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841B1 - 충전제 함유 성형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유용한 장치 - Google Patents

충전제 함유 성형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유용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841B1
KR100781841B1 KR1020010078758A KR20010078758A KR100781841B1 KR 100781841 B1 KR100781841 B1 KR 100781841B1 KR 1020010078758 A KR1020010078758 A KR 1020010078758A KR 20010078758 A KR20010078758 A KR 20010078758A KR 100781841 B1 KR100781841 B1 KR 100781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free flowing
free
reaction
reaction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8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6990A (ko
Inventor
라이너 나프
페르디난트 알타우젠
볼프강 파블릭
Original Assignee
헤네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네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헤네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20046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6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42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29C67/24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29C67/246Moulding high reactive monomers or prepolymers, e.g. by reaction injection moulding [RIM], liquid injection moulding [LI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8Adding charges, i.e. additives
    • B29B7/90Fillers or reinforcements, e.g.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Other Resins Obtained By Reactions Not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제 함량을 보다 신속하게, 그리고 가능하다면 재료의 손실 없이 상이하게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자유 유동(free-flowing) 반응 혼합물로부터 충전제 함유 성형 부품 또는 성형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1종 이상의 반응 성분을 둘 이상의 부분 (이들 중 적어도 한 부분은 충전제로 충전됨)으로 나누고, 상기 둘 이상의 부분들의 혼합 비율 및 그에 따른 최종 성형 부품의 충전제 함량을 조정함으로써 달성된다. 1종 이상의 반응 성분들을 저장하기 위한 2개 이상의 저장 용기가 제공된다. 조정가능한 계량 장치는 상기 2개 이상의 저장 용기와 혼합 장치 사이에 배치한다.
성형 부품, 성형 제품, 충전제,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자유 유동, 저장 용기, 계량 장치

Description

충전제 함유 성형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유용한 장치{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Filler-Containing Molded Parts and Apparatus Useful Therefor}
도 1은 화학 반응 성분들 중 1종만을 두 부분 (한 부분은 충전제를 함유하고 다른 부분은 충전제를 함유하지 않음)으로 나눈,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2종의 화학 반응 성분들 모두를 두 부분 (한 부분은 충전제를 함유하고 다른 부분은 충전제를 함유하지 않음)으로 나눈,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치내의 혼합 장치로 유입되는 스트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6, 10, 21, 26, 30, 34: 교반기
3, 9, 13, 23, 29, 33, 37: 피스톤형 계량 장치
5, 25, 43: 혼합 장치
14, 38: 금형
41, 42, 45, 46: 공급 라인
본 발명은 자유 유동 혼합 혼합물로부터 충전제 함유 성형 부품 또는 성형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2종 이상의 자유 유동 화학 반응 성분들 (이들 중 1종 이상은 충전제를 함유함)은 혼합을 통해 반응시킨다. 자유 유동 반응 혼합물은 금형에 도입되며, 여기서 반응 이 종결된다. 이어서, 성형 제품 또는 성형 부품이 금형으로부터 꺼내어진다.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충전제를 함유함)를 혼합 및 반응시키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금형에 도입하여 경화시키고, 이어서 경화된 반응 혼합물을 금형으로부터 꺼냄으로써 충전제 함유 폴리우레탄 성형 부품을 제조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법에 사용되는 화학 반응 성분들의 예로는 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충전제로는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및 천연 섬유, 예를 들어 황마 및 대마 섬유와 같은 섬유를 들 수 있다. 그러나, 과립 및 분말, 예컨대 재생품, 멜라민 및 초크 형태의 물질도 사용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성형 부품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대형의 플랜트에서 제조된다. 교반기를 구비한 저장 용기로부터 시작하는 라인은 계량 장치를 경유하여 혼합 장치에 이르는데, 각각의 경우 1개의 금형에 할당되며, 소위 다중 계량 시스템 (multi-point metering system)으로 불리운다. 이러한 금형 중 1개 또는 2개는 정적 성형 지지부에 배치될 수 있다.
