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50064A -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 - Google Patents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50064A
KR20160150064A KR1020160076732A KR20160076732A KR20160150064A KR 20160150064 A KR20160150064 A KR 20160150064A KR 1020160076732 A KR1020160076732 A KR 1020160076732A KR 20160076732 A KR20160076732 A KR 20160076732A KR 20160150064 A KR20160150064 A KR 20160150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w
belt
snow removing
unit
remo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6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
Original Assignee
(주)이삭특장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삭특장차 filed Critical (주)이삭특장차
Publication of KR20160150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500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8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driv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8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driven elements
    • E01H5/09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driven elements the elements being rotary or moving along a closed circular path, e.g. rotary cutter, digging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에 관한 것으로, 제설벨트가 눈을 치우는 과정에서, 제설벨트의 제설부에 접촉된 눈이 이동안내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안내부의 사선 방향으로 따라 제설벨트의 밖으로 이동되므로, 제설부의 전방에 모여진 눈이 뭉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제설벨트의 측방으로 강제로 신속하게 이동되어, 도로에 쌓인 눈을 효과적으로 치울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설부재에는 지면 방향으로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배출부가 구비되므로, 도로에 쌓인 눈을 치우는 과정에서, 제설벨트를 이용하여 눈을 한쪽으로 신속하게 이동시킴과 동시에, 스팀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스팀을 이용하여 제설벨트의 테두리 주변의 눈을 신속하게 녹여서, 길 가장자리의 배수로 및 보행통로에 눈이 쌓이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SNOWPLOW CAR WITH SNOW REMOVING BELT}
본 발명은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에 쌓인 눈을 치우는 과정에서 눈을 강제로 한쪽으로 신속하게 이동시키도록 하여, 도로에 쌓인 눈을 효과적으로 치울 수 있도록 하는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상태는 기상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띨 뿐 아니라, 온도와 강우/폭설 등에 따라 취약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겨울철과 같이 설해와 한파가 지속될 때, 도로관리의 중요성이 새삼 강조된다. 특히, 폭설과 같은 설해로 인한 피해가 자주 발생되는 겨울철 도로 관리의 경우, 눈을 치우기 위한 제설작업에 사용되는 장비 확보와 선진화가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는 제설장비로는 제설제 살포기와, 도로적설을 도로변으로 밀어내는 데 사용되는 제설삽날 장착이 가능한 제설용 덤프트럭과 산악지역에 주로 투입되는 다목적 제설차, 도로적설을 현장에서 흡입하여 날려버리는 스노우 블로워, 및 노면결빙을 제거하기 위한 결빙파쇄기 등이 있다.
그 중, 제설체 살포기는 소금의 1.3배에 이르는 염도를 갖는 염화칼슘을 도로에 살포하여 눈을 녹이는 것인데, 염화칼슘을 도로에 지속적으로 살포하게 되면 토양 오염으로 인한 동식물 생태계의 파괴와, 시멘트 콘크리트와 강구조물의 내구성을 저하시켜 형성 구조물의 파괴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제설차는 염화칼슘에 비해 유지관리비가 높은 단점이 있으나, 구조물의 파괴나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는 이점이 있어 최근 들어 그 보급이 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도 1은 종래 제설차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제설차는 작업자의 탑승과 이동을 위한 차량본체(10)와, 차량본체(10)의 전방에 구비되되 대략 도로의 1차선의 길이에 해당하는 폭을 갖는 제설부(20)를 포함한다. 제설부(20)는 전방에는 삽날부(22)가 형성된다. 삽날부(22)는 많은 양의 눈을 치우기 위해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많은 양의 눈이 삽날부(22)의 후방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많은 양의 눈이 삽날부(22)에 쌓이게 되면, 눈은 뭉치면서 그 부피가 점차 커지게 되어, 눈의 하중에 의하여 차량본체(10)에 부하가 많이 걸리게 되며, 이에 따라, 차량본체(10)의 전진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설차를 이용하여 제설 작업이 진행된다 하더라도, 도로에는 여전히 치우지 못한 눈이 남아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눈에 의하여 제설차가 미끄러지면서 교통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333619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에 쌓인 눈을 치우는 과정에서 눈을 강제로 한쪽으로 신속하게 이동시키도록 하여, 도로에 쌓인 눈을 효과적으로 치울 수 있도록 하는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운전석이 구비되는 운전부; 상기 운전부의 전방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지면을 기준으로 하여 직각 또는 그 상부가 운전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설벨트와, 상기 제설벨트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설벨트를 