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5296B1 - 수송물의 분산처리가 가능한 스크린장치 - Google Patents

수송물의 분산처리가 가능한 스크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5296B1
KR100775296B1 KR1020010075931A KR20010075931A KR100775296B1 KR 100775296 B1 KR100775296 B1 KR 100775296B1 KR 1020010075931 A KR1020010075931 A KR 1020010075931A KR 20010075931 A KR20010075931 A KR 20010075931A KR 100775296 B1 KR100775296 B1 KR 100775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haft
frame
rotary
scree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5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5989A (ko
Inventor
조인수
이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75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5296B1/ko
Publication of KR20030045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5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2Apparatus having only parallel elements
    • B07B1/14Roller screens
    • B07B1/15Roller screens using corrugated, grooved or ribbed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Abstract

제철공장의 원료인 광석을 처리하는 원료처리설비에서 원료들을 파쇄시킨후 입도별로 분류하기 위한 스크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스크린장치(1)는, 모터 구동되고 캠이 장착된 샤프트가 연결되며, 스프링 구조체로 지지되어 모터 구동시 진동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 다단으로 설치되어 슈트를 통하여 유입되는 수송물을 입도별 스크린하는 스크린망(30); 및, 상기 프레임(10)의 상측으로 산형(山形)으로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토록 다수개의 회전샤프트(50)가 대향 설치되고, 상기 회전샤프트(50)의 외주연에 상호 가변틈새(G)를 형성시키면서 상기 회전샤프트(50)와 일체로 회전토록 설치되는 가변형 회전날개(70);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스크린장치에 의하면, 스크린장치의 스크린망에 유입되는 수송물을 스크린망의 전부분에 걸쳐서 분산 유입토록 하는 것이다.
원료, 원료 파쇄장치, 광석, 스크린장치, 스크린

Description

수송물의 분산처리가 가능한 스크린장치{A SCREEN APPARATUS FOR SORTING ORE}
도 1은 일반적인 스크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스크린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 스크린 장치에서 수송물의 집중현상을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송물의 분산처리가 가능한 스크린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인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분해 사시도
(b)는 체인 연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인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7의 (a)-(c)는 본 발명인 장치의 회전샤프트 날개들을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스크린장치 10.... 프레임
12.... 모터 14.... 진동샤프트
16.... 캠 18.... 스프링 지지체
20.... 슈트 22.... 이송 컨베이어
24.... 수송물 30.... 스크린망
50.... 회전샤프트 52.... 서포트 플레이트
54.... 샤프트 축부 56.... 피동 스프로켓
58.... 구동모터 60.... 스프로켓
62.... 구동체인 70.... 가변형 날개
72,74,76.... 제 1-3 날개
본 발명은 제철공장의 원료인 광석을 처리하는 원료처리설비에서 원료들을 파쇄시킨후 입도별로 분류하기 위한 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스크린장치의 상측 슈트에서 스크린장치에 낙하되면서 스크린장치의 중앙부분에 파쇄 투입된 광석이 몰리면서 원료의 스크린작업을 불량하게 하는 것을 방지토록 슈트에서 스크린장치에 투입되는 원료를 스크린장치의 길이방향으로 폭넓게 분산 투입할 수 있도록 한 수송물의 분산처리가 가능한 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에서 원료로 사용되는 광석은 파쇄설비에서 여러 단계의 파쇄작업을 통하여 대략 250㎜의 광석을 고로 및 소결공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적 정입도로 파쇄시키는데, 통상 파쇄기(Crusher)로서 큰 광석을 대략 250㎜로 파쇄시키는 조쇄작업과, 상기 조쇄 작업을 거친 250㎜ 정도의 광석을 8-30㎜ 의 입도로 파쇄시키는 중쇄작업 그리고 마지막으로, 중쇄된 8-30㎜ 크기의 광석을 8㎜이하의 입도로 파쇄하는 분쇄작업을 거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조쇄,중쇄 및 분쇄작업을 거친 파쇄된 광석들은 그 입도크기에 따라 스크린망을 통과시켜 입자별로 눈목 크기에 따라 구분하여야 하는데, 이와 같은 광석들의 입도별 분리에 사용되는 종래의 스크린장치는 도 1 및 도 2 에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 