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6310B1 - 전원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전원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6310B1
KR100776310B1 KR1020070004737A KR20070004737A KR100776310B1 KR 100776310 B1 KR100776310 B1 KR 100776310B1 KR 1020070004737 A KR1020070004737 A KR 1020070004737A KR 20070004737 A KR20070004737 A KR 20070004737A KR 100776310 B1 KR100776310 B1 KR 100776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insulator
center terminal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4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7660A (ko
Inventor
강준구
Original Assignee
강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준구 filed Critical 강준구
Priority to KR1020070004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6310B1/ko
Publication of KR20070027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7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6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6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36Hair curlers or hair winders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drying means, e.g. electric, using chemical rea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퍼머용 롯드와 같이 착탈에 의해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에 사용되는 전원 잭 사이의 접속 작업을 간편하게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해결 방법의 요지는 소정 길이의 제1중심 단자가 구비되고, 제1중심 단자의 외주연에는 제1절연체가 형성되며, 제1절연체의 외주연에는 제1외곽 단자가 구비된 제1접속구와, 제1접속구의 제1중심 단자에 접속 및 분리 가능한 제2중심 단자가 구비되고, 제2중심 단자의 외주연에는 제2절연체가 형성되며, 제2절연체의 외주연에는 제1외곽 단자에 접속 및 분리 가능한 제2외곽 단자가 구비된 제2접속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자가 자성체로 되는 전원 연결 구조가 개시된다.
퍼머용 롯드, 전원 잭, 단자, 전선, 자성체

Description

전원 연결 구조{Electric power supply structure}
도 1은 종래의 퍼머용 롯드의 전원 연결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 연결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2c는 주요부 결합 확대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a의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원 연결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b는 결합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원 연결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b는 주요부 평면도이며, 도 5c는 결합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원 연결 구조를 도시한 일부 파단 사시도로서, 도 6a는 접속전의 분리 상태를 도 6b는 접속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300, 400; 본 발명에 의한 전원 연결 구조
110, 210, 310, 410; 제1접속구 111, 211, 411; 제1중심 단자
112, 212, 412; 제1절연체 113, 213, 413; 제1외곽 단자
114; 원통형 커버 115,116; 전선
120, 220, 320, 420; 제2접속구 121, 221, 421; 제2중심 단자
122, 322, 422; 제2절연체 123, 223, 423; 제2외곽 단자
125, 126, 215, 315,316, 325, 326, 415, 416; 전선
130; 롯드 140, 340; 전원 잭
225; 공간 226; 스프링
311; 제1단자 312; 보조 단자
313; 제1절연체 321; 제2단자
427; 테이퍼면
φ1; 제1중심 단자의 외경 φ2; 제2중심 단자의 내경
π; 제1,2외곽 단자 각각의 경사각 L; 제1중심단자의 길이
본 발명은 전원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퍼머용 롯드와 같이 착탈에 의해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에 사용되는 전원 잭 사이의 접속 작업을 간편하게 하는 전원 연결 구조에 관한 발명이다.
자동화된 대부분의 장치는 전원에 의하여 동작되는데, 예컨대 퍼머용 롯드와 같이 작은 장치에는 전원의 공급을 자체적으로 연결/단락 하는 스위치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며, 따라서 이들에는 암수의 연결 잭(Jack)을 꽂거나 빼 는 것으로 전원을 공급/차단하도록 조작된다.
