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3389B1 - Apparatus and method for unmanned locker and unmanned parcel delivery system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unmanned locker and unmanned parcel delivery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3389B1
KR100773389B1 KR1020060128038A KR20060128038A KR100773389B1 KR 100773389 B1 KR100773389 B1 KR 100773389B1 KR 1020060128038 A KR1020060128038 A KR 1020060128038A KR 20060128038 A KR20060128038 A KR 20060128038A KR 100773389 B1 KR100773389 B1 KR 100773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destination
management server
locker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80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강표
윤종문
정주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텍서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텍서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텍서비스
Priority to KR1020060128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338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3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bstract

A parcel locker, an unmanned parcel delivery system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solve inconvenience that a sender and a recipient should meet directly for carrier exchange and to prevent a misdelivery occurring while delivering a parcel. A unmanned parcel delivery system(100) includes a plurality of source parcel delivery lockers(120), a plurality of destination parcel lockers(130) and a management server(110). The source parcel delivery lockers and the destination parcel delivery lockers provide excellent accessibility to users who sends and receives parcels. The source parcel delivery lockers and the destination parcel delivery lockers are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via communication networks(101,102). The management server is connected to a credit card company's server(140) via a communication network(141) and thus it can perform a credit approval process according to an approval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parcel delivery lockers. The management server is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s server(15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us the management server it can perform a mobile authentication request and a mobile approval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parcel delivery lockers.

Description

화물중계라커, 무인화물중계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UNMANNED LOCKER AND UNMANNED PARCEL DELIVERY SYSTEM}Cargo relay locker,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APPARATUS AND METHOD FOR UNMANNED LOCKER AND UNMANNED PARCEL DELIVERY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의 전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nd its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화물중계라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argo relay locker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운영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3 is a flow chart showing the flow of the operating method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운영방법의 발송지 입고 처리단계를 더욱 자세히 나타낸 흐름도,Figure 4 is a flow chart showing in more detail the shipment destination processing step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운영방법의 발송인 인증단계를 더욱 자세히 나타낸 흐름도,5 is a flow chart showing in more detail the sender authentication step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운영방법의 발송지 입고 처리단계에서의 결제단계를 더욱 자세히 나타낸 흐름도,Figure 6 is a flow chart showing in more detail the payment step in the shipment destination processing step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무인택배중계시스템의 운영방법의 발송지 출고 처리단계를 더욱 자세히 나타낸 흐름도,7 is a flow chart showing in more detail the shipment destination processing step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unmanned home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운영방법에서의 도착지 입고 처리단계를 더욱 자세히 나타낸 흐름도,8 is a flow chart showing in more detail the arrival destination processing step 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운영방법에서의 도착지 입고 처리단계의 운송인 인증단계를 더욱 자세히 나타낸 흐름도,9 is a flow chart showing in more detail the carrier authentication step of the arrival receipt processing step 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운영방법에서의 도착지 입고 처리단계의 수령인 지정단계를 더욱 자세히 나타낸 흐름도,10 is a flow chart showing in more detail the recipient designation step of the destination arrival receipt processing step 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운영방법에서의 도착지 출고 처리단계를 더욱 자세히 나타낸 흐름도,11 is a flow chart showing in more detail the destination shipping step 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운영방법에서의 도착지 출고입고 처리단계의 수취인 인증단계를 더욱 자세히 나타낸 흐름도,12 is a flow chart showing in more detail the recipient authentication step of the arrival and departure receipt processing step 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운영방법의 도착지 출고 처리단계에서의 결제단계를 더욱 자세히 나타낸 흐름도,Figure 13 is a flow chart showing in more detail the payment step in the shipping destination processing step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원격제어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14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remote control method for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화물중계라커, 무인화물중계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철 및 전철을 통한 화물중계에 있어서 발송인과 수취인이 시각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한 때에 화물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며 오배송을 최소화하는 화물중계라커, 무인화물중계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rgo relay locker,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more specifically, in the cargo relay via subway and train so that the sender and the recipient can send and receive cargo at a convenient time regardless of time, and misdeliver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relay locker, an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인터넷의 발달에 따라 상품의 구매방식이 홈쇼핑 및 전자상거래를 선호하면서 택배, 이륜차 운송업과 같은 소화물 일관운송업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폭증한 도로상의 물류배송차량으로 인하여 도로 교통정체 및 대기오염, 물류비 증가 등의 문제점이 초래되고 있으며, 사회적인 이슈가 되고 있기도 하다.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the purchase method of goods prefers home shopping and e-commerce, and the package delivery business such as courier service and two-wheeled vehicle transportation industry is growing rapidly. However, due to the explosive distribution of logistics vehicles on the road, problems such as traffic congestion, air pollution, and increased logistics costs are also becoming social issues.

이러한 도로를 통한 운송방법의 대안으로서 최근 교통정체의 영향을 현저히 덜 받고 상대적으로 물류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지하철 및 전철 등 철도를이용한 물류가 소화물 일관배송의 새로운 루트로 주목받아 왔다. As an alternative method of transportation through such roads, logistics using railroads such as subways and trains, which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impact of traffic congestion and reduce logistics costs,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route for consistent package delivery.

그러나, 지하철 및 전철을 이용한 소화물 일관배송의 경우에도 발송인이 운송인에게 직접 화물을 전달하고, 수취인도 운송인으로부터 직접 화물을 수취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은 해소되지 않았다. 즉, 종래의 지하철 및 전철을 활용한 소화물의 운송 절차에 따르면, 발송인이 소화물을 발송하기 위하여 지하철을 활용하는 택배업체에 발송을 의뢰한 후, 운송인(택배기사)이 방문할 때를 기다려 직접 화물을 전달하여야 했다. 마찬가지로, 수취인도 운송인이 방문할 때를 기다려 직접 화물을 전달받아야만 했다. However, even in the case of consistent package delivery using subways and trains, the inconvenience of sending the cargo directly to the carrier and receiving the cargo directly from the carrier has not been eliminated.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ransport procedure using a subway and a train, the sender requests the courier company using the subway to send the package, and then waits for the carrier (courier engineer) to visit the cargo directly. Had to pass. Similarly, the consignee had to wait for the carrier's visit and receive the cargo directly.

발송인 또는 수취인이 운송인과 직접 만나야만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에서는 소화물을 접수받고 전달하기 위해서 운송 포스트(예:전철역 등)마다 별도의 물류 영업소를 운영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에 물류 영업소를 운영하기 위한 인원 및 장소를 확보하기 위한 비용으로 인하여 물류비용이 현저히 상승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sender or the receiver must meet the carrier directly, the prior art also proposes a method of operating a separate logistics office for each transport post (e.g., a subway station) in order to receive and deliver the package. However, in this cas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logistics cost significantly increased due to the cost of securing the number of people and places for operating the logistics office.