지지구조(110)로 설치된 스크린 프레임(120)의 내측에 분리하고자 하는 메쉬를 갖는 스크린망(130)이 다단으로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20)에 연결된 샤프트(140)의 모타(142)를 가동시키면 상기 샤프트(140)에 설치된 캠(144)의 회전 구동으로 상기 프레임(120)의 스크린망 (130)은 상기 캠(144)의 편심운동에 의하여 스프링(110)의 탄성력으로 진동되면서 그 상부에 슈트(150)를 통하여 투입된 광석등의 수송물(160)이 입도별 분류되고, 최하측의 스크린을 통하여 가장 입도가 작은 수송물이 배출 슈트(170)를 통하여 배출 처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크린망(130)의 진동시 발생되는 회전충격을 흡수하고 프레임 (120)의 고정은 지지스프링(110)으로 하여 진동이 원활해지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크린장치(100)에 있어서는,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슈트(130)를 통하여 수송물 즉, 광석(160)등이 스크린망(130)상 에 투입될 때 수송물(160)이 스크린망(130)의 중앙으로 몰리면서 쌓이기 쉽고, 결국 스크린망(130)의 중앙에만 쌓인 수송물(160)의 스크린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특히 중앙에 쌓이는 수송물(160)중 스크린망(130)에 고착되는 부분이 손쉽게 발생하기 때문에, 수송물(160)의 스크린 작업효율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또한, 수송물(160)이 스크린망(130)의 한부분에만 집중되면서 배출 슈트 (170)측으로 흐르게 되면서 스크린망(130)의 일부분만이 마모되는 편마모현상이 발생되어 심한경우, 상기 스크린망(160)에 구멍이 형성되면서 단계적인 입도분리가 이루어 지지 않고, 큰 광석과 작은 입도의 광석이 혼합되고 심한경우 스크린망 (130)에서 수송물(160)이 넘치면서 원료의 품질을 저하는 물론, 스크린장치 주변의 낙광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초해하는 한편, 스크린망의 손상에 따른 유지 보수작업으로 장치의 가동율이 떨어지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스크린망의 상부에 가변형의 날개를 가진 회전스쿠류를 설치하여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슈트로 부터 투입되는 광석등의 수송물이 스크린망의 전체에 걸쳐서 분산 투입되어 수송물 편중에 따른 스크린망의 광석부착을 방지하고, 스크린망에서 수송물이 넘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스크린장치의 스크린효율을 증대시키는 한편, 스크린망의 손상이 적어 장치 가동율을 향상시키는 수송물의 분산처리가 가능한 스크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모터 구동되고 캠이 장착된 샤프트가 연결되며, 스프링 구조체로 지지되어 모터 구동시 진동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다단으로 설치되어 슈트를 통하여 유입되는 수송물을 입도별 스크린하는 스크린망; 및,
상기 프레임의 상측으로 산형(山形)으로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토록 다수개의 회전샤프트가 대향 설치되고, 상기 회전샤프트의 외주연에 상호 가변틈새를 형성시키면서 상기 회전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토록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상에 유입되는 수송물이 스크린망의 전체에 걸쳐서 분산시키는 가변형 회전날개;로 구성된 수송물의 분산처리가 가능한 스크린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송물의 분산처리가 가능한 스크린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분해 사시도이며, (b)는 체인 연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며, 도 7의 (a)-(c)는 본 발명인 장치의 회전부재 날개들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먼저,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수송물의 분산처리가 가능한 스크린장치(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 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스크린장치(1)는 크게 프레임 (10)과 스크린망(30) 및, 회전부재(50)로 나누어 지는데, 이들 각 구성요소 (10) (30)(50)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인 장치(1)의 상기 프레임(1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프레임(10)은, 모터(12) 구동되고 캠(16)이 장착된 진동 샤프트(14)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모터(12) 구동시 작동하는 캠(16)에 진동을 흡수하고 그 진동을 전달하는 스프링 구조체(18)가 전후 및 좌우측에서 각각 지지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는 이송 컨베이어(22)와 이로 부터 낙하하는 광석등의 수송물(24)을 다음에 설명하는 스크린장치(1)의 스크린망(30)으로 유도하는 슈트(20)가 배치되어 있다.
다음, 도 4 및 도 6에서는 본 발명인 장치(1)의 상기 스크린망(3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스크린망(30)은, 실질적으로 유입되는 수송물 즉, 광석(24)을 조쇄, 중쇄 및 분쇄된 입도가 서로 다른 수송물(24c)(24b)(24a)을 분류 스크린하는 각각의 메쉬를 갖는 스크린망(30)이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 다단으로 설치되어 있다.