그런데, 퍼머를 할 때 머리카락의 웨이브를 주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퍼머용 기구인 롯드는 대체적으로는 원통형을 이루는 몸체로 구성되면서도 몸체의 양 측단부에 각각 원주방향으로 고무줄을 걸 수 있는 다수개의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롯드를 사용할 시에는 일정량의 머리카락 다발을 퍼머지(紙)나 또는 천 등으로 싸서 롯드의 외주연에 감은 다음, 양측 돌기들을 이용하여 머리카락을 고무줄로 고정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퍼머 액을 사용하여 퍼머를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용되는 일반적인 롯드의 구조는 단순히 머리카락을 감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퍼머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고, 웨이브가 고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웨이브의 다양한 연출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롯드의 내부에 전원의 공급에 의해 발열되는 히터를 구비하여 퍼머와 드라이를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퍼머 시간을 단축하고 다양한 웨이브의 연출이 가능토록 하는 롯드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퍼머용 롯드는 양 측단에 고무를 걸 수 있는 걸고리가 형성되는 원통형을 이루면서 내부에는 전원의 공급에 의해 히팅되는 히터가 설치되고, 그 일측단에는 내부의 히터와 연결되는 +, - 연결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됨으로써 사용 시에는 별도의 퍼머기와 전선으로 연결된 전원 잭을 상기 연결단자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퍼머용 롯드의 전원 연결 구조(1)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퍼머용 롯드의 전원 연결 구조(1)는 원통형 지지체에 히 터 코일이 권선된 히터(2)와, 상기 히터(2)를 외부에서 대략 원통 형태로 감싸며 양단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케이스(3)와, 상기 케이스(3)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2)와 전선(4)으로 연결된 제1연결 단자(5), 제2연결 단자(6) 및 그 사이에 절연체(7)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제1접속구(8)와, 상기 제1접속구(8)를 히터의 바깥인 동시에 케이스의 내측에 고정시키는 커버(9)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접속구(8)는 대략 원통 파이프 형태로 되어 있으며, 가장 내측에 제1연결 단자(5)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 단자(5)의 외주연을 절연체(7)가 감싸고 있으며, 상기 절연체(7)의 외주연을 다시 제2연결 단자(6)가 감싸는 형태를 한다. 물론, 상기 제1연결 단자(5) 및 제2연결 단자(7)는 각각 전선(4)을 통하여 히터(2)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전원 잭(10)은 상기 제1접속구(8)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돌기 형태로 형성된 제1연결 단자(11), 상기 제1연결 단자(5) 외측에 대략 원통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 제2연결 단자(12), 상기 제2연결 단자(12)를 감싸는 절연 커버(13)로 이루어진 제2접속구(14)와, 상기 제2접속구(14)의 후단에 형성됨 몸체(15)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상기 제1연결 단자(11) 및 제2연결 단자(12)에는 몸체(15)를 통하여 전선(16)이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종래에는 전원 잭(10)의 제1연결 단자(11)가 롯드의 제1연결 단자(5)에 결합되도록 하고, 전원 잭(10)의 제2연결 단자(12)가 롯드의 제2연결 단자(6)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전원 잭(10)에 의해 롯드의 히터(2)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미용실에서 퍼머를 할 경우 상기와 같은 롯드(1)를 대략 30~40개 정도 구비하여 머리카락을 일일이 와인딩한 후, 이어서 각각의 롯드(1)에 전원 잭(10)을 결합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 전원 연결 구조(1)는 사용자가 일일이 롯드의 제1접속구(8)와, 전원 잭(10)의 제2접속구(14)를 정확히 맞춘 후 일정한 힘을 주워 상호 결합해야 함으로써, 그 결합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접속 작업도 힘이 들고 불편한 문제가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전원 접속 작업이 쉽지 않음으로써, 롯드(1)와 전원 잭(10) 사이의 접속 작업 중 이미 와인딩된 머리카락이 뽑히거나 헝클어지는 경우도 많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 외에도 종래의 롯드는 그 내부의 구성이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아 제조 및 조립성이 좋지 못하여 고가인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 전기기구의 전원 잭으로서 그 사이의 접속 작업이 편리한 전원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전원 연결 구조는, 소정 길이의 제1중심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제1중심 단자의 외주연에는 제1절연체가 형성되며, 상기 제1절연체의 외주연에는 제1외곽 단자가 구비된 제1접속구와, 상기 제1접속구의 제1중심 단자에 접속 및 분리 가능한 제2중심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제2중 심 단자의 외주연에는 제2절연체가 형성되며, 상기 제2절연체의 외주연에는 상기 제1외곽 단자에 접속 및 분리 가능한 제2외곽 단자가 구비된 제2접속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접속구의 제1중심 단자, 제1외곽 단자, 제2접속구의 제2중심단자 및 제2외곽단자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자성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접속구의 제1중심 단자 또는 제1외곽단자 및 이들 양자 모두의 후단에는 상기 제1절연체에 의해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절연체의 소정 공간에는 상기 제1중심 단자 또는 제1외곽단자 각각이나 이들 양자 모두에 그들을 전방으로 탄지하는 스프링이 더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2접속구의 제2중심 단자 및/또는 제2외곽단자들과의 결합 시 상기 제1중심 단자 및/또는 제1외곽단자가 후퇴하면서 상기 스프링이 압축될 수 있다.