종종, 동일한 플랜트에서 동일하거나 상이한 형상의 성형 부품 또는 성형 제품 (이들의 충전제 함량은 상이함)을 제조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저장 용기 1 배치 당 1종의 반응 성분 및 그에 상응하는 양의 충전제를 준비한다.
일련의 성형 부품을 충전제 함량이 상이한 또다른 성형 부품으로 변화시키려면, 새로운 배치의 반응 성분(들)을 준비해야 하며, 플랜트를 세정하여 기존의 충전제 함유 반응 성분을 제거해야 한다. 이는 재료의 손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 은 변화에 요구되는 시간으로 인해 제조 시간의 손실도 따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제 함유 성형 부품의 제조 과정에서 보다 신속하게, 그리고 가능하다면 재료의 손실 없이 반응 혼합물의 충전제 함량을 상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당업계 숙련자들에게 명백할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은, 1종 이상의 반응 성분들을 둘 이상의 부분으로 나누고, 이들 부분 중 적어도 한 부분을 충전제로 충전함으로써 달성된다. 반응 성분 부분들의 혼합 비율을 조정하면 최종 성형 부품의 충전제 함량도 조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1종 이상의 반응 성분들을 2개 부분으로 나눈다. 이들 중 한 부분은 충전제를 포함한다. 다른 부분은 충전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들 부분의 혼합 비율을 조정하면, 제조 공정에 중대한 조업중단 없이도 최종 성형 부품의 충전제 함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반응 혼합물은 간단한 배치전환에 의해, 충전제 함유 부분에 대한 충전제가 없는 부분의 비율 또는 제2의 충전제 함유 부분에 대한 제1의 충전제 함유 부분의 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폴리올-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배합비를 유지하면서 반응 혼합물의 충전제 함량을 상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화학 배합비, 즉 반응 성분들 상호에 대한 정량비는 본 발명의 방법을 진행하는 동안 충전제 함량을 변화시키는 과정에서 일정하게 유지된다. 단지 하나의 충전제 함유 성분 부분만이 이용가능한 경우, 상기 성분은 모든 충전제 성분을 가능한 최대 함량으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최종 성형 부품중의 기대되는 충전제 함량의 최대값 이상에 상응해야 한다. 성분 부분들에 충전제를 충전한 경우, 그 충전량은 상이할 것임에 틀림없다. 성형 부품에서 충전제를 원하는 함량으로 조정하기 위해, 한 부분은 충전제 함량이 보다 높고 다른 부분은 충전제 함량이 보다 낮다.
본 발명의 방법의 일 실시양태에서, 충전제가 상이한 양으로 충전된 동일한 유형의 두 부분 이상의 반응 성분을 가공 또는 처리에 이용할 수 있다.
2종의 반응 성분들 중 충전제가 없는 부분과 충전제를 함유한 부분을 가공 또는 처리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응 성분들 중 1종 이상을 두 부분 이상 (두 부분 이상이 충전제로 충전됨)으로 나눌 수 있음도 물론이다. 그러나, 대체로 그렇게까지 많은 설비가 요구되어서도 안되고, 필요로 하지도 않는다.
섬유는 충전제로 사용하기에 바람직하다. 적합한 섬유 재료의 예로는 유리 섬유와 같은 무기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와 같은 합성 섬유, 및 황마 또는 대마 섬유와 같은 천연 섬유를 들 수 있다.
적합한 충전제에는 또한 재생품과 같은 과립 형태나, 멜라민 또는 초크와 같은 분말 형태의 통상의 충전제도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유 유동 반응 혼합물로부터 충전제 함유 성형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는 2개 이상의 자유 유동 화학 반응 성분용 저장 용기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충전제가 충전됨)를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저장 용기는 일반적으로 계량 장치를 통해 1개 이상의 혼합 장치 (금형으로 개방됨)에 연결된다.
