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0106B1 - 수상이동기구 - Google Patents

수상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0106B1
KR100780106B1 KR1020060089374A KR20060089374A KR100780106B1 KR 100780106 B1 KR100780106 B1 KR 100780106B1 KR 1020060089374 A KR1020060089374 A KR 1020060089374A KR 20060089374 A KR20060089374 A KR 20060089374A KR 100780106 B1 KR100780106 B1 KR 100780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oving mechanism
shaft
circumferential surface
wate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9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호
Original Assignee
박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호 filed Critical 박종호
Priority to KR1020060089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01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0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0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50Body-supporting buoyant devices, e.g. bathing boats or water cycles
    • B63B34/56Body-supporting buoyant devices, e.g. bathing boats or water cycles for use in a standing position, e.g. water shoes, water walking devices or buoyant sk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30Water skis fastened to the user's feet;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70Accessori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type of board, e.g. paddings or buoyancy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3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non-rotary type
    • B63H1/36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non-rotary type swinging sideways, e.g. fishtai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2Movable thwarts; Foot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4Oars; Sculls; Paddles; Po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내관체(12)가 동심을 이루고 일정 길이로 연결되고 상기 내관체(12) 외주면을 덮어씌우는 복수의 외관체(14)로 이루어지는 2중관체 구조인 축관체(10); 상기 축관체(10)의 외관체(14) 외주면을 덮어씌우는 복수의 부구(20); 상기 축관체(10)의 중앙에 위치된 외관체(14) 외주면 상단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부구(20) 사이를 통해 상방으로 노출되며 사용자의 한쪽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마련된 발판(30); 및 상기 축관체(10)를 이루는 소정의 외관체(14) 외주면 하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부구(20) 사이를 통해 수중으로 노출되는 중심키(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부구에 의해 수면 위에 떠있는 발판 상에 사용자가 올라 선 상태에서 보행 동작 또는 노 저음 동작을 통해 추진력을 얻어 수상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수온이 낮은 추운 계절이나 추운 지방에서도 별도의 방수복 등을 착용함이 없이 수상에서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의 신체가 수중에 전혀 잠기지 않으므로 추진력 방해 요인이 제거되어 최상의 추진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수상이동기구, 축관체, 부구, 발판, 중심키

Description

수상이동기구{Apparatus for moving on the water surfa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상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수상이동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상이동기구를 길이방향으로 잘라 본 상태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상이동기구를 축 직각방향에서 잘라 본 상태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상이동기구에 적용되는 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축관체 12 : 내관체
12a : 결합돌부 12b : 수나사
12c : 암나사 14 : 외관체
14a : 결합홈부 20 : 부구
30 : 발판 30a : 연결대
32 : 고정끈 40 : 중심키
40a : 연결대 50 : 물갈퀴
50a : 연결대 52 : 베이스판
54 : 물갈퀴판 54a : 지지부
60 : 이탈방지판 62, 64 : 나사결합부
70 : 노 72 : 손잡이
74 : 물갈퀴부 76 : 보조부구
본 발명은 수상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구에 의해 수면 위에 떠있는 발판 상에 사용자가 올라 선 상태에서 보행 동작 또는 노 저음 동작을 통해 추진력을 얻어 수상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수상에서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신체가 수중에 전혀 잠기지 않으므로 추진력 방해 요인이 제거되어 최상의 추진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수상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놀이기구로는 부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수면 상으로 떠오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부구인 튜브나, 부력과는 상관없이 사용자의 발에 착용하여 추진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오리발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순한 물놀이기구의 장점만을 결합시켜 부력과 추진력을 모두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진보된 기구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특허 제10-485779호에 게재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수상이동기구에 대한 구성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사용자의 신체 일부, 즉 흉부 또는 하반신에 장착시키는 부구와, 이 부구와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발에 착용하여 추진력을 발생시키도록 한 추진력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부구에 의해 수중에 떠 있는 상태로 자신의 다리를 저으면서 추진력을 얻어 전방으로 전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전반적인 종래 기술의 물놀이기구와 수상이동기구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 또는 전부가 반드시 수중에 잠긴 상태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물과의 신체 접촉을 꺼리는 사용자나 물의 온도가 낮아 체온이 급격하게 떨어지게 되는 계절이나 추운 지방에서는 사용하기가 힘들게 되고, 사용을 하더라도 별도의 방수복을 입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신체가 