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4428B1 - 차량용 내외기모드 자동전환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내외기모드 자동전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4428B1
KR100774428B1 KR1020060121910A KR20060121910A KR100774428B1 KR 100774428 B1 KR100774428 B1 KR 100774428B1 KR 1020060121910 A KR1020060121910 A KR 1020060121910A KR 20060121910 A KR20060121910 A KR 20060121910A KR 100774428 B1 KR100774428 B1 KR 100774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de
distance
speed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1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창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1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44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 B60H1/0077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the input being a vehicle position or surrounding, e.g. GPS-based position or tu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ir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9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for selectively commanding the induction of outside or insid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4Cruise control
    • B60Y2300/16Control of distance between vehicles, e.g. keeping a distance to preceding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내외기모드 자동전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정거리 앞에 위치한 차량으로부터 배출되는 유해가스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ACC가 마련된 차량이 운행하는 주행단계(S10)와; 전방감지센서(10)를 통해 앞차와의 간격을 측정하는 제1측정단계(S20)와; 상기 제1측정단계(S20)에서 앞차 간격이 일정거리 미만이면 제어부(30)에 의해 차속을 줄이는 감속단계(S30)를 거쳐, 내기전용모드로 전환시키는 제1작동단계(S40)와; 상기 제1측정단계(S20)에서 앞차 간격이 일정거리 이상이면 제어부(30)에 의해 외기전용모드로 전환시키는 제2작동단계(S50)와; 상기 제1작동단계(S40)에서 감속된 차량이 상기 전방감지센서(10)를 통해 앞차 간격이 다시 일정거리 이상이 되면, 제어부(30)에 의해 차속이 증가되는 가속단계(S60)와; 상기 가속단계(S60)에서 차속감지센서(20)를 통해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여 차속이 일정속도 이상이면 상기 제2작동단계(S50)를 수행하며, 일정속도 미만이면 상기 제1작동단계(S40)를 수행하는 제2측정단계(S70)로 구성되어, 차량 내부로 유해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미리 차단하여 탑승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CC, AQS, 내기, 외기, 유해가스

Description

차량용 내외기모드 자동전환방법{Method for switching air intake mode of vehicle automatically}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내외기모드 자동전환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내외기모드 자동전환방법의 제어부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방감지센서 20 : 차속감지센서
30 : 제어부 40 : 내외기 전환부
S10 : 주행단계 S20 : 제1측정단계
S30 : 감속단계 S40 : 제1작동단계
S50 : 제2작동단계 S60 : 가속단계
S70 : 제2측정단계
본 발명은 차량용 내외기모드 자동전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에 마련된 전방감지센서를 통해 정속주행중인 차량의 일정거리 앞에 위치한 차량으로부터 배출되는 유해가스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차량용 내외기모드 자동전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냉난방을 위하여 외기모드 및 내기모드를 통해 차량 외부 및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라디에이터 또는 에어컨을 거쳐 발생되는 더운공기나 찬공기와 함께 차실내로 유입시킴으로써, 자동차의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난방시키게 된다.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기모드와 외기모드로 이루어지며, 외기모드는 자동차의 전방일측에 구비된 외기흡입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차실내로 유입시키고, 내기모드는 차실내의 일측에 구비된 내기흡입구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장치를 거쳐 다시 차실내로 유출시켜 공기를 순환시킨다.