다음, 도 5 및 도 6에서는 본 발명인 상기 가변형 회전날개(7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가변형 회전날개(70)는, 상기 프레임(10)의 상측으로 산형(山形)으로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토록 설치된 다수개의 회전샤프트(50)의 외주연에 상호 가변틈새(G)를 형성시키면서 상기 회전샤프트(50)와 일체로 회전토록 설 치되고, 결국 상기 스크린(30)상에 유입되는 수송물은 상기 가변형 회전날개(70)에 의하여 스크린망(30)의 전체에 걸쳐서 분산시키면서 유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5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샤프트(50)는 상기 프레임 (10)의 상부 양측에 산형(山形)으로 장착된 서포트 플레이트(52)에 양측으로 일체로 고정된 축부(54)가 베어링을 개개하여 회전토록 장착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회전샤프트(50)는 상기 산형(山形) 서포트 플레이트(52)의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로 하방 경사지는 제 1,2 회전샤프트군(50a)(50b)으로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제 1,2 회전샤프트군(50a)(50b)은 그 축부(54)에 장착된 피동 스프로켓(56)이 상기 프레임(10)의 외곽 양측에 설치되고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제 1,2 구동모터(58a)(58b)에 장착된 구동 스프로켓(60)과 구동체인(62)으로 연결되어 모터 구동시 상기 제 1,2 회전샤프트군(50a)(50b)들은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토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도 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회전프트(50)들의 개별구동을 보다 완전하게 하기 위하여는, 하나의 회전샤프트 축부(54)에 전후로 2개씩의 피동스프로켓(56a)(56b)들을 설치하여 각 구동체인(60)을 체결함으로서, 모터(58)의 구동 스프로켓(60)의 구동력이 작은 궤도를 형성하는 여러개의 구동체인(62)의 스프로켓 (56)과의 밀착력을 높이어 각각 회전샤프트(50)의 회전력이 보다 일정하게 유지토록 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 도 6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변형 회전날개(70)는 상기 회전샤프트(50)의 외주연에 90도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 1 회전날개(72)와, 상기 회전부재(50)의 외주면에 180도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 2 회전날개(74) 및, 상기 회전부재(50)의 외주연에 단독 설치되는 제 3 회전날개(76)로 이루어 지는데, 이는 도 3에서 도시한 수송물(24)의 여러 다른 입도를 갖는 상태에서 투입되기 때문에, 조쇄된 큰 입도의 수송물(24c)이 날개들사이의 협소한 틈새(G)로 빠져 나가는 것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나의 회전샤프트(50)에 설치되는 날개(70)들의 수를 조정하여 수송물(24)의 입도에 상관없이 스크린망(30)의 전부분에 걸쳐서 분산을 유도하면서 날개틈새로의 수송물 낙하는 용이하게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료처리설비에서 파쇄기를 통하여 여러 입도로 파쇄된 수송물등의 광석(24)을 스크린망(30)의 전부분에 걸쳐서 분산 유입되도록 한 본 발명의 스크린장치(1)는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장치(1)의 모터(12)를 가동시키면 캠(16)의 편심작동으로 진동샤프트(14)가 프레임(10)을 4지점에서 지지된 스프링 구조체(18)로서 진동시키고, 결국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 설치된 스크린망(30)이 프레임(10)과 일체로 진동하면서 그 상부의 수송물 즉, 조쇄,중쇄 및 분쇄등의 여러 입도별(24c)(24b)(24a)로 파쇄 투입된 수송물(24)을 스크린하는 것이다.
한편,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송물(24)이 이송 컨베이어(22)와 슈트(22)를 통하여 스크린망(30)위로 낙하되기 전에, 작업자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판넬의 조작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10)의 외곽 양측에 설치된 제 1,2 구 동모터(58a)(58b)를 각각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토록 가동시킨다.