2개 이상의 저장 용기를 1종 이상의 반응 성분용으로 구비한다. 이들 반응 성분의 두 부분 중 적어도 한 부분은 충전제를 충전한다. 조정가능한 계량 장치는 이들 2개의 저장 용기와 혼합 장치 사이에 배치한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라,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반응 성분들로부터 폴리우레탄의 충전제 함유 성형 부품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명백히 도시한다. 도 1은 적합한 장치의 제1 실시양태를 도시하고, 도 2는 이러한 장치의 제2 실시양태를 도시하고, 도 3은 상기 혼합 장치와, 임의로 충전제가 충전된 반응 성분용으로 연결되어 있는 라인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1에서, 라인 (4)는 교반기 (1)를 구비한, 충전제가 없는 이소시아네이트용 저장 용기 (2)로부터 피스톤 형 계량 장치 (3)를 경유하여 혼합 장치 (5)에 이른다. 리인 (8)은 교반기 (6)를 구비한, 높은 함량의 충전제를 충전한 폴리올용 저장 용기 (7)로부터 피스톤형 계량 장치 (9)를 경유하여 혼합 장치 (5)에 이른다. 라인 (12)는 교반기 (10)을 구비한, 보다 낮은 함량의 충전제를 충전한 폴리올용 저장 용기 (11)로부터 피스톤형 계량 장치 (13)를 경유하여 혼합 장치 (5)에 이른다. 혼합 장치 (5)는 성형 부품 (15)가 나타나 있는 금형 (14)을 종점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장치에 실질적인 변화를 가하지 않으면서도, 저장 용기 (11)은 순수한 폴리올로 교호 충전할 수 있고, 저장 용기 (7)에 저장된 폴리올에는 적어도 기대되는 최대 함량의 충전제를 충전하여 성형 제품 (15)을 제조한다.
도 2에서, 라인 (24)는 교반기 (21)가 구비된, 충전제가 없는 이소시아네이 트용 저장 용기 (22)로부터 피스톤형 계량 장치 (23)를 경유하여 혼합 장치 (25)에 이른다. 라인 (28)은 교반기 (26)가 구비된, 낮은 함량의 충전제가 충전된 이소시아네이트용 저장 용기 (26)로부터 피스톤형 계량 장치 (29)를 경유하여 혼합 장치 (25)에 이른다. 라인 (32)은 교반기 (30)가 구비된, 충전제가 없는 폴리올용 저장 용기 (31)로부터 피스톤형 계량 장치 (33)를 경유하여 혼합 장치 (25)에 이른다. 마지막으로, 라인 (36)은 교반기 (34)가 구비된, 높은 함량의 충전제가 충전된 폴리올용 저장 용기 (35)로부터 피스톤형 계량 장치 (37)를 경유하여 혼합 장치 (25)에 이른다. 혼합 장치 (25)는 성형 부품 (39)이 나타나 있는 금형 (38)을 종점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실시양태에서, 또한 저장 용기들 (22, 27, 31 및 34)은 수행되는 방법에 따라, 장치의 구조에 실질적인 변화를 가하지 않고도 상이한 방식으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서, 폴리올로 구성된 반응 성분의 충전제 함유 부분용의 2개의 공급 라인들 (41 및 42)은 혼합 장치 (43)에 연결되어 있다. 이들 공급 라인들 (41 및 42)은 분기 라인 (44)으로부터 공급되어 혼합 장치 (43)에 정반대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들 공급 라인들에 대해 90도 방향으로, 충전제가 없는 폴리올용 공급 라인 (45) 및 충전제가 없는 이소시아네이트용 공급 라인 (46)이 서로 마주보게 연결되어 있다. 선택된 작업 방식에 따라, 혼합 장치 (43)에 공급 라인들 (41, 42, 45 및 46)을 통해 상이한 방식으로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나의 변형법을 설명하기 위해, 예를 들어 동일한 반응 성분의 충전제를 함유하는 부분의 단지 두 부분을 공급 라인들 (41 및 42)을 통해 서로 마주보게 도입시키면서 충전제가 없는 반응 성분들을 2개의 다른 공급 라인들 (45 및 46)을 통해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양호하게 혼합하기 위해서는, 마주보는 공급 라인들내의 유동 에너지를 크기 순으로 배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성형 부품의 제조 과정에서, 혼합 장치에서 임의의 시간에 제조된 이소시아네이트-폴리올-충전제 혼합물은 요구되는 비율에 부합되어야 한다. 즉, 금형내 개개 성분들의 정량비도 전적으로 정확해야 할 뿐 아니라 임의의 시간에서 개개 흐름의 서로에 대한 용적 유량도 마찬가지로 요구되는 비율에 부합되어야 한다.
