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5224B1 - 고로 풍량변화에 따른 광량조절변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고로 풍량변화에 따른 광량조절변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5224B1
KR100775224B1 KR1020010043413A KR20010043413A KR100775224B1 KR 100775224 B1 KR100775224 B1 KR 100775224B1 KR 1020010043413 A KR1020010043413 A KR 1020010043413A KR 20010043413 A KR20010043413 A KR 20010043413A KR 100775224 B1 KR100775224 B1 KR 100775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alve
blast furnace
air volume
ore
light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3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8595A (ko
Inventor
김학배
김성진
박운화
김선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43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5224B1/ko
Publication of KR20030008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8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24Test rods or other check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6Tuyé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8Bell-and-hopper arrangements
    • C21B7/20Bell-and-hopper arrangements with appliances for distributing the burd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Ir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로 풍량변화에 따른 광량조절변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로 조업중 감풍상황 발생 등으로 인한 풍량이 변할 때 장입되는 광종에 따라 광량조절변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풍시에 광석이 노중심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풍량복귀시 노내 통기성을 개선하고 안정적인 노황을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도록 고로의 풍량변화에 따라 광량조절변을 자동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고로 조업, 풍량, 감풍, 광석, 광종, 광량조절변, 노황

Description

고로 풍량변화에 따른 광량조절변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A MATERIAL FLOW GATE ACCORDING TO THE CHANGE OF WIND IN A BLAST FURNACE}
도 1은 종래의 고로장치의 전체적인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고로 감풍조업시 광석 중심유입에 따른 노내 상황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장치에 따른 감풍시 광량조절변의 제어시의 노내 상황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고로의 풍량변화에 따른 광량조절변의 열린정도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광량조절변의 제어 전,후 장입물 분포비교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유에스브이(USV;Upper Seal Valve) 2: 노정호퍼
3 : 광량조절변 4 : 엘에스브이(4)(LSV;Lower Seal Valve)
5 : 선회슈트 10,31 : 고로
31 : 고로 32 : 풍량검출기
33 : 경보장치 34 : 제어부
본 발명은 고로의 풍량변화에 따른 광량조절변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로 조업 중에 노황 불안정 또는 갑작스런 설비 트러블 등으로 인한 감풍조업 등 풍량변화 상황발생시 장입되는 광종에 따라 광량조절변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고로의 풍량변화에 따른 광량조절변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고로에서는 자연산의 철광석을 코크스와 산소의 반응으로 만든 일산화탄소를 이용하여 환원시켜 용선을 만든다. 고로의 하부의 송풍구를 통하여 바람을 공급하고 상기 고로내부에서 발생한 환원가스는 노내를 상승하면서 장입된 원료와 접촉하여 열을 전달하고 철광석을 환원시키게 된다. 고로의 하부에는 필요한 용선이 굳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탄산칼슘과 같은 부원료를 사용하여 슬래그를 만들어낸다. 상승한 가스는 밖으로 배출되고 하부에 모인 용선은 출선구로 해서 출선된다.
도 1은 종래의 고로장치의 전체적인 개략 구성도이다. 고로(10)에 장입될 원료(8)는 장입벨트(9)에 의해 운반되어 노정호퍼(2)로 먼저 장입된다. 이때, 상기 원료(8)는 유에스브이(1)(USV;Upper Seal Valve)가 열린 후 상기 노정호퍼(2)로 장입된다. 상기 장입된 원료(8)는 상기 노정호퍼(2)의 광량조절변(3)(MCG;Material Control Gate)과 엘에스브이(4)(LSV;Lower Seal Valve)를 거쳐 선회슈트(5)를 통해 노내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광량조절변(3)은 이미 설정된 설정값에 따라 개폐 되고 상기 개폐되는 정도에 따라 노내로 수입되는 원료(8)의 양이 제어된다.
상기 광량조절변(3)은 스테핑 모터(미도시)(Stepping Motor)의 회전각에 의해 개폐가 제어되며 고로(10) 내로 송풍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광량조절변(3)은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장입되는 원료(8)의 종류에 따라 개폐되는 정도가 다르다. 하기 표 1은 정상조업시 광종별 장입호퍼의 광량조절변의 열림정도 설정값을 나타내며 단위는 닫혔을때를 기준으로 한 열린 각도이다. 또한, 하기 표1에서의 각도는 상기 스테핑 모터(미도시)의 회전각을 나타낸다.
