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7447B1 - 디지털 방송 송신 및 수신 장치 그리고 그에 적용되는로버스트 스트림 코딩 및 디코딩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송신 및 수신 장치 그리고 그에 적용되는로버스트 스트림 코딩 및 디코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7447B1
KR100777447B1 KR1020060070711A KR20060070711A KR100777447B1 KR 100777447 B1 KR100777447 B1 KR 100777447B1 KR 1020060070711 A KR1020060070711 A KR 1020060070711A KR 20060070711 A KR20060070711 A KR 20060070711A KR 100777447 B1 KR100777447 B1 KR 100777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
robust
normal
decoder
robust 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0195A (ko
Inventor
박의준
정해주
김준수
유정필
권용식
정진희
지금란
김종훈
장용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1/416,250 external-priority patent/US7840866B2/en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07708763A priority Critical patent/EP1982521B1/en
Priority to CN2007800019167A priority patent/CN101366280B/zh
Priority to BRPI0707662-2A priority patent/BRPI0707662A2/pt
Priority to PCT/KR2007/000613 priority patent/WO2007091809A1/en
Priority to CA002637801A priority patent/CA2637801A1/en
Priority to BRPI0707519-7A priority patent/BRPI0707519A2/pt
Priority to EP07708785A priority patent/EP1982523B1/en
Priority to EP07708784.9A priority patent/EP1982522B1/en
Priority to CN2007800029366A priority patent/CN101371582B/zh
Priority to PCT/KR2007/000635 priority patent/WO2007091821A1/en
Priority to CA2637804A priority patent/CA2637804C/en
Priority to BRPI0707663-0A priority patent/BRPI0707663A2/pt
Priority to CA2637211A priority patent/CA2637211C/en
Priority to PCT/KR2007/000634 priority patent/WO2007091820A1/en
Publication of KR20070080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195A/ko
Publication of KR100777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4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5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signal space coding, i.e. adding redundancy in the signal constellation, e.g. Trellis Coded Modulation [TCM]
    • H03M13/256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signal space coding, i.e. adding redundancy in the signal constellation, e.g. Trellis Coded Modulation [TCM] with trellis coding, e.g. with convolutional codes and TCM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7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using interleaving techniques
    • H03M13/2732Convolutional interleaver; Interleavers using shift-registers or delay lines like, e.g. Ramsey type interlea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11Insertion of stuffing data into a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디지털 방송 송신 및 수신 장치 그리고 그에 적용되는 로버스트 스트림 코딩 및 디코딩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는, 노멀 스트림(Normal Stream) 및 로버스트 스트림(Robust Stream)이 결합되어 있는 듀얼전송스트림(Dual Transport Stream) 중 로버스트 스트림을 코딩하는 로버스트 처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로버스트 처리부는, 듀얼전송스트림으로부터 노멀 스트림과 로버스트 스트림을 분리하는 디먹스, 분리된 로버스트 스트림에 패리티를 부가하는 로버스트 인코더, 패리티가 부가된 로버스트 스트림을 인터리빙하는 로버스트 인터리버, 및 인터리빙된 로버스트 스트림 및 분리된 노멀 스트림을 결합하는 먹스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간단한 구조의 수신기를 제공할 수 있다.
듀얼전송스트림, 노멀, 로버스트, 로버스트 처리부, 수신 구조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송신 및 수신 장치 그리고 그에 적용되는 로버스트 스트림 코딩 및 디코딩 방법 {Digital broadcasting transmission/reception apparatus and coding/decoding method for robust stream thereof}
도 1은 종래의 VSB 송신 장치의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로버스트 처리부의 블럭도,
도 3은 종래의 VSB 수신 장치의 블럭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로버스트 디코더의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TS 구성부의 블럭도,
도 6a 내지 도 6b는 듀얼전송스트림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7a 내지 도 7b는 듀얼전송스트림의 다른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8은 도 6a 내지 도 6b의 듀얼전송스트림을 입력받는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의 블럭도,
도 9는 도 7a 내지 도 7b의 듀얼전송스트림을 입력받는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의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버스트 처리부의 블럭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로버스트 인코더를 예시한 도면,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심볼 디인터리버의 블럭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버스트 처리부의 블럭도,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블럭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버스트 디코더의 블럭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버스트 디코더의 블럭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로버스트 스트림 코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로버스트 스트림 디코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7 : 로버스트 처리부 207a : N/R 디먹스
207b : 로버스트 인코더 207c : 로버스트 인터리버
207d : 심볼 디인터리버 207e : N/R 먹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송신 및 수신 장치 그리고 그에 적용되는 로버스트 스트림 코딩 및 디코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의 수신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송신 및 수신 장치 그리고 그에 적용되는 로버스트 스트림 코딩 및 디코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국향 지상파 디지털 방송 시스템인 ATSC VSB 방식은 열악한 채널 특히 도 플러 페이딩 채널에서 수신 성능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ATSC에서는 VSB 수신성능의 향상을 위해 기존 수신기와의 호환성이 있고, 기존 수신기의 성능 저하가 발생하지 않으며, 기존의 수신기에 비하여 성능이 개선된다는 전제 조건 하에서 새로운 제안을 받아들였다.
VSB 시스템의 개선안으로 제시된 방안 중, 좋은 채널 환경에서는 기존의 HD급의 영상을 볼 수 있으며, 열악한 채널에서도 영상의 수신이 가능한 듀얼전송스트림(Dual stream) 방식이 주로 제안되고 있다. 여기서, 듀얼전송스트림 방식은 기존 ATSC VSB 시스템의 노멀 데이터(Normal data)에 열악한 채널에서도 잘 동작할 수 있도록 강화된 로버스트 데이터(Robust data)를 추가한 듀얼전송스트림을 형성하여 전송하는 방식을 말한다.
하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노멀 스트림과 로버스트 스트림을 입력으로 받아, 로버스트 스트림이 정보 교환을 통해 좋은 성능이 얻어지도록 구현되는 듀얼전송스트림 송수신 시스템을 살펴본다.
도 1은 종래의 VSB 송신 장치의 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로버스트 처리부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VSB 송신 장치는 랜덤화부(10), 제1 RS인코더(11), 제1 인터리버(12), 로버스트 처리부(13), 디인터리버(14), 제2 RS인코더(15), 제2 인터리버(16), 트렐리스 인코더(17), 및 먹스(18)를 포함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랜덤화부(10)의 전단에서 노멀 스트림과 로버스트 스트림이 결합된 듀얼전송스트림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듀얼전송스트림은 랜 덤화부(10), 제1 RS인코더(11), 제1 인터리버(12), 로버스트 처리부(13), 디인터리버(14), 제2 RS인코더(15), 제2 인터리버(16), 트렐리스 인코더(17), 및 먹스(18)를 거쳐 출력된다.