수취인이 운송인과 직접 만나기 위하여 수취인이 장시간동안 택배화물을 기 다려야만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른 종래 기술에서는 배송시간을 계산해서 수취인에게 화물의 도착 예정시각을 알려주거나, 바코드 또는 RFID 태그 등을 화물에 부착함으로써 화물의 위치를 추적하여 수취인에게 알려주는 등의 방법을 제안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수취인이 급한 일로 자리를 비우게 되는 등 수취인이 운송인을 직접 만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면 화물이 수취인에게 정상적으로 배송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화물에 부착된 송장의 정보가 틀리게 기재되거나 사용자가 수취인의 정보를 애초에 잘못 입력하는 우려를 해소할 수 없는 문제점도 여전히 남아 있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onsignee having to wait for a long time for the courier for a long time in order for the consignee to meet the carrier directly, 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calculates the delivery time to inform the consignee of the estimated time of arrival of the consignment, barcode or RFID tag, etc. It was also proposed to track the location of the cargo and attach it to the recipient by attaching it to the cargo. However, even in such a case, if the recipient is not able to meet the carrier directly, such as leaving the place due to urgent work,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argo is not normally delivered to the recipient. Furthermore,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the information on the invoice attached to the cargo is incorrectly written or the user cannot solve the concern of incorrectly inputting the recipient's information in the first pla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지하철 및 전철을 통한 화물중계에 있어서 발송인과 수취인이 시각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한 때에 화물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며 오배송의 가능성을 줄이는 화물중계라커, 무인화물중계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ender and the recipient in the cargo relay through the subway and train to send and receive cargo at a convenient time regardless of time and reduce the possibility of misdelivery To provide cargo relay locker,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화물중계라커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부와, 사용자로의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입력 데이터 및 출력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보관상자 및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보관상자의 내부에 화물을 보관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관함과, 상기 보관함에 화물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화물감지센서와,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전기정 및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검출하 기 위한 도어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관함 제어부와, 관리서버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관리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입력부, 상기 출력부, 상기 저장부, 상기 보관함 제어부, 상기 통신부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argo relay loc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input data from a user,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output data to a user, and information on input data and output data. And a storage unit, a storage box and a door, and at least one storage box for storing the cargo in the storage box, a cargo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cargo is in the storage box, and the door. A storage control unit comprising an electric well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nd a door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a management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communicating with the management server, and the input unit.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output unit, the storage unit, the storage control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It comprises a central control uni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은, 적어도 2개의 화물중계라커 및 상기 화물중계라커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중 상기 무인화물중계시스템에 등록한 사용자에 관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two cargo relay locker and the management server connected to the cargo relay lock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management server is the unattended of the user It further includes a database for storing user information about the user registered in the cargo relay system.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운영방법은, 복수의 화물중계라커 및 상기 화물중계라커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인화물중계시스템에서, 도착지 화물중계라커로 발송될 화물이 발송인의 발송명령 입력에 의하여 발송지 화물중계라커에 입고되는 발송지 입고 처리단계와, 상기 발송지 화물중계라커에 입고된 상기 화물이 상기 도착지 화물중계라커로 배송되기 위하여 상기 발송지 화물중계라커로부터 출고되는 발송지 출고 처리단계와, 상기 발송명령 입력에 따라 생성된 배송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화물이 상기 도착지 화물중계라커로 배송되는 분류 및 배송단계와, 상기 도착지 화물중계라커로 배송된 상기 화물이 상기 도착지 화물중계라커에 입고되는 도착지 입고 처리단계, 및 수취인의 수취명령 입력에 의하여 상기 화물이 상기 도착지 화물중계라커로부터 출고되는 도착지 출고 처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cargo relay lockers and a management server connected to the cargo relay locker via a communication network, destination cargo relay Shipment receipt processing step in which the cargo to be shipped to the locker is received at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by input of the sender's dispatch command, and the cargo to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for the cargo received at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to be delivered to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A shipment shipment processing step issued from a locker, a classification and delivery step in which the cargo is delivered to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based on the delivery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shipment command input, and the cargo delivered to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A destination arrival processing step of wearing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And a destination release processing step in which the cargo is released from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by a recipient's receipt order inpu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한 화물중계라커와 관리서버 간에 이루어지는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원격제어방법은, 상기 화물중계라커로부터 상기 관리서버로 접속요청신호가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접속요청신호를 수신한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화물중계라커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화물중계라커에 작업수행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화물중계라커가 상기 작업수행 명령에 따른 작업수행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method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between the cargo relay locker and the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transmitting a connection request signal from the cargo relay locker to the management server, and receives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dentifying, by the management server, the cargo relay locker; transmitting, by the management server, the work execution command to the cargo relay locker; and performing the work according to the work execution command by the cargo relay locker. It is made to includ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which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화물중계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ow,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의 전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nd its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100)은 다수의 발송지 화물중계라커(120)와 다수의 도착지 화물중계라커(130) 및 관리서 버(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1,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s 120, a plurality of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s 130, and a management server 110.

동일한 화물중계라커가 경우에 따라 발송지 화물중계라커로서도, 도착지 화물중계라커로서도 기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the same cargo relay locker may also function as the source cargo relay locker or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in some cases.

발송지 화물중계라커(120) 및 도착지 화물중계라커(130)는 가령 전철역에 설치됨으로써 화물을 발송하고 수취함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우수한 접근성을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The source cargo relay locker 120 and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130 are installed at a subway station, for example, to provide excellent accessibility to the user in sending and receiving cargo.

화물 중계라커(120,130)는 통신 네트워크(101,102)를 통하여 관리서버(110)에 접속된다. The cargo relay lockers 120 and 130 are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1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s 101 and 102.

관리서버(110)는 신용카드사 서버(140)(신용결제에 관한 이른바 VAN 사업자의 서버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와 통신 네트워크(141)를 통하여 연결됨으로써, 화물중계라커(120,130)로부터 전송되는 결제요청에 따른 신용결제 처리를 행할 수 있다.The management server 110 is connected to the credit card company server 140 (including the server of the so-called VAN operator for credit settlement. The following is the sam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41, the payment transmitted from the cargo relay lockers (120, 130) Credit settlement processing can be performed upon request.

또한, 관리서버(110)는 이동통신사 서버(150)에도 통신 네트워크(141)를 통하여 연결됨으로써, 화물중계라커(120,130)로부터 전송되는 휴대폰인증 요청 및 휴대폰결제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110 is also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15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41, it is possible to process the mobile phone authentication request and mobile phone payment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cargo relay lockers (120,130).

또한, 관리서버(110)는 운송인의 시스템에도 유무선 통신네트워크(103)를 통하여 연결됨으로써, 화물의 운송과 관련한 각종 정보를 운송인의 시스템과 교환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110 is also connected to the carrier's system through the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03, so as to exchang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of cargo with the carrier's system.

위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운영방법은, 발송인이 발송지 화물중계라커(120)에 화물을 입고하는 발송지 입고 처리단계(S10), 발송지 화물중계라커(120)에 입고된 화물이 운송인의 배송하기 위하여 발송지 화물중계라커(120)로부터 출고되는 발송지 출고 처리단계(S20), 입고시에 입력 및 생성된 배송정보에 따라 화물이 분류된 후 도착지 화물중계라커(130)까지 배송되는 분류 및 배송 단계(S30), 도착지 화물중계라커(130)로 배송된 화물이 그 배송정보에 따라 도착지 화물중계라커(130)의 보관함으로 입고되는 도착지 입고 처리단계(S40) 및 수취인에 의하여 화물이 도착지 화물중계라커(130)로부터 출고되는 도착지 출고 처리단계(S50) 등 크게 다섯 단계로 나뉜다. The operation method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by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ender is a shipment destination handling step (S10), the shipment cargo relay locker 120 to receive the cargo to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120. After the cargo received in the shipment is shipped from the shipment cargo relay locker 120 to the carrier for delivery (S20), the cargo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elivery information input and generated at the time of receipt, the cargo relay locker 130 Classification and delivery step to be delivered to (S30),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130, the goods delivered to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130 in accordance with the delivery information, the arrival arrival receipt processing step (S40) and the recipient By the cargo is divided into five stages, such as the destination shipping step (S50) that the cargo is released from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130).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화물중계라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argo relay locker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물중계라커(200)는 중앙제어부(210), 입력부(220), 출력부(230), 저장부(240), 보관함 제어부(250) 및 통신부(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2, the cargo relay lock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ntral control unit 210, an input unit 220, an output unit 230, a storage unit 240, a storage box control unit 250, and a communication unit 260. )

먼저, 입력부(220)는 사용자(발송인, 운송인 또는 수취인 등)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요구사항 등을 입력받는 역할을 담당한다. 입력부(22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적합한 입력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예를 들어 화물중계라커(200)의 모니터 표면에 터치스크린을 부가 장착하여 이를 입력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결제정보의 입력에 사용될 수 있는 키패드 또는 키보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사용자의 신용결제를 위한 신용카드 인식모듈(마그네틱 카드, 스마트 카드 모두를 포함한다)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배송 과정에서 바코드의 형태로 입력되어야 하는 배송 정보가 있는 경우를 위하여 바코드 리더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관리센터의 상담원과의 통화를 위한 시청각적인 정보를 인식하기 위하여 화상카메라 또는 마이크가 입력부(200)에 더 포함될 수도 있다.First, the input unit 220 plays a role of receiving user information and requirements from a user (sender, carrier, recipient, etc.). The input unit 220 may further include a suitable input interface for receiving an input from the user. For example, a touch screen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monitor surface of the cargo relay locker 200 and used as an input means. Th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keypad or a keyboard that may be used to input the user's payment information, or may further include a credit card recognition module (including both a magnetic card and a smart card) for the user's credit settlement. have. In addition, a bar code reader may be further included for the case where there is delivery information to be input in the form of a barcode in the delivery process. Furtherm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deo camera or a microphone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input unit 200 in order to recognize audiovisual information for a call with a counselor of a management center.