이러한 공조장치의 내외기는 기본적으로 운전자에게 쾌적한 운전환경을 제공하여 안전운행을 도모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종래의 공조장치 내외기모드에서는 탑승자의 차량이 외기모드 상태일 경우, 일정거리 전방에 위치한 차량으로부터 유해가스가 차실내로 유입되기 쉬우 며, AQS(유해가스차단장치;Air quality system)가 마련된 차량일 경우에는 전방 차량으로부터의 유해가스 검출에 따른 판단이 있어야 내기모드로 전환되기 때문에 유해가스 검출 판단 후 바로 내기모드로 전환하더라도 외기모드에서 내기모드로 전환되는 시간동안 유해가스가 이미 차실내로 유입되어 차량 내부의 공기를 오염시켜 운전자를 비롯한 탑승자까지 유해가스를 흡입하게 됨으로써, 인체건강에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유해가스 판정에 따른 시간지연을 생략함으로써, 차량 내부로 유해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미리 차단하여 탑승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내외기모드 자동전환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ACC(정속주행장치;Adaptive cruise control)가 마련된 차량이 운행하는 주행단계와; 전방감지센서를 통해 앞차와의 간격을 측정하는 제1측정단계와; 상기 제1측정단계에서 앞차 간격이 일정거리 미만이면 제어부에 의해 차속을 줄이는 감속단계를 거쳐, 내기전용모드로 전환시키는 제1작동단계와; 상기 제1측정단계에서 앞차 간격이 일정거리 이상이면 제어부에 의해 외기전용모드로 전환시키는 제2작동단계와; 상기 제1작동단계에서 감속된 차량이 상기 전방감지센서를 통해 앞차 간격이 다시 일정거리 이상이 되면, 제어부에 의해 차속이 증가되는 가속단계와; 상기 가속단계에서 차속감지센서를 통해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여 차속이 일정속도 이상이면 상기 제2작동단계를 수행하며, 일정속도 미만이면 상기 제1작동단계를 수행하는 제2측정단계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내외기모드 자동전환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내외기모드 자동전환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내외기모드 자동전환방법의 제어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량용 내외기모드 자동전환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CC가 마련된 차량이 운행하는 주행단계(S10)와; 전방감지센서(10)를 통해 앞차와의 간격을 측정하는 제1측정단계(S20)와; 상기 제1측정단계(S20)에서 앞차 간격이 일정거리 미만이면 제어부(30)에 의해 차속을 줄이는 감속단계(S30)를 거쳐, 내기전용모드로 전환시키는 제1작동단계(S40)와; 상기 제1측정단계(S20)에서 앞차 간격이 일정거리 이상이면 제어부(30)에 의해 외기전용모드로 전환시키는 제2작동단계(S50)와; 상기 제1작동단계(S40)에서 감속된 차량이 상기 전방감지센서(10)를 통해 앞차 간격이 다시 일정거리 이상이 되면, 제어부(30)에 의해 차속이 증가되는 가속단계(S60)와; 상기 가속단계(S60)에서 차속감지센서(20)를 통해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여 차속이 일정속도 이상이면 상기 제2작동단계(S50)를 수행하며, 일정속도 미만이면 상기 제1작동단계(S40)를 수행하는 제2측정단계(S70)로 마련되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유해가스를 차단시키는 것이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차량용 내외기모드 자동전환방법에 대한 각 단계를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차량이 운행하는 주행단계(S10), 전방에 위치하는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1측정단계(S20), 전방 차량과의 거리에 따라 외기 및 내기로 변환되는 제1작동단계(S40)와 제2작동단계(S50)로 이루어진다.
또한 차속을 측정하는 제2측정단계(S70)를 거쳐 측정한 차속에 따라 제1작동단계(S40)와 제2작동단계(S50)를 다시 수행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정단계(S20)에는 전방에 위치한 차량을 감지하여 앞차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전방감지센서(10)가 마련되며, 제2측정단계(S70)에는 탑승 차량의 차속을 측정하기 위한 차속감지센서(20)가 마련되어, 각 센서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제어부(30)로 보냄으로써, 내외기 전환부(40)를 통해 내기전용모드 또는 외기전용모드로 전환시키게 된다.
먼저 주행단계(S10)에서 ACC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이 정속으로 주행하되, 전방감지센서(10)를 통해 주행 중이던 차량이 앞 차량과의 간격에 따라 감속하거나 가속하게 되며, 차속감지센서(20)를 통해 차량의 차속을 측정하게 된다.