여기서, 로버스트 스트림을 코딩하는 부분인 로버스트 처리부(13)가 제1 RS인코더(11)의 다음에 위치함에 따라, 랜덤화부(10)의 전단에서 듀얼전송스트림에 부가된 패리티가 맞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로버스트 처리부(13)의 다음에 디인터리버(14)를 추가하고, 제2 RS인코더(15)에 의해 맞지 않는 패리티를 수정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제1 RS인코더(11)는 실제 패리티를 부가하지는 않고, 인터리빙을 위한 패리티 공간만을 생성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로버스트 처리부(13)는 심볼 인터리버(13a), N/R 디먹스(13b), 로버스트 인코더(13c), 로버스트 인터리버(13d), N/R 먹스(13e), 및 심볼 디인터리버(13f)를 포함한다.
제1 인터리버(12)에 의해 인터리빙된 듀얼전송스트림은 심볼 인터리버(13a)에서 심볼 단위로 변환되고, N/R 디먹스(13b)에 의해 노멀 스트림과 로버스트 스트림으로 분리되어, 노멀 스트림은 N/R 먹스(13e)로 직접 입력된다. 또한, 로버스트 스트림은 로버스트 인코더(13c), 및 로버스트 인터리버(13d)에서 처리된 후, N/R 먹스(13e)로 입력된다. N/R 먹스(13e)는 노멀 스트림과 로버스트 스트림을 멀티플렉싱하고, 심볼 디인터리버(13f)에서 바이트 단위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 3은 종래의 VSB 수신 장치의 블럭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로버스트 디코더의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VSB 수신 장치는 도 1의 VSB 송신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듀얼전송스트림을 처리하는 복조부(20), 등화부(21), 비터비 디코더(22), 로버스트 디코더(23), 먹스(24), 제1 디인터리버(25), RS디코더(26), 제1 역랜덤화부(27), 제2 디인터리버(28), 패리티 제거부(29), 제2 역랜덤화부(30), 및 로버스트 패킷 디먹스(31)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에 도시한 로버스트 디코더(23)는 TCM MAP 디코더(23a), 로버스트 디인터리버(23b), 로버스트 MAP 디코더(23c), 로버스트 인터리버(23d), 프레임 포맷터(23e), 및 심볼 디인터리버(23f)를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TCM MAP 디코더(23a) 및 로버스트 MAP 디코더(23c)간에 형성된 루프를 통해 상호간에 충분히 좋은 성능을 얻을 때까지 정보 교환이 이루어진다. 정보 교환이 완료되면, TCM MAP 디코더(23a)로부터 출력되는 디코딩 값은 노멀 스트림 수신에 사용되고, 로버스트 MAP 디코더(23c)로부터 출력되는 디코딩 값은 프레임 포맷터(23e)에 의해 노멀 스트림과 로버스 스트림이 섞여 있는 프레임 중 로버스트 스트림에 해당하는 위치로 보내진다. 이때, 노멀 스트림에 해당하는 위치가 비어 있는 출력은 심볼 디인터리버(23f)를 거쳐 출력되며, 이는 로버스트 스트림 수신에 사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VSB 송신 및 수신 장치에서는 로버스트 스트림에 로버스트 인코더(13c)를 통한 1/4 레이트와 같이 강한 코딩을 추가할 경우, 도 3 과 같은 VSB 송신장치의 구조에 따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VSB 수신장치가 구성되어야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VSB 수신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레이트로 듀얼전송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로버스트 스트림의 성능 개선을 위한 추가 코딩을 구현하더라도 그 구조가 간단한 수신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는, 노멀 스트림(Normal Stream) 및 로버스트 스트림(Robust Stream)이 결합되어 있는 듀얼전송스트림(Dual Transport Stream) 중 로버스트 스트림을 코딩하는 로버스트 처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로버스트 처리부는, 듀얼전송스트림으로부터 노멀 스트림과 로버스트 스트림을 분리하는 디먹스, 분리된 로버스트 스트림에 패리티를 부가하는 로버스트 인코더, 패리티가 부가된 로버스트 스트림을 인터리빙하는 로버스트 인터리버, 및 인터리빙된 로버스트 스트림 및 분리된 노멀 스트림을 결합하는 먹스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디먹스는 분리된 로버스트 스트림을 심볼 단위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리빙된 심볼 단위의 로버스트 스트림을 디인터리빙하는 심볼 디인터리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심볼 디인터리버는 노멀 스트림 및 로버스트 스트림을 결합하는 N/R 먹스, 결합된 노멀 스트림 및 로버스트 스트림을 바이트 단위로 변환하는 바이트/심볼 변환부 및 바이트 단위로 변환된 노멀 스트림 및 로버스트 스트림을 분리하는 N/R 디먹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로버스트 인코더는 재귀적 조직 길쌈 부호(RSC Code : Recursive Systematic Code) 형태의 인코더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로버스트 스트림의 코딩 방법은 듀얼전송스트림으로부터 노멀 스트림과 로버스트 스트림을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로버스트 스트림에 패리티를 부가하는 단계, 패리티가 부가된 로버스트 스트림을 인터리빙하는 단계, 및 인터리빙된 로버스트 스트림 및 분리된 노멀 스트림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노멀 스트림과 로버스트 스트림을 분리하는 단계에서, 분리된 로버스트 스트림을 심볼 단위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인터리빙된 심볼 단위의 로버스트 스트림을 디인터리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로버스트 스트림을 디인터리빙하는 단계는, 노멀 스트림 및 로버스트 스트림을 결합하는 단계, 결합된 노멀 스트림 및 로버스트 스트림을 바이트 단위로 변환하는 단계, 및 바이트 단위로 변환된 노멀 스트림 및 로버스트 스트림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로버스트 스트림에 패리티를 부가하는 단계에서, 재귀적 조직 길쌈 부호 형태의 인코더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노멀 스트림 및 로버스트 스트림이 결합되어 있는 듀얼전송스트림 중 상기 로버스트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로버스트 디코더를 포함한다. 