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514B1 - 휴대용 컴퓨팅 장치 및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싱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컴퓨팅 장치 및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514B1
KR100781514B1 KR1020050127107A KR20050127107A KR100781514B1 KR 100781514 B1 KR100781514 B1 KR 100781514B1 KR 1020050127107 A KR1020050127107 A KR 1020050127107A KR 20050127107 A KR20050127107 A KR 20050127107A KR 100781514 B1 KR100781514 B1 KR 100781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portable computing
module
computing device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7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6220A (ko
Inventor
김윤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7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1514B1/ko
Priority to US11/601,722 priority patent/US7840909B2/en
Priority to CNA2006101642824A priority patent/CN1987788A/zh
Publication of KR20070066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6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514B1/ko
Priority to US12/902,691 priority patent/US2011002992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71Special purpose buttons or auxiliary keyboards, e.g. retractable mini keypads, keypads or buttons that remain accessible at closed lapt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93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to a less power-consuming processor, e.g. sub-CPU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06F3/04855Interaction with scrollba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ursor position based on codes indicative of cursor displacements from one discrete location to another, e.g. using cursor control keys associated to different directions or using the tab ke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팅 장치 및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팅 장치는 소정의 이벤트 발생시 소정의 기능 리스트를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로 제공하는 관리 모듈, 및 상기 기능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기능을 처리하는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휴대용 컴퓨팅 장치, 디스플레이, 뚜껑(lid)

Description

휴대용 컴퓨팅 장치 및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싱 방법{Portable compu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of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의 뚜껑(lid)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의 뚜껑(lid)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싱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기능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0 : 제1 디스플레이 모듈 120 : 제1 입력 모듈
130 : 처리 모듈 140 : 저장 모듈
150 : 제2 디스플레이 모듈 160 : 제2 입력 모듈
170 : 관리 모듈 180 : 활성화 제어 모듈
190 : 이벤트 감지 모듈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뚜껑(lid)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간단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 및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노트북 컴퓨터(notebook-sized personal computer)와 같은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보급이 확산되고 있다. 휴대용 컴퓨팅 장치는 휴대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서, 이동하면서 업무를 보아야 하는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더욱이 무선 네트워크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통해 실외에서도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가 용이해짐에 따라서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이용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컴퓨팅 장치는 뚜껑(lid)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뚜껑을 개방하고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부팅시키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가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통해서 간단한 기능을 이용하려는 경우에도, 매번 뚜껑을 열고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부팅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뚜껑(lid)이 닫힌 상태에서 간단한 기능을 처리할 수 있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 및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싱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팅 장치는 소정의 이벤트 발생시 소정의 기능 리스트를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로 제공하는 관리 모듈, 및 상기 기능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기능을 처리하는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싱 방법은 소정의 이벤트 발생시 소정의 기능 리스트를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기능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기능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팅 장치(1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휴대용 컴퓨팅 장치(100)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 제1 입력 모듈(120), 처리 모듈(130), 저장 모듈(140), 제2 디스플레이 모듈(150), 제2 입력 모듈(160), 관리 모듈(170), 활성화 제어 모듈(180), 및 이벤트 감지 모듈(190)을 포함한다. 