항상 물에 잠겨있는 상태로 물놀이를 즐겨야 하기 때문에 추진력을 얻을 경우에 사용자의 신체 자체가 추진력을 방해하는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고 그 결과 추진력 발생이 약해져서 수상이동 기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부구에 의해 수면 위에 떠있는 발판 상에 사용자가 올라 선 상태에서 보행 동작 또는 노 저음 동작을 통해 추진력을 얻어 수상 이동이 가능함으로써, 수상에서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신체가 수중에 전혀 잠기지 않으므로 추진력 방해 요인이 제거되어 최상의 추진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수상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수상이동기구는 복수의 내관체가 동심을 이루고 일정 길이로 연결되고 상기 내관체 외주면을 덮어씌우는 복수의 외관체로 이루어지는 2중관체 구조인 축관체; 상기 축관체의 외관체 외주면을 덮어씌우는 복수의 부구; 상기 축관체의 중앙에 위치된 외관체 외주면 상단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부구 사이를 통해 상방으로 노출되며 사용자의 한쪽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마련된 발판; 및 상기 축관체를 이루는 소정의 외관체 외주면 하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부구 사이를 통해 수중으로 노출되는 중심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상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축관체의 내관체 외주면에 결합돌부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외관체의 내주면에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홈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상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내관체들의 연결부위 외주면으로 외관체가 덮어 씌워지도록 내관체와 외관체의 각 연결부위가 축 방향으로 따라 서로 어긋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상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중심키는 축관체를 따라 서로 일정간격씩 이격된 복수개가 구비되어 있으며 , 복수의 중심키 중에서 중간위치의 중심키에는 그 상단부가 축관체와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부구 사이를 통해 수중으로 노출되는 물갈퀴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상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물갈퀴는 수중으로 노출된 수평한 베이스판과, 이 베이스판의 선단부와 힌지 연결되어 수상이동기구의 전후 움직임에 따라 수압에 의해 접히고 펴지면서 물을 젖히도록 된 물갈퀴판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상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물갈퀴판의 상단 힌지 연결부위에는 젖힘 과정에서 수직하방 위치를 넘어서 전방으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물갈퀴판이 수직하방 위치에 있을 때 베이스판과 밀착 지지되는 지지부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상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축관체의 선, 후단부에 각각 부구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판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상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수상이동기구의 각 발판에 사용자의 양쪽 발을 장착한 상태에서 손으로 물을 저을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노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상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노는 상단부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물갈퀴부가 구비되며, 이 물갈퀴부의 인접 상단부에 보조부구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상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물갈퀴부는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물갈퀴판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수상이동기구를 보다 상세히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상이동기구는 복수의 축관체(10)와, 이 축관체(10)의 외주면을 덮어씌우는 복수의 부구(20)와, 상기 중앙 축관체(10)의 외주면 상단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부구(20) 사이를 통해 상방으로 노출되며 사용자의 한쪽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발판(30) 및 상기 소정 축관체(10)의 외주면 하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부구(20) 사이를 통해 수중으로 노출되는 중심키(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축관체(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고 그 양단부에 각각 나사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수나사(12b) 및 암나사(12c)가 형성된 복수의 내관체(12)와, 이 내관체(12) 외주면을 덮어씌우는 복수의 외관체(14)로 이루어진 긴 2중관체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축관체(10)의 내관체(12) 외주면 상, 하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방형 결합돌부(12a)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외관체(14)의 내주면에 상기 결합돌기(12a)가 삽입 결합되도록 하는 장방형 결합홈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관체(12)들은 그 연결부위 외주면으로 외관체(14)의 중간부분이 덮어 씌워진다. 다시 말해서, 내관체(12)의 결합부위는 구조적으로 취약하므로 그 결합부위를 덮어씌워 절단되거나 분리되는 등을 보완하고 보강하기 위하여 내관체(12)와 외관체(14)의 각 연결부위가 축 방향으로 따라 서로 어긋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내관체(12)의 연결부위 보강을 위한 결합 방식의 일례로서, 본 발명에서는 축관체(10)의 전후단부를 이루는 각각의 내관체(12)의 길이가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다른 내관체(1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외관체(14)는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축관체(10)의 선후단부에는 각각 부구(2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면에 내관체(12)의 수나사(12b) 및 암나사(12c)와 나사 결합되도록 각각 대응 형성된 나사결합부(62,64)가 마련되며 직경이 축관체(10)보다 크게 형성된 원판 형상의 이탈방지판(60)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내관체(12)는 편의상 속이 차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파이프와 같이 중공의 관으로 마련함이 좋고 플라스틱, 경금속 등으로 사용자가 탑승하였을 때 변형되지 않는 정도의 충분한 강도가 유지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내관체(12)가 파이프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내관체(12) 내에 물이 차면 전체적인 부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내관체(12)와 이탈방지판(60)사이는 물론 내관체(12)들이 체결되는 이음부분에 패킹(80)이 개재된다.