여기서, 로버스트 디코더는, 로버스트 스트림을 트렐리스 디코딩하는 제1 디코더, 트렐리스 디코딩된 로버스트 스트림을 디인터리빙하는 로버스트 디인터리버, 디인터리빙된 로버스트 스트림을 컨벌루션 디코딩하는 제2 디코더, 디인터리빙된 로버스트 스트림을 인터리빙하는 로버스트 인터리버, 노멀 스 트림과 로버스트 스트림이 혼합되어 있는 프레임 중 로버스트 스트림의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 제2 디코더의 디코딩값을 추가하는 프레임 포맷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1 디코더 및 제2 디코더간의 로버스트 디인터리버 및 로버스트 인터리버를 통한 정보 교환이 완료되면, 제1 디코더의 디코딩 값은 노멀 스트림 수신에 사용되도록 출력되고, 제2 디코더의 디코딩 값은 프레임 포맷터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제1 디코더의 디코딩 값을 바이트 단위로 변환하는 심볼 디인터리버, 및 제2 디코더의 디코딩 값을 심볼 단위로 변환하는 심볼 인터리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로버스트 스트림의 디코딩 방법은, 로버스트 스트림을 트렐리스 디코딩하는 단계, 트렐리스 디코딩된 로버스트 스트림을 디인터리빙하는 단계, 디인터리빙된 로버스트 스트림을 컨벌루션 디코딩하는 단계, 컨벌루션 디코딩된 로버스트 스트림을 인터리빙하는 단계, 및 노멀 스트림과 로버스트 스트림이 혼합되어 있는 프레임 중 로버스트 스트림의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 컨벌루션 디코딩된 값을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트렐리스 디코딩된 값은 노멀 스트림 수신에 사용되도록 출력되고, 컨벌루션 디코딩된 값은 로버스트 스트림의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제1 디코더의 디코딩 값을 바이트 단위로 변환하는 단계, 및 제2 디코더의 디코딩 값을 심볼 단위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TS 구성부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듀얼전송스트림(Dual Transport Stream)은 노멀 스트림(Normal Stream) 및 로버스트 스트림(Robust Stream)이 결합되어 있는 형태이다. 듀얼전송스트림은 도 5에 도시한 TS 구성부(10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TS 구성부(100)는 RS 인코더(Reed-Solomon Encoder)(110), 플레이스 홀더 메이커(Place holder maker)(120), 인터리버(130), 및 TS 먹스(MUX)(140)를 포함한다.
TS 구성부(100)에는 노멀 스트림 및 로버스트 스트림이 각각 입력된다. 이때, 노멀 스트림은 TS 먹스(140)로 바로 입력되고, 로버스트 스트림만 RS 인코더(110), 플레이스 홀더 메이커(120), 및 인터리버(130)를 거쳐 TS 먹스(140)로 입력된다.
로버스트 스트림은 RS 인코더(110)에서 패리티가 부가되고, 플레이스 홀더 메이커(120)에서 후술하는 로버스트 인코더에 의해 부가될 패리티를 삽입하기 위한 영역이 생성되며, 인터리버(130)에서 인터리빙된다. 이후, TS 먹스(140)에서는 노멀 스트림과 로버스트 스트림을 멀티플렉싱하여 듀얼전송스트림을 구성한다. 이는 이미 공지된 사항이므로, TS 구성부(10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a 내지 도 6b는 듀얼전송스트림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MPEG 패킷은 1 바이트의 동기신호(Sync), 3 바이트의 헤더, 및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로 구성된다. MPEG 패킷의 헤더는 패킷 식별자 (PID : Packet Identifier)를 포함한다. 여기서, 페이로드 부분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노멀 스트림, 및 로버스트 스트림으로 구분된다.
도 6a의 (a)는 TS 구성부(100)에 입력되는 로버스트 스트림의 예를 보인 것으로, 페이로드 부분에 로버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며, TS 구성부(100)의 RS 인코더(110), 플레이스 홀더 메이커(120), 및 인터리버(130)에 의해 처리된 후 TS 먹스(140)로 입력된다.
도 6a의 (b)는 TS 구성부(100)에 입력되는 노멀 스트림의 예를 보인 것으로, 페이로드 부분에 노멀 데이터를 포함하나, 로버스트 스트림과의 결합을 고려하여 로버스트 데이터가 삽입될 적응 필드(Adaptation field)를 포함한다. 적응필드는 2 바이트의 AF 헤더 및 N 바이트의 Null data 공간을 포함한다.
도 6a의 (a)에 도시한 로버스트 스트림과 도 6a의 (b)에 도시한 노멀 스트림은 TS 먹스(140)에서 멀티플렉싱되어, 도 6a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은 듀얼전송스트림으로 구성된다.
도 6b는 로버스트 스트림 및 노멀 스트림의 다른 결합 형태를 보인 것으로, 하나의 패킷 전체가 로버스트 데이터 혹은 노멀 데이터를 포함하는 형태이며, TS 먹스(140)에서는 로버스트 스트림과 노멀 스트림을 1:3의 비율로 배치한다. 여기에서는 로버스트 스트림과 노멀 스트림을 1:3의 비율로 배치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는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a 내지 도 7b는 듀얼전송스트림의 다른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a의 (a)는 로버스트 스트림을 보인 것이고, (b)는 적응필드에 S 바이트 의 스터프 바이트를 포함하는 노멀 스트림을 보인 것이다. 여기서, S 바이트의 스터프 바이트는 후술하는 SRS 삽입부에 의해 SRS(Supplementary Reference Sequence)가 삽입될 영역이다. TS 먹스(140)에서 (a)의 로버스트 스트림과 (b)의 노멀 스트림을 결합하여 (c)에 도시한 바와 같은 듀얼전송스트림을 구성한다.
도 7b는 스터프 바이트를 포함하는 로버스트 스트림과 노멀 스트림을 1:3의 비율로 배치한 것을 예시하였다. 여기서, 로버스트 데이터 및 스터프 바이트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8은 도 6a 내지 도 6b의 듀얼전송스트림을 입력받는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의 일 예를 살펴본다. 본 실시예에서의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는 랜덤화부(Randomizer)(201), 패리티영역 부가부(203), 제1 인터리버(205), 로버스트 처리부(206), 디인터리버(209), RS 인코더(211), 제2 인터리버(213), 트렐리스 인코더(215), 및 먹스(217)를 포함한다.
랜덤화부(201)는 TS 구성부(100)로부터 입력받은 듀얼전송스트림을 랜덤화한다. 이때, 랜덤화부(201)에 입력되는 듀얼전송스트림은 도 6a의 (c) 혹은 도 6b와 같은 형태이며, MPEG 헤더가 사용될 경우 188 바이트 혹은 MPEG 헤더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187 바이트 단위일 수 있다.