따라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양측에 산형(山形)으로 장착된 서포트 플레이트(52)에 그 축부(54)가 베어링을 개개하여 회전토록 장착된 회전샤프트(50) 즉, 상기 산형(山形) 서포트 플레이트(52)의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로 하방 경사지는 제 1,2 회전샤프트군(50a)(50b)은 그 축부(54)에 장착된 피동스프로켓(56)에 상기 모터(58)들의 구동력이 구동 스프로켓(60)과 구동체인(62)으로 연결됨으로서, 상기 제 1,2 회전샤프트군(50a)(50b)들은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결국, 상기 회전샤프트(50)의 원주면에 설치된 가변형 회전날개(70)들은 스크린(30)의 중앙을 중심으로 외곽방향인 시계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1,2 회전샤프트군(50a)(50b)에 의하여 일체로 회전하면서 슈트(22)를 통하여 수송물(24)이 스크린(30)의 중앙부분으로 유입되어도 수송물(24)들은 스크린(30)의 외곽방향으로 그 전부분에 걸쳐서 분사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한편, 도 6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변형 회전날개(70)들은 그 설치수가 일정하면 날개(70)들 사이에서 형성되는 틈새(G)가 매우 작기 때문에, 조쇄된 입도가 큰 수송물(24c)은 항상 스크린(30)의 끝부분으로 유도될 수 있으므로, 상기 날개(70)들을 회전샤프트(50)의 외주연에 90도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 1 회전날개(72)와, 상기 회전부재(50)의 외주면에 180도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 2 회전날개(74) 및, 상기 회전부재(50)의 외주연에 단독 설치되는 제 3 회전날개(76)를 교대로 배치한다.
따라서, 상기 날개(70)들사이의 틈새(G)가 가변적으로 형성되면서 모든 입도의 수송물(24)들이 스크린망(30)의 전부분에 걸쳐서 유입되도록 분사되지만, 각 날개(70)사이의 틈새(G)를 통하여 수송물의 낙하도 원활하게 되어 본 발명의 스크린장치(1)를 통한 수송물의 스크린 효율이 높은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수송물의 분산처리가 가능한 스크린장치에 의하면, 스크린망에 낙하되는 수송물을 고르게 분산 안착시킴으로서, 스크린망에 광석이 부착되지 않는 동시에, 스크린망으로 부터 수송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여, 스크린망의 마모를 전부분에 걸쳐서 균일하게 이루어 지게 하여 스크린의 가동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스크린망의 손상이 적어 스크린망의 수명이 연장됨으로서, 스크린망의 유지 보수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는 한편, 스크린망으로 부터의 낙광이 없어 낙광에 의한 스크린장치 주변의 환경오염을 방지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4)

  1. 모터 구동되고 캠이 장착된 샤프트가 연결되며, 스프링 구조체로 지지되어 모터 구동시 진동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 다단으로 설치되어 슈트를 통하여 유입되는 수송물을 입도별 스크린하는 스크린망(30); 및,
    상기 프레임(10)의 상측으로 산형(山形)으로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토록 다수개의 회전샤프트(50)가 대향 설치되고, 상기 회전샤프트(50)의 외주연에 상호 가변틈새(G)를 형성시키면서 상기 회전샤프트(50)와 일체로 회전토록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30)상에 유입되는 수송물이 스크린망(30)의 전체에 걸쳐서 분산시키는 가변형 회전날개(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물의 분산처리가 가능한 스크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샤프트(50)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양측에 산형(山形)으로 장착된 서포트 플레이트(52)에 양측으로 일체로 고정된 축부(54)가 베어링을 개개하여 회전토록 장착되고,
    상기 회전샤프트(50)는 상기 산형(山形) 서포트 플레이트(52)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방 경사지는 제 1,2 회전샤프트군(50a)(50b)으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물의 분산처리가 가능한 스크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샤프트군(50)들은 그 축부(54)에 장착된 피동 스프로켓(56)이 상기 프레임(10)의 외곽 양측에 설치되고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제 1,2 구동모터(58a)(58b)에 장착된 구동 스프로켓(60)과 구동체인(62)으로 연결되어 모터 구동시 상기 제 1,2 회전샤프트군(50a)(50b)들은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물의 분산처리가 가능한 스크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회전날개(70)는,
    상기 회전부재(50)의 외주연에 90도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 1 회전날개(72);와,
    상기 회전부재(50)의 외주면에 180도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 2 회전날개(74); 및,
    상기 회전부재(50)의 외주연에 단독 설치되는 제 3 회전날개(76);로 이루어 지고,