[표 1]
구 분 코크스(COKE) 대립광석 소립광석
장입호퍼 1측 35.0 도 44.0 도 30.0 도
장입호퍼 2측 35.0 도 44.0 도 30.0 도

상기와 같이 원료(8)가 노정호퍼(2)로 장입되고 상기 장입된 원료(8)는 상기 광량조절변(3)의 설정된 개폐정도에 따라 소정의 양으로 제어되며 노내로 수입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원료가 노내로 수입되고 고로 내부에서는 소정의 과정을 거쳐 용선이 생산된다. 정상적인 조업시에는 일정한 송풍이 공급되고 연화융착대(7)은 안정되어 정상적인 가스 흐름(11)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이 연속으로 반복됨으로써 공정이 이루어지지만, 일상조업 중에 노황 불안정 또는 갑작스런 설비 트러블이 발생하면 장입지연, 장입불능 등에 의한 노정온도의 상승 방지 또는 장입물 레벨저하 방지 등의 목적으로 감풍을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갑작스런 감풍의 실시로 인해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 문제점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고로 감풍조업시 광석 중심유입에 따른 노내 상황도이다. 고로 조업시 풍량이 감소함에 따라 노내의 전체 가스발생량이 줄어들고 이로 인해 연화융착대(7)가 축소되고 상기 연화융착대(7)의 정층부가 하부로 향하게 된다. 또한, 감풍으로 인해 장입물이 노내 중심부로 몰리는 경향이 발생하고 특히, 비중이 높은 광석이 중심으로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고로 상부의 장입물 표면에서는 장입물의 경사각(42)이 커지게 되며, 이로써 노내의 정상적인 가스 흐름을 방해하여 고로의 통기 저항에 막대한 장애 요인이 되었다.
더구나,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감풍조업시 광석이 중심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감지하는 특별한 기술적 수단이 없었고 또한, 상기 표 1에 표시된 각도로 광량제어변(3)이 항상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감풍시 유연하게 대처할 수 없었다.
그리고 정상적인 노황에서는 고로의 중심부에 코크스를 장입하는 중심 코크스(21)(Center Coke)작업을 실시, 노내 가스가 중심부로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하여 노내 통기성 개선을 유도하고, 노벽부로 가스류(30)의 발생을 억제하는 형태로 조업을 실시하고 있으나, 대폭 감풍시는 장입 기준레벨 저하방지를 위해 중심코크스 장입을 중지하게 되고 장입물 표면의 장입물 경사각(42)이 45도까지 증가되어 광석이 중심부로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광석이 노중심으로 흐르는 가스류(11)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황은 감풍 조업현황 종료시까지 계속되며 설비 및 노황 회복으로 정상 조업시의 송풍량으로 증풍시 가스의 흐름이 중심부를 원활하게 빠져 나가지 못하고 노벽쪽으로 흐르게 되는 주변류를 형성하고 노내 통기저항의 증가는 물론, 노벽 열부하량 증가로 냉각반(미도시) 소손 및 철비(미도시) 소손에 의한 추가감풍 또는 풍압 급상승으로 취발 발생 및 이로인한 2차적 설비사고 위험이 상존하였다. 따라서, 감풍시와 같은 송풍량의 변화에 따른 상기 광량조절변(3)의 개폐를 유연하게 대처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고로 감풍 등의 풍량변화에 따라 광량조절변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노황안정을 도모하고 동시에 풍량복귀시 노중심부로의 안정적인 가스류 형성과 노내 통시성 개선을 도모하는데 그 부가적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고로 내부로 공급되는 고로 풍량변화에 따른 광량조절변 제어방법에 있어서,
공급되는 풍량 및 장입되는 광석에 따른 광량조절변의 열린 각도값을 설정하는 단계,
고로 내부로 공급되는 풍량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풍량 및 광석에 따른 상기 설정된 광량조절변의 열린 각도값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각도값으로 상기 광량조절변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정상풍량으로의 조업시 광량조절변의 열린 각도값은 코크스의 경우 34.0도, 대립광석의 경우 44.0도 및 소립광석의 경우 30.0도로 설정되며, 상기 정상조업시의 풍량은 5800~6000Nm3/min이다.
