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7931B1 - 도압관 역 충수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도압관 역 충수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7931B1
KR101107931B1 KR1020100016526A KR20100016526A KR101107931B1 KR 101107931 B1 KR101107931 B1 KR 101107931B1 KR 1020100016526 A KR1020100016526 A KR 1020100016526A KR 20100016526 A KR20100016526 A KR 20100016526A KR 101107931 B1 KR101107931 B1 KR 101107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filling
pipe
pressure pipe
fill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6946A (ko
Inventor
이재구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6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7931B1/ko
Publication of KR20110096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8Pipe-line systems for liquids or viscous pro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8Pipe-line systems for liquids or viscous products
    • F17D1/14Conveying liquids or viscous products by pu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3/00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 F17D3/01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for controlling, signalling, or supervising the conveyance of a produ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gauge glasses or other apparatus involving a window or transparent tube for directly observing the level to be measured or the level of a liquid column in free communication with the main body of the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5/00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 G01F25/10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of flow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압관 역 충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수동 핸드펌프 방식으로 응축수를 직접 충수하는 방식과 달리 고압의 압축공기 힘을 이용하여 응축수를 밀어줌으로서 도압관에 간접 충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 충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됨과 함께 도압관으로의 기포 유입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메인 계통을 이루는 압력배관(200)에 쌍을 이루어 2열로 연결되어진 도압관(100)과; 상기 쌍을 이루는 도압관(100) 사이의 압력차 측정을 위해 구성되어진 압력계측기(120)와; 상기 도압관(100)의 압력배관(200) 연결측에 구성되어진 도압관 격리밸브(130)와; 상기 도압관(100)에 응축수의 충수를 위해 일측에 연결 구성되어진 충수탱크(10)와; 상기 충수탱크(10) 상단부에 응축수 주입을 위해 구성되어진 응축수 주입구(20)와; 상기 충수탱크(10)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연결 구비되어진 에어 공급부(30)와; 상기 에어 공급부(30)로 부터 충수탱크(10)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공급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40)와; 상기 에어 공급부(30)와 충수탱크(10) 상호간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압축공기 격리밸브(50)와; 상기 충수탱크(10)와 도압관(100) 상호간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응축수 공급밸브(60);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압관 역 충수장치 및 방법{SENSING LINE BACK FILLING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도압관 역 충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 압력배관을 따라 흐르는 유체의 물리량 측정을 위해 설치되는 도압관에 인위적으로 응축수를 채워주기 위한 역 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정제어(Process control) 계통의 압력, 유량 측정은 계통의 매체를 파이프 혹은 튜브로 구성된 도압관을 통하여 계측기기와 접촉시켜 물리량을 측정한다.
통상, 압력의 개념은 파스칼의 법칙에서 정의된 "단위 면적당 작용하는 힘"으로, 실제 계측기의 압력센서는 공정계통의 압력과 도압관의 기준높이에 해당하는 수두(water head)의 힘을 더하여 이를 압력량으로 감지한다.
이러한 도압관에 작용하는 공정계통의 압력이 정확히 전달되려면 도압관 내부에 이물질의 유입이나 압력전달을 방해하는 기포가 완전히 제거되어야 한다.
따라서, 계측기와 연결된 도압관을 분리시에는 계측기 작업 후 도압관의 기포를 제거하는 작업을 병행한다. 이는 도압관에 기포가 함유되지 않는 응축수를 채우는 작업을 말하며 메인 배관으로부터 인출된 도압관 전체 길이에 대하여 행하여 진다.
이와 같이 응축수를 채우는 또 다른 이유는 공정계통의 유체가 스팀일 경우 스팀의 높은 온도로 인한 계측센서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한편, 짧은 거리의 도압관은 간단한 밸브 조작으로 역 충수가 가능하지만 도압관의 길이가 아주 길어 많은 양의 응축수가 필요한 곳에는 도압관에 인위적으로 역 충수를 하여 기포에 의한 측정 오차발생을 방지한다.
도 1은 종래 도압관 충수를 위한 계략적인 계통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전송기(120)가 구성된 도압관(100)에 유입된 기포를 제거하고자 도압관(100)의 일측에 핸드펌프(110)를 연결하고, 핸드펌프(110)의 몸체에 적당량의 물을 채워서 펌프를 수동 조작하여 도압관(100)에 응축수를 채워주게 된다.
미설명 부호 200은 메인 압력배관이고, 130은 도압관 격리밸브이며, 140은 계측 조작밸브를 각각 나타낸다.