이때 ACC 시스템은 운전자의 편의성 및 연료절감을 목적으로 운전자가 원하 는 구간에서 알맞은 속도로 설정해 놓으면 가속페달을 밟지 않아도 그 속도가 계속 유지되어 주행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또한 전방감지센서(10)는 운전자의 차량과 앞 차량과의 간격을 설정하여 그 사이에 다른 장애물이 감지되거나 앞 차량과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ACC 시스템에 의해 주행중이던 차량에 브레이크 작동을 할 수 있도록 제어부(30)에 장애물 존재 여부를 송달하는 장치이다.
ACC가 장착된 차량이 운행중일 때, 제1측정단계(S20)의 전방감지센서(10)에 의해 앞 차량과의 간격을 측정하게 된다.
이때 전방감지센서(10)를 통해 측정된 앞 차량과의 거리를 산출한 데이터는 제어부(30)로 보내진다.
그 결과 제1측정단계(S20)에서 측정된 앞 차량과의 거리가 일정거리 미만이 되면 제어부(30)가 브레이크를 작동하도록 하여 차속을 줄이는 감속단계(S30)를 수행하게 되며, 상기 감속단계(S30)가 진행되고 나면 상기 제어부(30)에 의해 내외기 전환부(40)를 내기전용모드로 전환시켜 제1작동단계(S40)를 수행하도록 하여 외부의 유해가스가 차량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전방감지센서(10)가 측정하는 일정거리는 앞 차량과의 간격을 5m ~ 10m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제1측정단계(S20)에서 측정된 앞 차량과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이 되면 제어부(30)에 의해 내외기 전환부(40)를 외기전용모드로 전환시켜 제2작동단계(S50)를 수행하도록 하여 외부의 공기가 차량 내부로 들어오도록 한다.
또한 제1작동단계(S40)에서 감속단계(S30)에 의해 차속이 감속된 차량이 전방감지센서(10)를 통해 앞 차량과의 간격이 다시 일정거리 이상 벌어지게 되면 제어부(30)가 브레이크 작동을 멈추고 차속을 증가시키는 가속단계(S60)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제2측정단계(S70)에서 차속감지센서(20)를 통해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여 차속이 일정속도 이상이 되면 제어부(30) 동작에 의해 내외기 전환부(40)를 외기전용모드인 제2작동단계(S50')로 전환시키게 된다.
하지만 제2측정단계(S70)에서 측정된 차속이 일정속도 미만이 되면 제어부(30) 동작에 의해 내외기 전환부(40)를 내기전용모드인 제1작동단계(S40)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차속감지센서(20)에 감지되는 일정속도는 10km/h ~ 20km/h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차량이 작동중인 상태에서는 주행단계(S10)부터 제1측정단계(S20), 감속단계(S30), 제1작동단계(S40), 제2작동단계(S50), 가속단계(S60), 제2측정단계(S70)까지 반복적으로 순환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용 내외기모드 자동전환방법은 전방에 위치한 차량과의 거리에 따라 차속을 측정하여 내기 및 외기모드를 자동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유해가스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데 탁월한 이점을 가진 발명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유해가스 판정에 따른 시간지연을 생략함으로써, 차량 내부로 유해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미리 차단하여 탑승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ACC가 마련된 차량이 운행하는 주행단계와;
    전방감지센서를 통해 앞차와의 간격을 측정하는 제1측정단계와;
    상기 제1측정단계에서 앞차 간격이 일정거리 미만이면 제어부에 의해 차속을 줄이는 감속단계를 거쳐, 내기전용모드로 전환시키는 제1작동단계와;
    상기 제1측정단계에서 앞차 간격이 일정거리 이상이면 제어부에 의해 외기전용모드로 전환시키는 제2작동단계와;
    상기 제1작동단계에서 감속된 차량이 상기 전방감지센서를 통해 앞차 간격이 다시 일정거리 이상이 되면, 제어부에 의해 차속이 증가되는 가속단계와;
    상기 가속단계에서 차속감지센서를 통해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여 차속이 일정속도 이상이면 상기 제2작동단계를 수행하며, 일정속도 미만이면 상기 제1작동단계를 수행하는 제2측정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외기모드 자동전환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정단계에서 상기 전방감지센서를 통한 앞차와의 간격은 5m~10m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외기모드 자동전환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정단계에서 상기 차속감지센서를 통한 일정속도는 10km/h~20km/h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외기모드 자동전환방법.