또한, 상기 장입되는 광석이 코크스인 경우, 공급되는 풍량이 정상조업시의 풍량에서 500Nm3/min씩 줄어들 때마다 상기 광량조절변의 열린 각도값은 정상 풍량조업시의 열린각도에서 0.6도씩 더 닫히는 것으로 설정되고 상기 장입되는 광석이 대립광석인 경우, 공급되는 풍량이 5500Nm3/min일 때 상기 광량조절변의 열린 각도값의 설정은 정상 풍량공급시의 열린 각도값 보다 1도 더 열리도록 설정되며, 공급되는 풍량이 상기 5500Nm3/min의 풍량에서 500Nm3/min씩 줄어들 때마다 상기 광량조절변의 열린 각도값은 상기 500Nm3/min일때의 열린 각도의 설정치에서 0.5도씩 더 열리는 것으로 설정되며, 상기 장입되는 광석이 소립광석인 경우, 공급되는 풍량이 정상조업시의 풍량에서 500Nm3/min씩 줄어들 때마다 상기 광량조절변의 열린 각도값은 정상 풍량조업시의 열린각도에서 0.3도씩 더 열리는 것으로 설정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장치에 따른 감풍시 광량조절변의 제어시의 노내 상황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상기 장치는 간단한 구조를 갖춘다.
먼저, 상기 장치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고로(31)와, 상기 고로(31) 내부로 공급되는 송풍의 풍량을 검출하는 풍량검출기(32)와, 풍량의 변화에 따른 광량조절변(3)의 열린정도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두고 상기 풍량검출기(32)로부터 검출된 풍량값에 대응하여 장입되는 광석 및 상기 풍량에 따른 상기 광량조절변(3)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34)와, 정상조업시의 기준풍량과 대비하여 설정된 양 이하로 공급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장치(3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미도시 되었으나, 장입되는 광석의 종류는 소정의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제어부(34)로 전송된다. 즉, 노정호퍼(2)로 광석을 장입하기 전에 이미 광석의 종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광종은 소정의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제어부(34)로 보내어 진다.
상기 광석의 종류에는 코크스, 입자가 다소 큰 대립광석, 또는 입자가 다소 작은 소립광석이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광석의 종류는 미리 파악되어 상기 제어부(34)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부(34)는 검출된 풍량 및 광석의 종류에 따른 상기 광량조절변의 열린 각도값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놓는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34)에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광석 및 풍량에 따른 광량조절변(3)의 개폐정도의 설정값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고로(31)로 공급되는 풍량변화 및 광석에 따른 광량조절변의 열린정도를 나타내는 테이블로서, 고로내부로의 풍량이 기준풍량(약 5800~6000 Nm3/min)에서 500Nm3/min 씩 감소함에 따라 원료장입시 광량조절변(3)의 개폐정도를 나타낸다. 원료(광석)를 장입할 경우 상기 원료의 종류는 미리 검출되어 상기 제어부(34)로 입력되고 고로내부로 공급되는 풍량은 상기 풍량검출기(32)에서 풍량을 검출한다. 코크스 원료의 장입시 풍량이 500Nm3/min씩 감소할 때마다 정상조업시의 광량조절변(3)의 개폐정도(상술한 바와 같이 35.0도)에서부터 0.6도씩 닫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어, 정상조업시 풍량이 6000Nm3/min이고 이때의 광량조절변(3)의 열린각도를 35.0도라고 하면, 풍량이 5500Nm3/min 로 감풍될 때는 상기 광량조절변(3)은 정상조업시 대비 0.6도를 닫은 29.0도 만큼만 열도록 되어 있고 나아가, 4000Nm3/min일때는 정상조업시 대비 2.4도를 닫은 32.6도 만큼 열도록 설정된다.
이는 원료가 대립광석 및 소립광석일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다만, 상기 광량조절변(3)이 정상조업시 대비 닫는 정도가 각각 다르다.
여기서, 상기 설명은 감풍시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고로의 감풍에서 송풍이 다시 원상복귀하는 경우에는 역으로 적용하게 되고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4도에서 도시된 풍량변화에 따른 광량조절변(3)의 열린정도는 미리 설정되어 제어부(34)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34)는 풍량검출기(32)에서 검출된 풍량에 따라 상기 테이블의 값을 적용하여 상기 광량조절변(3)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34)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또는 소형 컴퓨터들로 구성되어짐으로써 이미 사전에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실행하게 된다.