출력부(230)는 사용자에게 화물중계라커(200)의 동작 결과를 회신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안내화면을 출력하는 모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배송 과정에서 영수증, 결제정보, 바코드 이미지 등의 출력물을 인쇄하기 위하여 프린터 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청각적인 정보를 출력하기 위하여 스피커가 출력부(230)에 더 포함될 수도 있다. The output unit 230 is a component for returning the operation result of the cargo relay locker 200 to the user, and may include a monitor for outputting a guide screen, such as a receipt, payment information, barcode image, etc. during the delivery process. It may further comprise a printer module for printing the output. Furtherm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aker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output unit 230 to output audio information.

저장부(240)는 화물중계라커(200)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프로세스 및 관련 정보들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저장부(240)에는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에 관한 정보, 운송 가능한 도착지 무인화물중계라커에 관한 정보, 입출고 내역 또는 결제내역 등이 저장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240 serves to store various processes and related information made in the cargo relay locker 200.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240 relates to a user registered in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transportable destination unmanned cargo relay locker, receipt and departure history or payment history may be stored.

보관함 제어부(250)는 화물중계라커(200)에 포함된 각각의 보관함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소화물의 입출고 사실을 검출하기 위한 화물감지 센서모듈과, 보관함의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전기정(개폐장치) 모듈 및 제어부 도어의 개폐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도어 센서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Storage control unit 250 is a component that serv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storage box included in the cargo relay locker 200, cargo detection sensor module for detecting the fact that the incoming and out of the package, and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of the storage box It comprises an electric well (switching and closing device) module and a door sensor module for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control unit door.

통신부(260)는 관리서버(270)와의 통신을 담당하는 구성요소로서, 가령 네트워크 어댑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관리서버(270)의 데이터베이스(271)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등록정보를 검색하거나 관리서버(270)를 경유하여 신용카드사 서버(280)와 신용결제에 관한 프로세스를 수행하거나 관리서버(270)를 경유하여 이동통신사 서버(290)와 휴대폰 인증에 관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unit 260 is a component in charge of communica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270, and includes a network adapter, for example, and retrieves or manages user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271 of the management server 270. Performs a process related to credit settlement with the credit card company server 280 via the server 270 or performs a process related to mobile phone authent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290 via the management server 270, etc. do.

그리고 중앙제어부(220)는 무인화물중계라커(200)의 각 구성요소, 즉 입력부(220), 출력부(230), 저장부(240), 보관함 제어부(250) 및 통신부(26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무인화물중계라커(2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unit 220 operates the components of the unmanned cargo relay locker 200, that i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input unit 220, the output unit 230, the storage unit 240, the storage control unit 250, and the communication unit 260. By controlling the role of the unmanned cargo relay locker 200 to operate normally.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운영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3 is a flow chart showing the flow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은 발송지 입고 처리단계(S10), 발송지 출고 처리단계(S20), 분류 및 배송 단계(S30), 도착지 입고 처리단계(S40) 및 도착지 출고 처리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ure 3,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ipment destination receiving step (S10), the shipment destination processing step (S20), the classification and delivery step (S30), the destination arrival receipt processing step (S40) and the arrival destination It comprises a processing step (S50).

발송지 입고 처리단계(S10)는 발송인이 발송지 화물중계라커에 다른 역의 화물중계라커로 발송할 화물을 입고하는 프로세스에 관한 단계이다. Shipment receipt processing step (S10) is a step for the process of the sender receives the cargo to be sent to the cargo relay locker of the other station to the cargo relay locker.

발송지 출고 처리단계(S20)에서는 발송지 화물중계라커에 입고된 화물이 운송인의 배송하기 위하여 운송인에 의하여 발송지 화물중계라커로부터 출고되는 프로세스에 관한 단계이다. In the shipment release processing step (S20), the cargo received in the shipment cargo relay locker is a step related to the process of being released from the shipment cargo relay locker by the carrier for delivery by the carrier.

분류 및 배송 단계(S30)는 입고시에 입력 및 생성된 배송정보에 따라 화물이 분류된 후 도착지 화물중계라커까지 배송되는 프로세스에 관한 단계이다. Sorting and delivery step (S30) is a step relating to the process of delivery to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after the cargo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elivery information input and generated at the time of receipt.

도착지 입고 처리단계(S40)는 도착지 화물중계라커로 배송된 화물이 그 배송 정보에 따라 도착지 화물중계라커의 보관함으로 입고되는 프로세스에 관한 단계이다. Destination arrival processing step (S40) is a step relating to the process that the cargo delivered to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is received in the storage box of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according to the delivery information.

또한, 도착지 출고 처리단계(S50)는 도착지 화물중계라커에 입고된 화물이 수취인에 의하여 출고되는 프로세스에 관한 단계이다. In addition, the destination delivery processing step (S50) is a step relating to the process that the cargo received in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is released by the recipient.

이러한 다섯 단계를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운영방법에 따라 발송인과 수취인이 운송인과 직접 만나지 않으면서도 편리한 시각에 화물을 발송 및 수취할 수 있도록 하는 무인화물중계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operation method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se five steps, the unmanned cargo relay procedure that allows the sender and the recipient to send and receive the cargo at a convenient time without meeting the carrier directly.

도 3에서 나타낸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운영방법의 각 단계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each step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3 as follows.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운영방법의 발송지 입고 처리단계를 더욱 자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Figure 4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in more detail the step of receiving goods handling process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운영방법의 일례에서, 발송지 입고 처리단계는 화물의뢰 요청 개시단계(S110), 발송인 인증단계(S120), 운송수단 선택단계(S130), 도착지 선택단계(S140), 수취인 정보 입력단계(S150), 결제단계(S160), 화물 입고단계(S170) 및 후처리단계(S180)의 하위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4, in one example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ipment destination processing step is a cargo request request start step (S110), sender authentication step (S120), transport means selection step (S130) ), The destination selection step (S140), the recipient information input step (S150), the payment step (S160), the goods receipt step (S170) and the post-processing step (S180) can be made.

이 단계는 발송인이 발송지 화물중계라커를 통하여 운송화물을 의뢰하는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This step relates to the process by which the sender requests the shipment via the source cargo relay locker.

먼저, 화물의뢰 요청 개시단계(S110)에서는 발송인이 발송지 화물중계라커의 입력부를 통하여 화물의뢰를 요청하는 입력조작을 수행함으로써 화물의뢰를 개시하 게 된다. 예를 들어, 이 단계는 화물중계라커의 모니터 위에 장착된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화물의뢰" 또는 이에 상당하는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활성화시킬 수 있다.First, in the cargo request request starting step (S110), the sender initiates the cargo request by performing an input operation for requesting the cargo request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cargo relay locker of the destination. For example, this step can be activated by selecting "Request a cargo" or an equivalent menu through a touch screen mounted on the monitor of the cargo relay locker.

화물의뢰 요청이 개시되면, 발송인 인증단계(S120)가 수행된다. When the cargo request is initiated, the sender authentication step (S120) is performed.

발송인 인증단계(S120)는 발송인이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인증하는 과정이다.Sender authentication step (S120) is a process of authenticating whether the sender is registered in the user database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운영방법의 발송인 인증단계를 더욱 자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5 is a flow chart showing in more detail the sender authentication step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발송인 인증단계(S120)에서 화물중계라커는 발송인이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한 입력을 받는다(S121). 이에 따라, 발송인이 등록자라고 입력한 경우에는 그에 따른 인증처리를 수행하는 단계가 수행되는데(S122), 이 단계에서는 발송인의 등록ID카드번호를 발송인으로부터 더 입력받고, 카드번호 정보를 관리서버에 전송함으로써, 관리서버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한 인증결과값을 회신받도록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in the sender authentication step S120, the cargo relay locker receives an input regarding whether the sender is registered in the user database (S121). Accordingly, when the sender inputs the registrant, the step of performing the authentication process is performed accordingly (S122). In this step, the sender's registration ID card number is further input from the sender, and the card numb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By doing so, the authentication result value referring to the user database can be return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다음으로 화물중계라커는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인증결과값에 따라 인증 성공여부를 판단하며(S124), 인증이 성공하였다면 다음 단계인 운송수단 선택단계(S130)로 진행하게 된다. 만약 인증이 실패하였다면 실패에 따른 예외처리 단계(S125)를 수행하게 되는데, 예외처리 단계에서는 사용자로부터 등록ID카드번호를 성공할 때까지 또는 특정 횟수까지 수 회 재입력받거나, 미등록자인 것으로 정정입력을 받거나 또는 화물의뢰요청을 종료하는 등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Next, the cargo relay locker determines whether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result value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S124), and if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proceeds to the next step, the vehicle selection step (S130). If authentication fails, an exception handling step (S125)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failure. In the exception handling step, the user registers the registration ID card number repeatedly until a certain number of times or until a specific number of times, or receives a correction input as an unregistered user. Alternatively, the step of terminating the cargo request may be performed.

