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9568B1 - 제설장치 - Google Patents

제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9568B1
KR100779568B1 KR1020060063827A KR20060063827A KR100779568B1 KR 100779568 B1 KR100779568 B1 KR 100779568B1 KR 1020060063827 A KR1020060063827 A KR 1020060063827A KR 20060063827 A KR20060063827 A KR 20060063827A KR 100779568 B1 KR100779568 B1 KR 100779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members
snow
rotating
rotating member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3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혁
Original Assignee
박기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혁 filed Critical 박기혁
Priority to KR1020060063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95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9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9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8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driven elements
    • E01H5/09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driven elements the elements being rotary or moving along a closed circular path, e.g. rotary cutter, digging wheels
    • E01H5/092Brush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각각 축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들과, 상기 각각의 회전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설브러쉬와, 상기 회전부재들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실린더기구, 상기 하나의 회전부재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선회아암 및, 상기 복수개의 회전축들을 서로 연동시키는 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강성의 브러쉬를 이용하여 노면 위에 퇴적된 빙이나 적설을 노면 가장자리로 쓸어냄으로써 노면과 장비의 손상없이 제설작업을 할 수 있고, 다수개의 회전형 브러쉬를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눈을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제설, 브러쉬, 회전, 이동, 실린더

Description

제설장치{SNOW CLEANER}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제설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설장치를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설장치를 나타낸 개략적 평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설장치를 나타낸 개략적 저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제설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브러쉬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의 브러쉬기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회전부재 11 : 회전축
12 : 풀리 20 : 제설브러쉬
21 : 외측브라켓 22 : 내측브라켓
23 : 제1브러쉬 25 : 제2브러쉬
30 : 선회아암 40 : 실린더기구
50 : 연동벨트
본 발명은 제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면의 얼음이나 적설을 쓸어 노면의 가장자리로 이동시키는 제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설작업은 모래나 소금, 염화칼슘을 눈에 뿌려 눈의 어는점을 낮추어 노면에 빙판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빙판에 마찰력을 증가시켜 통행을 가능하게 하거나 노면의 적설을 긁어 노면 가장자리로 이동시키는 작업으로, 제설지까지 차량으로 이동하여 작업을 해야 하고 혹한의 환경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종래의 살포작업은 플랜트에서 별도로 제조된 제설제나 차량에서 제조된 제설제를 차량에 탑재하여 살포하게 되므로 제설제의 보유량에 따라 제설작업을 더 이상 진행할 수 없는 한계가 있고, 살포된 제설제가 눈이나 빙과의 화학작용을 일으키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에 반해 노면에 결빙된 적설을 긁어 노면의 가장자리로 이동시키는 물리적인 제설작업은 장시간 작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노면과의 마찰로 인해 노면을 손상시키고 제설장비도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제설삽을 이용한 제설장치는, 운전기(T)의 일측에 힌지축(101)으로 선회가능하게 구비되는 제설판(102)과, 상기 제설판(102)을 지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선회시키는 링크(103)와 실린더기구(10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설판(102)은 원호 형상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이 노면에 접촉 되면서 노면에 고착된 빙과 적설을 제거하여 진행방향으로 견인하게 되는데, 이때 노면에 접촉되는 하단이 노면을 손상시켜 수명을 단축시키고, 특히 노면에 돌출된 맨홀이나 배수시설을 파손시키며 그 과정에서 제설판(102)도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제설판(102)은 운전기(T)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빙이나 적설을 밀고 가면서 일부만이 양단으로 토출되므로 제설판(102)에 의해 이동되는 빙이나 적설량이 점점 커져 전방의 시야를 가리거나 추진력에 부하가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고르지 못한 노면에서는 오목한 공간에 있는 적설은 제거하지 못하고, 토사길 위에 퇴적된 적설을 치우는 경우에는 토양의 