패리티영역 부가부(203)는 랜덤화된 듀얼전송스트림에 오류정정을 위한 패리티를 삽입하기 위한 영역을 부가한다. 이 영역에는 후술하는 RS 인코더(211)에서 패리티가 부가된다.
제1 인터리버(205)는 패리티를 삽입하기 위한 영역이 부가된 듀얼전송스트림에 대하여 인터리빙을 수행한다. 여기서, 인터리빙은 데이터를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의 프레임 내에서 그들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로버스트 처리부(207)는 인터리빙된 듀얼전송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로버스트 스트림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코딩을 수행한다. 로버스트 처리부(206)에 관하여는 후술하는 도 10 내지 도 14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디인터리버(209)는 로버스트 처리부(207)에서 처리된 듀얼전송스트림에 대하여 디인터리빙을 수행한다.
RS 인코더(211)는 디인터리빙된 듀얼전송스트림에 패리티를 부가한다. 이때, RS 인코더(211)는 패리티영역 부가부(203)에서 듀얼전송스트림에 부가된 패리티를 삽입하기 위한 영역에 패리티를 부가한다.
제2 인터리버(213)는 패리티가 부가된 듀얼전송스트림에 대하여 인터리빙을 수행한다.
트렐리스 인코더(215)는 인터리빙된 듀얼전송스트림에 대하여 트렐리스 인코딩을 수행한다.
먹스(217)는 트렐리스 인코딩된 듀얼전송스트림에 세그먼트 동기신호(Segment Sync) 및 필드 동기신호(Field Sync)를 부가하여 멀티플렉싱한다. 이후,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변조부에서 세그먼트 동기신호 및 필드 동기신호가 부가된 듀얼전송스트림은 채널 변조 및 RF 채널 대역의 신호로 변환되어 전송된다.
도 9는 도 7a 내지 도 7b의 듀얼전송스트림을 입력받는 디지털 방송 송신 장 치의 블럭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의 다른 예를 살펴본다. 본 실시예에서의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는 랜덤화부(Randomizer)(201), SRS 삽입부(202), 패리티영역 부가부(203), 제1 인터리버(205), 로버스트 처리부(206), 디인터리버(209), RS 인코더(211), 제2 인터리버(213), 호환성 패리티 생성부(214), 트렐리스 인코더(215), 및 먹스(217)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는 도 8에서 예시한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여기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로 표기하였으며, 차이가 나는 구성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랜덤화부(201)에는 도 7a의 (c) 혹은 도 7b와 같이 적응필드에 스터프 바이트를 포함하는 형태의 듀얼전송스트림이 입력된다.
SRS 삽입부(202)는 랜덤화부(201)에 의해 랜덤화된 듀얼전송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스터프 바이트에 SRS를 삽입한다. 이때, 듀얼전송스트림에 AF 헤더 및 스터프 바이트의 삽입 정도에 따라 SRS로 인한 페이로드의 손실과 혼합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호환성 패리티 생성부(214)는 RS 인코더(211)에 의해 패리티가 부가된 듀얼전송스트림의 패킷 및 트렐리스 인코더(215)에 의해 트렐리스 인코딩된 듀얼전송스트림에 기초하여 호환성 패리티를 생성하며, 생성된 호환성 패리티를 트렐리스 인코더(215)로 제공한다.
트렐리스 인코더(215)는 제2 인터리버(213)에 의해 인터리빙된 듀얼전송스트 림을 트렐리스 인코딩하고, 트렐리스 인코딩된 듀얼전송스트림을 호환성 패리티 생성부(214)로 제공한다. 이후, 호환성 패리티 생성부(214)로부터 호환성 패리티가 입력되면, 인터리빙된 듀얼전송스트림에 호환성 패리티를 부가하여 먹스(217)로 제공한다.
먹스(217)는 트렐리스 인코더(215)에 의해 호환성 패리티가 부가된 듀얼전송스트림에 세그먼트 동기신호 및 필드 동기신호를 부가하여 멀티플렉싱하여 출력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버스트 처리부의 블럭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버스트 처리부(207)는 N/R 디먹스(Normal/Robust De-MUX)(207a), 로버스트 인코더(207b), 로버스트 인터리버(207c), 심볼 디인터리버(207d), 및 N/R 먹스(207e)를 포함한다.
N/R 디먹스(207a)는 제1 인터리버(205)에 의해 인터리빙된 듀얼전송스트림을 디멀티플렉싱하여 노멀 스트림과 로버스트 스트림으로 분리한다. 이후, N/R 디먹스(207a)는 바이트 단위의 로버스트 스트림을 MSB(Most Significant Bit : 최상위 비트)에서 LSB(Least Significant Bit : 최하위 비트) 순으로 2 비트씩 그룹핑하여 심볼 단위로 변환하여 로버스트 인터리버(207c)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1 바이트 즉, 8 비트의 입력을 MSB부터 LSB 순으로 7,6,5,4,3,2,1,0과 같이 번호를 붙이면, (7,6), (5,4), (3,2), (1,0) 순의 4 심볼로 변환된다.
이후, N/R 디먹스(207a)는 디멀티플렉싱에 의해 분리된 노멀 스트림은 N/R 먹스(207e)로 제공하고, 심볼 단위로 변환된 로버스트 스트림은 로버스트 인코더(207b)로 제공한다.
로버스트 인코더(207b)는 N/R 디먹스(207a)로부터 입력되는 로버스트 스트림을 컨벌루션 인코딩한다. 여기서, 컨벌루션 인코딩은 로버스트 스트림에 대한 패리티를 부가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버스트 인코더(207b)의 일 예로 재귀적 조직 길쌈 부호(RSC Code : Recursive Systematic Code) 형태의 인코더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관하여는 후술하는 도 11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로버스트 인터리버(207c)는 컨벌루션 인코딩된 로버스트 스트림에 대하여 인터리빙을 수행한다.
심볼 디인터리버(207d)는 인터리빙된 로버스트 스트림에 대한 디인터리빙을 수행한다. 심볼 디인터리버(207d)에 관하여는 후술하는 도 12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N/R 먹스(207e)는 N/R 디먹스(207a)로부터 입력되는 노멀 스트림 및 심볼 디인터리버(207d)로부터 입력되는 로버스트 스트림을 멀티플렉싱하여 듀얼전송스트림을 출력한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로버스트 인코더를 예시한 도면이다.