한편, 발송인이 미등록자라는 입력을 행한 경우에는 발송인의 인증처리를 위 하여 휴대폰 인증 처리(S123)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nder has entered the input of the non-registrant may perform the mobile phone authentication process (S123) for the sender's authentication process.

휴대폰 인증 처리(S123) 절차의 수행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The mobile phone authentication process (S123) is performed as follows.

먼저 발송인이 자신의 휴대폰 번호를 입력하면, 화물중계라커는 이 휴대폰번호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한다. 관리서버는 5자리 이상의 인증번호를 무작위로 생성한 후, 인증번호가 포함된 동일한 단문메시지를 화물중계라커 및 발송인의 휴대폰으로 각각 전송한다. 단문메시지를 전송받은 사용자가 그 인증번호를 화물중계라커에 입력한 경우에, 화물중계라커가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인증번호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인증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인증 성공으로 간주하게 된다. First, the sender enters his mobile number, the cargo relay locker transmits the mobile number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The management server randomly generates a five-digit authentication number, and then transmits the same short message containing the authentication number to the cargo relay locker and the sender's mobile phone, respectively. When the user who received the short message enters the authentication number into the cargo relay locker, the authentication number received by the cargo relay locker from the management server matches the authentication number by the user's input. .

휴대폰 인증처리(S123)의 결과에 따라, 인증이 성공하였다면 다음 단계인 운송수단 선택단계(S13)로 진행하게 된다. 만약 인증이 실패하였다면 실패에 따른 예외처리 단계(S125)를 수행하게 되는데, 예외처리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휴대폰 인증처리 절차를 성공할 때까지 또는 특정 횟수까지 수 회 재시도하거나, 또는 화물의뢰요청을 종료하는 등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mobile phone authentication process (S123), if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he process proceeds to the next step of vehicle selection step (S13). If authentication fails, an exception handling step (S125)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failure. In the exception handling step, the mobile phone authentication processing procedure is retried several times or until a specific number of times, or the cargo request is terminated. And the like can be performed.

발송인 인증단계(S120)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다음으로 운송수단 선택단계(S130)가 수행된다. 운송수단 선택단계(S130)에서는 서비스의 종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의 운송을 담당하는 복수의 수단(지하철, 트럭, 오토바이 등)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의 운송을 담당하는 복수의 사업자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운송수단이나 사업자의 종류가 한가지라면 운송수단 선택단계(S130)는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 운송수단 선택단계(S130)는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단계 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례에서는 지하철을 통한 한 종류의 운송 사업자(운송인)에 의하여 분류 및 배송 단계가 행해지도록 할 수 있다. If the sender authentication step (S120) is successfully performed, then the vehicle selection step (S130) is performed. In the vehicle selection step (S130), it is possible to select a type of service, for example,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means (subway, truck, motorcycle, etc.) in charge of transport from the departure point to the arrival point, or from the departure point. It is possible to select one of a plurality of operators in charge of transportation to.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only one type of vehicle or carrier, the vehicle selection step (S130) may not be necessary, so the vehicle selection step (S13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a required step. For example, in th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rting and delivery step may be performed by a kind of transport company (carrier) via the subway.

다음으로 도착지 선택단계(S140)에서는 발송인이 화물을 운송하고자 하는 도착지를 선택하게 된다. 도착지 선택의 일례로서, 발송인은 화물중계라커의 모니터에 출력되는 전철역의 목록을 선택 또는 검색함으로써 도착지를 지정하도록 할 수 있다. Next, in the destination selection step (S140), the sender selects the destination to which the cargo is to be transported. As an example of destination selection, the sender may designate a destination by selecting or retrieving a list of train stations output to the monitor of the cargo relay locker.

도착지 선택단계(S140)에서 도착지가 선택되면, 발송인이 도착지 화물중계라커에서 화물을 수취할 수취인을 지정하기 위한 수취인 정보 입력단계(S150)가 수행된다. When the destination is selected in the destination selection step (S140), the recipient information input step (S150) for the sender to specify the recipient to receive the cargo in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is performed.

수취인 정보 입력단계(S150)에서 입력되는 수취인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수취인의 휴대폰 번호나, 수취인의 주민등록번호나, 수취인이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라면 등록ID카드번호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Recipient information input in the recipient information input step (S150), for example, the recipient's mobile phone number, the recipient's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if the recipient is registered in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registration ID card number May contain information.

다음으로 결제단계(S160)가 수행된다. Next, the payment step (S160) is performed.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운영방법의 발송지 입고 처리단계에서의 결제단계를 더욱 자세히 나타낸 흐름도다. Figure 6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in more detail the payment step in the shipment destination processing step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발송인이 수취인 정보 입력단계(S150)를 성공적으로 마치게 되면, 다음으로 화물배송에 관한 결제방법을 입력받는 단계(S161)가 진행된다. 발송인은 화물배송에 관한 결제를 선불로 할 것인지 후불(착불)로 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여 이를 입력하게 된다. As shown in Figure 6, when the sender successfully completes the recipient information input step (S150), a step (S161) of receiving a payment method related to the delivery of the cargo proceeds next. The sender decides whether or not to pay the freight delivery in advance or postpaid (payment).

화물중계라커는 입력된 배송방법을 식별한 후(S162), 입력된 각각의 배송방법에 따른 하위 단계를 계속 수행한다. Cargo relay locker after identifying the input delivery method (S162), and continues to perform the sub-steps according to each of the input delivery method.

먼저, 발송인이 후불처리를 선택한 경우에는 화물중계라커의 해당 화물에 관한 배송정보에 후불처리 되어야 한다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하는 후불처리를 수행한 후(S163), 다음 단계인 화물 입고단계(S170)를 진행하게 된다. 후불처리 수행 과정에서 화물중계라커는 해당 화물에 관한 배송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First, if the sender selects postpaid processing, after performing postpaid processing to include information that post-payment should be included in the delivery information of the cargo relay locker (S163), the next step is the goods receipt step (S170). Will proceed. During the post-payment process, the cargo relay locker may store delivery information about the cargo in the storage unit.

한편, 발송인이 선불처리를 선택한 경우에는, 화물중계라커는 사용 가능한 결제수단을 제시한 후 사용자로부터 특정 결제수단에 관한 선택 및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수단에 관한 결제 관련 정보를 입력받게 된다(S164).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nder selects the prepaid process, the cargo relay locker presents the available payment means and receives from the user a selection regarding a specific payment means and payment related information about the payment means selected by the user (S164).

화물중계라커는 수신한 결제 관련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65)를 수행하며, 관리서버는 이들 정보를 이용하여 신용결제를 위한 신용카드사 서버 또는 휴대폰결제를 위한 이동통신사 서버 등과 결제프로세스를 수행한 후, 그에 따른 결과를 화물중계라커로 전송한다(S166). Cargo relay locker performs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received payment related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S165), the management server uses the information to the payment process, such as credit card company server for credit payment or mobile carrier server for mobile phone payment After performing, the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cargo relay locker (S166).

화물중계라커는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결제성공여부 정보에 따라 결제성공 여부를 판단한다(S167).The cargo relay locker determines whether the payment is successful according to the payment succes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S167).

만약 결제가 성공한 경우에는 다음 단계인 화물 입고단계(S170)로 진행하게 되며, 결제가 실패한 경우에는 결제 실패에 따른 예외처리 단계(S168)를 수행하게 된다. 예외처리 단계에서는 동일한 결제수단에 대한 결제 재시도나, 결제수단 변경 후의 새로운 결제 시도나, 후불로의 결제방법 변경 또는 화물의뢰요청 종료 중의 어느 단계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If the payment is successful, the process proceeds to the next step, the goods receipt step (S170). If the payment fails, the exception processing step (S168) according to the payment failure is performed. In the exception processing step, it is possible to perform any step of retrying the payment for the same payment method, attempting a new payment after changing the payment method, changing a payment method to postpay or ending a request for freight.

한편, 도 1에서 나타낸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에 관한 실시예에서는 휴대폰 결제 및 신용카드 결제가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들 결제수단만으로 한정하고자 하는 의도는 아니며, 가능한 모든 결제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카드인 티머니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에 관한 결제절차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과의 연동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 but the mobile phone payment and credit card payment is possible, but not intended to be limited only to these payment means, all possible payment means can be applied have. For example, in order to be able to use T-money, which is a transportation card, it must be linked with a system that can perform a payment procedure.