일부가 함께 제거되어 제설판(102)에 부하를 더욱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강성의 브러쉬를 이용하여 노면 위에 퇴적된 빙이나 적설을 노면 가장자리로 쓸어냄으로써 노면과 장비의 손상없이 제설작업을 할 수 있고, 다수개의 회전형 브러쉬를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눈을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제설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구비되고, 각각은 연직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축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각각의 회전부재의 일측에 구비되고, 그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하면서 지면의 눈을 이동시키는 제설브러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회전부재들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간격조절기구와; 상기 회전부재들 중 일부가 다른 회전부재에 대하여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전부재들을 연결시키는 선회아암;를 더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간격조절기구는, 상기 선회아암을 강제로 선회시키는 실린더기구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하면서 제설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재들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회전부재들은 이동수단의 이동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설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설장치는,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각각 축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10)와, 상기 각각의 회전부재(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설브러쉬(20)와, 상기 회전부재(10)들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실린더 기구(40), 상기 하나의 회전부재(10)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선회아암(30) 및, 상기 복수개의 회전축(11)들을 서로 연동시키는 풀리(12), 연동벨트(50)를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회전부재(10)는 연직방향의 회전축(11)을 중심으로 각각 축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회전부재(10)들은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인접하는 다른 회전부재(10)로부터 이송되어 온 눈을 받아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부재(10)의 저면과 측면에 제설브러쉬(20)가 구비되어 그 회전부재(10)와 함께 회전하면서 지면의 눈을 이동시키게 된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10)의 저면에는 제1브러쉬(23)가 외측브라켓(21)과 내측브라켓(22)으로 고정되어 결합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10)의 측면에는 제2브러쉬(2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브러쉬(23)는 회전부재(10)의 저면에서 눈을 쓸어 내는 역할을 하고, 제2브러쉬(25)는 회전부재(10)의 측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눈을 밀어 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외측브라켓(21)은 일측면이 개방된 사각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브라켓(22)은 상기 외측브라켓(21)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1브러쉬(23)는 상기 외측브라켓(21)과 내측브라켓(22)의 사이에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끼워짐으로써 회전부재(10)의 저면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브러쉬(23)는 외측브라켓(21)과 내측 브라켓(22)의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중심부가 대략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양단이 회전부재(10)의 아래쪽으로 수직하게 구비되고, 회전부재(10)의 회전시 양단이 노면에 마찰접촉하면서 빙이나 적설을 쓸어 내게 된다.
본 실시예는 이동수단(도면미도시)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부재(10)들을 이동시키면서 제설작업을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이동수단은 차량이나 트랙터가 될 수 있고, 동력원이 없이 다수개의 바퀴만을 구비하여 인력으로 견인하면서 이동시킬 수도 있게 된다.
상기 복수개의 회전부재(10)들은 이동수단의 이동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인접하는 회전부재(10)에 의해 이동된 눈을 복수개의 회전부재(10)들끼리 이동수단의 이동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서로 전달하여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를 참조하여 눈이 이송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이동수단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좌측편에 위치한 회전부재(10)가 축회전하면서 중앙에 위치한 회전부재(10)쪽으로 눈을 이송시키게 된다. 중앙의 회전부재(10)는 좌측 회전부재(1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그 좌측 회전부재(10)로부터 전달된 눈을 우측편에 위치한 회전부재(10)쪽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우측 회전부재(10)는 중앙의 회전부재(1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진행방향에 대하여 우측으로 눈을 이송시키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복수개의 회전부재(10)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눈이 다수개의 회전부재(10)들의 전면 외측을 타고 이동하면서 일방향으로 이송된다.