    상기 제 1-3 날개(72)(74)(76)들은 상기 프레임(10)상에 산형(山形)으로 배치된 회전샤프트(50)들에 교대로 배치되어 회전샤프트(50)의 회전시 날개들에 의하여 가변 틈새(G)가 형성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물의 분산처리가 가능한 스크린장치
KR1020010075931A 2001-12-03 2001-12-03 수송물의 분산처리가 가능한 스크린장치 KR100775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931A KR100775296B1 (ko) 2001-12-03 2001-12-03 수송물의 분산처리가 가능한 스크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931A KR100775296B1 (ko) 2001-12-03 2001-12-03 수송물의 분산처리가 가능한 스크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989A KR20030045989A (ko) 2003-06-12
KR100775296B1 true KR100775296B1 (ko) 2007-11-08

Family

ID=29572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931A KR100775296B1 (ko) 2001-12-03 2001-12-03 수송물의 분산처리가 가능한 스크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52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378B1 (ko) * 2007-03-12 2008-09-17 (주)금광 이 엔 지 역 경사면을 갖는 이물질 선별 진동스크린
KR101703042B1 (ko) * 2014-12-26 2017-02-06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처리장치
KR20180076440A (ko) * 2016-12-28 2018-07-06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준설물 투입용 무빙 스크린 장치
CN108620233A (zh) * 2018-06-20 2018-10-09 衡阳泰源商砼有限公司 一种碎石筛选装置
CN112588549A (zh) * 2020-11-27 2021-04-02 宋广生 一种建筑垃圾的收集处理装置
CN115156055A (zh) * 2022-07-22 2022-10-11 北京松兰饮片有限公司 一种中药制作用炒药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9959A (ja) * 1981-11-25 1983-05-28 Toyota Motor Corp 静電植毛用パイル落下装置
US5386914A (en) * 1990-10-30 1995-02-07 Defibrator Loviisa Oy Apparatus for scattering fibrous material, e.g. chips
US5558234A (en) * 1994-07-22 1996-09-24 Mobley; John E. Product size grading system
KR20020023062A (ko) * 2000-09-22 2002-03-28 이구택 입도 선별스크린의 편류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9959A (ja) * 1981-11-25 1983-05-28 Toyota Motor Corp 静電植毛用パイル落下装置
US5386914A (en) * 1990-10-30 1995-02-07 Defibrator Loviisa Oy Apparatus for scattering fibrous material, e.g. chips
US5558234A (en) * 1994-07-22 1996-09-24 Mobley; John E. Product size grading system
KR20020023062A (ko) * 2000-09-22 2002-03-28 이구택 입도 선별스크린의 편류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989A (ko) 200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9846B2 (en) Hybrid screen
US6352159B1 (en) Dual deck dewatering screen
JP5925248B2 (ja) 揺動選別機
JP5748951B2 (ja) 揺動選別機
CN111545326B (zh) 一种工业碳酸钙制备工艺
JPH1087046A (ja) 砕砂製造設備のベルトコンベヤ
KR100775296B1 (ko) 수송물의 분산처리가 가능한 스크린장치
KR100863605B1 (ko) 다단 각도변화를 갖는 순환골재 선별용 스크린을 이용하여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중 파분쇄된 건설폐기물로부터순환골재를 생산하는 장치
CN109174283A (zh) 一种破碎筛选装置
KR100793167B1 (ko) 건설폐기물의 파쇄, 입도개선, 몰탈제거, 선별, 모래생산용눈막힘방지장치용 드럼벨
CN218554185U (zh) 矿石粉碎系统
RU189365U1 (ru) Центробежный измельчитель фуражного зерна
JP2670988B2 (ja) 付着性原料用篩分機付払出し装置及び付着性原料篩分払出し方法
KR101677124B1 (ko) 드럼로터 박리크러셔 및 이를 포함하는 콘트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장치
CN212349064U (zh) 一种新型珍珠岩制砂生产线
CN213103161U (zh) 一种米筛用振动筛分器
JPH1099715A (ja) 砕砂製造設備
KR100453918B1 (ko) 입도 선별장치
CN219503265U (zh) 一种选矿设备
KR0124210Y1 (ko) 철광석 분산장치
JP2684535B2 (ja) 原石回収プラント
JP2018134565A (ja) ローラスクリーン選別機
RU2145541C1 (ru) Линия переработки шин
JP2729589B2 (ja) 篩分機付払出し装置
CN109663733A (zh) 一种用于石墨返回料的分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