하기의 작업 양식은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된 장치를 사용하여 충전제로서 섬유 형태의 유리를 함유하는 폴리우레탄 성형 부품을 제조하였다. 반응 성분은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 및 유리였다. 총 용적은 3,000 ㎤이었다. 최종 성형 부품중의 유리 함량은 14 중량%이었다. 2종의 반응 성분을 100:170.9의 질량비로 공급하였다. 폴리올 성분을 충전제가 없는 부분과 충전제 함유 부분으로 나누었다. 충전제 함유 반응 성분 중에서 폴리올 대 유리의 질량비는 100:80이었다. 반응 성분의 밀도는 폴리올의 경우 1.02 kg/ℓ이고, 이소시아네이트의 경우 1.12 kg/ℓ이고, 유리의 경우 2.56 kg/ℓ이었다. 충전제 함유 폴리올의 밀도는 1.392 kg/ℓ로 산출되었다. 0.8 초의 계량 또는 충전 시간을 선택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용적 유량을 얻었다.
이소시아네이트: 2,136.5 ㎤/초
충전제 함유 폴리올: 997.8 ㎤/초
충전제가 없는 폴리올: 615.7 ㎤/초
이어서, 동일한 성형 부품 용적을 유지하면서 성형 부품중의 유리 섬유 함량이 22 중량%까지 증가되도록 제품을 변화시켰다. 본 명세서에서는 또한, 반응 성분을 100:170.9의 질량비로 공급해야 했다. 마찬가지로, 충전제 함유 성분 중의 폴리올 대 유리의 질량비는 100:80에서 일정하게 유지시켰다. 0.8 초의 동일한 계량 또는 충전 시간 및 최종 성형 부품 중 22 중량%의 유리 함량에서 다음과 같은 용적 유량이 산출된다.
이소시아네이트: 2,040.3 ㎤/초
충전제 함유 폴리올: 1,651.0 ㎤/초
충전제가 없는 폴리올: 58.7 ㎤/초
<실시예 2>
도 1에 도시된 장치를 사용하여 충전제로서 섬유 형태의 유리를 함유하는 폴리우레탄 성형 부품을 제조하였다. 반응 성분은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 및 유리였다. 총 용적은 3,000 ㎤이었다. 최종 성형 부품중의 유리 함량은 14 중량%이었다. 2종의 반응 성분을 100:170.9의 질량비로 공급하였다. 폴리올 성분을 충전제 함량이 빈약한 부분 (폴리올 대 유리의 질량비가 100:40임)과 충전제 함량이 풍부한 부분 (폴리올 대 유리의 질량비가 100:80임)으로 나누었다. 순수한 반응 성분의 밀도는 폴리올의 경우 1.02 kg/ℓ이고, 이소시아네이트의 경우 1.12 kg/ℓ이고, 유리의 경우 2.56 kg/ℓ이었다. 충전제 함량이 빈약한 폴리올 및 충전제 함량이 풍부한 폴리올의 밀도는 각각 1.232 kg/ℓ 및 1.392kg/ℓ이었다. 0.8 초의 계량 또는 충전 시간을 선택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용적 유량이 산출된다.
이소시아네이트: 2,136.5 ㎤/초
충전제 함량이 풍부한 폴리올: 185.8 ㎤/초
충전제 함량이 빈약한 폴리올: 1,427.7 ㎤/초
다른 방식으로 한계 조건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성형 부품의 유리 비율을 22 중량%까지 증가시켜야 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용적 유량이 산출된다.