선불결제를 마치거나 후불결제를 선택한 발송인에 의하여 결제단계(S160)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화물 입고단계(S170)가 수행된다.If the payment step (S160) is successfully performed by the sender who completed the prepaid payment or the postpaid payment, the goods receipt step (S170) is performed.

이 단계에서 발송인은 운송할 화물을 보관할 보관함을 선택하게 되는데, 이 때 비어있는 보관함 중에서 화물의 크기에 맞는 보관함을 선택할 수 있다. In this step, the sender selects a storage box to store the cargo to be transported, and selects a storage box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cargo from the empty storage boxes.

발송인이 원하는 보관함을 선택하면, 보관함을 개폐하는 전기정에 의하여 보관함 도어가 열리고, 발송인이 화물을 입고시킨다. 이 때, 화물의 입고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화물감지 센서가 화물유무를 검출한다. When the sender selects the desired storage box, the storage door is opened by an electric well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box, and the sender loads the cargo. At this time, the cargo detection sensor detects the presence of cargo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receipt of the cargo is normally made.

화물감지 센서에 의하여 화물입고가 검출되면, 화물중계라커는 의뢰된 화물의 분류 및 배송을 위한 후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후처리 단계(S180)를 수행한다. When cargo receipt is detected by the cargo detection sensor, the cargo relay locker performs a post-processing step (S180) for performing a post-processing operation for sorting and delivering the requested cargo.

이 단계에서, 화물중계라커는 화물의뢰 및 보관사실 등을 증명하는 정보가 포함된 영수증을 출력할 수 있으며, 관리서버로 입고정보, 도착지 정보, 수취인 정보 등이 포함된 화물 배송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이 단계에서 관리서버는 운송인에게 발송지, 도착지 및 수취인 정보 등이 포함된 메시지를 통보할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는 이메일 또는 휴대폰 단문메시지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In this step, the cargo relay locker may output a receipt containing information proving the cargo request and storage facts, and transmits the cargo delivery information including the receipt informatio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he consignee information, etc. to the management server. Also, at this stage, the management server may notify the carrier of the message including the origin, destination and recipient information. Such a message may be transmitted through various means such as an e-mail or a mobile short message.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무인택배중계시스템의 운영방법의 발송지 출고 처리단계의 일례를 더욱 자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Figure 7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in more detail an example of a shipment destination processing step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unmanned home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 단계는 운송인이 발송지 화물중계라커에 입고된 운송화물을 출고하는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This step relates to the process by which the carrier issues the cargo received at the source cargo relay locker.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발송지 출고 처리단계(S20)는 발송지 출고처리 개시단계(S210), 운송인 인증단계(S220), 화물 선택단계(S230), 보관함 개방단계(S240), 작업수행 계속여부 판단단계(S250), 출고증 출력단계(S260) 및 후처리단계(S270)의 하위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shipment release processing step (S20) is a shipment release processing start step (S210), a carrier authentication step (S220), a cargo selection step (S230), a storage box opening step (S240), and whether work execution is determined. It may be made by including a sub-step of the step (S250), the factory output step (S260) and the post-processing step (S270).

먼저, 발송지 출고처리 개시단계(S210)에서는 운송인이 발송지 화물중계라커의 입력부를 통하여 화물출고를 요청하는 입력조작을 수행함으로써 화물의뢰를 개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이 단계는 화물중계라커의 모니터 위에 장착된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화물출고" 또는 이에 상당하는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활성화시킬 수 있다.First, in the shipment dispatch process start step (S210), the carrier initiates a cargo request by performing an input operation for requesting the shipment of goods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shipment cargo relay lock. For example, this step can be activated by selecting "Shipping Out" or an equivalent menu via a touch screen mounted on the monitor of the cargo relay locker.

화물의뢰 요청이 개시되면, 운송인 인증단계(S220)가 수행된다. When the cargo request is initiated, the carrier authentication step (S220) is performed.

운송인 인증단계(S220)는 운송인이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인증하는 과정으로서, 허가를 얻지 않은 자가 화물에 접근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배송사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Carrier authentication step (S220) is a process of authenticating whether or not the carrier is registered in the user database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problem of delivery accidents that may occur by unauthorized access to the cargo. That's the step.

운송인 인증단계도 위에서 설명한 발송인 인증단계와 마찬가지의 하위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등록ID카드번호 인증 또는 휴대폰 인증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arrier authentication step may also be performed by the registration ID card number authentication or mobile phone authentication by performing a sub-step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sender authentication step.

한편, 운송인 인증단계(S22)에서 운송인에 대한 인증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후에는 화물 선택단계(S230)가 수행된다. 화물 선택단계(S230)에서는, 먼저 운송인의 등록ID카드번호 또는 휴대폰 번호 앞으로 지정된 화물의뢰내역이 화물중계라커의 모니터에 표시되며, 운송인은 이에 따라 배송하여야 할 화물을 선택한다. 화물 선택단계(S230)에서의 선택에 따라 배송이 이루어져야 할 대상 화물이 특정되면, 보관함 개방단계(S240)에서는 그 화물이 보관되어 있는 보관함에 관한 개방이 화물중계라커에 의하여 수행된다. On the other hand, after the authentication for the carrier is successfully performed in the carrier authentication step (S22), the cargo selection step (S230) is performed. In the cargo selection step (S230), first, the cargo request history specified in front of the carrier's registration ID card number or the mobile phone number is displayed on the monitor of the cargo relay locker, and the carrier selects the cargo to be delivered accordingly. When the target cargo to be delivered is specifi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in the cargo selection step (S230), in the storage box opening step (S240), the opening of the storage box in which the cargo is stored is performed by the cargo relay locker.

발송지 화물중계라커는 운송인이 출고하여야 하는 화물이 여러 개인지 여부를 판단한 후 운송인에게 화물의 출고 작업을 계속 수행할 것인지에 관한 응답을 요청한다(S250). 만약 운송인이 다른 보관함에 저장된 화물에 대해서도 출고를 계속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른 화물에 대해서도 화물 선택단계(S230)부터의 일련의 작업이 수행된다.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determines whether there are several cargoes to be released by the carrier, and then asks the carrier for a response as to whether to continue the cargo release operation (S250). If the carrier wants to continue the shipment for the cargo stored in another storage box, a series of operations from the cargo selection step (S230) is also performed for the other cargo.

화물의 출고를 마치면 발송지 화물중계라커는 수거된 각각의 화물마다 출고증을 출력한다(S260). 출고증에는 발송지 입고 처리단계(S10)에서 생성된 화물관리번호 및 바코드 번호, 발송지 입고 처리단계(S10)에서 입력된 의뢰인의 휴대전화번호 및 수취인의 휴대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shipment is finished, the cargo relay locker to the shipment outputs a receipt for each of the collected cargo (S260). The shipping receipt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a cargo management number and a barcode number generated in the shipment receipt processing step (S10), the mobile phone number of the client and the recipient's mobile phone number input in the shipment destination receipt processing step (S10). .

도 7에서는 출고증 출력단계(S260)가 작업수행 계속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50) 후에 수행되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이들 단계는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즉, 하나의 화물에 대하여 출고증의 출력단계를 완료한 후에 다른 화물에 대하여 출고요청을 할 것인지 여부에 관한 선택을 입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In FIG. 7, it is expressed that the delivery of goods receipt step S260 is performed after the step S250 of determining whether to continue work execution. However, the order may be changed. In other words, it is also possible to enter a choice as to whether or not to request a shipment for another shipment after completing the output stage of the shipment receipt for one shipment.

마지막으로, 후처리단계(S270)에서는 출고가 수행된 화물에 관한 배송정보가발송지 화물중계라커로부터 관리서버로 전송된다. Finally, in the post-processing step (S270), the delivery information about the cargo on which the shipment was performed is transmitted from the shipment cargo relay locker to the management server.

또한, 이 단계에서 관리서버는 발송인에게 발송지, 도착지 및 수취인 정보 등이 포함된 메시지를 통보할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는 발송인이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에 사용자 등록을 하면서 기재한 이메일 주소나 휴대전화번호 또는 발송지 입고 처리단계(S10)에서 입력한 휴대전화번호에 의거하여 발송인에게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t this stage, the management server may notify the sender a message containing the source, destination and recipient information. Such a message may be sent to the sender based on the e-mail address or mobile phone number or mobile phone number input in the step of receiving goods handling step (S10) described while the sender registers the user in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한편, 관리서버는 발송지 화물중계라커로부터 전송된 각 화물에 관한 배송정보에 의거하여, 도착지 무인화물중계시스템에 해당 화물의 배송정보 및 입고예정사실을 포함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착지 화물중계라커는 해당 화물의 배송정보에 포함된 화물 관리번호를 저장부에 저장해둠으로써, 이후의 단계에서 운송인이 입력하는 화물 관리번호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내용의 인증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화물 관리번호에 관한 인증을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보안성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nagement server based on the delivery information for each cargo transmitted from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the destination unmanned cargo relay system may include information including the shipping information and the expected arrival of the cargo. In addition,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stores the cargo management number included in the delivery information of the cargo in the storage unit, further verifying whether or not it matches the cargo management number entered by the carrier in a later step. Can be done. Through the authentication of the cargo management number, the security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urther improved.