상기 부구(20)는 축관체(10)의 외주면을 덮어씌워 끼워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원형 고리형상의 고무튜브이며, 그 내부에는 소정압력으로 공기가 채워져 있다.
본 발명의 수상이동기구에서는 통상 성인사용자경우의 발놀림에 무리가 없도록 부구(20)의 직경이 25㎝이고 길이 또한 25㎝ 정도인 8개의 부구(20)를 축관체(10) 상에 결합시켜 전체길이가 대략 2m 정도가 되도록 제작하였다. 또한, 사용 자가 아동인 경우에는 부구(20)를 20㎝정도로 작게 마련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알맞게 축관체(10)의 길이를 1.5m나 2.5m 등등 얼마든지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부구(20)는 고무 재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사이로 가로지르는 발판(30) 또는 중심키(40)의 연결대(30a,40a)를 감싸 부구(20) 간의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구(20)는 고무재질로 마련함이 바람직하나 소프트한 합성수지튜브는 물론 통형의 스티로폼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 발판(30)은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전체길이의 중앙에 위치된 축관체(10)의 외주면 상단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부구(20) 사이를 통해 상방으로 노출되고 사용자의 한쪽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판재 형상으로 마련되며, 특히, 사용자의 발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별도의 고정끈(32) 등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고정끈(32)은 사용자의 발을 간편하고 고정함은 물론 분리 가능하도록 다양하게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중심키(40)는 소정의 외관체(14)의 외주면 하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부구(20) 사이를 통해 수중으로 노출되는 폭이 좁고 길이방향으로 넓게 형성된 판재 형상이며, 상기 부구(20)가 수중에서 양측 방향으로 미끄러져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균형을 유지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중심키(40)는 축관체(10)를 따라 서로 일정간격씩 이격된 복수개가 구비되되, 주로 균형 유지에 도움을 주기 위해 축관체(10)의 전, 후방에 여러 개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일정간격씩 이격된 복수개의 중심키(40) 사이인 축관체(10)의 중앙부 저면에는 그 상단부가 축관체(10)와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부구(20) 사이를 통해 수중으로 노출되는 물갈퀴(5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물갈퀴(50)는 수중으로 노출된 수평의 베이스판(52)과, 이 베이스판(52)의 선단부와 힌지 연결되어 수상이동기구의 전후 움직임에 따라 수압에 의해 접히고 펴지면서 물을 내젓도록 평탄한 판재형상의 물갈퀴판(54)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상기 물갈퀴판(54)의 상단 힌지 연결부위에는 물갈퀴판(54)의 젖힘 과정에서 수직하방 위치를 넘어서 전방으로 젖혀짐이 방지되도록 물갈퀴판(54)이 수직하방 위치에 있을 때 베이스판(52)과 밀착 지지되는 지지부(54a)가 더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물갈퀴(50)는 추진력 발생 정도에 따라 원하는 만큼 설치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물갈퀴(50)가 중앙부에서 서로 이격간격 이격된 상태로 한 쌍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상이동기구의 각 발판(30)에 사용자의 양쪽 발을 장착한 상태에서 손으로 물을 저을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노(7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노(70)는 상단부에 손잡이(72)가 형성되고, 그 하단부에 물갈퀴부(74)가 구비된 긴 봉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물갈퀴부(74)의 인접 상단부에는 노(70)가 물위에 떠 있을 수 있도록 하는 보조부구(7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물갈퀴부(74)는 기존의 노와는 달리 방향성을 갖지 않도록 등각을 가지며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물갈퀴판(74a)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상이동기구의 조립 과정을 살펴본다. 우선, 최선단부의 내관체(12)에 이탈방지판(60)을 결합시키고 나서 부구(20)가 결합되어 있는 외관체(14)를 상기 내관체(12) 외주면으로 덮어씌워 결합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부구(20)는 그 일측부가 이탈방지판(60)에 밀착 지지된 상태로 있게 되며, 계속해서 각각의 발판(30) 및 중심키(40)가 부구(20) 사이를 통해 부구(20)의 외부인 수상이나 수중으로 노출되도록 하면서 나머지 내관체(12)와 외관체(14)를 연결시키되, 이들 내관체(12)와 외관체(14) 간의 각 연결부위가 서로 어긋나도록 하여 연결시킨 후, 최종적으로 최후단부의 내관체(12)에 이탈방지판(60)을 결합시켜 수상이동기구의 전체 조립을 완성시킨다.