한편, 도압관(100)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1회 펌핑으로 충수가 가능하지만, 대부분의 도압관(100)은 길이가 길어서 1회 용량으로는 충수가 불가능하여 기포에 의한 계기오차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도압관 동작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메인 압력배관에 연결 설치되어진 도압관에 응축수를 역으로 충수 하느 작업시 도압관 내의 기포 유입이 원천적으로 방지되어질 수 있도록 하여 계측장치의 계기오차 발생을 최소화 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충수장치는, 메인 계통인 압력배관에 쌍을 이루어 2열로 연결되어진 도압관과; 상기 쌍을 이루는 도압관 사이의 압력차 측정을 위해 구성되어진 압력계측기와; 상기 도압관의 압력배관 연결측에 구성되어진 도압관 격리밸브와; 상기 도압관에 응축수의 충수를 위해 일측에 연결 구성되어진 충수탱크와; 상기 충수탱크에 응축수 주입을 위해 구성되어진 응축수 주입구와; 상기 충수탱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 공급부와; 상기 에어 공급부로 부터 충수탱크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공급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와; 상기 에어 공급부와 충수탱크 상호간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압축공기 격리밸브와; 상기 충수탱크와 도압관 상호간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응축수 공급밸브;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기존의 수동 핸드펌프 방식으로 응축수를 직접 충수하는 방식과 달리 고압의 압축공기 힘을 이용하여 응축수를 밀어줌으로서 도압관에 간접 충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 충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됨과 함께 도압관으로의 기포 유입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압력조절기를 이용하여 응축수의 공급속도 및 공급량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 작업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도압관의 충수 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의 역 충수장치 개략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 역 충수장치의 도압관 연결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역 충수작업과정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통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역 충수장치의 구조를 도 2를 통해 살펴보면, 응축수가 일정 수위로 보관되어지는 충수탱크(10) 상부에는 응축수 주입을 위한 응축수 주입구(20)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일측에는 내부 응축수의 수위 확인을 위한 수위계(70)가 구비되어져 있다.
그리고, 충수탱크(10)에는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부(30;Air station)이 연결되어져 있는데, 충수탱크(10)와 에어공급부(30) 연결부위에는 압축공기의 압력 제어를 위한 압력조절기(40)와 압축공기 격리밸브(50)가 각각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충수탱크(10)와 도압관(100) 연결부위에는 응축수 공급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응축수 공급밸브(60)가 구성되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역 충수장치는 도 3에서와 같이 도압관(100)에 연결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역 충수장치를 이용한 도압관 역 충수작업 과정을 이하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충수탱크(10)에 응축수 주입구(20)를 통해 응축수를 일정 수위로 주입하는 1단계를 실시한다.
그리고, 메인 계통을 이루는 압력배관(200)에 쌍을 이루어 연결되어진 도압관(100)에 충수탱크(10)측 응축구 공급밸브(60)를 연결하여 본 발명의 역 충수장치를 설치하는 2단계를 실시한다.
이와 같이 역 충수장치 연결이 완료되면, 상기 도압관(100)과 압력배관(200) 연결부에 설치된 도압관 격리밸브(130)를 개방하는 3단계를 실시한다.
이때에는 도압관(100)에 설치되어져 있는 계측 조작밸브(140) 들중 유로 개폐에 관여하는 조작밸브를 선택적으로 함께 열어주어서 도압관(100)내의 유로가 모두 개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이후, 압축공기 격리밸브(5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충수탱크(10)에 에어공급부(30)로 부터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공기 압력에 의해 응축수를 도압관(100)으로 역 충수시키는 4단계 과정을 실시하게 된다.
즉, 에어공급부(30)에 공급전원을 인가하여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작업자는 압력조절기(40)를 제어하여 역 충수의 진행속도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공기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압축공기의 힘에 의해 충수탱크(10)의 응축수는 도압관(100)으로 공급되어 채워지게 되고, 이때 작업자는 수위계(70)를 통해 응축수의 수위를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응축수가 저수위에 이르면 압력조절기(40)를 최소화 하고 압축공기 격리밸브(50)와 응축수 공급밸브(60)를 폐쇄시킴으로서 역 충수 작업이 완료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역 충수장치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충수탱크 20 : 응축수 주입구
30 : 에어공급부 40 : 압력조절기
50 : 압축공기 격리밸브 60 : 응축수 공급밸브
70 : 수위계 100 : 도압관
120 : 압력 계측기 130 : 도압관 격리밸브
140 : 계측 조작밸브 200 : 압력배관

Claims (5)

  1. 메인 계통을 이루는 압력배관(200)에 쌍을 이루어 2열로 연결되어진 도압관(100)과;
    상기 쌍을 이루는 도압관(100) 사이의 압력차 측정을 위해 구성되어진 압력계측기(120)와;
    상기 도압관(100)의 압력배관(200) 연결측에 구성되어진 도압관 격리밸브(130)와;
    상기 도압관(100)에 응축수의 충수를 위해 일측에 연결 구성되어진 충수탱크(10)와;
    상기 충수탱크(10) 상단부에 응축수 주입을 위해 구성되어진 응축수 주입구(20)와;
    상기 충수탱크(10)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연결 구비되어진 에어 공급부(30)와;
    상기 에어 공급부(30)로 부터 충수탱크(10)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공급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40)와;
    상기 에어 공급부(30)와 충수탱크(10) 상호간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압축공기 격리밸브(50)와;
    상기 충수탱크(10)와 도압관(100) 상호간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응축수 공급밸브(60);
    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도압관 역 충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수탱크(10) 일측에는 응축수의 저장 수위 확인을 위한 수위계(7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압관 역 충수장치.