고로 조업중 노황 불안정 및 갑작스런 설비 트러블에 의한 감풍시 상기 제어부(34)에 의해 미리 설정된 광량조절변(3)의 제어시기의 인식은 현재 설정되어 있는 기준풍량(정상 조업시는 약 5800~6000 Nm3/min)에서 500Nm3/min 이상을 감풍하게 되면 풍량검출기(32)에서 연속적으로 검출되는 풍량을 통해 인식하게 되며, 상기 기준풍량 대비 -500 Nm3/min 까지 저하되면 경보장치(33)에서 감풍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감풍신호를 받은 상기 제어부(34)는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광량조절변(3) 제어테이블을 읽어들여, 각 광종별 광석 장입시 상기 광량조절변(3)이 감풍량에 따라 개폐되는 값으로 열려 장입량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풍량의 변화를 계속해서 확인 할 수 있도록 풍량을 연속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풍량검출기(32)가 송풍라인에 설치되고 그 값은 제어부(34)로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풍량검출기(32)로부터 연속적으로 검출된 풍량데이터와 도 4의 상기 제어부(34)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감풍시의 광량조절변(3)의 열린정도값에 대한 테이블이 서로 연계하여 풍량에 따라 제어할 수 있게된다.
나아가, 감풍상황을 인식할 수 있는 경보 메세지와 감풍 기간 중 장입된 광량조절변(3)의 실제 제어값 모니터링은 상기 제어부(34)에서 담당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광량조절변의 제어 전,후 장입물 분포비교도이다. 즉, 도 5(a)는 종래의 광량조절변이 고정된 상태에서의 고로내의 장입물 분포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풍량변화에 따른 광량조절변 제어상태에서의 장입물 분포도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여 종래의 분포도를 살펴보면, 원료가 코크스이고 정상조업시의 기준풍량인 약 6000Nm3/min의 송풍량이 고로(31) 내부로 공급될 때는 노정호퍼(2)의 광량조절변(3)은 35.0도의 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각도는 상술한 대로 상기 광량조절변(3)을 동작시키는 스테핑 모터(미도시)의 회전각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노황 불안정 또는 설비 트러블로 인해 송풍량을 줄이는 작업, 즉 감풍을 실시할 경우 종래에는 상기 광량조절변(3)이 그대로의 각도 35.0도를 계속해서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코크스(41)는 정상조업시와 같은 양으로 장입되고 감풍으로 인해 연화융착대(7)가 축소됨으로써 장입물의 경사각(42)이 커져서 특히 비중이 높은 코크스(41)는 고로(31)내 중심부로 집중되어 노내의 정상적인 가스 흐름을 방해하여 통기저항의 장애요인이 된다.
도 5(b)의 본 발명에 따른 장입물 분포도를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간단한 구조의 장치를 설치하여 정상조업시의 기준풍량을 풍량검출기(32)에서 검출하고 이때는 제어부(34)에서 코크스 장입시 노정호퍼(2)의 광량조절변(3)의 각도가 35.0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각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테핑 모터의 회전각이다.
감풍을 실시하는 경우, 상기 풍량검출기(32)에서 고로(31)내로 공급되는 감풍된 풍량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량을 제어부(34)가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테이블의 값을 적용하여 상기 광량조절변(3)의 각도를 제어한다. 이로써 정상 조업시와 같이 노벽에서의 편평도(46)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코크스를 장입하는 경우, 정상조업시의 기준풍량 6000Nm3/min에서 1500Nm3/min를 감풍하여 현재 풍량이 4500Nm3/min이라 하면, 상기 표 1 및 도 3의 테이블을 근거로 상기 제어부(34)에서의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광량조절변(3)의 열린정도를 계산한다. 따라서, 상기 조건에서 코크스 장입용 광량조절변(3)의 열린정도는 32.2도가 되는 것이다.