또한, 청구하지는 않지만, 상기 제1중심 단자에는 상기 스프링을 통해 통전하거나 또는 상기 스프링을 관통하여 전선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접속구의 제1외곽 단자 및 제2접속구의 제2외곽 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접속구는 상기 제1외곽 단자의 외주연에 상기 제2접속구의 제2외곽 단자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절연성 원통형 커버가 더 형성되고, 접속시 제2접속구의 선단이 위치되는 원통형 커버의 기단부에 자성체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접속구는 롯드 케이스 일측에 설치된 동시에, 상기 롯드 케이스 내측에 장착된 히터에 제1중심 단자 및 제2외곽 단자가 각각 전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전원 연결 구조는 속이 비어 있는 한 쌍의 제1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각 제1단자의 내측에는 보조 단자가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제1중심 단자가 상호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그 외주연에 제1절연체가 형성된 제1접속구와, 상기 제1접속구에 구비된 한 쌍의 제1단자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보조 단자에 접촉 및 분리되는 한 쌍의 제2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제2단자가 상호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그 외주연에 제2절연체가 형성된 제2접속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접속구의 보조 단자 또는 제2접속구의 제2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성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접속구는 롯드 케이스 일측에 설치된 동시에, 상기 롯드 케이스 내측에 장착된 히터에 제1단자가 각각 전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접속구는, 상기 제1접속구에 결합되어 전원을 통전시킬 수 있도록, 전원 잭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전원 연결 구조는 소정 길이의 제1중심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제1중심 단자의 뿌리 측 외주연에는 제1절연체가 형성되며, 상기 제1절연체의 외주연에는 제1외곽 단자가 구비된 제1접속구와, 상기 제1접속구의 제1중심 단자가 삽입되어 전기적인 접속이 가능한 제2중심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제2중심 단자의 외주연에는 제2절연체가 형성되며, 상기 제2절연체의 외주연에는 상기 제1외곽 단자에 접속 및 분리 가능한 제2외곽 단자가 구비된 제2접속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접속구의 제1외곽 단자 또는 제2접속구의 제2외곽단자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가 자성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중심단자의 외경(φ1)보다 상기 제 2중심단자의 내경(φ2)을 약간 크게 형성하고, 상기 제1외곽단자 또는 상기 제2외곽단자 중 어느 하나의 접촉면에 경사각 π≥tan-1{(φ2 - φ1)/2L}로 되는 테이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원 연결 구조는 예컨대 퍼머용 롯드에 적용되는 경우, 롯드의 제1접속구 또는 전원 잭의 제2접속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자성체를 설치함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전원 잭을 쉽게 결합/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이 접속 작업이 쉬움으로써, 롯드와 전원 잭의 결합 작업 중 이미 와인딩된 머리카락에 무리한 힘이 작용되어 뽑히거나 헝클어지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전원 연결 구조는 그 내부의 구성이 단순하고 부품수가 적어서 제조 비용이 싸고 또한 조립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본 발명의 기본구조를 퍼머용 롯드에 적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 연결 구조를 단면도로서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c는 주요부 결합 확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도 2a의 주요부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퍼머용 롯드(130)에 연결되는 상태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적용 대상물을 이로서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원 연결 구조(100)는 제1접속구(110) 및 제2접속구(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접속구(110)는 전기장치 예컨대 퍼머용 롯드(130)의 케이스(131)의 일측에 설치되어, 히터(132)에 전선(115,116)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접속구(120)는 전원 잭(140)의 몸체(141) 일측에 설치되어 전선(125,126)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접속구(110)는 제1중심 단자(111), 제1절연체(112) 및 제1외곽 단자(1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중심 단자(111)는 소정 길이를 가지며 일단의 직경이 다른 영역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제1중심 단자(111)의 끝단에는 히터(132)에 연결되는 전선(115)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절연체(112)는 제1중심 단자(111)를 대략 감싼다. 