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9495B1 - 파킹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파킹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9495B1
KR100779495B1 KR1020030030821A KR20030030821A KR100779495B1 KR 100779495 B1 KR100779495 B1 KR 100779495B1 KR 1020030030821 A KR1020030030821 A KR 1020030030821A KR 20030030821 A KR20030030821 A KR 20030030821A KR 100779495 B1 KR100779495 B1 KR 100779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guide
cable
parking
return spring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0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8448A (ko
Inventor
고원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30030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9495B1/ko
Publication of KR20040098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8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9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9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22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pressing members apart, e.g. for drum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4Mechan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58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 F16D2125/60Cables or chains, e.g. Bowden cables
    • F16D2125/62Fixing arrangements therefor, e.g. cable end attach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58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 F16D2125/64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7/00Auxiliary mechanisms
    • F16D2127/02Release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킹 케이블 리턴 스프링이 파이프 가이드 외측에 위치하도록 파이프 가이드 형상을 변경하고 파킹 케이블 리턴 스프링의 길이를 줄여서 파킹 케이블 리턴 스프링이 파이프 가이드에 의해서 움직임이 제한되어 파킹 케이블을 복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이프 가이드에 얹혀 있지 않아서 파킹 케이블 리턴 스프링과 파이프 가이드가 상대운동을 하지 않기 때문에 스프링이 파이프 가이드를 긁는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파킹 케이블 리턴 스프링의 길이를 상당히 줄일 수 있으므로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킹 브레이크 장치{parking brake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드럼 브레이크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파이프 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일반적인 자동차용 브레이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드럼 브레이크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종래 케이블 파이프 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1 : 파킹 케이블 리턴 스프링 2, 12 : 파이프 가이드
12a : 제 1 파이프 가이드 12b : 제 2 파이프 가이드
3, 13 : 파킹 케이블 50 : 백 플레이트
52 : 브레이크 슈우 56 : 작동 레버
57 : 작동봉
본 발명은 파킹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킹 브레이크 장치의 파킹 케이블을 안내하며, 작동 레버를 원래 위치 사이로 귀환시키기 위한 파킹 케이블 리턴 스프링이 외측에 배치되는 파이프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차체와 새시로 구분되는 바, 상기 새시는 엔진, 동력전달 장치, 서스펜션, 브레이크 장치 등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 구성되어 있고, 차체는 상기 장치들을 지지함과 아울러 외관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드럼 브레이크와 디스크 브레이크로 구분되는 바,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P)과 연결되어 있는 배력 장치 어셈블리(B)와, 상기한 배력 장치 어셈블리(B)에 유압 라인(L)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 후륜 브레이크(FB, RB)와, 상기한 후륜 브레이크(RB)에 케이블(3, 13)로 연결됨과 아울러 자동차 실내에 설치된 주차 레버(PL)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륜 브레이크(FB)는 제동력은 약하지만 부드러운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는 디스크 브레이크를 사용하고, 후륜 브레이크(RB)는 제동력이 큰 드럼 브레이크가 사용된다.
상기 드럼 브레이크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 플레이트(50)와, 상기 백 플레이트(50)에 안착됨과 아울러 일단이 스프링(51)으로 연결된 1 쌍의 브레이크 슈우(52)와, 상기 브레이크 슈우(52)의 일 측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휠 실린더(53)와, 상기 휠 실린더(53)와 대응되는 방향에 설치된 앵커(54)와, 상기 케이블(3)과 일단이 연결됨과 아울러 타단이 브레이크 슈우(5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작동 레버(56)와, 상기 브레이크 슈우의 상부에서 드럼의 내면과 양측 브레이크 슈우(52) 사이의 간극을 조정하는 간극 조정장치(57)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파킹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에 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작동 레버(56)의 일단은 브레이크 슈우(52) 에 연접되어 있다. 또한 작동 레버(56)의 타단은 파이프 가이드(2)에 의해서 안내되는 파킹 케이블이 백 플레이트(50)의 출구(3a)를 관통하여 차량 실내의 주차 브레이크 레버(도시안함)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파이프 가이드와 작동 레버 사이에는 작동 레버를 원래의 위치로 귀환시키기 위한,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파킹 케이블 리턴 스프링 부재(1)가 케이블 둘레에 끼워져 장착되어 있으며, 작동 레버(56)의 귀환 위치에서는 작동 레버(56)가 회전할 수 있도록 축 고정 위치와 반대 측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를 따라 위치 결정된다.