상기의 코크스 장입시와 같은 형태로 대립광석 및 소립광석 장입시에도 상기 제어부(34)에서 감풍량을 인식하고 상기 제어부(34)에 내장된 도 3의 테이블을 적 용하여 상기 광량조절변(3)을 조정하여 상기 대립광석과 소립광석이 노내로 배출될 때 노벽측으로 많은 양이 장입되도록 하여 특히 대립광석의 노중심부 유입을 억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먼저 광량조절변(3)을 닫아서 노중심 측으로 많은 양이 장입되도록 하여 정상 조업시의 편평도(46)인 1.4m 를 유지하고 장입물 표면의 경사각이 정상 조업시의 경사각(42)인 35도 이내로 장입된 코크스(41)의 표면위에 대립광석이 상기에서 설명한 형태로 장입되게 되어 확실하게 광석의 중심부 유입을 막게 된다. 예를 들어, 기준풍량에서 1500Nm3/min을 감풍하여 현재 풍량이 4500Nm3/min라고 하고 상기 표 1 및 도 3의 테이블을 근거로 계산하면, 현재의 조건에서 대립광석 장입용 광량조절변(3)의 열린값은 46.5도가 되고 소립광석 장입용 광량조절변(3)의 열린값은 31.1도가 된다.
여기서, 감풍조업 실시 후 노황 개선 및 설비 정상화에 따른 정상조업으로 풍량 복귀에 따른 광량조절변(3)의 제어는 상기 도 3의 테이블에서 감풍시 적용의 역순으로 순차적으로 광량조절변(3)을 제어하여 노내 상부의 장입물 경사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풍량변화에 따라 광량조절변을 제어함 으로써 광석(대립광석, 소립광석)의 노중심 유입을 억제하여 노내 가스의 흐름을 노 중심부로 유도하고 가스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하여 통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감풍에서 다시 증풍하는 경우에도 가스의 흐름이 중심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노벽의 열부하를 감소시키고 노내 콩기성 개선으로 증풍시간을 줄여 생산량 향상에 이바지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삭제
  2. 고로 내부로 공급되는 고로 풍량변화에 따른 광량조절변 제어방법에 있어서,
    공급되는 풍량 및 장입되는 광석에 따른 광량조절변의 열린 각도값을 설정하는 단계;
    고로 내부로 공급되는 풍량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풍량 및 광석에 따른 상기 설정된 광량조절변의 열린 각도값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각도값으로 상기 광량조절변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정상풍량으로의 조업시 광량조절변의 열린 각도값은 코크스의 경우 34.0도, 대립광석의 경우 44.0도 및 소립광석의 경우 30.0도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풍량변화에 따른 광량조절변 제어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조업시의 풍량은 5800~6000Nm3/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풍량변화에 따른 광량조절변 제어방법.
  4. 고로 내부로 공급되는 고로 풍량변화에 따른 광량조절변 제어방법에 있어서,
    공급되는 풍량 및 장입되는 광석에 따른 광량조절변의 열린 각도값을 설정하는 단계;
    고로 내부로 공급되는 풍량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풍량 및 광석에 따른 상기 설정된 광량조절변의 열린 각도값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각도값으로 상기 광량조절변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장입되는 광석이 코크스인 경우, 공급되는 풍량이 정상조업시의 풍량에서 500Nm3/min씩 줄어들 때마다 상기 광량조절변의 열린 각도값은 정상 풍량조업시의 열린각도에서 0.6도씩 더 닫히는 것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풍량변화에 따른 광량조절변 제어방법.
  5. 고로 내부로 공급되는 고로 풍량변화에 따른 광량조절변 제어방법에 있어서,
    공급되는 풍량 및 장입되는 광석에 따른 광량조절변의 열린 각도값을 설정하는 단계;
    고로 내부로 공급되는 풍량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풍량 및 광석에 따른 상기 설정된 광량조절변의 열린 각도값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각도값으로 상기 광량조절변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장입되는 광석이 대립광석인 경우, 공급되는 풍량이 5500Nm3/min일 때 상기 광량조절변의 열린 각도값의 설정은 정상 풍량공급시의 열린 각도값 보다 1도 더 열리도록 설정되며, 공급되는 풍량이 상기 5500Nm3/min의 풍량에서 500Nm3/min씩 줄어들 때마다 상기 광량조절변의 열린 각도값은 상기 5500Nm3/min일때의 상기 열린 각도의 설정치에서 0.5도씩 더 열리는 것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풍량변화에 따른 광량조절변 제어방법.