그러나, 상기 제1중심 단자(111)의 앞단과 끝단은 상기 제1절연체(112)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제1외곽 단자(113)는 상기 제1절연체(112)의 외주연에 대략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외곽 단자(113)는 도전체인 동시에 자성체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외곽 단자(113)에는 히터(132)에 연결되는 전선(116)이 연결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제1외곽 단자(113)의 외주연에는 절연성 원통형 커버(114)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원통형 커버(1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롯드(130)의 케이스의(131) 일측에 결합 또는 일체로 설치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상기 제1접속구(110)가 롯드(130) 의 케이스(131)에 고정되고 절연을 완벽히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접속구(120)는 제2중심 단자(121), 제2절연체(122) 및 제2외곽 단자(123)를 포함한다. 상기 제2중심 단자(121)는 소정 길이를 가지며 형성된 동시에, 상기 제1중심 단자(111)에 접속 및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물론, 이러한 제2중심 단자(121)의 직경은 상기 제1중심 단자(111)의 직경과 거의 유사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끝단에는 전선(125)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절연체(122)는 상기 제2중심 단자(121)를 대략 감싼다. 그러나, 상기 제2중심 단자(121)의 앞단과 끝단은 상기 제2절연체(122)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제2외곽 단자(123)는 상기 제2절연체(122)의 외주연에 대략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이러한 제2외곽 단자(123)는 도전체인 동시에 자성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외곽 단자(113)가 도전성 자성체이면 상기 제2외곽 단자(123)는 도전성 비자성체일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상기 제2외곽 단자(123)가 도전성 자성체이면 상기 제1외곽 단자(113)는 도전성 비자성체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외곽 단자(113) 및 제2외곽 단자(123)는 도전성으로 서로 극성이 다른 자성체일 수도 있다.
여기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접속구(110)의 제1중심 단자(111)는 제2접속구(120)의 제2중심 단자(121)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접속구(110)의 제1절연체(112)는 제2접속구(120)의 제2절연체(122)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접속구(110)의 제1외곽 단자(113)는 제2접속구(120)의 제2외곽 단자(123)에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롯드(130)의 케이스(131)에 설치된 제1접속구(110)는 전원 잭(140)의 몸체(141)에 설치된 제2접속구(120)와 근접되면 자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접합되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전원 잭(140)을 통하여 상기 롯드(130)는 소정 전원을 인가 받는다.
한편, 상기 제1접속구(110)의 원통형 커버(114) 내측으로는 제2접속구(120)의 제2외곽 단자(123)가 결합됨으로써, 제2접속구(120)의 각 단자(121, 123)들이 그에 대응하는 제1접속구(110)의 각 단자(111, 113)들과 정합(整合)되도록 가이드 하게 하며, 또한 제1접속구(110)로부터 제2접속구(120)가 잘 분리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제1접속구(110)의 제1외곽 단자(113) 및/또는 제2접속구(120)의 제2외곽 단자(123)는 자성체이기 때문에 그 자체의 성질로 인하여 한번 결합되면 소정의 접합력을 계속적으로 유지함으로 상호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더불어, 이와 같이 상기 제1접속구(110)의 제1외곽 단자(113) 및/또는 제2접속구(120)의 제2외곽 단자(123)는 자성체이기 때문에 상호간의 결합 작업에 드는 힘은 전혀 없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각 단자(111, 113, 121, 123)들은 통전체임으로 자성체로서 기능하는 경우 자계간섭으로 자력이 떨어질 수 있으며, 특히, 통전 시 스파크가 발생되면 자력이 손쉽게 열화될 수 있으므로, 원통형 커버(114)의 기단부에 자성체가 설치되어 있으며, 접속시 제2접속구의 선단을 인입하여 통전상태로 유지하도록 하여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다.
