간(13c)(13d)으로 나뉘어지고, 상기 컬링스프링(50)의 키이 돌조(51)가 안착되는 키이홈(13b)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두 개 부재로 분할 형성된 상기 샤프트(30a)(30b)는 스토퍼단(13a) 구간에서 선단이 서로 접할 수도 있으나 이격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컬링스프링(50a)(50b)은 키이돌조(51)에 이동방지를 위한 엠보싱(5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삽지관(13)의 두 구간(13c)(13d)에는 각각 컬링 및 엠보싱돌출방향이 서로 다르게 배치되는 두 개의 컬링스프링(50aa)(50ab), (50ba)(50bb)이 삽입됨이 바람직하다(도 6 참조).
이와 같이 컬링스프링(50aa)(50ab)(50ba)(50bb)이 분화되고 컬링방향 및 엠보싱(51a) 방향을 달리하여 배치되므로 도어의 개방방향 회전이나 닫힘방향 회전시 발생되는 토오크가 편차없이 균등하게 안정적으로 발생되어 힌지장치의 신뢰감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엠보싱(51a)으로 인하여 키이돌조(51)가 키이홈(13b)으로부터 좌우방향뿐만 아니라 상하방향으로도 이동이 방지되고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컬링스프링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샤프트(30a)(30b)는 가동삽지관 결합부(32)와 본체측 결합부(31)로 이루어지되. 가동삽지관 결합부(32)에 비하여 본체측 결합부(31)의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직경차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부(33)에 스페이서 와셔(61)가 부여되어 상기 컬링스프링(50a)(50b)의 일측 선단이 상기 스페이서 와셔(61)에 접하게 됨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도면 부호 '12','22'는 체결공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플래트형 토오크 경첩(1)의 조립 및 작용상태를 살펴본다.
도어측 브라켓의 가동삽지관(13) 양측에서 상기 컬링스프링(50a)(50b)을 끼워넣고 스페이서 와셔(61)를 댄 다음 샤프트(30a(30b)와 본체측 브라켓(20a)(20b)을 순차적으로 조립하고 체결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본체측 브라켓이 본체에 고정되므로 조립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두 개부재로 분할된 본체측 브라켓(20a)(20b)에 각각 샤프트(30a)(30b)가 스플라인 결합등으로 일체화되어 회전이 저지되고, 상기 컬링스프링(50aa)(5ab)(50ba)(50bb)은 키이돌조(51)가 도어측 브라켓의 가동삽지관(13) 상하좌우방향으로 키이홈(13b)에 잡힌바 되어 있음으로, 도어 개폐동작에 따라 도어측 브라켓(10)이 회전되면 컬링스프링(50a)(50b)의 내주면이 샤프트(30a)(30b) 상에서 슬립 회전하며 마찰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로 인해 컬링스프링(50a)(50b)의 컬링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컬링스프링(50a)(50b)의 컬링은 도어측 브라켓(10)이 일정한 토오크를 지니도록 하여 회전속도를 저감시키고 완만한 속도로 움직이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측 브라켓(10)이 장착된 도어는 개폐회전이 부드럽게 작동되어 도어개폐시에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받지 않게 되고 사용감을 향상시키게 된다.
여기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샤프트(30a)(30b)가 양분되어 컬링스프링(50) 및 가동삽지관(13) 양측에서 끼워지고 컬링스프링의 키이돌조(51)에 엠보싱(51a)이 형 성됨으로써 좌우상하로 이동이 저지되는 키이 기능이 강화되고 샤프트(30a)(30b)가 억지로 끼워지면서 발생되는 컬링스프링 왜곡이 최소화되며, 설령 왜곡이 발생될지라도 샤프트의 길이가 절반에 불과하고 양측에서 균등하게 발생되므로 힌지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샤프트(30a)(30b) 길이가 절반 이하로 짧아짐으로써 직진도형성이 용이하여 힌지장치의 신뢰성 및 품질특성을 현저히 향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래트형 토오크 경첩은 통상의 플래트형 경첩에 컬링스프링이 부여되어 소정의 토오크를 지니되 샤프트가 양분되어 컬링스프링 및 가동삽지관 양측에서 끼워지므로 컬링스프링 왜곡이 방지되고, 설령 왜곡이 발생될지라도 샤프트의 길이가 절반에 불과하고 양측에서 균등하게 발생되므로 힌지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샤프트 길이가 절반 이하로 짧아짐으로써 직진도가 정확하게 형성되어 힌지장치의 신뢰성 및 품질특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평판부(11) 일측 중앙에 샤프트가 끼워지기 위한 가동삽지관(13)이 돌출 형성되는 도어측 브라켓(10), 상기 가동삽지관(13) 양측으로 배치되는 고정삽지관(23)이 평판부(21)에 돌출형성되는 본체측 브라켓, 상기 가동삽지관(13)과 고정삽지관(23)에 걸쳐 결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와 가동삽지관(13) 사이에 삽지되는 컬링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플래트형 토오크 경첩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0a)(30b)가 2개 부재로 균등하게 분할형성되어 도어측 브라켓의 가동삽지관(13) 및 컬링스프링 양측에서 삽입 결합되고,
