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0262B1 - 다국어기능을 가지는 음성안내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 - Google Patents

다국어기능을 가지는 음성안내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0262B1
KR100780262B1 KR1020060021398A KR20060021398A KR100780262B1 KR 100780262 B1 KR100780262 B1 KR 100780262B1 KR 1020060021398 A KR1020060021398 A KR 1020060021398A KR 20060021398 A KR20060021398 A KR 20060021398A KR 100780262 B1 KR100780262 B1 KR 100780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ry
voice
portable microphone
operation button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1807A (ko
Inventor
윤재환
Original Assignee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1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0262B1/ko
Publication of KR20070091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1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0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0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011Files or data streams containing coded musical information, e.g. for transmission
    • G10H2240/036File multilingual, e.g. multilingual lyrics for karao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다국어기능을 가지는 음성안내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의 해당 동작버튼을 각 국가별 설정에 따른 각 국가별 해당 음성으로 출력하고, 상기 각 국가별 설정에 따라 각 국가별 음악파일을 재생하는 다국어 음성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기능을 가지는 음성안내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를 제공한다.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 다국어, 음성안내

Description

다국어기능을 가지는 음성안내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The voice guidance portable microphone song system which has a multi national language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국어기능의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에 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국어기능의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에 관한 세부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국어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환경설정을 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국어기능의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에 관한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 110 : 동작제어부
120 : 환경설정부 130 : 사운드파일 저장부
본 발명은 휴대용 다국어기능을 가지는 음성안내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다국어 음성수단을 제공하여 상기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의 해당 동작버튼을 각 국가별 해당 음성으로 출력하여 안내하도록 하고, 각 국가별 음악파일을 재생하도록 하는 다국어기능을 가지는 음성안내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는 휴대성이라는 편리한 잇점으로 인해 가정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는 일반 마이크 형태의 구조에서 반주기 기능을 일체형으로 구현하기 위해 각종 동작버튼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데, 마이크 형태의 구조상 크기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어 마이크에 포함된 동작버튼과 디스플레이 역시 구조적으로 크기의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다.
점점 다양한 기능들이 내장되고 동작버튼이 늘어감으로 동작버튼의 크기는 점점 작아지게 되고, 인쇄된 문자크기 역시 작아짐으로 인해 일반 노약자등이 동작버튼(숫자키, 기능키 등)을 이용함에 있어 오동작을 하게되어 원하는 곡을 재생하지 못하는 빈도가 높아지게 되어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동작버튼의 동작상태를 표출하는 디스플레이 역시 크기의 한계로 인해 표출되는 디스플에이 내용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어 노약자 등이 보기에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의 동작버튼과 디스플레이의 협소함으로 인한 시인성 부족현상과 오동작을 줄이기 위해 선택한 해당 동작버튼의 문자를 음성으로 표출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고,
다른 목적으로는, 각 국가별 설정에 따른 각 국가별 음성을 내장하여 해외에서도 편리하게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의 해당 동작버튼을 각 국가별 설정에 따른 각 국가별 해당 음성으로 출력하고, 상기 각 국가별 설정에 따라 각 국가별 음악파일을 재생하는 다국어 음성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기능을 가지는 음성안내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국어기능을 가지는 음성안내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국어기능의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에 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국어기능의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에 관한 세부 블럭 구성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는 일반 마이크 형태의 구조에서 반주기 기능을 일체형으로 구현하여 각종 동작버튼과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당 동작버튼의 음성안내를 받기 위해서는 상기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에 주어지는 환경설정 버튼을 이용하여 동작버튼음과 사용국가를 선택하여 환경을 설정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국어 음성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국어 음성수단은 사용자 또는 주변환경에 따라 동작버튼의 버튼음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고, 상기와 같은 음성안내 및 다국어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다국어 음성수단은 동작제어부(110), 환경설정부(120) 및 사운드파일 저장부(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동작제어부(110)는 상기 사용자의 환경설정에 따라 입력되는 상기 동작버튼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동작버튼음을 추출하여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각 국가별 해당 사운드 파일을 재생하는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환경설정부(120)는 상기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의 동작버튼에 따라 동작 버튼음을 출력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각 국가별 설정에 따라 동작하기 위한 국가코드 및 사운드파일의 재생환경을 설정한다.
상기 사운드파일 저장부(130)는 상기 해당 동작버튼의 동작버튼음을 저장하고 있고, 또한 상기 각 국가의 장르별, 가수별 등의 음악파일을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환경설정에 따라 각 국가별 동작버튼음 및 음악파일을 재생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하에서,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가지는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의 동작원리를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국어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환경설정을 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국어기능의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에 관한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의 동작원리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해당 동작버튼의 음성안내를 받기 위해서는 상기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에 주어지는 환경설정 버튼을 이용하여 동작버튼음과 사용국가를 선택하여 환경을 설정해야한다.
먼저, 환경설정을 통하여 동작버튼음과 사용국가를 선택해야 하는데, 상기 사용자는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에 제공되는 다양한 버튼 중 환경설정 버튼(도시안됨)을 누른다.
상기 환경설정 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환경설정부(120)에 의해 사용국가, 동작버튼음 및 업그레이드 등의 환경설정 메뉴가 나타난다(S302).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세계 여러국가 중 해당 국가를 선택하고(S304), 동작버튼음을 사용할 것을 설정하면(S306), 상기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의 동작버튼음을 해당 국가의 음성으로 안내받을 수 있고, 또한 상기 사운드파일 저장부(130)에 저장된 해당 국가의 다양한 장르 및 가수들의 음악을 해당 국가의 음성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환경설정이 끝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를 사용하기 위해 해당 동작버튼을 누르게 되면(S402), 상기 동작제어부(110)는 해당 동작버튼의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동작버튼의 음성설정 유무를 확인하게 된다(S404).
만약, 음성설정이 없다면(S404), 해당 동작버튼의 음성안내를 하지 않고 상기 동작버튼에 해당하는 제어를 진행하게 된다.
만약, 음성설정이 있다면(S404), 설정된 국가코드를 확인하고(S406), 상기 해당 동작버튼에 해당하는 해당국가의 음성을 상기 사운드파일 저장부(130)에서 추출하여 외부로 출력하고, 또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국가의 음악을 재생하여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한다(S408).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다국어기능을 가지는 음성안내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는, 해당 동작버튼을 음성으로 제공함으로써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의 동작버튼과 디스플레이의 협소함으로 인한 시인성 부족현상과 오동작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다른 효과로는, 각 국가별 설정에 따른 각 국가별 음성을 내장하여 제공함으로써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마이크의 다국어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환경설정, 동작버튼음 및 음악파일 재생과 관련된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제어부와, 각 국가별 설정에 따라 동작하기 위한 국가코드, 동작버튼음 및 음악파일의 동작환경을 설정하는 환경설정부 및 상기 환경설정부의 설정에 따라 각 국가별 동작버튼음 및 음악파일을 재생하는 사운드파일 저장부를 포함하여, 상기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의 해당 동작버튼을 각 국가별 설정에 따른 각 국가별 해당 음성으로 출력하고, 상기 각 국가별 설정에 따라 각 국가별 음악파일을 재생하는 다국어 음성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기능을 가지는 음성안내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파일 저장부는
    국가별 음성으로 된 동작버튼음과 장르별, 가수별 등의 미디(MIDI)음악을 각 국가별 해당 음성으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기능을 가지는 음성안내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국어 음성수단은
    사용자 또는 주변환경에 따라 동작버튼의 버튼음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기능을 가지는 음성안내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
KR1020060021398A 2006-03-07 2006-03-07 다국어기능을 가지는 음성안내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 KR100780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398A KR100780262B1 (ko) 2006-03-07 2006-03-07 다국어기능을 가지는 음성안내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398A KR100780262B1 (ko) 2006-03-07 2006-03-07 다국어기능을 가지는 음성안내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807A KR20070091807A (ko) 2007-09-12
KR100780262B1 true KR100780262B1 (ko) 2007-11-28