KR1020060121910A 2006-12-05 2006-12-05 차량용 내외기모드 자동전환방법 KR100774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910A KR100774428B1 (ko) 2006-12-05 2006-12-05 차량용 내외기모드 자동전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910A KR100774428B1 (ko) 2006-12-05 2006-12-05 차량용 내외기모드 자동전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4428B1 true KR100774428B1 (ko) 2007-11-08

Family

ID=39061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1910A KR100774428B1 (ko) 2006-12-05 2006-12-05 차량용 내외기모드 자동전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44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49941B1 (en) * 2012-08-14 2014-02-11 Nissan North America, Inc. Method for operating a vehicle system
KR101405710B1 (ko) * 2012-10-05 2014-06-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외부오염공기 차단방법
KR20150004584A (ko) * 2013-07-03 2015-01-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as를 이용한 배기가스 유입 차단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6836A (ja) 1996-09-04 1998-03-24 Mitsubishi Heavy Ind Ltd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20010009902A (ko) * 1999-07-14 2001-02-05 정몽규 차량용 공조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85724A (ko) * 2003-04-01 2004-10-08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의 실내공기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6836A (ja) 1996-09-04 1998-03-24 Mitsubishi Heavy Ind Ltd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20010009902A (ko) * 1999-07-14 2001-02-05 정몽규 차량용 공조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85724A (ko) * 2003-04-01 2004-10-08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의 실내공기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49941B1 (en) * 2012-08-14 2014-02-11 Nissan North America, Inc. Method for operating a vehicle system
KR101405710B1 (ko) * 2012-10-05 2014-06-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외부오염공기 차단방법
KR20150004584A (ko) * 2013-07-03 2015-01-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as를 이용한 배기가스 유입 차단 장치 및 그 방법
KR102149049B1 (ko) * 2013-07-03 2020-10-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as를 이용한 배기가스 유입 차단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22962B (zh) 一种车辆空气净化方法、装置及车辆
US20140338882A1 (en) HVAC Control for Vehicles with Start/Stop Engines
CN104596024A (zh) 汽车通风方法
JP2007267494A (ja) 冷却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搭載する自動車並びに冷却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11246083A (ja) 車両用空調装置
CN103660852A (zh) 车辆hvac系统的自动再循环控制
CN101497300A (zh) 汽车及其空调系统和汽车空调系统控制方法与控制装置
CN106184213A (zh) 启停系统的控制方法及启停系统
KR100774428B1 (ko) 차량용 내외기모드 자동전환방법
CN108544989A (zh) 具有礼让功能的座椅及其控制方法
CN113635853B (zh) 一种基于车载端的防co中毒系统
JP2007331737A (ja) 車両用バッテリの冷却ファン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101305196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차간거리 제어장치 및 방법
CN105034747A (zh) 一种防止前车尾气侵入的汽车空调控制方法及系统
JP5585825B2 (ja) 車両の空調制御装置
CN110962542A (zh) 一种汽车自动空调的冷启动控制方法及系统
KR20160013940A (ko) 차간 유지 제어 장치
JP4465940B2 (ja) エアコン制御装置
CN112124071B (zh) 车辆的酒驾检测系统、方法和车辆
JP2003335121A (ja) 車両用空調装置のオート内外気制御装置
JP2009298239A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JP2005297816A (ja) 車載空調制御装置
JP2005297816A5 (ko)
JP2014163228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WO2019171513A1 (ja) 車両制御方法及び車両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