무한궤도로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갖는 제설부재; 및 상기 운전부와 상기 제설부재를 연결시키는 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설벨트의 외면에는 사선 방향으로 복수 개의 이동안내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설벨트의 전방에 위치된 눈이 상기 제설벨트의 외면에 접촉되면, 상기 눈은 상기 이동안내부의 사선 방향을 따라 상기 제설벨트의 밖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동안내부는 연속된 선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점선 형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동안내부는 상기 제설벨트의 외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설벨트는, 상기 운전부의 전방에 직각 또는 그 상부가 상기 운전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제설부와, 상기 제설부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운전부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연장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지면에 지지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지지부의 외면에 구비되는 상기 이동안내부가 지면에 위치된 눈에 박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설부는, 상기 운전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직각 또는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 1 벨트, 상기 제 1 벨트의 상부에서 상기 운전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벨트 및 상기 제 2 벨트의 단부에서 상기 제 1 벨트와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 3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 3 벨트의 하부에서 상기 운전부와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는 제 4 벨트, 상기 제 4 벨트에서 지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5 벨트 및 상기 제 5 벨트에서 지면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 1 벨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6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설부 내부의 상부에 회전되도록 위치되는 제 1 회전축과, 상기 지지부 내부의 상기 운전부와 가까운 단부에 회전되도록 위치되는 제 2 회전축과, 상기 제설부와 상기 지지부 간의 상호 연결되는 위치에 회전되도록 위치되는 제 3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설부재에는 지면 방향으로 스팀을 배출하도록 하나 이상의 스팀배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설벨트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제설벨트를 지지하도록 테두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에는 지면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스팀배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설벨트가 눈을 치우는 과정에서, 제설벨트의 제설부에 접촉된 눈이 이동안내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안내부의 사선 방향으로 따라 제설벨트의 밖으로 이동되므로, 제설부의 전방에 모여진 눈이 뭉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제설벨트의 측방으로 강제로 신속하게 이동되어, 도로에 쌓인 눈을 효과적으로 치울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설벨트가 회전됨에 따라 제설벨트와 눈 사이에는 마찰력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제설벨트 및 이동안내부와 접촉된 눈의 일부가 연마되면서 녹게 되어, 제설벨트에 모여진 눈을 보다 신속하게 치울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설벨트의 지지부가 지면에 지지될 때, 지지부에 형성된 이동안내부가 지면에 쌓인 눈에 박히게 되어 지지부가 미끄러지지 않게 되므로, 제설 과정에서 발생되는 교통사고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설부재에는 지면 방향으로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배출부가 구비되므로, 도로에 쌓인 눈을 치우는 과정에서, 제설벨트를 이용하여 눈을 한쪽으로 신속하게 이동시킴과 동시에, 스팀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스팀을 이용하여 제설벨트의 테두리 주변의 눈을 신속하게 녹여서, 길 가장자리의 배수로 및 보행통로에 눈이 쌓이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제설차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벨트가 회전되지 않아 제설벨트와 접촉한 눈이 한쪽으로 이동되지 않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벨트가 회전됨에 따라 제설벨트와 접촉한 눈이 한쪽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의 지지부가 도로에 쌓인 눈에 지지되어 미끄러지지 않게 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의 스팀부에서 스팀이 배출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1000)는 운전부(100), 제설부재(200) 및 링크부(300)를 포함한다. 운전부(100)는 트렉터 또는 트럭 등으로 구성되며, 운전자가 탑승하기 위한 운전석이 형성되며, 운전을 위한 각종 장비, 엔진 등이 구비된다. 제설부재(200)는 운전부(100)의 전방에 위치되는 것으로, 운전부(100)를 따라 이동되면서 도로에 쌓인 눈을 치우도록 구성되며, 그 세부 구조는 도 3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링크부(300)는 그 일측은 운전부(100)에 연결되고 그 타측은 제설부재(200)에 연결되어 운전부(100)와 제설부재(200)를 상호 연결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전방 및 전측이라 함은 운전부(100)가 앞으로 나아가는 방향을 일컫고, 후방 및 후측이라 함은 상기 전방 및 상기 전측의 반대 방향을 일컫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설부재(200)는 운전부(100)의 전방에 위치되어 도로에 쌓인 눈을 직접 치우는 것으로, 제설벨트(210), 이동안내부(220) 및 회전부(230)를 포함한다.