로버스트 인코더(207b)는 도 5에서 설명한 플레이스 홀더 메이커(120)와 연동하여 동작한다. 예를 들어, 플레이스 홀더 메이커(120)가 1/2 레이트 코딩을 위해 MSB부터 LSB 순으로 7,6,5,4,3,2,1,0의 입력 데이터를 (7,x,6,x,5,x,4,x),(3,x,2,x,1,x,0,x) 순으로 2 바이트의 데이터로 생성하였다면, 로버스트 인코더(207b)는 입력 데이터가 (7,6),(5,4),(3,2),(1,0) 순으로 4 심볼로 변환될 때 1 심볼을 이루는 2 비트 중 7,5,3,1의 데이터만 입력으로 받아 코딩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생성되는 2 비트의 출력은 정보를 담지 않는 부분을 포함시켜 대체한다. 이때, 로버스트 인코더(207b)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재귀적 조직 길쌈 부호 형태의 인코더를 사용하면, 입출력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패리티를 정보를 담지 않는 부분에 간단히 대체하기만 하면 된다.
또한, 로버스트 인코더(207b)가 1/4 레이트의 코딩을 할 경우, 플레이스 홀더 메이커(120)는 연속하는 4 비트 중 1 비트만 정보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로 채우고, 나머지 세부분은 임의의 값을 삽입한다. 이때, 로버스트 인코더(207b)에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2 심볼에서 1 비트만 정보를 가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로버스트 인코더(207b)는 데이터 입력 중 1 비트에 관해서만 동작하고, 4 비트의 출력을 만들어 정보를 담고 있는 부분과 담고 있지 않은 부분 4 비트를 대체한다.
예를 들어, 플레이스 홀더 메이커(120)에서 a라는 입력 1 비트에 대해 (a,x,y,z)의 출력을 만들면(여기서, x,y,z은 정보를 담고 있지 않은 임의의 값이다), 이미 공지되어 있는 기술인 byte to symbol 변환방법에 의해 (a,x),(y,z)의 연속으로 들어오는 2 심볼이 만들어지고, 이 입력 중 플레이스 홀더 메이커(120)의 동작에 맞게 데이터 부분인 a만 입력으로 받아 4 비트의 출력을 만들며, 이 출력을 (a,x),(y,z)의 입력 2 심볼에 대체시킨다.
만약, 로버스트 인코더(207b)로 도 11에 도시한 재귀적 조직 길쌈 부호 형태의 인코더를 사용하면(1/2 레이트의 인코더), 1/4 레이트를 만드는 방법으로 만들어진 출력을 복사하는 방법이 있다.
입력으로는 (a,x),(y,z)의 2 심볼을 받을 때, 입력으로 a만 이용하고 출력으로 (p1,p2)를 출력시킨다. 여기서, 출력 (p1,p2)가 만들어질 때, (a,p),(a,p)식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플레이스 홀더 메이커(120)에서 1/4 레이트의 코딩을 위해 만드는 연속된 4 비트의 출력 중, 입력 데이터의 위치는 임의의 자리에 올 수 있으며, 로버스트 인코더(207b)는 플레이스 홀더 메이커(120)와 약속되어 있는 데이터 위치를 이용하여 그 데이터만을 입력으로 사용하고, 출력을 만들어 4 비트의 모든 입력에 대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스 홀더 메이커(120)가 동작하면, MSB부터 LSB 순으로 2 비트씩 그룹핑하는 byte to symbol 변환방법으로 로버스트 인코더(207b)에 들어오는 입력은 연속된 2 심볼 입력이 1 비트의 입력 데이터에 의해 생성된다.
즉, 도 2에서 설명한 종래의 로버스트 처리부(13)에 심볼 디인터리버(13f)를 포함하는 경우, 종래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서는 1 비트 입력에 의해 만들어지는 2 심볼 위치가 섞이게 되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서 2 심볼 위치의 짝을 찾아서 설계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입력에 의해 만들어지는 출력 2 심볼이 연속으로 나타나므로, 그 위치를 언제든 알고 있기 때문에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설 계가 간단해질 수 있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심볼 디인터리버의 블럭도이다.
심볼 디인터리버(207d)는 인터리빙된 로버스트 스트림에 대한 디인터리빙을 수행하는 것으로, N/R 먹스(207d1), 바이트/심볼 변환부(207d2), 및 N/R 디먹스(207d3)을 포함한다.
로버스트 인코더(207b)의 출력은 후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로버스트 디코더에서 정보 교환시 성능 개선을 위해 사용되는 로버스트 인터리버(207c)를 거치고, 또한 이 출력은 심볼 디인터리버(207d)를 통과한 후, N/R 먹스(207e)에서 노멀 스트림과 결합하여 로버스트 스트림의 원래 위치에 삽입되어 출력된다.
이때, 심볼 디인터리버(207d)는 N/R 먹스(207d1), 바이트/심볼 변환부(207d2), 및 N/R 디먹스(207d3)에 의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서 종래의 byte to symbol 변환과정을 거치지 않고 간단하게 정보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N/R 먹스(207d1)는 심볼 디인터리버(207d)로 입력되는 노멀 스트림 및 로버스트 스트림을 멀티플렉싱에 의해 결합한다.
바이트/심볼 변환부(207d2)는 N/R 먹스(207d1)에 의해 멀티플렉싱된 노멀 스트림 및 로버스트 스트림을 바이트 단위로 변환한다.
N/R 디먹스(207d3)는 바이트/심볼 변환부(207d2)에 의해 바이트 단위로 변환된 노멀 스트림 및 로버스트 스트림을 디멀티플렉싱하여 분리한 후 출력한다.
도 2에 도시한 종래의 로버스트 처리부(13)의 심볼 디인터리버(13f)는 노멀 스트림 및 로버스트 스트림의 모든 데이터에 대해 동작하는 것이나, 본 실시예에 따른 심볼 디인터리버(207d)는 로버스트 스트림에 대해서만 동작한다. 또한, 심볼 디인터리버(207d)는 입력 데이터 중 로버스트 스트림 위치에 따라 각각 다른 값을 갖도록 결정될 수 있다.