이상에서와 같이 발송지 출고 처리단계(S20)의 수행이 완료되면, 도 3에 나타낸 분류 및 배송 단계(S30)가 수행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hipment dispatch processing step S20 is completed, the sorting and delivery step S30 shown in FIG. 3 is performed.

분류 및 배송 단계(S30)에서는 발송지 화물중계라커로부터 출고된 각 화물이 그 화물의 배송정보에 포함된 도착지 정보에 의거하여 분류되어 배송된다. In the sorting and delivery step (S30), each cargo released from the shipment cargo relay locker is classified and shipped based o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elivery information of the cargo.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이 전철역에 설치되어 있는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운영방법에서의 분류 및 배송 단계(S30)도 전철 또는 지하철을 통하여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분류 및 배송 단계(S30)는 반드시 전철이나 지하철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만은 아니며, 화물을 발송지로부터 도착지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이라면 어떠한 것에 의하더라도 무방하다. In this specification, since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embodiment installed in a train station, the classification and delivery step (S30) 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via a train or subway. It is desirable to allow it to be performed. However, the sorting and delivery step (S30) is not necessarily made through a train or subway, and may be any means as long as it can move the cargo from the origin to the destination.

분류 및 배송 단계(S30)에 의하여 화물이 도착지까지 배송되면, 도착지 입고 처리단계(S40)가 수행된다. When the cargo is delivered to the destination by the sorting and delivery step (S30), the destination arrival processing step (S40) is performed.

이 단계는 발송지 화물중계라커에서 화물을 출고한 운송인이 도착지까지 화물을 운송한 후 도착지 화물중계라커에 화물을 보관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This step relates to the process performed by the carrier who has shipped the cargo from the source cargo relay locker to transport the cargo to the destination and then to store the cargo in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운영방법에서의 도착지 입고 처리단계를 더욱 자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8 is a flow chart showing in more detail the destination arrival processing step 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착지 입고 처리단계(S40)는 도착지 입고처리 개시단계(S400), 운송인 인증단계(S410), 수취인 지정단계(S420), 화물관리정보 입력단계(S430), 결제정보 입력단계(S440), 보관함 선택단계(S450), 영수증 출력단계(S460) 및 입고정보 처리단계(S470)를 하위 단계로서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the arrival destination receipt processing step (S40) is the arrival destination receipt processing start step (S400), the carrier authentication step (S410), the recipient designation step (S420), cargo management information input step (S430), payment information input A step S440, a storage box selection step S450, a receipt output step S460, and a receipt information processing step S470 may be performed as sub-steps.

먼저, 도착지 입고처리 개시단계(S400)에서는 운송인이 도착지 화물중계라커의 입력부를 통하여 화물입고를 요청하는 입력조작을 수행함으로써 도착지 화물중 계라커의 보관함에 화물을 입고하는 절차의 수행을 개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이 단계는 화물중계라커의 모니터 위에 장착된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화물입고" 또는 이에 상당하는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활성화시킬 수 있다.First, in the destination receiving process start step (S400), the carrier starts the procedure of receiving the cargo into the storage box of the destination cargo locker by performing an input operation for requesting the cargo receipt through the input of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 For example, this step can be activated by selecting a "Load in cargo" or equivalent menu through a touch screen mounted on the monitor of the cargo relay locker.

화물입고 요청이 개시되면, 운송인 인증단계(S410)가 수행된다. When the cargo receipt request is started, the carrier authentication step (S410) is performed.

운송인 인증단계(S410)는 발송지 출고 처리단계(S20)에서 운송인이 행하는 운송인 인증단계(S220)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인증하는 과정이다. Carrier authentication step (S410) is a process of authenticating whether or not registered in the user database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the carrier authentication step (S220) performed by the carrier in the shipment destination processing step (S20).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운영방법에서의 도착지 입고 처리단계의 운송인 인증단계를 더욱 자세히 나타낸 흐름도다. 9 is a flow chart showing in more detail the carrier authentication step of the arrival receipt processing step 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운송인 인증단계(S410)에서 도착지 화물중계라커는 운송인이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한 입력을 받는다(S411). 이에 따라, 운송인이 등록자라고 입력한 경우에는 그에 따른 인증처리를 수행하는 단계가 수행되는데(S412), 이 단계에서는 운송인의 등록ID카드번호를 운송인으로부터 더 입력받고, 카드번호 정보를 관리서버에 전송함으로써, 관리서버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한 인증결과값을 회신받도록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9, in the carrier authentication step (S410),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receives an input regarding whether the carrier is registered in the user database (S411). Accordingly, when the carrier is registered as a registrant, a step of performing an authentication process is performed accordingly (S412). In this step, the carrier further receives a registered ID card number from the carrier and transmits the card number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By doing so, the authentication result value referring to the user database can be return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다음으로 도착지 화물중계라커는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인증결과값에 따라 인증 성공여부를 판단하며(S414), 인증이 성공하였다면 다음 단계인 수취인 지정단계(S420)로 진행하게 된다. 만약 인증이 실패하였다면 실패에 따른 예외처리 단계(S415)를 수행하게 되는데, 예외처리 단계에서는 사용자로부터 등록ID카드번호를 성공할 때까지 또는 특정 횟수까지 수 회 재입력받거나, 미등록자인 것으로 정 정입력을 받거나 또는 화물 입고처리 절차를 종료하는 등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Next,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determines whether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result value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S414), and if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proceeds to the next step, the recipient designation step (S420). If the authentication fails, an exception handling step (S415)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failure. In the exception handling step, the user inputs the registration ID card number again or until a certain number of times until the registration ID card number succeeds, or inputs a correct input as an unregistered user. Accepting or terminating the cargo handling process.

한편, 운송인이 미등록자라는 입력을 행한 경우에는 운송인의 인증처리를 위하여 휴대폰 인증 처리(S413)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송인이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에 등록되지 않은 외부업체에 속한 경우이거나, 등록ID카드번호를 가지고 있지만 인증절차를 행할 수 없는 경우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arrier is an input of the non-registrant,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mobile phone authentication process (S413) for the authentication process of the carrier. For example, if the carrier belongs to an external company not registered in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if the carrier has a registration ID card number but cannot perform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휴대폰 인증 처리(S413) 절차 수행의 구체적인 방법은 앞서 단계S123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detailed method of performing the mobile phone authentication process (S413) has been described above in step S123, it will be omitted.

휴대폰 인증처리(S413)의 결과에 따라, 인증이 성공하였다면 다음 단계인 수령인 지정단계(S420)로 진행하게 된다. 만약 인증이 실패하였다면 실패에 따른 예외처리 단계(S415)를 수행하게 되는데, 예외처리 단계에서는 운송인의 휴대폰 인증처리 절차를 성공할 때까지 또는 특정 횟수까지 수 회 재시도하거나, 또는 화물 입고처리 절차를 종료하는 등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As a result of the mobile phone authentication process (S413), if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he process proceeds to the next step, the recipient designation step (S420). If authentication fails, an exception handling step (S415) according to the failure is performed. In the exception handling step, the carrier's mobile phone authentication processing procedure is retried several times or until a specific number of times, or the cargo receipt processing procedure is terminated. Step may be performed.

운송인 인증단계(S410)에 의하여 운송인에 대한 인증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후에는 수취인 지정단계(S420)가 수행된다. After the authentication for the carrier is successfully performed by the carrier authentication step (S410), the recipient designation step (S420) is performed.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운영방법에서의 도착지 입고 처리단계의 수령인 지정단계를 더욱 자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10 is a flow chart showing in more detail the recipient designation step of the destination arrival receipt processing step 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후처리단계(S270)에서 관리서버가 도착지 화물중계라커로 전송한 그 화물의 배송정보에 의거하여, 도착지 화물중계라커는 운송인에 대한 인증단계가 수행된 때에 그 운송인이 배송하고 있는 화물의 내역에 대한 정보를 이미 가지고 있게 된다. 따라서, 단계S421에서는 도착지 화물중계라커가 화물의 내역에 대한 정보에 의거하여, 수취인이 등록ID카드번호를 가지고 있는 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Based on the shipping information of the cargo transmitted to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by the management server in the post-processing step (S270),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details the cargo delivered by the carrier when the authentication step for the carrier is performed. You already have information about. Therefore, in step S421,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determines whether the recipient has a registered ID card number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details of the cargo.