제설벨트(210)는 벨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무한궤도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설벨트(210)는 예를 들면, 여러 개의 강판 조각을 벨트처럼 연결한 캐터필러(Caterpillar)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플랙시블한 벨트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설벨트(210)는 운전부(100)의 전방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지면을 기준으로 하여 직각 또는 그 상부가 운전부(1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설부(210a)를 포함하며, 제설부(210a)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운전부(100)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연장되는 지지부(21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설부(210a) 및 지지부(210b)는 전체적으로 "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설부(210a) 및 지지부(210b)의 폭은 도로의 1차선 폭과 유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설부(210a)는 운전부(100)의 전방에 위치된 눈에 직접 접촉되면서 눈을 치우는 것으로, 운전부(100)와 대향되는 위치에 직각 또는 그 상부가 운전부(1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 1 벨트(211), 상기 제 1 벨트(211)의 상부에서 상기 운전부(10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벨트(212), 상기 제 2 벨트(212)의 단부에서 상기 제 1 벨트(211)와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 3 벨트(213)를 포함한다.
지지부(210b)는 지면과 맞닿도록 위치되어 운전부(100)가 도로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 3 벨트(213)의 하부에서 운전부(100)와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는 제 4 벨트(214), 상기 제 4 벨트(214)에서 지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5 벨트(215) 및 상기 제 5 벨트(215)에서 지면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 1 벨트(21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6 벨트(216)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설벨트(210)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무한궤도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므로, 제 1 벨트(211) 내지 제 6 벨트(216)는 회전되면서 그 위치가 지속적으로 변경된다.
이동안내부(220)는 제설벨트(210)의 외면에 사선 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된다. 이동안내부(220)는 연속된 선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점선 형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안내부(220)는 제설벨트(210)의 외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설부(210a)의 전방에 눈이 접촉되면, 눈은 이동안내부(220)의 사선을 따라 제설부(210a)의 밖으로 신속하게 이동된다. 이는 도 4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이동안내부(220)는 경우에 따라 제설벨트(210)의 외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이동안내부(220)는 제설벨트(210)의 외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볼록하게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동안내부(220)는 제설벨트(210)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사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230)는 제설벨트(210)의 내부에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스프로킷(Sprocket)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230)는 제설부(210a) 내부의 상부에 회전되도록 위치되는 제 1 회전축(232)과, 지지부(210b) 내부의 운전부(100)와 가까운 단부에 회전되도록 위치되는 제 2 회전축(231)과, 상기 제설부(210a)와 상기 지지부(210b) 간의 상호 연결되는 위치에 회전되도록 위치되는 제 3 회전축(233)을 포함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제 3 회전축(233)에 링크부(300)가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링크부(300)를 통하여 제 3 회전축(233)에 회전 동력이 전달될 수도 있고, 제 1 회전축(232) 내지 제 3 회전축(233) 중 어느 한 회전축에 회전모터가 구비되어 자체적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벨트가 회전되지 않아 제설벨트와 접촉한 눈이 한쪽으로 이동되지 않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벨트가 회전됨에 따라 제설벨트(210)와 접촉한 눈이 한쪽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4의 (a)를 참조하면, 운전부(100)가 전진됨에 따라, 제설벨트(210)의 제설부(210a)에 위치되는 제 1 벨트(211)에 많은 양의 눈(S)이 쌓이게 된다. 이렇게 쌓인 눈(S)은 서로 뭉치면서 그 부피가 점차 커지게 된다.