    상기 본체측 브라켓(20a)(20b)은 고정삽지관(23)이 일측에 돌출 형성된 두 개 부재로 분할형성되며, 각 고정삽지관 및 샤프트의 상호 결합부(23b)(31)가 일체로 회전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삽지관(23)은 샤프트(30a)(30b)의 부식방지를 위한 캡을 겸하도록 외측단에 마감단(23b)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삽지관(13)은 내주면에 상기 컬링스프링(50a)(50b)이 양측에서 삽입되어 위치를 잡도록 길이방향 가운데에 스토퍼단(13a)이 형성되어 두 구간(13c)(13d)으로 나뉘어지고, 상기 컬링스프링의 컬링부 일측단에서 외향 돌출형성되는 키이 돌조(51)가 안착되는 키이홈(13b)이 형성되고,
    상기 컬링스프링(50a)(50b)은 키이돌조(51)에 이동방지를 위한 엠보싱(51a)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트형 토오크 경첩.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삽지관(13)은 상기 두 구간(13c)(13d)에 컬링 및 엠보싱돌출방향이 서로 다르게 배치되는 두 개의 상기 컬링스프링(50aa)(50ab), (50ba)(50bb)이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트형 토오크 경첩.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0a)(30b)는 가동삽지관 결합부(32)와 본체측 결합부(31)로 이루어지되. 가동삽지관 결합부(32)에 비하여 본체측 결합부(31)의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직경차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부(33)에 스페이서 와셔(61)가 부여되어 상기 컬링스프링(50a)(50b)의 일측 선단이 상기 스페이서 와셔(61)에 접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트형 토오크 경첩.
KR1020060115591A 2006-11-22 2006-11-22 플래트형 토오크 경첩 KR100781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591A KR100781943B1 (ko) 2006-11-22 2006-11-22 플래트형 토오크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591A KR100781943B1 (ko) 2006-11-22 2006-11-22 플래트형 토오크 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1943B1 true KR100781943B1 (ko) 2007-12-04

Family

ID=39139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5591A KR100781943B1 (ko) 2006-11-22 2006-11-22 플래트형 토오크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19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0882A (ko) * 2014-05-14 2015-11-24 이영직 도어용 힌지 조립체
CN108301715A (zh) * 2018-02-01 2018-07-20 威黎司模具技术(上海)有限公司 一种可变换成左右方向的可拆卸合页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3154Y1 (ko) 2000-12-13 2001-05-15 씨리우스코리아주식회사 분해방지용 경첩
KR200352373Y1 (ko) 2004-03-23 2004-06-05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플래트 토오크 경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3154Y1 (ko) 2000-12-13 2001-05-15 씨리우스코리아주식회사 분해방지용 경첩
KR200352373Y1 (ko) 2004-03-23 2004-06-05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플래트 토오크 경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0882A (ko) * 2014-05-14 2015-11-24 이영직 도어용 힌지 조립체
KR101588356B1 (ko) * 2014-05-14 2016-01-25 이영직 도어용 힌지 조립체
CN108301715A (zh) * 2018-02-01 2018-07-20 威黎司模具技术(上海)有限公司 一种可变换成左右方向的可拆卸合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3475B2 (ja) 蝶番装置
JPS62164977A (ja) 固定部材に対する可動部材の相対位置を選定する装置
CA2213147A1 (en) Door panel mating assembly
KR100781943B1 (ko) 플래트형 토오크 경첩
JP3581995B2 (ja) ダブルヒンジ構造及び蓋体の取付け構造
JP5401277B2 (ja) 折戸
KR100462240B1 (ko) 도어용 힌지
KR200352373Y1 (ko) 플래트 토오크 경첩
KR100889826B1 (ko) 안전문
KR200241668Y1 (ko) 경첩
KR200252525Y1 (ko) 가구용 손잡이
KR200294685Y1 (ko) 도어용 힌지
KR200387445Y1 (ko) 자동닫힘기능을 갖는 도아 힌지장치
KR100458798B1 (ko) 도어용 힌지
JP3231738B2 (ja) ト−ションバネ付き蝶番及びこれを備えた蓋付き開口部構造
KR20200007120A (ko) 축 이동이 가능한 여닫이 도어용 힌지축 지지장치
JP3865480B2 (ja) 組立式保管庫
WO2023100788A1 (ja) シリンダ錠及びドア
JP4122322B2 (ja) 回転折れ戸
KR200306969Y1 (ko) 도어용 힌지
JPH0312308Y2 (ko)
JP2001295535A (ja) チェッカ付きドアヒンジ
JPH033732Y2 (ko)
KR20240001882A (ko) 도어용 경첩 구조
JP2500668B2 (ja) 電子機器の開閉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