심볼 디인터리버(207d)는 디인터리버(209) 및 byte to symbol 변환방법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그 크기는 52 세그먼트 동안에 로버스트 스트림으로 전송되는 심볼 크기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로버스트 스트림의 공간이 52 세그먼트 동안에 나타나는 횟수는 52/4+13개가 존재하게 된다. 여기서, 1 바이트가 4 심볼로 변환되는 것을 고려하면, 128*4*13=6656 블럭 인터리버로 동작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버스트 처리부의 블럭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로버스트 처리부(207)는 심볼 디인터리버(207d) 및 로버스트 인터리버(207c)를 별도로 구성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심볼 디인터리버(207d) 및 로버스트 인터리버(207c)를 하나의 인터리버로 구현한 예를 예시하였다.
심볼 디인터리버(207d) 및 로버스트 인터리버(207c)는 동일한 단위 크기로 동작한다. 그러므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심볼 디인터리버(207d) 및 로버스트 인터리버(207c)를 하나의 인터리버로 통합한 통합 인터리버(207f)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적용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복조부(301), 등화부(303), 비터비 디코더(305), 제1 디인터리버(307), RS 디코더(309), 제1 역랜덤화부(311), 로버스트 디코더(313), 제2 인터리버(315), 패리티 제거부(317), 제2 역랜덤화부(319), 및 로버스트 디먹스(321)를 포함한다.
복조부(301)는 도 8 혹은 도 9에서 도시한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듀얼전송스트림을 수신하여 기저대역의 신호에 부가된 동기신호에 따라 동기를 검출하고 복조를 수행한다.
등화부(303)는 복조부(301)에 의해 복조된 듀얼전송스트림을 등화한다. 즉, 등화부(303)는 듀얼전송스트림으로부터 채널의 멀티패스에 의한 채널왜곡을 보상하여 수신된 심볼의 상호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비터비 디코더(305)는 듀얼전송스트림의 노멀 스트림에 대해 에러정정을 수행하고, 에러정정된 심볼에 대해 복호를 수행하여 심볼 패킷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디인터리버(307)는 비터비 디코더(3050에 의해 비터비 디코딩된 노멀 스트림에 대한 디인터리빙을 수행한다.
RS 디코더(313)는 제1 디인터리버(307)에 의해 디인터리빙된 노멀 스트림을 RS 디코딩한다.
제1 역랜덤화부(315)는 RS 디코더(310)에 의해 RS 디코딩된 노멀 스트림을 역랜덤화하여 출력한다.
로버스트 디코더(313)는 등화부(303)에 의해 등화된 듀얼전송스트림 중 로버스트 스트림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한다. 로버스트 디코더(313)에 관하여는 후술하는 도 15 내지 도 16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2 인터리버(315)는 로버스트 디코더(313)에 의해 디코딩된 로버스트 스트림에 대해 인터리빙을 수행한다.
패리티 제거부(317)는 제2 인터리버(315)에 의해 인터리빙된 로버스트 스트림에 부가되어 있는 패리티를 제거한다.
제2 역랜덤화부(319)는 패리티 제거부(317)에 의해 패리티가 제거된 로버스트 스트림을 역랜덤화한다.
로버스트 디먹스(321)는 제2 역랜덤화부(319)에 의해 역랜덤화된 로버스트 스트림을 디멀티플렉싱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버스트 디코더의 블럭도이다.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버스트 디코더(313)는 제1 디코더(313a), 로버스트 디인터리버(313b), 제2 디코더(313c), 로버스트 인터리버(313d), 프레임 포맷터(313e)를 포함한다.
제1 디코더(313a)는 로버스트 스트림을 트렐리스 디코딩한다.
로버스트 디인터리버(313b)는 제1 디코더(313a)에 의해 트렐리스 디코딩된 로버스트 스트림을 디인터리빙한다.
제2 디코더(313c)는 로버스트 디인터리버(313b)에 의해 디인터리빙된 로버스트 스트림을 컨벌루션 디코딩한다.
로버스트 인터리버(313d)는 제2 디코더(313c)에 의해 컨벌루션 디코딩된 로버스트 스트림을 인터리빙한다.
프레임 포맷터(313e)는 노멀 스트림과 로버스트 스트림이 혼합되어 있는 프레임 중 로버스트 스트림의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 제2 디코더(313c)의 디코딩값을 추가한다.
제1 디코더(313a) 제2 디코더(313c)간의 로버스트 디인터리버(313b) 및 로버스트 인터리버(313d)를 통한 정보 교환이 완료되면, 제1 디코더(313a)의 디코딩값은 노멀 스트림 수신에 사용되도록 출력되고, 제2 디코더(313c)의 디코딩값은 프레임 포맷터(313e)로 제공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버스트 디코더의 블럭도이다.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버스트 디코더(313)는 제1 디코더(313a), 심볼 디인터리버(313f), 로버스트 디인터리버(313b), 심볼 인터리버(313g), 로버스트 인터리버(313d), 제2 디코더(313c), 프레임 포맷터(313e)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로버스트 디코더(313)는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에 도 13에 예시한 로버스트 처리부(207)이 사용되었을 경우에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로버스트 디코더(313)는 도 15에 도시한 로버스트 디코더(313)와 유사한 구성을 갖으며, 여기에서는 차이가 나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1 디코더(313a)에 의한 디코딩 값은 심볼 단위이고, 심볼 디인터리버(313f)에서 바이트 단위로 변환된 후, 로버스트 디인터리버(313b)에 의해 디인터리빙된다. 또한, 제2 디코더(313c)에 의한 디코딩 값은 바이트 단위이고, 로버스트 인터리버(313d)에 의해 인터리빙 된 후, 심볼 인터리버(313g)에 의해 심볼 단위로 변환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로버스트 스트림 코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도 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로버스트 스트림 코딩 방법을 설명하되, 도 10과 같이 구성되는 로버스트 처리부(207)에서의 로버스트 스트림 코딩 방법을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듀얼전송스트림은 로버스트 처리부(207)에 입력되기 이전에, 랜덤화, 패리티 영역 생성, 인터리빙 과정을 거치고, 듀얼전송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로버스트 스트림은 로버스트 처리부(207)에서 코딩된다.
로버스트 처리부(207)에 듀얼전송스트림이 입력되면, N/R 디먹스(207a)에서 듀얼전송스트림을 디멀티플렉싱하여 노멀 스트림과 로버스트 스트림을 분리한다. 또한, N/R 디먹스(207a)는 분리된 로버스트 스트림을 심볼 단위로 변환하고, 노멀 스트림은 직접 N/R 먹스(207e)로 제공하고, 로버스트 스트림만 로버스트 인코더(207b)로 제공한다(S400).
로버스트 인코더(207b)에서는 N/R 디먹스(207a)로부터 입력된 로버스트 스트림에 패리티를 부가하고(S410), 로버스트 인터리버(207c)에서는 패리티가 부가된 로버스트 스트림을 인터리빙한다(S420).