이에 따른 작동을 살펴보면, 드럼 브레이크는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P) 조작 시 배력장치 어셈블리(B) 그리고 유압 라인(L)을 통해 각 브레이크(FB, RB)에 유압을 인가함으로써 제동력을 발휘하게 된다.
특히, 자동차의 주차 시 운전자가 주차 레버(PL)를 당기게 되면, 이와 케이블(3)로 연결되어 있는 후륜 브레이크(RB)의 작동 레버(56)가 당겨지게 된다.
작동 레버(56)가 당겨지면 이와 연결된 브레이크 슈우(52)를 밀면서 브레이크 드럼에 밀착시키게 되어 후륜을 제한하고, 주차에 필요한 제동력을 얻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파킹 브레이크 장치는 이러한 작동 효과에도 불구하고, 파킹 케이블 리턴 스프링(1)이 파이프 가이드(2)에 얹어져 있어서 파킹 케이블(3)을 당기면 파킹 케이블(3)이 파킹 케이블 리턴 스프링(1)을 눌러서 파이프 가이드(2)에 밀착시킨다. 이런 상태에서 차량에 반동을 주면 파킹 케이블(3)을 다시 끌어 당기는 효과가 발생하여 파이프 가이드(2)에 눌려진 파킹 케이블 리턴 스프링(3)이 파이프 가이드(2)와 상대운동을 하면서 스프링(3)이 상기 파이프 가이드(2)를 긁는 노이즈가 발생한다. 주차 레버를 당기게 되면 이와 연결된 케이블이 백 플레이트(50)의 출구(3a)를 관통한 상태에서 파이프 가이드(2)의 곡면을 따라 구브러져 수평 이동하며 파이프 가이드(2) 내부에 파킹 케이블 리턴 스프링(1)이 배치됨으로써 파킹 케이블(3)이 파킹 케이블 리턴 스프링(1)에 눌리고 이 파킹 케이블 리턴 스프링(1)이 파이프 가이드(2)의 곡면과 마찰되는 상태로 인장되기 때문에 주차 레버를 당기기 힘들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파킹 케이블 리턴 스프링(1)이 파이프 가이드(2)와 마찰하게 됨으로써 마모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킹 케이블 리턴 스프링이 파이프 가이드 외측에 위치하도록 파이프 가이드 형상을 변경하고 파킹 케이블 리턴 스프링의 길이를 줄여서 파킹 케이블 리턴 스프링이 파이프 가이드에 의해서 움직임이 제한되어 파킹 케이블을 복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이프 가이드에 얹혀 있지 않아서 파킹 케이블 리턴 스프링과 파이프 가이드가 상 대운동을 하지 않기 때문에 스프링이 파이프 가이드를 긁는 래틀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파킹 케이블 리턴 스프링의 길이를 상당히 줄이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킹 브레이크는 백 플레이트(50)와, 상기 백 플레이트(50)에 안착됨과 아울러 일단이 스프링(51)으로 연결된 1 쌍의 브레이크 슈우(52)와, 상기 브레이크 슈우(52)의 일 측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휠 실린더(53)와, 상기 휠 실린더(53)와 대응되는 방향에 설치된 앵커(54)와, 상기 케이블(13)과 일단이 연결됨과 아울러 타단이 브레이크 슈우(5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고정된 작동 레버(56)와, 상기 브레이크 슈우(52)의 상부에서 드럼의 내면과 양측 브레이크 슈우 사이의 간극을 조정하는 간극 조정장치(57)를 포함하는 드럼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백 플레이트(50)의 출구(13a) 근방으로부터 상기 케이블(13)을 안내하는 파이프 가이드(12)와, 상기 파이프 가이드(12)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작동 레버(56)까지만 연장된 파킹 케이블 리턴 스프링(11)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이프 가이드(12)는 상기 출구(13a)를 관통하여 케이블(23)을 안내하는 원통상 제 1 파이프 가이드(12a)와, 상기 파킹 케이블 리턴 스프링(13)의 스토퍼 기능을 하도록 제 1 파이프 가이드(12a)로부터 단차 형성된 제 2 파이프 가이드(1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파이프 가이드(12b)는 상기 백 플레이트(50)에 대해서 일정 정도 의 높이만큼 경사 상승된 경사부와, 이로부터 케이블(13) 외주면에 대면하게 연장된 평면부와, 이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백 플레이트와 연결되게 연장된 수직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상세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드럼 브레이크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작동레버(56)와 일단이 연결됨과 아울러 백 플레이트(50)의 출구(13a)를 관통하는 케이블(13)이 백 플레이트(50)에 근방에서 원통상의 파이프 가이드(11)를 따라 안내되고 백 플레이트(50)로부터 브레이크 슈를 향하는 방향으로 들어 올려져 수평 이동하게 되므로 구부러지는 부분 없이 원활하게 수평 이동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가이드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주요 부분인 파이프 가이드를 상세히 설명한다.