이때, 상기 부구(20)는 고무 재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사이로 가로지르는 발판(30), 중심키(40) 및 물갈퀴(50)의 연결대(30a,40a,50a))를 감싸 부구(20) 간의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조립이 완성된 수상이동기구는 각각 사용자의 양쪽 발에 장착될 수 있게 한 쌍이 마련되어야 하며, 사용자가 발판(30)에 올라서서 고정끈(32)으로 발판(30)과 발을 고정시킨 후, 물로 들어가면 다수의 부구(20)가 가지는 부력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체중을 이기고 물위에 뜨게 된다. 이때, 부구(20)내의 공기압에 의해 부구(20)의 잠김이 정해진다.
이렇게 물위, 즉 수상에 떠있는 상태에서 보행함과 같이 수상이동기구를 번갈아가면서 전후방으로 젖히면 전진 이동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수상이동기구를 전후방으로 젖히는 과정에서 수압에 의해 물갈퀴(50)의 물갈퀴판(54)이 접히고 펴지는 것이 반복되게 된다. 상기 물갈퀴판(54)이 접히고 펴지는 과정은 수상이동기구를 전방으로 진행시키면 물의 저항에 의해 뒤로 밀려 베이스판(52)에 밀착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수상이동기구를 후방으로 밀면 다시 물갈퀴판(54)의 자중과 물의 저항으로 인해 상기 베이스판(52)에 밀착되어 있던 물갈퀴판(54)이 하방으로 젖혀지면서 지지부(54a)의 지지에 의해 수직 상태가 되는 동시에 물을 후방으로 밀어내어 수상이동기구의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면서 사용자는 수상에서 직립 상태로 보행 동작을 통해 수상 이동이 가능하므로 수상에서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신체가 수중에 전혀 잠기지 않아 수온이 낮은 추운 계절이나 추운 지방에서도 별도의 방수복 등을 착용함이 없이 수상에서 물놀이를 즐길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보행 동작을 통해 수상 이동하면서 별도의 노(70)를 이용하여 발돋움과 노 저음을 동시에 수행하면 보다 큰 추진력을 얻어 빠른 속도로 수상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노(70)는 물갈퀴판(74a)이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굳이 노(70)의 물 젖힘 방향을 정하지 않고 무작위로 노(70)를 젖어도 노(70) 작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행여나 노(70)를 놓치더라도 노(70)에 장착되어 있는 보조부구(76)에 의해 물위에 떠 있게 되어 분실의 염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상이동기구는 부구에 의해 수면 위에 떠있는 발판 상에 사용자가 올라 선 상태에서 보행 동작 또는 노 저음 동작을 통해 추진력을 얻어 수상 이동이 가능함으로써, 수상에서 물놀이를 즐길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가 수중에 전혀 잠기지 않으므로 추진력 방해 요인이 제거되어 최상의 추진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Claims (9)

  1. 복수의 내관체(12)가 동심을 이루고 일정 길이로 연결되고 상기 내관체(12) 외주면을 덮어씌우는 복수의 외관체(14)로 이루어지는 2중관체 구조인 축관체(10);
    상기 축관체(10)의 외관체(14) 외주면을 덮어씌우는 복수의 부구(20);
    상기 축관체(10)의 중앙에 위치된 외관체(14) 외주면 상단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부구(20) 사이를 통해 상방으로 노출되며 사용자의 한쪽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마련된 발판(30); 및
    상기 축관체(10)를 이루는 소정의 외관체(14) 외주면 하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부구(20) 사이를 통해 수중으로 노출되는 중심키(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상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관체(10)의 내관체(12) 외주면에 결합돌부(12a)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외관체(14)의 내주면에 상기 결합돌기(12a)가 삽입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홈부(14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이동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관체(10)를 이루는 내관체(12)와 외관체(14)의 각 연결부위가 서로 어긋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이동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키(40)는 축관체(10)를 따라 서로 분리된 복수개로 구비되며 , 복수의 중심키 중에서 중간위치의 중심키에는 그 상단부가 외관체(14)와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부구(20) 사이를 통해 수중으로 노출되는 물갈퀴(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이동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갈퀴(50)는 