판단의 결과, 수취인이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인 경우에는 수취인의 목록을 모니터를 통하여 출력하게 된다(S422). 운송인은 모니터를 통하여 출력되는 수취인 목록 중에서 해당 화물에 관한 수취인을 선택함으로써 수취인을 지정할 수 있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payee is a user registered in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st of payees is output through the monitor (S422). The carrier can specify the recipient by selecting the recipient for the cargo from the list of recipients printed on the monitor.

한편, 수취인이 미등록자인 경우에는 운송인은 수취인을 식별할 수 있는 번호를 키패드 등을 통하여 입력하게 된다(S424). 이 때 입력되는 식별번호는, 본 실시예에서는 발송지 입고 처리단계(S10)에서 발송인에 의하여 입력되고, 화물 출고증 상에 인쇄되어 있는 수취인의 휴대전화번호가 된다. 다만, 반드시 수취인의 휴대전화번호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addressee is unregistered, the carrier enters a number for identifying the addressee through the keypad or the like (S424). In this embodiment, the identification number entered at this time is entered by the sender in the shipment destination processing step (S10), and becomes the recipient's mobile phone number printed on the cargo receipt. However, this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recipient's mobile phone number.

화물이 도착지 화물중계라커의 보관함에 입고되기 위해서는 수취인 지정단계(S420)와 함께 화물관리정보 입력단계(S430)가 수행되어야 한다. In order for the cargo to be received in the storage box of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the cargo management information input step (S430) should be performed along with the recipient designation step (S420).

화물 관리정보 입력단계(S430)에서는 발송지 화물중계라커에서 출력된 출고증에 기록되어 있는 화물 관리번호를 입력하게 된다. 화물 관리번호는 도착지 화물중계라커의 키패드를 통한 키입력으로써 입력될 수도 있고, 또는 발송지 화물중계라커에 부착된 바코드 리더를 통하여 출고증의 바코드 판독을 행함으로써 입력될 수도 있다. 도착지 화물중계라커는 운송인이 입력한 화물 관리번호가 발송지 화물중계라커에서 생성된 화물 관리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통하여 발송지 화물중계라커로부터 출고된 화물과 도착지 화물중계라커로 입고되는 화물과 의 일치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수취인의 정보가 잘못 입력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In the cargo management information input step (S430), the cargo management number recorded in the shipping receipt output from the cargo relay locker of the destination is input. The cargo control number may be input by key input through the keypad of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or may be input by performing a barcode reading of the shipping receipt through a barcode reader attached to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determines whether the cargo control number entered by the carrier matches the cargo management number generated at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cargo shipped from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and the cargo received at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isk of wrong input of the recipient information.

다음으로 결제정보 입력단계(S440)가 수행된다. Next, the payment information input step (S440) is performed.

운송인은 발송인이 발송지 입고 처리단계(S10)에서 후불(착불) 결제를 선택한 경우에는 수취인이 결제하여야 하는 운임을 도착지 화물중계라커에 입력한다. 운임은 키패드를 통하여 입력될 수도 있고, 출고증에 인쇄된 바코드의 판독으로써 입력될 수도 있다. 발송지 입고 처리단계(S10)에서 선불결제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바로 다음 단계인 보관함 선택단계(S450)가 진행된다. The carrier enters the freight to be paid by the addressee at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when the sender selects the postpayment (payment) payment at the sender's receipt processing step (S10). The fare may be entered via a keypad or may be entered by reading a bar code printed on a receipt. If the prepayment is made in the shipment destination processing step (S10), the next step is the storage box selection step (S450).

보관함 선택단계(S450)에서는 도착지 화물중계라커가 비어있는 보관함의 번호를 운송인에게 알려주면, 운송인이 화물의 크기에 맞는 빈 보관함을 선택하여 화물을 입고하게 된다. In the storage selection step (S450), if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informs the carrier of the number of empty storage boxes, the carrier selects an empty storage box suitable for the size of the cargo and receives the cargo.

빈 보관함의 번호를 알려주기 위하여 도착지 화물중계라커는 모니터를 통하여 빈 보관함의 번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안내를 행할 수도 있으며, 이들을 병행할 수도 있다. In order to inform the number of empty storage boxes,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may output the empty storage number through a monitor, or provide voice guidance through a speaker, or parallel to them.

운송인이 빈 보관함에 화물의 입고를 마치면 도착지 화물중계라커는 운송인이 도착지 화물중계라커에 화물을 입고하였음을 증명하는 영수증을 출력한다(S460). When the carrier finishes receiving the cargo in the empty storage box,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outputs a receipt proving that the carrier has received the cargo in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S460).

다음으로, 입고정보 처리단계(S470)에서 도착지 화물중계라커가 관리서버측으로 해당 화물이 도착지 화물중계라커에 입고되었음을 알리는 입고정보를 전송한다. 입고정보에는 화물이 도착지 화물중계라커에 입고된 시각, 운송인의 등록ID카 드번호 또는 휴대전화번호, 수취인의 등록ID카드번호 또는 휴대전화번호(식별번호)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Next, in the receiving information processing step (S470),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transmits the goods receipt information informing that the corresponding cargo has been received in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The goods receipt information may include the time when the goods are received at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the carrier's registration ID card number or mobile phone number, the recipient's registration ID card number or mobile phone number (identification number).

한편, 수취인이 미등록자인 경우에는 정당한 수취인이 아닌 자가 수취인의 휴대전화번호를 도용하여 화물을 절취할 우려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착지 화물중계라커가 임의의 인증번호를 생성한 후 이 인증번호를 입고정보에 포함하여 관리서버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addressee is an unregistered person, the cargo relay locker generates a random authentication number and then wears this authentication number in order to prevent the possibility of a fraudulent person being stolen by stealing the recipient's mobile phone number. It can be included in the transmission to the management server.

관리서버는 수취인에게 화물이 도착지 화물중계라커에 입고되었다는 사실 및 도착지 화물중계라커로부터 수신한 인증번호를 통지한다. 통지는 발송인에 의하여 발송지 입고 처리단계(S10)에서 입력된 수취인의 휴대전화번호로의 단문메시지나,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수취인의 이메일주소로의 이메일 등 적절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management server notifies the recipient that the cargo has been received at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and the authentication number received from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The notification may be in an appropriate form, such as a short message to the recipient's mobile phone number input by the sender at the step of receiving goods from the sender at step S10, or an email to the recipient's e-mail address stored in the member information database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made of.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운영방법에서의 도착지 출고 처리단계를 더욱 자세히 나타낸 흐름도다. Figure 11 is a flow chart showing in more detail the destination shipping step 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착지 출고 처리단계(S50)는 관리서버로부터 화물이 도착지 화물중계라커에 입고되었다는 사실 및 인증번호를 통지받은 수취인이 도착지 화물중계라커로부터 화물을 수취하는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The destination release processing step (S50) relates to a process of receiving a cargo from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by the recipient who has been informed of the fact that the cargo is received in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from the management server and the authentication number.

도 1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도착지 출고 처리단계(S50)는 도착지 출고처리 개시단계(S510), 수취인 인증단계(S520), 결제단계(S530), 화물 출고단계(S540), 영수증 출력단계(S550) 및 후처리단계(S560)의 하위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11, the destination delivery processing step (S50) is a destination delivery processing start step (S510), a recipient authentication step (S520), a payment step (S530), a cargo release step (S540), and a receipt output step (S550). And a lower step of the post-processing step (S560).