백 플레이트(50)에는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주차 브레이크 레버(도시안함)와 파킹 레버(56)를 접속하는 케이블(13)의 출구(13a)가 형성되어 있다. 출구(13a)를 관통하여 케이블(23)을 안내하는 제 1 파이프 가이드(12a)가 배치되어 있고, 이 제 1 파이프 가이드(12a)는 케이블(23)을 안내하는 부분이 케이블(23)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의 원통 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파이프 가이드(12a)로부터 작동 레버(56)를 향해 케이블(13)을 안내하는 제 2 파이프 가이드(12b)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 2 파이프 가이드(12b)는 제 1 파이프 가이드(12a)로부터 연장된 원통상으로 백 플레이트(50)에 대해서 일정 정도의 높이만큼 브레이크 슈우를 향해 경사 상승된 경사부(121)와, 이로부터 연장되며 케이블(13) 외주면에 대면하며 백플레이트(50)와 대략 평행한 평면부(122)와, 이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백 플레이트와 연결되게 연장된 수직부(123)로 구성된다. 그 때문에 제 1 파이프 가이드(12a)와 제 2 파이프 가이드(12b) 사이에는 경사부(121)가 상승되어 단차가 형성되어 수직부(123)에서 백플레이트(50)를 향해 수직 하강하면, 이 단차가 파킹 리턴 스프링 부재(11)의 스토퍼 기능을 한다. 파킹 리턴 스프링 부재(11)는 이 제 2 파이프 가이드(12b)의 수직부와 작동 레버(56) 사이에 끼워져 장착된다. 따라서 파킹 리턴 스프링 부재(11)의 길이가 파이프 가이드(12) 내부에 까지 설치되는 종전에 비해서 단축될 수 있으며, 파이프 가이드(12)의 수평부(122) 외면에 대면하게 배치된 파킹 케이블(13)이 백플레이트(50)와 일정 높이를 유지하며, 파이프 가이드(12)의 수직부(123)에 대면하게 파킹 케이블 리턴 스프링(11)이 배치됨으로써 파킹 케이블(13)을 당길 때 파킹 케이블 리턴 스프링(11)에 의해 눌리거나 이 파킹 케이블 리턴 스프링(11)이 파이프 가이드(12)의 곡면과 마찰되어 래틀 노이즈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운전자가 주차를 하기 위하여 주차 레버(PL)를 당기게 되면 이와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13)이 인장된다. 케이블(13)이 인장되면 상기 케이블(13)이 수평 이동하면서 작동 레버(56)를 당기게 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13)은 곡면 형상의 단차부를 갖는 제 2 파이프 가이드(12b)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상태이고 파킹 케이블 리턴 스프링이 그 주변에 끼워져 있으므로 상기 파킹케이블 리턴 스프링은 타 부재와의 마찰이 없기 때문에 파 킹 케이블이 원활하게 수평 이동할 수 있다.