더불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외곽 단자(113){또는 제2외곽 단자(123)}는 대략 원형 링 형태이거나 또는 대략 직사각 형태 즉, 부분적으로만 자성체일 수도 있으나, 여기서 그 제1외곽 단자(113){또는 제2외곽 단자(123)}의 형상을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원 연결 구조가 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고, 도 4b를 참조하면, 그 결합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전원 연결 구조(200)는 상술한 전원 연결 구조(100)와 유사하므로 유사한 요소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는 생략하며, 여기서는 그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속구(210)의 제1중심 단자(211)의 후단에는 상기 제1절연체(212)에 의해 소정 공간(225)이 더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절연체(212)의 소정 공간(225)에는 스프링(226)이 더 설치되어 있다. 물론, 상기 스프링(226)의 일측에는 상기 제1중심 단자(211) 및/또는 제1외곽단자(213)가 위치될 수 있는데, 도 4a, 도 4b에서는 제1중심 단자(211)가 위치되도록 도시하였다. 더욱이, 상기 제1중심 단자(211)에는 상기 스프링(226)을 관통하여 전선(215)이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중심 단자(211)는 제2외곽 단자(223)보다 약간 더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2접속구(220)가 제1접속구(210)에 결합하게 되면, 먼저 상기 제2접속구(220)의 제2중심 단자(221)가 상기 제1접속구(210)의 제1중심 단자(211)를 일측으로 밀게 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중심 단자(211)의 후부에 스프링(226)이 설치된 경우에는 이 스프링(226)을 압축되면서 상기 제1중심 단자(211)가 소정 거리 후퇴하게 되고, 또한 제2접속구(220)의 제2외곽 단자(223)가 제1접속구(210)의 제1외곽 단자(213)에 접속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상기 제2접속구(220)의 제2중심 단자(221)가 먼저 제1접속구(210)의 제1중심 단자(211) 에 접속되고, 이어서 제2외곽 단자(223)가 제1외곽 단자(213)에 접속되며, 이는 폭이 좁아 접촉면적이 작을 수 있는 제1중심 단자(211)가 먼저 접속되고 최후로 단락 되도록 하여 통전의 확실성을 담보하면서 접속시 전기적 스파크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기 제1외곽 단자(213) 및 제2외곽 단자(223)를 - 극성으로 하게 되면, 상호간의 접속시 전기적 스파크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원 연결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b는 주요부 평면도이며, 도 5c는 결합 단면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원 연결 구조(300) 역시 제1접속구(310)와 제2접속구(3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접속구(310)는 속이 비어 있는 한 쌍의 제1단자(311)와, 상기 각 제1단자(311)의 내측에 설치된 보조 단자(312)와, 상기 한 쌍의 제1중심 단자(311)가 상호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그 외주연에 형성된 제1절연체(313)를 포함한다.
또한, 제2접속구(320)는 상기 제1접속구(310)에 구비된 한 쌍의 제1단자(311)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보조 단자(312)에 접촉 및 분리되는 한 쌍의 제2단자(321)와, 상기 한 쌍의 제2단자(321)가 상호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그 외주연에 형성된 제2절연체(3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접속구(310)의 보조 단자(312) 또는 제2접속구(320)의 제2단자(321)들은 도전체이면서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성체일 수 있다. 도면 중 미 설명 부호 315,316 및 325,326은 전선이다.
더불어, 본 발명을 퍼머용 롯드에 적용하는 경우라면, 상기 제1접속구(310)는 롯드의 케이스 일측에 설치된 동시에, 상기 롯드의 케이스 내측에 장착된 히터에 제1단자(311)가 각각 전선(315,116)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접속구(320)는, 상기 제1접속구(310)에 결합되어 전원을 통전시킬 수 있도록, 전원 잭(340)의 일측에 설치된 동시에 전선(325,126)에 연결될 수 있어서 퍼머용 롯드에 그대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이고 있다.