한편, 복수개의 회전부재(10)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을 경사진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진행방향에 대하여 좌우측편의 회전부재(10)들 사이의 간격에 따라 눈이 후방으로 토출되거나 진행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편의 회전부재(10)들이 인접한 경우에는 좌측편 회전부재(10)와 중앙의 회전부재(10) 사이공간을 통과한 눈이 우측편 회전부재(10)에 의해 우측으로 이송되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편의 회전부재(10)들 사이의 간격이 큰 경우에는 눈이 후방으로 토출되므로 중앙 후측으로 회전부재(10)를 하나 더 구비해야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10)들의 갯수와 간격에 따라 눈을 이동시키는 경로와 방향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는 회전부재(10)들이 진행하면서 눈과의 마찰에 의해 받게 되는 하중을 조정할 수 있게 하여 장비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린더기구(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10)들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간격조절기구로, 양쪽에 2개의 실린더로드를 구비한 이중실린더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기구(40)는 2개의 실린더로드를 2개의 선회아암(30)에 각각 힌지결합시켜 실린더몸체에 유압이 공급되면 2개의 회전부재(1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선회아암(30)은 하나의 회전부재(10)에 대하여 다른 회전부재(10)를 선회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선회아암(30)의 일단은 하나의 회전부재(10)의 회전축(11)에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다른 회전부재(10)의 회전축(11)에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기구(40)의 신축/신장 작동에 의해 선회아암(30)이 하나의 회전부재(10)에 대하여 선회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회아암(30)이 실린더기구(40)에 의해 선회하게 되면 선회아암(30)으로 연결되지 않은 2개의 회전부재(10)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거나 멀어짐과 동시에, 선회아암(30)으로 연결된 2개의 회전부재(10)의 상대 위치가 달라지게 된다. 즉, 선회아암(30)으로 연결된 2개의 회전부재(10)는 서로의 간격은 선회아암(30)에 의해 이미 정해져 있으나, 진행방향에 대하여 회전부재(10)들간의 전진배치가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실린더기구(40)가 신장하게 되면 중앙에 위치한 회전부재(10)에 대하여 양쪽에 위치한 회전부재(10)가 진행방향에 대하여 앞쪽으로 선회하여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양쪽 회전부재(10)가 중아의 회전부재(10)와 눈을 주고 받는 각도가 달라지고 이는 눈의 이송량도 달라지게 한다.
상기 풀리(12)와 연동벨트(50)는 상기 복수개의 회전축(11)들을 서로 연동시키는 동력전달기구이다. 따라서, 하나의 회전축(11)을 구동시키게 되면 다른 회전축(11)들도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상기 하나의 회전축(11)은 차량의 PTO에 연결되어 동력을 공급받거나, 별도 의 구동모터와 같은 동력원을 통해 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된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 의하면, 강성의 브러쉬를 이용하여 노면 위에 퇴적된 빙이나 적설을 노면 가장자리로 쓸어냄으로써 노면과 장비의 손상없이 제설작업을 할 수 있고, 다수개의 회전형 브러쉬를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눈을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제설장치의 진행방향에 대해 삼각형을 형성하도록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3개가 구비되되, 각각은 연직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축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들;
    상기 회전부재들 중 일부가 다른 회전부재에 대하여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전부재들을 연결시키는 선회아암;
    상기 회전부재들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간격조절기구; 및
    상기 각각의 회전부재의 일측에 구비되고, 그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하면서 지면의 눈을 이동시키는 제설브러쉬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부재들은 모두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상기 회전부재들 중 어느 하나의 회전부재가 다른 회전부재들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060063827A 2006-07-07 2006-07-07 제설장치 KR100779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827A KR100779568B1 (ko) 2006-07-07 2006-07-07 제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827A KR100779568B1 (ko) 2006-07-07 2006-07-07 제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9568B1 true KR100779568B1 (ko) 2007-11-29