  3. 충수탱크에 응축수 주입구를 통해 응축수를 주입하는 1단계와;
    메인 계통을 이루는 압력배관에 쌍을 이루어 연결되어진 도압관에 충수탱크측 응축구 공급밸브를 연결하는 2단계와;
    상기 도압관과 압력배관 연결부에 설치된 도압관 격리밸브를 개방하는 3단계와;
    상기 충수탱크와 에어공급부 연결부위에 설치된 압축공기 격리밸브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에어공급부로 부터 압축공기를 충수탱크로 공급하여 공기 압력에 의해 응축수를 도압관으로 역 충수시키는 4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압관 역 충수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4단계를 통해 도압관 역 충수가 이루어짐에 따라 충수탱크에 구비된 수위계의 레벨이 저수위가 되면 에어공급부로 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차단하고 응축수 공급밸브를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압관 역 충수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4단계에서는 충수탱크와 에어공급부 사이의 유로에 설치되어진 압력조절기를 조절하여 응축수의 공급량 및 공급속도 조절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압관 역 충수방법.
KR1020100016526A 2010-02-24 2010-02-24 도압관 역 충수장치 및 방법 KR101107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526A KR101107931B1 (ko) 2010-02-24 2010-02-24 도압관 역 충수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526A KR101107931B1 (ko) 2010-02-24 2010-02-24 도압관 역 충수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946A KR20110096946A (ko) 2011-08-31
KR101107931B1 true KR101107931B1 (ko) 2012-01-25

Family

ID=44932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526A KR101107931B1 (ko) 2010-02-24 2010-02-24 도압관 역 충수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79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068Y1 (ko) * 2013-09-23 2015-05-04 한국남부발전(주) 수위측정계기용 도압관 충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792Y1 (ko) * 2011-09-09 2013-03-11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수위측정계기용 도압관의 충수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8011A (ja) 1999-06-01 2000-12-08 Meidensha Corp 濁度測定装置と測定方法
KR200246990Y1 (ko) 2001-06-05 2001-10-20 구자형 벽걸이가 가능한 치과병원 정수 자동공급장치
KR20020046990A (ko) * 2000-12-14 2002-06-21 브루문트 충전제 함유 성형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유용한 장치
KR100524395B1 (ko) 2005-09-02 2005-11-01 홍종승 비수조식 압력용기 내압검사 시스템
KR100886175B1 (ko) 2007-11-06 2009-02-27 홍종승 압력용기 충수 및 잔류가스 회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8011A (ja) 1999-06-01 2000-12-08 Meidensha Corp 濁度測定装置と測定方法
KR20020046990A (ko) * 2000-12-14 2002-06-21 브루문트 충전제 함유 성형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유용한 장치
KR200246990Y1 (ko) 2001-06-05 2001-10-20 구자형 벽걸이가 가능한 치과병원 정수 자동공급장치
KR100524395B1 (ko) 2005-09-02 2005-11-01 홍종승 비수조식 압력용기 내압검사 시스템
KR100886175B1 (ko) 2007-11-06 2009-02-27 홍종승 압력용기 충수 및 잔류가스 회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068Y1 (ko) * 2013-09-23 2015-05-04 한국남부발전(주) 수위측정계기용 도압관 충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946A (ko) 201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0971B2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horizontal/vertical permeability of hydrate reservoir
KR200490385Y1 (ko) 볼밸브의 누설시험장치
GB2466390A (en) Method for virtual metering of injection wells and allocation and control of multizonal injection wells
CN202018415U (zh) 一种模拟抽水条件下的含水层参数测试装置
CN105157923B (zh) 安全壳封闭回路上进出口隔离阀组密封性试验方法
CN109932272B (zh) 一种co2驱替实验系统及实验方法
CN102297829A (zh) 应力条件下煤岩气体吸附量和吸附变形的测量方法及装置
CN106813880A (zh) 在压力环境维持条件下的设备泄漏检测实验系统及方法
JP2010014435A (ja) 沈下測定装置及び沈下測定方法
KR101107931B1 (ko) 도압관 역 충수장치 및 방법
CN203366144U (zh) 一种周浸腐蚀试验补液装置
KR101192205B1 (ko) 원자력발전소 주증기차단밸브 동작용 솔레노이드밸브의 테스트 블록장치 및 방법
CN204756429U (zh) Lng卸车计量装置
CN101551287A (zh) 散热器注氦检测真空度方法
CN209589421U (zh) 淤泥质海床上海底管道冲刷悬空临界压差实验装置
KR20130127270A (ko) 통합 누수시험장치
CN105333989B (zh) 用于测量管道中液体介质的微差压的引压装置
CN203615081U (zh) 管路试压装置
CN216210669U (zh) 一种气体流量控制器测漏系统
CN212159042U (zh) 换流阀组件流阻测试系统
CN213021788U (zh) 浮筒式液位测量仪表校验装置
JP4254961B2 (ja) 過流量阻止弁の作動検査方法
CN101393104B (zh) 表面张力测试仪及方法
CN203869816U (zh) 阀门密封性检测设备
KR200453876Y1 (ko) 약액 공급장치의 과충진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