이어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접속구(310)의 제1단자(311)에 제2단자(321)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단자(311) 내측에 설치된 보조 단자(312)가 자성체이므로, 상기 제2단자(321)는 상기 보조 단자(312)에 자기력으로 강하게 접속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제2접속구(320)를 제1접속구(310)에 살짝만 결합시켜도 상기 보조 단자(312)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제2접속구(320)의 제2단자(321)가 상기 제1단자(311) 내측에 강하게 결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원 연결 구조를 도시한 일부 파단 사시도로서, 도 6a는 접속전의 분리 상태를 도 6b는 접속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원 연결 구조(400) 역시 제1접속구(410)와 제2접속구(4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접속구(410)는 뿌리 측으로부터 일정 길이(L)만큼 돌출 되는 제1중심 단자(411)와, 상기 제1중심 단자(411)의 외주를 둘러쌓는 제1절연체(412)와, 상 기 제1절연체(412)에 선단면만 노출되게 삽입된 환상(環狀)의 제1외곽단자(413)를 포함한다.
또한, 제2접속구(420)는 상기 제1접속구(410)에 구비된 제1중심단자(411)가 삽입되는 구멍을 가지는 제2중심단자(421)를 형성하여 제1중심단자(411)가 제2중심단자(421)에 삽입됨으로서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는데, 이는 제1중심단자(411)의 돌기 또는 제2중심단자(421)의 구멍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테이퍼를 형성하여 제1중심단자(411)가 제2중심단자(421)에 진입되기 전에는 약간의 이격(내경보다 외경을 작게 함)거리를 두어도 점점 진입될수록 좁아져서 제1중심단자(411)의 뿌리부분이 제2중심 단자(421)의 선단면과 밀착될 때는 제1중심단자(411)의 외경과 제2중심 단자(421)의 내경이 일치하거나 외경을 약간 크게 함으로서 전기적인 접촉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때 내외경이 일치하는 면적을 어느 정도 확보함이 통전면적을 넓혀서 임피던스를 줄여줌으로 긴요하며, 상기 제2중심 단자(421)의 외주에 제2절연체(422)를 개재하여 제2외곽 단자(423)를 구비하여 제1외곽 단자(413)와 면착되어 통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게다가, 상기 제1접속구(410)의 제1외곽 단자(413) 또는 제2접속구(420)의 제2외곽 단자(423) 중 어느 하나를 자성체로 하고 나머지 하나는 도자체(導磁體)로 하거나 또는 하나는 N극 다른 하나는 S극인 자성체(磁性體)로 하여, 외곽 단자(413, 423)간에 자력에 의해 접촉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중심 단자(411)의 외경(φ1)보다 상기 제2중심 단자(421)의 내경(φ2)을 약간 크게 형성하고, 상기 제1외곽 단자(413) 또는 상기 제2외곽 단자(423) 중 어느 하나의 접촉면에 경사각 π≥tan-1{(φ2 - φ1)/2L}로 되는 테이퍼면(427; 제1중심 단자 측의 테이퍼면은 도시하지 않음)을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중심 단자(411)가 돌출 되는 돌기형으로 되고, 제2중심 단자(421)는 구멍을 가지도록 되어 대량생산 시 가공 오차가 발생되는 것을 감안하여 삽입이 잘 되도록 제1중심 단자(411)의 외경보다 제2중심 단자(421)의 내경을 약간 크게 함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중심 단자(411, 421)간에는 (φ2 - φ1)/2L만큼의 거리가 이격됨으로 전기적 접속을 확보하기 위하여 접촉면 중 어느 한 쪽을 테이퍼면(427)으로 하여 제1중심 단자(411)가 제2중심 단자(421)내에서 기울어져서 선단이 접촉이 되도록 하면서 테이퍼면(427)도 접속이 계속 유지되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때, 테이퍼면(427)은 전면을 모두 테이퍼면으로 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는 평면으로 남겨서 가공 공차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연결 구조는 제1접속구 또는 전원 잭의 제2접속구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자성체를 설치함으로써, 힘들이지 않고 자동으로 전원 잭을 쉽게 결합하고 또한 작은 힘으로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이 접속/분리작업이 쉬움으로써, 퍼머용 롯드에 적용된 경우 에 전원 잭의 결합 작업 중 이미 와인딩된 머리카락에 무리한 힘을 가하여 뽑히거나 헝클어지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전원 연결 구조는 그 내부의 구성이 단순하고 부품수가 적어서 제조 비용이 싸고 또한 조립하기 쉬운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연결 구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2)

  1. 삭제
  2. 소정 길이의 제1중심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제1중심 단자의 뿌리 측 외주연에는 제1절연체가 형성되며, 상기 제1절연체의 외주연에는 제1외곽 단자가 구비된 제1접속구; 및,
    상기 제1접속구의 제1중심 단자가 삽입되어 전기적인 접속이 가능한 제2중심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제2중심 단자의 외주연에는 제2절연체가 형성되며, 상기 제2절연체의 외주연에는 상기 제1외곽 단자에 접속 및 분리 가능한 제2외곽 단자가 구비된 제2접속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접속구의 제1외곽 단자 또는 제2접속구의 제2외곽단자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가 자성체이고,
    상기 제 1중심단자의 외경(φ1)보다 상기 제 2중심단자의 내경(φ2)을 약간 크게 형성하고, 상기 제1외곽단자 또는 상기 제2외곽단자 중 어느 하나의 접촉면에 경사각 π≥tan-1{(φ2 - φ1)/2L}로 되는 테이퍼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연결 구조.