수중으로 노출된 수평의 베이스판(52)과, 이 베이스판(52)의 선단부와 힌지 연결되어 수상이동기구의 전후 움직임에 따라 수압에 의해 접히고 펴지면서 물을 젓도록 된 물갈퀴판(5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이동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갈퀴판(54)의 상단 힌지 연결부위에는 젖힘 과정에서 수직하방 위치를 넘어서 전방으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갈퀴판(54)이 수직하방 위치에 있을 때 베이스판(52)과 밀착 지지되는 지지부(54a)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이동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축관체(10)의 선후단부에 각각 부구(2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판(6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이동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이동기구의 각 발판(30)에 사용자의 양쪽 발을 장착한 상태에서 손으로 물을 저을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노(70)가 더 구비되되, 상기 노(70)는 상단부에 손잡이(72)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물갈퀴부(74)가 구비되며 이 물갈퀴부(74)의 인접 상단부에 보조부구(76)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이동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갈퀴부(74)는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물갈퀴판(74a)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이동기구.
KR1020060089374A 2006-09-15 2006-09-15 수상이동기구 KR100780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374A KR100780106B1 (ko) 2006-09-15 2006-09-15 수상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374A KR100780106B1 (ko) 2006-09-15 2006-09-15 수상이동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827U Division KR200433537Y1 (ko) 2006-09-15 2006-09-15 수상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0106B1 true KR100780106B1 (ko) 2007-11-30

Family

ID=39081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9374A KR100780106B1 (ko) 2006-09-15 2006-09-15 수상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01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897Y1 (ko) 2002-09-16 2002-12-13 박종호 수상이동기구
KR100485779B1 (ko) 2002-09-16 2005-04-28 박종호 수상이동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897Y1 (ko) 2002-09-16 2002-12-13 박종호 수상이동기구
KR100485779B1 (ko) 2002-09-16 2005-04-28 박종호 수상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73267B (zh) 用于身体漂浮设备的锻炼工具
US4861300A (en) Pool flotation device
US4936804A (en) Non-inflatable buoyancy aid
US20050106963A1 (en) Water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uch devices
JP6655232B2 (ja) テーブルとシートを備えた小型レジャーボート
US7578716B2 (en) Aquatic float
KR101757054B1 (ko) 입좌식 패들링 보트
KR200433537Y1 (ko) 수상이동기구
KR100780106B1 (ko) 수상이동기구
AU2008101093B4 (en) Submersible water toy and related method of use
US5385497A (en) Water exerciser
KR100848361B1 (ko) 수상이동기구
US6402578B1 (en) Pool toy device for underwire surfing and related activities
KR20040024647A (ko) 수상이동기구
KR100803283B1 (ko) 물놀이 기구
US7160165B2 (en) Device for rippling of water
KR200449067Y1 (ko) 고무튜브를 이용한 물놀이기구
KR100723452B1 (ko) 수영용 보조기구
KR101115812B1 (ko) 오리발형 패들장치
KR101852948B1 (ko) 무동력 물놀이 장치
ES2252588T3 (es) Articulo para deporte acuatico.
KR200228446Y1 (ko) 썰매형 물놀이기구
JP3602919B2 (ja) 波乗りボード
KR100596913B1 (ko) 휴대 가능한 무동력 수상스키
KR200190093Y1 (ko) 물 위를 걷는 수상스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