  6. 고로 내부로 공급되는 고로 풍량변화에 따른 광량조절변 제어방법에 있어서,
    공급되는 풍량 및 장입되는 광석에 따른 광량조절변의 열린 각도값을 설정하는 단계;
    고로 내부로 공급되는 풍량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풍량 및 광석에 따른 상기 설정된 광량조절변의 열린 각도값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각도값으로 상기 광량조절변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장입되는 광석이 소립광석인 경우, 공급되는 풍량이 정상조업시의 풍량에서 500Nm3/min씩 줄어들 때마다 상기 광량조절변의 열린 각도값은 정상 풍량조업시의 열린각도에서 0.3도씩 더 열리는 것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풍량변화에 따른 광량조절변 제어방법.
KR1020010043413A 2001-07-19 2001-07-19 고로 풍량변화에 따른 광량조절변 제어방법 KR100775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413A KR100775224B1 (ko) 2001-07-19 2001-07-19 고로 풍량변화에 따른 광량조절변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413A KR100775224B1 (ko) 2001-07-19 2001-07-19 고로 풍량변화에 따른 광량조절변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595A KR20030008595A (ko) 2003-01-29
KR100775224B1 true KR100775224B1 (ko) 2007-11-12

Family

ID=27715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413A KR100775224B1 (ko) 2001-07-19 2001-07-19 고로 풍량변화에 따른 광량조절변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522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5926A (ja) * 1991-10-09 1993-04-27 Nkk Corp 精錬炉への副原料投入方法
JPH0610018A (ja) * 1992-06-25 1994-01-18 Kawasaki Steel Corp 高炉への装入物分配方法及び装置
KR20010103139A (ko) * 1999-12-30 2001-11-23 이구택 고로용 장입물의 장입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5926A (ja) * 1991-10-09 1993-04-27 Nkk Corp 精錬炉への副原料投入方法
JPH0610018A (ja) * 1992-06-25 1994-01-18 Kawasaki Steel Corp 高炉への装入物分配方法及び装置
KR20010103139A (ko) * 1999-12-30 2001-11-23 이구택 고로용 장입물의 장입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595A (ko) 200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5224B1 (ko) 고로 풍량변화에 따른 광량조절변 제어방법
KR20110120444A (ko) 열풍로 설비의 연소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9628670B (zh) 一种送风恢复方法
KR100891822B1 (ko) 스테이브 고로 열부하 상승시의 온도제어방법
KR101121923B1 (ko) 고로 장입물 레벨 편차 방지방법 및 장치
CN110206749B (zh) 一种高炉鼓风机的节能运行调控方法
KR100605524B1 (ko) 노내 상승가스를 이용한 장입물호퍼의 직접 균압방법
KR101167213B1 (ko) 고로 설비의 휴풍 제어 방법
KR100424814B1 (ko) 고로 하부의 통액성 및 불활성 지수 판단방법
KR101008097B1 (ko) 고로의 송풍량 감소에 따른 미분탄 취입량 제어 방법
KR100946150B1 (ko) 고로의 노정압력 제어장치
JP4759985B2 (ja) 高炉操業方法
KR100530329B1 (ko) 소둔로 안정 로압제어를 위한 분리 로압 제어 장치
KR100338697B1 (ko) 고로노벽보수기고속,고효율감척방법
KR100815701B1 (ko) 일반탄 및 분철광석을 이용한 용철제조공정의 용융로 압력급감 예측 방법 및 용융로 압력 제어방법
KR100985238B1 (ko) 고로 가스이용률 변동에 따른 미분탄 취입량 제어장치
KR20000042525A (ko) 용광로 조업방법
KR20110133610A (ko) 샤프트로에 고온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방법
JP3077691B1 (ja) 高炉操業方法
JPS62158913A (ja) 産業廃棄物溶融炉
KR100413820B1 (ko) 고미분탄 취입시 노황개선을 위한 고로조업방법
KR100431864B1 (ko) 코렉스 공정에 의한 용철의 제조방법
KR100862158B1 (ko) 노정 가스 폭발 방지를 위한 노정온도 제어장치 및 방법
SU1381094A1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 процесса получени извести
JP2006265669A (ja) 高炉操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