이소시아네이트: 2,040.3 ㎤/초
충전제 함량이 풍부한 폴리올: 1,573.6 ㎤/초
충전제 함량이 빈약한 폴리올: 136.0 ㎤/초
<실시예 3>
도 1에 도시된 장치를 사용하여 충전제로서 섬유 형태의 유리를 함유하는 폴리우레탄 성형 부품을 제조하였다. 반응 성분은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 및 유리였다. 총 용적은 3,000 ㎤이었다. 최종 성형 부품중의 유리 함량은 30 중량%이었다. 2종의 반응 성분을 100:170.9의 질량비로 공급하였다. 폴리올 성분을 충전제가 없는 부분과 충전제 함유 부분으로 나누었다. 충전제 함유 반응 성분 중에서 폴리올 대 유리의 질량비는 100:80이었다. 이소시아네이트는 또한 충전제를 함유하였다. 이소시아네이트 대 유리의 질량비는 100:60이었다. 순수한 반응 성분의 밀도는 폴리올의 경우 1.02 kg/ℓ이고, 이소시아네이트의 경우 1.12 kg/ℓ이고, 유리의 경우 2.56 kg/ℓ이었다. 충전제 함유 폴리올의 밀도는 1.392 kg/ℓ로 산출될 수 있다. 충전제 함유 이소시아네이트의 밀도는 1.419 kg/ℓ로 산출될 수 있다. 0.8 초의 계량 또는 충전 시간을 선택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용적 유량을 얻었다.
충전제 함유 이소시아네이트: 2,441.0 ㎤/초
충전제 함유 폴리올: 277.5 ㎤/초
충전제가 없는 폴리올: 1,031.6 ㎤/초
다른 방식으로 조건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최종 성형 부품의 유리 비율을 38 중량%까지 증가시켜야 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용적 유량을 설정해야 한다.
충전제 함유 이소시아네이트: 2,290.1 ㎤/초
충전제 함유 폴리올: 1,219.6 ㎤/초
충전제가 없는 폴리올: 240.4 ㎤/초
<실시예 4>
도 2에 도시된 장치를 사용하여 충전제로서 섬유 형태의 유리를 함유하는 폴리우레탄 성형 부품을 제조하였다. 반응 성분은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 및 유리였다. 총 용적은 3,000 ㎤이었다. 최종 성형 부품중의 유리 함량은 30 중량%이었다. 2종의 반응 성분을 100:170.9의 질량비로 공급하였다. 폴리올 성분을 충전제가 없는 부분과 충전제 함유 부분으로 나누었다. 충전제 함유 반응 성분 중에서 폴리올 대 유리의 질량비는 100:80이었다. 이소시아네이트 성분도 마찬가지로 충전제가 없는 부분과 충전제 함유 부분으로 나누었다. 충전제 함유 부분중의 이소시아네이트 대 유리의 질량비는 100:60이었다. 순수한 반응 성분의 밀도는 폴리올의 경우 1.02 kg/ℓ이고, 이소시아네이트의 경우 1.12 kg/ℓ이고, 유리의 경우 2.56 kg/ℓ이었다. 충전제 함유 폴리올의 밀도는 1.392 kg/ℓ로 산출될 수 있다. 충전제 함유 이소시아네이트의 밀도는 1.493 kg/ℓ로 산출될 수 있다. 0.8 초의 계량 또는 충전 시간을 선택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용적 유량을 얻는다.
충전제 함유 이소시아네이트: 1,958.0 ㎤/초
충전제가 없는 이소시아네이트: 483.4 ㎤/초
충전제 함유 폴리올: 277.5 ㎤/초
충전제가 없는 폴리올: 1,031.6 ㎤/초
다른 방식으로 조건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최종 성형 부품의 유리 함량을 38 중량%까지 증가시켜야 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용적 유량을 설정해야 한다.