이러한 휴대용 컴퓨팅 장치(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노트북 컴퓨터를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노트북 컴퓨터를 기준으로 하여 휴대용 컴퓨팅 장치(100)에 대한 설명을 할 것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휴대용 컴퓨팅 장치(100)의 메인 디스플레이로서, 처리 모듈(130)에 의한 각종 기능 처리 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 휴대용 컴퓨팅 장치(100)가 노트북 컴퓨터인 경우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트북 컴퓨터의 뚜껑(lid, 220) 내측에 위치하는 평판 디스플레이(210)일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유기 EL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입력 모듈(120)은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다. 이를 위하여, 제1 입력 모듈(120)은 복수의 버튼, 터치 패드, 볼 마우스 등의 입력 수단을 포함한다. 제1 입력 모듈(120)의 대표적인 예로써,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노트북 컴퓨터의 키보드(230)와 터치 패드(240)를 들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입력 모듈(120)을 통해서 입력한 제어 명령에 대한 처리 모듈(130)의 처리 결과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휴대용 컴퓨팅 장치(100)의 보조 디스플레이로서, 처리 모듈(130)에 의한 소정의 기능 처리 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 제2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과는 달리 휴대용 컴퓨팅 장치(100)의 외부 표면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컴퓨팅 장치(100)가 노트북 컴퓨터인 경우, 제2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트북 컴퓨터의 뚜껑(220) 외측에 위치하는 평판 디스플레이(250)일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LCD, PDP, 유기 EL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입력 모듈(160)은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다. 제2 입력 모듈(160)은 하나 이상의 버튼이나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디스플레이 모듈(150)과 마찬가지로 휴대용 컴퓨팅 장치(100)의 외부 표면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입력 모듈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 모듈(250)과 인접한 영역(260)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입력 모듈(160)을 통해서 입력한 제어 명령에 대한 처리 모듈(130)의 처리 결과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컴퓨팅 장치(100)의 동작 상태는 크게 일반 모드와 특수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일반 모드는 종래와 같이 사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과 제1 입력 모듈(120)을 사용함으로써, 휴대용 컴퓨팅 장치(100)가 일반적인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일반 모드에서 처리 모듈(130)에 의한 기능 처리 상태나 결과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특수 모드는 사용자가 제2 디스플레이 모듈(150)과 제2 입력 모듈(160)을 사용함으로써, 휴대용 컴퓨팅 장치(100)가 사전에 설정된 소정의 기능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특수 모드에서 처리 모듈(130)이 수행하는 기능 처리 상태나 결과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처리 모듈(130)은 제1 입력 모듈(120)이나 제2 입력 모듈(160)로부터 전달된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서 소정의 기능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처리 모듈(130)이 처리하는 기능은 워드 프로세서, 웹 브라우져, 컨텐츠 재생기 등과 같이 휴대용 컴퓨팅 장치(100)의 운영체제(OS)를 기반으로 하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하 메인 기능이라 한다)과 메인 기능에 비하여 낮은 연산량 및 낮은 메모리를 소비하는 서브 기능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브 기능은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하지 않고서도 처리될 수 있는 소정의 연산 작업일 수 있다. 이러한 서브 기능의 예로써, 바이오스 초기값 복원 기능이나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저소음 설정 기능 등을 포함하는 바이오스 설정 기능, 디스크 조각 모음 기능이나 절전 기능 등을 포함하는 시스템 관리 기능, 데이터 실행 방지(Data Execution Prevention; DEP) 설정 기능이나 퀵 뷰(quick view) 설정 기능 등을 포함하는 운영체제 설정 기 능 등을 들 수 있다. 이 밖에도 서브 기능은 계산기, 달력, 일정 관리, 연락처 관리 등과 같이 비교적 간단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처리 모듈(130)이 소정의 기능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은 저장 모듈(140)로부터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 모드와 특수 모드에서의 기능 처리를 별도로 수행하기 위하여, 휴대용 컴퓨팅 장치(100)는 처리 모듈(130)을 복수로 포함할 수도 있다.
저장 모듈(140)은 바이오스, 각종 시스템 설정 정보, 기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저장 모듈(140)은 램(Random Access Memory; RAM)이나 롬(ROM)과 같은 메인 메모리와 하드디스크와 같은 보조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모듈(170)은 특수 모드에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디스플레이할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제공한다. 또한 관리 모듈(170)은 특수 모드에서 처리 모듈(130)이 처리하게 될 기능들을 관리하게 된다.
활성화 제어 모듈(180)은 이벤트 감지 모듈(190)이 소정의 이벤트를 감지한 경우 제2 디스플레이 모듈(150), 제2 입력 모듈(160), 및 관리 모듈(170)을 활성화시킨다.
이벤트 감지 모듈(190)은 소정의 이벤트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이벤트 감지 모듈(190)은 휴대용 컴퓨팅 장치(100)의 뚜껑(lid)의 개폐 여부와 소정의 키 신호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이벤트로써 감지할 수 있다.