즉, 수평 이동하는 케이블(13)이 제 2 가이드 부재(12b)를 지나 보다 원활하게 이동함으로써 작동 레버(56)를 당기는 케이블(13)과 주차 레버(PL)의 동작이 원활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파킹 케이블 리턴 스프링이 파이프 가이드 외측에 위치하도록 파이프 가이드 형상을 변경하고 파킹 케이블 리턴 스프링의 길이를 줄여서 파킹 케이블 리턴 스프링이 파이프 가이드에 의해서 움직임이 제한되어 파킹 케이블을 복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이프 가이드에 얹혀 있지 않아서 파킹 케이블 리턴 스프링과 파이프 가이드가 상대운동을 하지 않기 때문에 스프링이 파이프 가이드를 긁는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파킹 케이블 리턴 스프링의 길이를 상당히 줄일 수 있으므로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백 플레이트(50)와, 상기 백 플레이트(50)에 안착됨과 아울러 일단이 스프링(51)으로 연결된 1 쌍의 브레이크 슈우(52)와, 상기 브레이크 슈우(52)의 일 측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휠 실린더(53)와, 상기 휠 실린더(53)와 대응되는 방향에 설치된 앵커(54)와, 케이블(13)과 일단이 연결됨과 아울러 타단이 브레이크 슈우(5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작동 레버(56)와, 상기 브레이크 슈우(52)의 상부에서 드럼의 내면과 양측 브레이크 슈우 사이의 간극을 조정하는 간극 조정장치(57)를 포함하는 드럼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백 플레이트(50)의 출구(13a) 근방으로부터 상기 케이블(13)을 안내하는 파이프 가이드(12)와, 상기 파이프 가이드(12)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작동 레버(56)까지만 연장된 파킹 케이블 리턴 스프링(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브레이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가이드(12)는 상기 출구(13a)를 관통하여 케이블(23)을 안내하는 원통상 제 1 파이프 가이드(12a)와, 상기 파킹 케이블 리턴 스프링(13)의 스토퍼 기능을 하도록 제 1 파이프 가이드(12a)로부터 단차 형성된 제 2 파이프 가이드(1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브레이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이프 가이드(12b)는 상기 백 플레이트(50)에 대해서 일정 정도의 높이만큼 경사 상승된 경사부(121)와, 이로부터 케이블(13) 외주면에 대면하게 연장된 평면부(122)와, 이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백 플레이트와 연결되게 연장된 수직부(12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브레이크.
KR1020030030821A 2003-05-15 2003-05-15 파킹 브레이크 장치 KR100779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821A KR100779495B1 (ko) 2003-05-15 2003-05-15 파킹 브레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821A KR100779495B1 (ko) 2003-05-15 2003-05-15 파킹 브레이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448A KR20040098448A (ko) 2004-11-20
KR100779495B1 true KR100779495B1 (ko) 2007-11-26

Family

ID=37376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0821A KR100779495B1 (ko) 2003-05-15 2003-05-15 파킹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94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109B1 (ko) * 2006-09-18 2013-04-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차 브레이크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68A (ja) 1997-06-12 1999-01-06 Nippon Cable Syst Inc ドラムブレーキ用パーキングレバーの変位量制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68A (ja) 1997-06-12 1999-01-06 Nippon Cable Syst Inc ドラムブレーキ用パーキングレバーの変位量制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448A (ko) 2004-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1905B2 (en) Caliper disc brake
KR100779495B1 (ko) 파킹 브레이크 장치
JP3706590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パッドの自動調整
JPH09506691A (ja) カム操作式パーキングブレーキレバー付きドラムブレーキ
KR100941824B1 (ko) 캘리퍼를 이용한 주차 브레이크
KR0121956Y1 (ko) 자동차용 드럼 브레이크
KR20110139042A (ko) 주차브레이크용 카트리지 어셈블리
KR20080100872A (ko) 페달비 가변형 브레이크 페달유닛
KR100680346B1 (ko) 주차 브레이크 겸용 디스크 브레이크
KR200267458Y1 (ko) 차량용 브레이크장치의 드럼브레이크
KR101637776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
KR100710480B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KR200155452Y1 (ko)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KR101316170B1 (ko) 차량의 디스크브레이크용 브레이크패드 커버심
KR101911661B1 (ko) 주차 브레이킹 기능이 포함된 고정형 모노블록 브레이크 캘리퍼
KR100978753B1 (ko) 드럼 브레이크
KR100946860B1 (ko) 디스크 브레이크 방식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0527740B1 (ko) 차량의 주차브레이크 시스템
KR20060064909A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페달
KR19980037032U (ko) 차량용 리어브레이크어세이의 러버식 노이즈 감소구조
KR200330483Y1 (ko) 자동차용 디스크식 브레이크 장치의 다피스톤 타입 유압실린더 장치
JP2005113996A (ja) ドラムブレーキ装置
KR19980040134A (ko) 주차브레이크의 브레이크슈 작동레버 에셈블리
KR200217523Y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페달의 잠금 장치
KR200158321Y1 (ko) 차량용 리어브레이크어세이의 노이즈 감소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