충전제 함유 이소시아네이트: 1,837.0 ㎤/초
충전제가 없는 이소시아네이트: 453.5 ㎤/초
충전제 함유 폴리올: 1,219.6 ㎤/초
충전제가 없는 폴리올: 240.4 ㎤/초
본 발명을 예시의 목적으로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상세내용은 단지 예시를 위함이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한될 수 있음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당업자가 변화시킬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제 함량을 신속하면서도 재료의 손실 없이 상이하게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자유 유동 반응 혼합물로부터 충전제 함유 성형 부품 또는 성형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 a) (1) 제1 반응 성분, 및 (2) 2개 이상의 부분으로 나누어지고 상기 부분 중 적어도 한 부분에 충전제가 충전된 제2 반응 성분을 포함하는 2종 이상의 자유 유동(free-flowing) 화학 반응 성분들을, 제2 반응 성분 부분들의 혼합 비율을 조정하여 성형 부품의 충전제 함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혼합하는 단계,
    b) 자유 유동 반응 혼합물을 금형에 도입하는 단계,
    c) 금형내 반응 혼합물의 반응을 종결하는 단계, 및
    d) 성형 부품을 금형으로부터 꺼내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기 자유 유동 반응 혼합물로부터 충전제 함유 성형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2 반응 성분의 2개 이상의 부분에 상이한 양의 충전제를 충전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제1 반응 성분을 충전제가 없는 부분과 충전제 함유 부분으로 나누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반응 성분 각각을 충전제가 없는 부분과 충전제 함유 부분으로 나누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섬유를 충전제로 사용하는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유리 섬유, 천연 섬유, 황마 섬유, 및 대마 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충전제로서 사용하는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a) 제1 자유 유동 화학 반응 성분용의 제1 저장 용기,
    b) 충전제가 충전된 제2 자유 유동 화학 반응 성분의 제1 부분용의 제2 저장 용기,
    c) 제2 자유 유동 화학 반응 성분의 제2 부분용의 제3 저장 용기,
    d) 제1 저장 용기로부터 나오는 제1 자유 유동 화학 반응 성분의 흐름을 조 절하는 계량 장치,
    e) 제2 저장 용기로부터 나오는 제2 자유 유동 화학 반응 성분의 제1 부분의 흐름을 조절하는 계량 장치,
    f) 제3 저장 용기로부터 나오는 제2 자유 유동 화학 반응 성분의 제2 부분의 흐름을 조절하는 계량 장치,
    g) 계량된 양의 자유 유동 반응 혼합물 성분들을 수용하는 혼합 장치, 및
    h) 상기 혼합 장치로부터 나오는 반응 혼합물을 수용하는 금형
    을 포함하는, 2종 이상의 자유 유동 화학 반응 성분들로 형성된 자유 유동 반응 혼합물로부터 충전제 함유 성형 부품 또는 성형 제품을 제조하는 장치.