Family

ID=38689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398A KR100780262B1 (ko) 2006-03-07 2006-03-07 다국어기능을 가지는 음성안내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026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6151A (ko) * 2003-10-15 2005-04-20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노래방기기에서 알파벳을 이용한 중국어 또는 일본어노래의 검색방법
KR100496834B1 (ko) 2004-10-20 2005-06-22 이기운 휴대용 동영상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및 마이크 타입 영상노래 반주 장치
JP2005215305A (ja) 2004-01-29 2005-08-11 Daiichikosho Co Ltd 言語別表示機能を有するカラオケ演奏装置
KR20050083392A (ko) * 2004-02-23 2005-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랭귀지 지원 노래반주장치 및 그 방법
JP2006046686A (ja) 2004-07-30 2006-02-16 Mitsubishi Electric Corp リモコン装置及びリモコン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6151A (ko) * 2003-10-15 2005-04-20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노래방기기에서 알파벳을 이용한 중국어 또는 일본어노래의 검색방법
JP2005215305A (ja) 2004-01-29 2005-08-11 Daiichikosho Co Ltd 言語別表示機能を有するカラオケ演奏装置
KR20050083392A (ko) * 2004-02-23 2005-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랭귀지 지원 노래반주장치 및 그 방법
JP2006046686A (ja) 2004-07-30 2006-02-16 Mitsubishi Electric Corp リモコン装置及びリモコンシステム
KR100496834B1 (ko) 2004-10-20 2005-06-22 이기운 휴대용 동영상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및 마이크 타입 영상노래 반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807A (ko) 200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26711A (ko)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작곡 방법 및 장치
KR20100069736A (ko)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CN101166317A (zh) 一种为移动设备提供混音功能的方法以及相应装置
WO2017028686A1 (zh) 一种信息处理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KR20080025772A (ko) 휴대 단말기의 음악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음악 메시지서비스 시스템
JP4500730B2 (ja) カラオケ装置及び電子早見本装置
KR100457052B1 (ko)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노래반주/음악연주 서비스 장치 및그 방법
KR100780262B1 (ko) 다국어기능을 가지는 음성안내 휴대용 마이크 반주기
KR10077453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부입력 장치를 이용한 사운드 효과발생 방법
KR100678095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악을 작곡하는 방법
JP4500754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
JP2006209079A (ja) 音楽ファイル編集機能を持つ携帯用端末機及びこれを利用した音楽ファイル編集方法
KR20040084061A (ko) 음악 연주 및 편집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JP5709782B2 (ja) カラオケ演奏モード設定システム
CN113096622A (zh) 显示方法、电子设备、演奏数据显示系统及存储介质
JP4429114B2 (ja) 電子早見本装置
JP2013178509A (ja) 電子装置、及び音声ガイド用プログラム
JP3996006B2 (ja) 希望曲演奏時における指定の歌詞部分の表示時期に指定のメッセージを表示するカラオケ装置
TWI278774B (en) Smart music ringtone entry method
JP3908808B2 (ja) カラオケ装置
KR200343845Y1 (ko) 다기능 디지탈 피아노
JP2006215408A (ja) 通信カラオケシステム
JP4299747B2 (ja) 電子早見本装置
KR100620973B1 (ko) 음원데이타 출력시스템
KR200306443Y1 (ko) 영상가요 반주기능을 갖는 pda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