심볼 디인터리버(207d)에서 인터리빙된 심볼 단위의 로버스트 스트림을 디인터리빙한다. 이때, 심볼 디인터리버(207d)는 로버스트 스트림을 바이트 단위로 변환하여 출력한다(S430).
N/R 디먹스(207a)에서 분리된 로버스트 스트림은 로버스트 인코더(207b), 로 버스트 인터리버(207c), 및 심볼 디인터리버(207d)를 거친 후, N/R 먹스(207e)로 입력되며, N/R 먹스(207e)에서는 N/R 디먹스(207a)로부터 입력된 노멀 스트림과 심볼 디인터리버(207d)로부터 입력된 로버스트 스트림을 멀티플렉싱한다(S440).
이후, N/R 먹스(207e)에 의해 멀티플렉싱된 듀얼전송스트림은 디인터리빙, RS 인코딩, 인터리빙, 트렐리스 인코딩, 멀티플렉싱, 및 변조 과정을 거쳐 송신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로버스트 스트림 디코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디지털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듀얼전송스트림은 도 14에 예시한 바와 같은 디지털 수신 장치에 의해 수신된다. 이때, 듀얼전송스트림은 복조, 등화 과정을 거치고, 듀얼전송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로버스트 스트림은 로버스트 디코더(313)로 입력되어 디코딩된다. 여기에서는, 도 16에 예시한 로버스트 디코더(313)에서의 로버스트 스트림 디코딩 방법을 설명한다.
로버스트 디코더(313)에 입력된 로버스트 스트림은 제1 디코더(313a)에서 트렐리스 디코딩되고(S500), 트렐리스 디코딩된 로버스트 스트림은 로버스트 디인터리버(313b)에서 디인터리빙된다(S510).
또한, 디인터리빙된 로버스트 스트림은 제2 디코더(313c)에서 컨벌루션 디코딩되고(S520), 컨벌루션 디코딩된 로버스트 스트림은 심볼 인터리버(313g)에서 인터리빙된다(S530).
상기와 같은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제1 디코더(313a), 및 제2 디코더(313c) 간의 정보 교환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정보 교환이 완료되면(S540-Y), 프레임 포맷터(313e)에서 프레임 중 로버스트 스트림의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 제2 디코더(313c)의 디코딩 값을 추가하고(S550), 제1 디코더(313a) 및 프레임 포맷터(313e)에서 각각 노멀 스트림 및 로버스트 스트림을 출력한다(S560).
만약, S540 단계에서, 정보 교환이 완료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정보 교환이 완료될 때까지 제1 제1 디코더(313a), 및 제2 디코더(313c)간에 형성된 루프를 통해 정보 교환이 계속 수행된다.
로버스트 디코더(313)로부터 노멀 스트림 및 로버스트 스트림이 출력되면, 노멀 스트림은 디인터리빙, RS 디코딩, 역랜덤화 과정을 거치고, 로버스트 스트림은 디인터리빙, 패리티 제거, 역랜덤화, 디멀티플렉싱 과정을 거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송신 및 수신 장치 그리고 그에 적용되는 로버스트 스트림 코딩 및 디코딩 방법은 다양한 레이트로 듀얼전송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로버스트 스트림의 성능 개선을 위한 추가 코딩을 구현하더라도 수신기의 구조가 복잡해지지 않으며, 기존 송신 및 수신 장치와의 호환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6)

  1. 노멀 스트림(Normal Stream) 및 로버스트 스트림(Robust Stream)이 결합되어 있는 듀얼전송스트림(Dual Transport Stream) 중 상기 로버스트 스트림을 코딩하는 로버스트 처리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버스트 처리부는,
    상기 듀얼전송스트림으로부터 상기 노멀 스트림과 상기 로버스트 스트림을 분리하는 디먹스(DE-MUX);
    상기 분리된 로버스트 스트림에 패리티를 부가하는 로버스트 인코더;
    상기 패리티가 부가된 로버스트 스트림을 인터리빙하는 로버스트 인터리버; 및
    상기 인터리빙된 로버스트 스트림 및 분리된 노멀 스트림을 결합하는 먹스(MUX);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먹스는, 상기 분리된 로버스트 스트림을 심볼 단위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리빙된 심볼 단위의 로버스트 스트림을 디인터리빙하는 심볼 디인 터리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 디인터리버는,
    상기 노멀 스트림 및 상기 로버스트 스트림을 결합하는 N/R 먹스;
    상기 결합된 노멀 스트림 및 로버스트 스트림을 바이트 단위로 변환하는 바이트/심볼 변환부; 및
    상기 바이트 단위로 변환된 노멀 스트림 및 로버스트 스트림을 분리하는 N/R 디먹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버스트 인코더는 재귀적 조직 길쌈 부호(RSC Code : Recursive Systematic Code) 형태의 인코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
  6.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에서 노멀 스트림 및 로버스트 스트림이 결합되어 있는 듀얼전송스트림 중 상기 로버스트 스트림의 코딩 방법에 있어서,
    상기 듀얼전송스트림으로부터 상기 노멀 스트림과 상기 로버스트 스트림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로버스트 스트림에 패리티를 부가하는 단계;
    상기 패리티가 부가된 로버스트 스트림을 인터리빙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리빙된 로버스트 스트림 및 분리된 노멀 스트림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버스트 스트림의 코딩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노멀 스트림과 상기 로버스트 스트림을 분리하는 단계에서, 상기 분리된 로버스트 스트림을 심볼 단위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버스트 스트림의 코딩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리빙된 심볼 단위의 로버스트 스트림을 디인터리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버스트 스트림의 코딩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로버스트 스트림을 디인터리빙하는 단계는,
    상기 노멀 스트림 및 상기 로버스트 스트림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결합된 노멀 스트림 및 로버스트 스트림을 바이트 단위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바이트 단위로 변환된 노멀 스트림 및 로버스트 스트림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버스트 스트림의 코딩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로버스트 스트림에 패리티를 부가하는 단계에서, 재귀적 조직 길쌈 부호(RSC Code : Recursive Systematic Code) 형태의 인코더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버스트 스트림의 코딩 방법.