KR1020070004737A 2007-01-16 2007-01-16 전원 연결 구조 KR100776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737A KR100776310B1 (ko) 2007-01-16 2007-01-16 전원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737A KR100776310B1 (ko) 2007-01-16 2007-01-16 전원 연결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997A Division KR20070027421A (ko) 2005-12-06 2005-12-06 전원 연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7660A KR20070027660A (ko) 2007-03-09
KR100776310B1 true KR100776310B1 (ko) 2007-11-13

Family

ID=38100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4737A KR100776310B1 (ko) 2007-01-16 2007-01-16 전원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631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2145A (ja) * 1998-06-24 2000-0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石吸着型コネクタ
KR200235210Y1 (ko) 2001-02-12 2001-09-29 강재홍 마그네틱 잭
KR200282456Y1 (ko) 2002-04-03 2002-07-19 (주)트윈 세이버 접촉식 잭-플러그
KR20020080766A (ko) * 2001-04-17 2002-10-26 신형진 자석을 이용한 전원접속기구
KR20060018102A (ko) * 2004-08-23 2006-02-28 신형진 부착식 전원접속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2145A (ja) * 1998-06-24 2000-0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石吸着型コネクタ
KR200235210Y1 (ko) 2001-02-12 2001-09-29 강재홍 마그네틱 잭
KR20020080766A (ko) * 2001-04-17 2002-10-26 신형진 자석을 이용한 전원접속기구
KR200282456Y1 (ko) 2002-04-03 2002-07-19 (주)트윈 세이버 접촉식 잭-플러그
KR20060018102A (ko) * 2004-08-23 2006-02-28 신형진 부착식 전원접속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7660A (ko) 200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65582U (ja) 太陽光発電装置における電力接続用コネクタ
JP2018530302A5 (ko)
US20210066837A1 (en) Detachable power cord structure for portable hair curler
US6604954B2 (en) Power plug with safety feature
KR20070027421A (ko) 전원 연결 구조
KR100776310B1 (ko) 전원 연결 구조
KR101810127B1 (ko) 고전압 커넥터용 와이어 연결장치
KR200401612Y1 (ko) 전원 연결 구조
CN104993443A (zh) 一种快速电缆连接头
CN210838282U (zh) 一种磁吸取电线
CN108777411B (zh) 活动式电源线
KR200463550Y1 (ko) 혼촉 방지가능한 소켓 접속용 주름 절연 캡
CN217134771U (zh) 一种用于马达线的插接件
KR102654073B1 (ko) 플러그-소켓 조립체
CN109326911A (zh) 连接器及充电数据线
CN220138903U (zh) 一种短接组件和短接装置
JP2020503693A (ja) サーマルプロテクタ
KR101198145B1 (ko) 전원플러그
KR200354312Y1 (ko) 전선연결구
CN220400928U (zh) 一种接线装置
CN209786375U (zh) 一种改良式组合数据线
CN206697642U (zh) 一种防触电式单相两极带接地插针
US7862386B2 (en) Power connector and power supply cord set having such power connector
JP3041326U (ja) 中継コネクタ保護カバーを有する電位治療装置
JPS6010069Y2 (ja) 弱電用同軸接続器具における接続コ−ドの芯線の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