도 1의 설명에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또는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싱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면(S410), 활성화 제어 모듈(180)은 제2 디스플레이 모듈(150), 제2 입력 모듈(160), 및 관리 모듈(170)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시킨다(S420). 과정 S410에서 이벤트 발생 여부는, 이벤트 감지 모듈(190)이 휴대용 컴퓨팅 장치(100)의 뚜껑(lid)이 닫힌 상태나 소정의 키 신호의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키 신호는 제2 입력 모듈(160)에 포함된 소정의 버튼으로부터 출력되거나, 기타 도시하지 않은 버튼으로부터 출력된 것일 수 있 다. 다른 실시예로써, 이벤트 감지 모듈(190)은 휴대용 컴퓨팅 장치(100)의 뚜껑(lid)이 닫힌 것으로 감지한 상태에서 소정의 키 신호 입력을 감지한 경우를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활성화된 관리 모듈(170)은 소정의 기능 리스트를 제공하고(S430), 제2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기능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한다(S440). 여기서 기능 리스트는 특수 모드에서 처리 모듈(130)이 처리하게 될 기능들,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보조 기능에 대한 리스트이다. 기능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통해서 기능 리스트를 확인하고 제2 입력 모듈(160)을 조작하여 원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제2 입력 모듈(160)을 통해서 사용자에 의하여 소정의 기능이 선택되면(S450), 처리 모듈(130)은 선택된 기능을 처리한다(S460). 이 때, 기능 처리 상태 및 결과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과정은 휴대용 컴퓨팅 장치(100)가 특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100)는 일반 모드와 특수 모드 중에서 택일적으로 어느 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즉, 휴대용 컴퓨팅 장치(100)의 뚜껑(lid)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100)가 일반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며, 휴대용 컴퓨팅 장치(100)의 뚜껑(lid)이 닫힌 상태에서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100)가 특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하,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휴대용 컴퓨팅 장치(100)가 특수 모드에서 소정의 기능을 처리하는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 내지 도 5d에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디스플레이하는 정보들은 관리 모듈(17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이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소정의 기능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면, 사용자는 제2 입력 모듈(160)을 조작하여 원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도 5b는 사용자가 도 5a에 도시된 기능 리스트 중에서 시스템 관리 기능을 선택한 경우, 제2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시스템 관리 기능에 포함되는 기능의 리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가 제2 입력 모듈(160)을 조작하여 디스크 조각 모음 기능을 선택하면, 제2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조각 모음 기능에 대한 설명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가 제2 입력 모듈(160)을 통해서 디스크 조각 모음 기능의 실행을 요청하면, 처리 모듈(130)은 디스크 조각 모음 기능을 처리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원하는 기능을 기능 리스트에 추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은 UI가 제공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입력 모듈(160)을 조작하여 새로운 프로그램 추가 기능을 선택하면, 제2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능 리스트에 추가할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제2 입력 모듈(160)을 조작하여 저장 모듈(140)에 저장된 프로그램 중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함으로써, 새로운 기능을 기능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추가된 기능이 반영된 기능 리스트는 관리 모듈(170)에 의하여 관리되며, 추후 휴대용 컴퓨팅 장치 (100)가 특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새로운 기능이 추가된 기능 리스트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용 컴퓨팅 장치 및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싱 방법에 따르면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뚜껑(lid)이 닫힌 상태에서 간단한 기능을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과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이벤트 발생시 소정의 기능 리스트를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로 제공하고, 사용자가 추가한 기능을 상기 기능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관리 모듈; 및
    상기 기능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기능을 처리하는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뚜껑(lid)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감지 모듈은 상기 뚜껑이 닫힌 상태를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소정의 키 신호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이벤트 감지 모듈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시스템 관리 기능, 바이오스 설정 기능, 및 운영체제 설정 기능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관리 기능은 디스크 조각 모음 기능 및 컴퓨터 작업 예약 기능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스 설정 기능은 바이오스 초기값 복원 기능 및 저소음 설정 기능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체제 설정 기능은 데이터 실행 방지 설정 기능 및 Quick View 기능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
  8. 삭제
  9.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과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싱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이벤트 발생시 소정의 기능 리스트를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기능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기능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 리스트는 사용자가 추가한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싱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뚜껑(lid)이 닫힌 상태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싱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소정의 키 신호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싱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시스템 관리 기능, 바이오스 설정 기능, 및 운영체제 설정 기능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싱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관리 기능은 디스크 조각 모음 기능 및 컴퓨터 작업 예약 기능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싱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스 설정 기능은 바이오스 초기값 복원 기능 및 저소음 설정 기능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싱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체제 설정 기능은 데이터 실행 방지 설정 기능 및 Quick View 기능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싱 방법.