Family

ID=39080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3827A KR100779568B1 (ko) 2006-07-07 2006-07-07 제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956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591B1 (ko) 2009-04-08 2009-09-17 김종순 노면 청소차
KR101099456B1 (ko) 2010-02-18 2011-12-30 김민기 자루형 눈 청소장치
CN105274958A (zh) * 2015-10-27 2016-01-27 东北林业大学 半刚性圆盘除冰刷
CN105442484A (zh) * 2015-12-16 2016-03-30 东北林业大学 半刚性滚筒式清雪除冰刷
CN105507198A (zh) * 2016-01-12 2016-04-20 东北林业大学 一种路面自适应式半刚性除冰刷
CN108086232A (zh) * 2017-12-31 2018-05-29 邢雪梅 一种速冻热风式清雪除冰车专用清雪滚刷
CN111483905A (zh) * 2019-01-29 2020-08-04 奥的斯电梯公司 电梯滑轮清洁器
AU2020201713B2 (en) * 2017-04-14 2021-12-23 Schwarze Industries, LLC. Roadway sweeper with multiple sweeping mod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4004A (ja) * 1989-10-28 1991-06-1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床面清掃車両
US20050102779A1 (en) 2003-08-08 2005-05-19 Flora Jonathan J. Low-profile rotary sweep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4004A (ja) * 1989-10-28 1991-06-1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床面清掃車両
US20050102779A1 (en) 2003-08-08 2005-05-19 Flora Jonathan J. Low-profile rotary sweeper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591B1 (ko) 2009-04-08 2009-09-17 김종순 노면 청소차
KR101099456B1 (ko) 2010-02-18 2011-12-30 김민기 자루형 눈 청소장치
CN105274958A (zh) * 2015-10-27 2016-01-27 东北林业大学 半刚性圆盘除冰刷
CN105442484A (zh) * 2015-12-16 2016-03-30 东北林业大学 半刚性滚筒式清雪除冰刷
CN105507198A (zh) * 2016-01-12 2016-04-20 东北林业大学 一种路面自适应式半刚性除冰刷
AU2020201713B2 (en) * 2017-04-14 2021-12-23 Schwarze Industries, LLC. Roadway sweeper with multiple sweeping modes
US11572667B2 (en) 2017-04-14 2023-02-07 Schwarze Industries, Inc. Roadway sweeper with multiple sweeping modes
CN108086232A (zh) * 2017-12-31 2018-05-29 邢雪梅 一种速冻热风式清雪除冰车专用清雪滚刷
CN111483905A (zh) * 2019-01-29 2020-08-04 奥的斯电梯公司 电梯滑轮清洁器
CN111483905B (zh) * 2019-01-29 2021-12-28 奥的斯电梯公司 电梯滑轮清洁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9568B1 (ko) 제설장치
US7481011B2 (en) Double wing scraper
US7305777B2 (en) Auger for snow throw machine
CA2752554C (en) Multifunctional device for clearing snow
EP2825704B1 (en) Path-clearing apparatus
RU2663048C2 (ru) Подметальная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оверхностей грунта, прежде всего газонов
KR101249392B1 (ko) 트랙터용 제설장치
US8307487B2 (en)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turf
US20210301486A1 (en) Auxiliary Material Moving Assembly for Snow Plow-Blower or other Material Moving Device
CN211200244U (zh) 一种扫雪机器人
US20170056938A1 (en) Device for clearing an area around elevated objects
KR20150072177A (ko) 관리기 부착형 제설장치
KR101152824B1 (ko) 적설 수거 및 이송 기능을 갖는 제설장치
KR100722717B1 (ko) 제설기
US20210095433A1 (en) Impeller for snowblower and combined snowblower and snowplow
RU2735185C2 (ru) Уборочная машина с присоединяемым подметально-воздуходувным оборудованием
CN110700174A (zh) 一种道路桥梁用小型物化双效除冰机
US20120079749A1 (en) Plow back blade for snow removal
CN112513374B (zh) 使用一附接系统从飞机场和道路路面移动和去除冬季污染物的方法和系统
KR20160150064A (ko)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
US20230122672A1 (en) Rotary ditching attachment for a tool manipulating arm
JP3669954B2 (ja) マルチプラウ
CN108660997B (zh) 拖行式除雪机
KR20050121288A (ko) 제설기
JP3193425U (ja) 除雪用アタッチメ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