  11. 노멀 스트림 및 로버스트 스트림이 결합되어 있는 듀얼전송스트림 중 상기 로버스트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로버스트 디코더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버스트 스트림을 트렐리스 디코딩하는 제1 디코더;
    상기 트렐리스 디코딩된 로버스트 스트림을 디인터리빙하는 로버스트 디인터리버;
    상기 디인터리빙된 로버스트 스트림을 컨벌루션 디코딩하는 제2 디코더;
    상기 컨벌루션 디코딩된 로버스트 스트림을 인터리빙하는 로버스트 인터리버;
    상기 노멀 스트림과 상기 로버스트 스트림이 혼합되어 있는 프레임 중 상기 로버스트 스트림의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 상기 제2 디코더의 디코딩값을 추가하는 프레임 포맷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코더 및 상기 제2 디코더간의 상기 로버스트 디인터리버 및 상기 로버스트 인터리버를 통한 정보 교환이 완료되면, 상기 제1 디코더의 디코딩 값은 상기 노멀 스트림 수신에 사용되도록 출력되고, 상기 제2 디코더의 디코딩 값은 상기 프레임 포맷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코더의 디코딩 값을 바이트 단위로 변환하는 심볼 디인터리버; 및
    상기 제2 디코더의 디코딩 값을 심볼 단위로 변환하는 심볼 인터리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14.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에서 노멀 스트림 및 로버스트 스트림이 결합되어 있는 듀얼전송스트림 중 상기 로버스트 스트림의 디코딩 방법에 있어서,
    상기 로버스트 스트림을 트렐리스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트렐리스 디코딩된 로버스트 스트림을 디인터리빙하는 단계;
    상기 디인터리빙된 로버스트 스트림을 컨벌루션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디인터리빙된 로버스트 스트림을 인터리빙하는 단계; 및
    상기 노멀 스트림과 상기 로버스트 스트림이 혼합되어 있는 프레임 중 상기 로버스트 스트림의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 상기 컨벌루션 디코딩된 값을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버스트 스트림의 디코딩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렐리스 디코딩된 값은 상기 노멀 스트림 수신에 사용되도록 출력되고, 상기 컨벌루션 디코딩된 값은 상기 로버스트 스트림의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버스트 스트림의 디코딩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코더의 디코딩 값을 바이트 단위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코더의 디코딩 값을 심볼 단위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버스트 스트림의 디코딩 방법.
KR1020060070711A 2006-02-06 2006-07-27 디지털 방송 송신 및 수신 장치 그리고 그에 적용되는로버스트 스트림 코딩 및 디코딩 방법 KR100777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708763A EP1982521B1 (en) 2006-02-06 2007-02-05 Digital broadcast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CN2007800019167A CN101366280B (zh) 2006-02-06 2007-02-05 数字广播发送和接收系统
BRPI0707662-2A BRPI0707662A2 (pt) 2006-02-06 2007-02-05 sistema de transmissço e recpÇço de difusço digital
PCT/KR2007/000613 WO2007091809A1 (en) 2006-02-06 2007-02-05 Digital broadcast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CA002637801A CA2637801A1 (en) 2006-02-06 2007-02-05 Digital broadcast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EP07708785A EP1982523B1 (en) 2006-02-06 2007-02-06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apparatus and robust stream decoding method thereof
BRPI0707519-7A BRPI0707519A2 (pt) 2006-02-06 2007-02-06 aparelho de recepÇço de difusço digital e mÉtodo de decodificaÇço de fluxo robusto do mesmo
EP07708784.9A EP1982522B1 (en) 2006-02-06 2007-02-06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apparatus and robust stream decoding method thereof
CN2007800029366A CN101371582B (zh) 2006-02-06 2007-02-06 数字广播接收设备及其鲁棒流解码方法
PCT/KR2007/000635 WO2007091821A1 (en) 2006-02-06 2007-02-06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apparatus and robust stream decoding method thereof
CA2637804A CA2637804C (en) 2006-02-06 2007-02-06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apparatus and robust stream decoding method thereof
BRPI0707663-0A BRPI0707663A2 (pt) 2006-02-06 2007-02-06 aparelho de recepÇço de difusço digital e mÉtodo de decodificaÇço de fluxo robusto do mesmo
CA2637211A CA2637211C (en) 2006-02-06 2007-02-06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apparatus and robust stream decoding method thereof
PCT/KR2007/000634 WO2007091820A1 (en) 2006-02-06 2007-02-06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apparatus and robust stream decod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6517506P 2006-02-06 2006-02-06
US60/765,175 2006-02-06
US11/416,250 US7840866B2 (en) 2006-02-06 2006-05-03 Digital broadcasting transmission apparatus and robust stream coding method thereof
US11/416,256 2006-05-03
US11/416,256 US7620102B2 (en) 2006-02-06 2006-05-03 Digital broadcast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US11/416,250 2006-05-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195A KR20070080195A (ko) 2007-08-09
KR100777447B1 true KR100777447B1 (ko) 2007-11-21

Family

ID=38600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711A KR100777447B1 (ko) 2006-02-06 2006-07-27 디지털 방송 송신 및 수신 장치 그리고 그에 적용되는로버스트 스트림 코딩 및 디코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74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1247A (ko) * 2005-04-21 2006-10-2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 송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130450A (ko) * 2005-06-14 2006-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송신 및 수신 방법과 장치 및 이의 전송 스트림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1247A (ko) * 2005-04-21 2006-10-2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 송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130450A (ko) * 2005-06-14 2006-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송신 및 수신 방법과 장치 및 이의 전송 스트림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195A (ko) 200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4039B1 (ko) 디지털 방송 송신기 및 수신기와 그 스트림 처리방법들
JP5221498B2 (ja) 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A2637804C (en)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apparatus and robust stream decoding method thereof
KR20050122023A (ko) 수신 성능 및 등화 성능이 향상된 디지털 방송 송수신시스템 및 그의 신호처리방법
KR100698613B1 (ko) 수신 성능이 향상된 디지털 방송 송수신기 및 그의신호처리방법
KR101369838B1 (ko) 전송 스트림 생성장치,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이들이포함된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77447B1 (ko) 디지털 방송 송신 및 수신 장치 그리고 그에 적용되는로버스트 스트림 코딩 및 디코딩 방법
KR100740226B1 (ko)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1358722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그 스트림 처리 방법
KR101393016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그 스트림 처리 방법
KR101358292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그 스트림 처리 방법
KR101358720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그 스트림 처리 방법
KR101360002B1 (ko) 디지털 방송 송신 시스템 및 그 스트림 처리 방법
KR100811186B1 (ko)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장치 및 방법
MX2008009951A (en) Digital broadcast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MX2008009953A (en)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apparatus and robust stream decod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