KR1020010078758A 2000-12-14 2001-12-13 충전제 함유 성형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유용한 장치 KR1007818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62420A DE10062420A1 (de) 2000-12-14 2000-12-14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Füllstoff-haltigen Formteilen
DE10062420.0 2000-1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990A KR20020046990A (ko) 2002-06-21
KR100781841B1 true KR100781841B1 (ko) 2007-12-03

Family

ID=7667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8758A KR100781841B1 (ko) 2000-12-14 2001-12-13 충전제 함유 성형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유용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20113337A1 (ko)
EP (1) EP1225018B1 (ko)
JP (1) JP3706063B2 (ko)
KR (1) KR100781841B1 (ko)
CN (1) CN1220576C (ko)
DE (2) DE100624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35947B4 (de) 2008-07-31 2015-03-26 Kraussmaffei Technologie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roduktes aus reaktiven Ausgangsstoffen
KR101107931B1 (ko) * 2010-02-24 2012-01-25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도압관 역 충수장치 및 방법
EP2821207A1 (de) 2013-07-03 2015-01-07 HILTI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Spritzgiessanlage zur Herstellung von intumeszierenden Reaktionskunststoffformteilen und Reaktionskunststoffformteil
US20150130102A1 (en) * 2013-11-13 2015-05-14 Toyota Motor Eng. & Mtfg. North America, Inc. Insulator with embedded masses
CN106738978A (zh) * 2017-02-13 2017-05-31 长沙金镂机械科技有限公司 用于反应注射成型模具的浇道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1319A (en) * 1984-04-05 1986-02-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olymer articles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regions of the articl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13771A1 (de) * 1976-03-31 1977-10-13 Krauss Maffei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dosieren von fluessigen kunststoffkomponenten
US4308226A (en) * 1978-11-16 1981-12-29 The Upjohn Company Particulate-containing foamed plastic
US4944599A (en) * 1987-11-10 1990-07-31 Krauss-Maffei A.G. Impingement mixing device with pressure controlled nozzle adjustment
US5240969A (en) * 1992-07-16 1993-08-31 Basf Corporation Low-density RRIM using mineral fiber filler
US5464585A (en) * 1994-01-03 1995-11-07 Metton America, Inc. Method of injection molding articles with selective concentrations or gradients of material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1319A (en) * 1984-04-05 1986-02-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olymer articles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regions of the art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990A (ko) 2002-06-21
CN1358784A (zh) 2002-07-17
EP1225018B1 (de) 2005-06-01
DE50106383D1 (de) 2005-07-07
JP2002194089A (ja) 2002-07-10
CN1220576C (zh) 2005-09-28
EP1225018A2 (de) 2002-07-24
US20020113337A1 (en) 2002-08-22
JP3706063B2 (ja) 2005-10-12
DE10062420A1 (de) 2002-07-11
EP1225018A3 (de) 2003-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332C (zh) 用于连续生产聚氨酯泡沫板材的方法和设备
CN105637021B (zh) 膨胀热塑性弹性体的制备方法
KR950013674A (ko) 형상부와 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JPH04502132A (ja) 射出または押出しされたプラスチック廃棄物からなる成形品
AU8302098A (en) Method for granulation and granulator
ATE4101T1 (de) Verfahren zum fuellen von formwerkzeughohlraeumen mit einem reaktionsgemisch aus mindestens zwei fliessfaehigen, einen massiven kunststoff bildenden reaktionskomponenten.
US3020587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sealing strips or gaskets
CN1058603A (zh) 在制造聚合物泡沫体的液体中加发泡剂并测定其混合物体积膨胀潜力的装置和方法
US20040053032A1 (en) Method for producing foam products
JPS63135550A (ja) カツトされたガラス繊維束とポリマーをベースとする結合剤とからなる絡み合つた繊維物質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US3947169A (en) Apparatus for making rods or tubes having a filter
KR100781841B1 (ko) 충전제 함유 성형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유용한 장치
CN102224399A (zh) 聚合物整理方法
US7303706B2 (en) Device for producing expanded plastic moulded parts in an injection moulding process, using compressed physical expansion fluids
CN107635735A (zh) 用于熔融可熔塑料材料的熔融设备和方法、用于混合反应性塑料组分的方法
CN103264453A (zh) 热塑性聚氨酯弹性体生产装置及方法
GB2116574A (en) Method of manufacturing polyurethane foams
US3692442A (en) Apparatus for the simultaneous injection of a foaming plastic resin in a plurality of locations
US5284431A (en) Filling apparatus for filling foamed particles of a thermoplastic resin into a mold
US459021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chemical composition from cross-linking components and product of the method
EP0475174B1 (en) Production method of expansion-molded article and filling apparatus of foamed particles of thermoplastic resin for use in such method
CN100410046C (zh) 树脂膜的制造方法
CA1225213A (en) Method for producing a low density foamed polyester resin
EP0237613A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hydrate salts-base granule-shaped thermal energy accumulators with an adherent hermetic coating, accumulators obtained by said process and their use
JPH10166463A (ja) 長繊維補強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