  16. 삭제
KR1020050127107A 2005-12-21 2005-12-21 휴대용 컴퓨팅 장치 및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싱방법 KR100781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107A KR100781514B1 (ko) 2005-12-21 2005-12-21 휴대용 컴퓨팅 장치 및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싱방법
US11/601,722 US7840909B2 (en) 2005-12-21 2006-11-20 Portable computing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CNA2006101642824A CN1987788A (zh) 2005-12-21 2006-12-08 便携式计算装置和使用该装置的处理方法
US12/902,691 US20110029924A1 (en) 2005-12-21 2010-10-12 Portable computing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107A KR100781514B1 (ko) 2005-12-21 2005-12-21 휴대용 컴퓨팅 장치 및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220A KR20070066220A (ko) 2007-06-27
KR100781514B1 true KR100781514B1 (ko) 2007-12-03

Family

ID=38175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7107A KR100781514B1 (ko) 2005-12-21 2005-12-21 휴대용 컴퓨팅 장치 및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싱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7840909B2 (ko)
KR (1) KR100781514B1 (ko)
CN (1) CN198778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3154B2 (ja) * 2009-11-27 2014-02-12 株式会社リコー 表示装置、画像形成装置、カスタマイズ方法、プログラム
CN101806656B (zh) * 2010-03-08 2011-09-07 东南大学 笔记本电脑液晶显示屏亮度响应特性测量仪
CN102681864A (zh) * 2011-03-16 2012-09-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计算机
KR101832772B1 (ko) 2014-02-12 2018-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컴퓨팅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0481645B2 (en) 2015-09-11 2019-11-19 Lucan Patent Holdco, LLC Secondary gesture input mechanism for touchscreen devices
KR101614738B1 (ko) * 2015-11-02 2016-04-22 덕산네오룩스 주식회사 유기전기소자용 화합물,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및 그 전자 장치
CN105893130B (zh) * 2016-03-31 2019-06-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应用程序的处理方法和移动终端
CN106020594A (zh) * 2016-05-12 2016-10-12 珠海金山网络游戏科技有限公司 一种手机游戏快速提交反馈的方法和装置
CN108664080A (zh) * 2017-03-31 2018-10-16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控制方法、电子装置及非瞬时电脑可读取记录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3673A (ko) * 2000-01-19 2001-08-01 구자홍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기능별 선택 구동장치 및 방법
KR20020065779A (ko) * 2001-02-07 2002-08-14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7574A (ja) 1997-01-21 1998-08-07 Hitachi Electron Service Co Ltd ノート型パソコン
US6282646B1 (en) * 1998-05-08 2001-08-28 Apple Computer, Inc. System for real-time adaptation to changes in display configuration
US6727920B1 (en) * 1999-03-11 2004-04-27 Micron Technology, Inc. Multiple operating system quick boot utility
JP2001142563A (ja) 1999-11-09 2001-05-25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機能補完型携帯情報装置
US6809724B1 (en) * 2000-01-18 2004-10-26 Seiko Epson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and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02259035A (ja) * 2001-02-28 2002-09-13 Sony Corp 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及び情報処理装置の操作方法、情報処理装置、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4398594B2 (ja) 2001-02-28 2010-01-13 株式会社東芝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6668177B2 (en) * 2001-04-26 2003-12-2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rioritized icons in a mobile terminal
US6842795B2 (en) * 2002-06-10 2005-01-11 Siemens Communication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hifting focus between multiple devices
KR100631665B1 (ko) 2002-10-21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조작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US7002604B1 (en) * 2002-11-04 2006-02-21 Savaje Technologies, Inc. Screen rotation
JP2005080020A (ja) 2003-09-01 2005-03-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型情報機器
US7271997B2 (en) * 2003-09-18 2007-09-18 Vulcan Portals, Inc. Processor module packaging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display
US7426647B2 (en) * 2003-09-18 2008-09-16 Vulcan Portals Inc. Low power media player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050066209A1 (en) * 2003-09-18 2005-03-24 Kee Martin J.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high and low power processors operable in a low power mode
US20060061563A1 (en) * 2004-09-17 2006-03-23 Fleck Rod G Power-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appliances
US20060212329A1 (en) * 2005-03-16 2006-09-21 Microsoft Corporation Consolidated management of administrative tasks in an aynchronous,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3673A (ko) * 2000-01-19 2001-08-01 구자홍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기능별 선택 구동장치 및 방법
KR20020065779A (ko) * 2001-02-07 2002-08-14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220A (ko) 2007-06-27
US20110029924A1 (en) 2011-02-03
US20070143518A1 (en) 2007-06-21
CN1987788A (zh) 2007-06-27
US7840909B2 (en) 2010-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1514B1 (ko) 휴대용 컴퓨팅 장치 및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싱방법
US9411496B2 (en) Method for operating user interface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program applying the same
US7757185B2 (en) Enabling and disabling hotkeys
US200602137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puter application program task switching via a single hardware button
US724238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key button function allocating method used therefor
EP1376320A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put assisting method for use in the same
JP2001014079A (ja) アイコンを複数の動作に関連付けることによってコンピュータ・ディスプレイ画面上のスペースを保存できる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US2006027749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2006330912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009534A (ja) 電子装置及び表示方法
US2003022318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window size control method used in the same unit
JP2005108036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タッチパッド
JP2008165372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1086433B1 (ko) 디바이스에서의 터치 스크린 키보드 표시 방법 및 장치
WO2014023148A1 (zh) 一种电子设备及控制所述电子设备的方法及装置
US10642384B2 (en) Zone identifications on input devices
JP2006301785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132821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入力方法
JP6775561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226407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程序
JP5552632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入力方法
JP2004295727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入力制御方法
JP7176067B1 (ja) 情報処理装置、及び制御方法
JP2010086065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制御方法
JP200908707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