이어서, 도 4의 (b)를 참조하면, 운전부(100)의 진행 방향에 따라 제설벨트(210)가 회전되면서, 제 1 벨트(211)에 접촉된 많은 양의 눈(S)은 제 1 벨트(211)에 형성된 복수 개의 이동안내부(22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안내부(220)의 사선 방향을 따라 지속적으로 제설벨트(210)의 밖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제설벨트(210)의 제 1 벨트(211)에는 많은 양의 눈이 쌓인다 하더라도, 눈이 뭉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제설벨트(210)의 측방으로 강제로 신속하게 이동되어, 도로에 쌓인 눈을 효과적으로 치울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설벨트(210)가 회전됨에 따라 제 1 벨트와 눈 사이에는 마찰력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제 1 벨트(211) 및 이동안내부(220)와 접촉된 눈의 일부가 연마되면서 녹게 되어, 제설벨트(210)에 모여진 눈을 보다 신속하게 치울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의 지지부가 도로에 쌓인 눈에 지지되어 미끄러지지 않게 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210b)의 제 6 벨트(216)는 지면에 지지되도록 위치된다. 이때, 지면(R)에는 제설부(210a)가 치우지 못한 눈(S)이 쌓여 있을 수 있는데, 제 6 벨트(216)의 외면에는 이동안내부(220)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동안내부(220)가 지면(R)에 쌓인 눈(S)에 박히게 되어, 지지부(210b)가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제설부재(200)와 연결된 운전부(100) 또한 미끄러지지 않게 되어, 제설 과정에서 발생되는 교통사고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의 스팀부에서 스팀이 배출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설벨트(210)를 구비하는 제설차(1000)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테두리부(240), 제 1 스팀배출부(245) 및 제 2 스팀배출부(246)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테두리부(240)는 제설벨트(210)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양측을 따라 형성되어 제설벨트(210)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것으로, 제설벨트(210)의 제설부(210a)를 지지하는 제설테두리부(242)와, 제설벨트(210)의 지지부(210b)를 지지하는 지지테두리부(244)를 포함한다.
제 1 스팀배출부(245)는 제설테두리부(242)의 지면과 대향되는 하면을 따라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고, 제 2 스팀배출부(246)는 지지테두리부(244)의 지면과 대향되는 하면을 따라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2 스팀배출부(245, 246)는 외부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아 지면 방향으로 고온 및 고압의 스팀을 배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로에 쌓인 눈을 치우는 과정에서, 제설벨트(210)를 이용하여 눈을 한쪽으로 신속하게 이동시킴과 동시에, 제 1, 2 스팀배출부(245, 246)에서 배출되는 스팀을 이용하여 제설벨트(210)의 테두리 주변의 눈을 신속하게 녹여서, 길 가장자리의 배수로 및 보행통로에 눈이 쌓이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제 1, 2 스팀배출부(245, 246)는 테두리부(240)에 형성되도록 구성되나,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경우에 따라 제설벨트(210)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0: 제설차
100: 운전부 200: 제설부재
210: 제설벨트 210a: 제설부
210b: 지지부 211: 제 1 벨트
212: 제 2 벨트 213: 제 3 벨트
214: 제 4 벨트 215: 제 5 벨트
216: 제 6 벨트 220: 이동안내부
230: 회전부 232: 제 1 회전축
231: 제 2 회전축 233: 제 3 회전축
240: 테두리부 242: 제설테두리부
244: 지지테두리부 245: 제 1 스팀배출부
246: 제 1 스팀배출부 300: 링크부

Claims (8)

  1. 운전석이 구비되는 운전부;
    상기 운전부의 전방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지면을 기준으로 하여 직각 또는 그 상부가 운전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설벨트와, 상기 제설벨트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설벨트를 무한궤도로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갖는 제설부재; 및
    상기 운전부와 상기 제설부재를 연결시키는 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설벨트의 외면에는 사선 방향으로 복수 개의 이동안내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설벨트의 전방에 위치된 눈이 상기 제설벨트의 외면에 접촉되면, 상기 눈은 상기 이동안내부의 사선 방향을 따라 상기 제설벨트의 밖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안내부는 연속된 선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점선 형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안내부는 상기 제설벨트의 외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설벨트는, 상기 운전부의 전방에 직각 또는 그 상부가 상기 운전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제설부와, 상기 제설부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운전부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연장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지면에 지지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지지부의 외면에 구비되는 상기 이동안내부가 지면에 위치된 눈에 박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설부는, 상기 운전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직각 또는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 1 벨트, 상기 제 1 벨트의 상부에서 상기 운전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벨트 및 상기 제 2 벨트의 단부에서 상기 제 1 벨트와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 3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 3 벨트의 하부에서 상기 운전부와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는 제 4 벨트, 상기 제 4 벨트에서 지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5 벨트 및 상기 제 5 벨트에서 지면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 1 벨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6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설부 내부의 상부에 회전되도록 위치되는 제 1 회전축과, 상기 지지부 내부의 상기 운전부와 가까운 단부에 회전되도록 위치되는 제 2 회전축과, 상기 제설부와 상기 지지부 간의 상호 연결되는 위치에 회전되도록 위치되는 제 3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설부재에는 지면 방향으로 스팀을 배출하도록 하나 이상의 스팀배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설벨트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제설벨트를 지지하도록 테두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에는 지면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스팀배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
KR1020160076732A 2015-06-18 2016-06-20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 KR201601500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642 2015-06-18
KR20150086642 2015-06-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064A true KR20160150064A (ko) 2016-12-28

Family

ID=57724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6732A KR20160150064A (ko) 2015-06-18 2016-06-20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500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49190A (zh) * 2020-07-07 2020-10-09 李春丽 一种对路面伤害小的破冰清雪车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619B1 (ko) 2013-06-04 2013-11-27 주식회사 광림 사이클론방식의 적설융해수단을 구비하는 제설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619B1 (ko) 2013-06-04 2013-11-27 주식회사 광림 사이클론방식의 적설융해수단을 구비하는 제설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49190A (zh) * 2020-07-07 2020-10-09 李春丽 一种对路面伤害小的破冰清雪车
CN111749190B (zh) * 2020-07-07 2021-10-29 山东帝宏专用汽车制造有限公司 一种对路面伤害小的破冰清雪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11601A (en) Snow blower vehicle
CA2867957A1 (en) Scraper blade device with juxtaposed blade segments having a swivel interconnection between mating edges
US20090282708A1 (en) Truck terminal snow screed portable structure
US9528234B1 (en) Front retracting plow with sliding blade sections
US20090282630A1 (en) Truck terminal snow screed plow
JP4493056B1 (ja) 圧雪装置
US6748678B2 (en) Snow removal apparatus and method
KR101606769B1 (ko) 쇄빙장치
EP0254570B1 (en) Apparatus for removing snow from surfaces
KR20150041492A (ko) 차량장착용 블레이드형 제설기
CN104947625B (zh) 一种链板式自动除雪机
KR20160150064A (ko)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
KR200422656Y1 (ko) 연장식 제설판을 구비하는 제설기
KR101718735B1 (ko) 제설 장치
US20120192464A1 (en) High speed runway snowblower
CN102352612A (zh) 由农用收割机改装而成的铲雪融冰清障车
RU2715151C2 (ru) Фрикционный снегоочиститель
KR101346141B1 (ko) 제설성능을 향상시킨 활주로 제설차 브러시 스위퍼
KR102091911B1 (ko) 파빙이 가능한 유동부재 및 그를 이용한 파빙 도로의 시공방법
CN220468743U (zh) 一种新型除雪车
CN110700174A (zh) 一种道路桥梁用小型物化双效除冰机
US9441338B2 (en) Snowplow blade
CN108660997B (zh) 拖行式除雪机
CA2872166C (en) Snow plow-blower
CA2903531C (en) Snowplow bla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