도착지 출고처리 개시단계(S510)에서는 수취인이 도착지 화물중계라커의 입 력부를 통하여 화물수취를 요청하는 입력조작을 수행함으로써 화물수취를 개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이 단계는 도착지 화물중계라커의 모니터 위에 장착된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화물수취" 또는 이에 상당하는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활성화시킬 수 있다.In the destination shipping process start step (S510), the recipient starts the cargo reception by performing an input operation requesting the cargo receipt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For example, this step can be activated by selecting "Receive Cargo" or equivalent menu via a touch screen mounted on the monitor of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화물수취 요청이 개시되면, 수취인 인증단계(S520)가 수행된다. When the cargo receipt request is initiated, the recipient authentication step (S520) is performed.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운영방법에서의 도착지 출고입고 처리단계의 수취인 인증단계를 더욱 자세히 나타낸 흐름도다. 12 is a flow chart showing in more detail the recipient authentication step of the arrival and departure receipt processing step 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취인 인증단계(S520)에서 도착지 화물중계라커는 수취인이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한 입력을 받는다(S521). 이에 따라, 수취인인이 등록자라고 입력한 경우에는 그에 따른 인증처리를 수행하는 단계가 수행되는데(S522), 이 단계에서는 수취인의 등록ID카드번호를 수취인으로부터 더 입력받고, 등록ID카드번호 정보를 관리서버에 전송함으로써, 관리서버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한 인증결과값을 회신받도록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2, in the recipient authentication step (S520),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receives an input regarding whether the recipient is registered in the user database (S521). Accordingly, when the payee inputs the registrant, the step of performing the authentication process is performed accordingly (S522). In this step, the recipient further receives the registration ID card number of the payee from the payee and manages the registration ID card number information. By sending to the server, it is possible to receive an authentication result value referring to the user database from the management server.

다음으로 도착지 화물중계라커는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인증결과값에 따라 인증 성공여부를 판단하며(S524), 인증이 성공하였다면 다음 단계인 결제단계(530)를 진행하게 된다. 만약 인증이 실패하였다면 실패에 따른 예외처리 단계(S525)를 수행하게 되는데, 예외처리 단계에서는 수취인으로부터 등록ID카드번호를 성공할 때까지 또는 특정 횟수까지 수 회 재입력받거나, 미등록자인 것으로 정정입력을 받거나 또는 화물 수취를 위한 절차를 종료하는 등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Next,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determines whether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result value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S524), and if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he payment step 530 is performed. If the authentication fails, an exception processing step (S525)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failure. In the exception processing step, the registered ID card number is re-entered from the recipient several times until a success or a specific number of times is received, or a correct input is received as an unregistered person. Or end the procedure for receiving the cargo.

한편, 수취인이 미등록자라는 입력을 행한 경우에는 수취인의 인증처리를 위하여 휴대폰 인증 처리(S523)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ayee inputs that he or she is not registered, the mobile phone authentication process (S523) can be performed for the recipient's authentication process.

휴대폰 인증 처리단계(S523)에서 수취인이 입력하여야 하는 인증번호는 이미 관리서버로부터 화물이 도착지 화물중계라커에 입고되었다는 사실에 관한 통지와 함께 전송받은 바 있으므로, 수취인은 이 인증번호를 직접 도착지 화물중계라커에 입력함으로써 휴대폰 인증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In the mobile phone authentication processing step (S523), because the authentication number to be entered by the recipient has already been sent from the management server with the notification that the cargo has been received in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the recipient directly forwards this authentication number to the destination cargo relay. By entering into the locker, the mobile phone authentication process is performed.

수취인에 의하여 입력된 인증번호가 관리서버로부터 도착지 화물중계라커로 전송된 인증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간주되어 다음 단계인 결제단계(S530)로 진행하게 된다. 만약 인증이 실패하였다면 실패에 따른 예외처리 단계(S525)를 수행하게 되는데, 예외처리 단계에서는 수취인이 인증번호를 입력하는 단계를 성공할 때까지 또는 특정 횟수까지 재시도하거나, 또는 화물 수취를 위한 절차를 종료하는 등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If the authentication number entered by the recipient matches the authentication number sent from the management server to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the authentication is considered successful and proceeds to the next step, payment step (S530). If the authentication fails, an exception handling step (S525) according to the failure is performed. In the exception handling step, the receiver retries the authentication number input step until a success or a specific number of times, or a procedure for receiving the cargo. May be performed such as terminating.

수취인 인증단계(S520)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결제단계(S530)가 수행된다.If the recipient authentication step (S520) is successfully completed, the payment step (S530) is performed.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운영방법의 도착지 출고 처리단계에서의 결제단계를 더욱 자세히 나타낸 흐름도다. Figure 1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in more detail the payment step in the destination shipping step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취인 인증단계(S520)를 성공적으로 마치게 되면, 다음으로 수취인으로부터 화물배송에 관한 결제방법을 입력받는 단계(S530)가 진행된다. As shown in FIG. 13, when the recipient authentication step S520 is successfully completed, step S530 of receiving a payment method related to the shipment of goods from the recipient is then performed.

도착지 화물중계라커는 도착지 입고 처리단계(S40)에서 입력된 결제방법 정보에 의거하여 수취인이 화물에 관한 운임을 결제하여야 하는지 여부에 관한 판단 을 수행한다(S531).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performs a determination as to whether or not the payee should pay the freight on the basis of the payment method information input at the arrival arrival processing step (S40) (S531).

판단의 결과, 만약 발송지 입고 처리단계(S10)에서 발송인에 의하여 운임이 선불결제되었다면, 도착지 화물중계라커는 모니터 또는 스피커 등의 출력장치를 통하여 운임이 선불결제되었음을 수취인에게 알린 후(S532), 다음 단계인 화물 출고단계(S54)로 진행하게 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freight is prepaid by the sender in the receiving place processing step (S10),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informs the recipient that the freight is prepaid through an output device such as a monitor or a speaker (S532). Carry out the cargo release step (S54).

만약 발송지 입고 처리단계(S10)에서 발송인이 후불(착불) 결제방법을 선택함으로써 운임이 미지불된 상태라고 판단되었다면, 도착지 화물중계라커는 사용가능한 결제수단을 제시한 후 수취인으로부터 결제수단을 선택하는 입력 및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수단에 관한 결제 관련 정보에 관한 입력을 받는다(S533).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reighter is not paid by the sender by selecting the postpaid payment method in the step of receiving goods at the destination of the shipment (S10),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selects a payment method from the recipient after presenting an available payment method. An input and input regarding payment related information regarding a payment method selected by the user are received (S533).

도착지 화물중계라커는 수신한 결제 관련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534)를 수행하며, 관리서버는 이들 정보를 이용하여 신용결제를 위한 신용카드사 서버 또는 휴대폰결제를 위한 이동통신사 서버 등과 결제프로세스를 수행한 후, 그에 따른 결과를 도착지 화물중계라커로 전송한다(S534).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transmits the received payment related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S534), and the management server uses these information to process a payment process with a credit card company server for credit settlement or a mobile carrier server for mobile phone payment. After performing, and transmits the result according to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S534).

도착지 화물중계라커는 관리서버로부터 결제성공여부 정보를 수신한 후(S535), 결제성공여부 정보에 의거하여 결제성공 여부를 판단한다(S536).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receives the payment success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S535), and determines whether the payment is successful based on the payment success information (S536).

만약 결제가 성공한 경우에는 다음 단계인 화물 입고단계(S540)로 진행하게 되며, 결제가 실패한 경우에는 결제 실패에 따른 예외처리 단계(S537)를 수행하게 된다. 예외처리 단계에서는 동일한 결제수단에 대한 결제 재시도나, 결제수단 변경 후의 새로운 결제 시도나, 또는 화물 수취를 위한 절차의 종료 중등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If the payment is successful, the process proceeds to the next step, the goods receipt step (S540). If the payment fails, the exception processing step (S537) according to the payment failure is performed. In the exception handling step, it is possible to perform steps such as retrying the payment for the same payment method, attempting a new payment after changing the payment method, or ending a procedure for receiving a cargo.

결제단계(S540)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이어서 화물 출고단계(S540)가 수행된다. If the payment step (S540) is successfully performed, then the cargo release step (S540) is performed.

화물 출고단계(S540)에서는 수취인으로 하여금 화물을 출고할 수 있도록 도착지 화물중계시스템에 의하여 화물이 입고된 보관함의 전기정이 개방상태로 변경된다. In the cargo release step (S540), the electrical well of the storage box in which the cargo is received by the destination cargo relay system is changed to an open state so that the recipient can leave the cargo.

화물 출고단계(S540)에서 화물이 입고된 보관함의 전기정이 개방상태로 변경됨과 함께, 도착지 화물중계시스템은 해당 화물을 수취인이 성공적으로 수취하였음을 증명하는 영수증을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50). In the cargo release step (S540), the electrical well of the storage box containing the cargo is changed to the open state, and the destination cargo relay system performs a step of outputting a receipt proving that the recipient has successfully received the cargo (S550). ).

이와 함께, 후처리 단계(S560)가 더 수행되는데, 후처리 단계에서는 도착지 화물중계시스템으로부터 관리서버측으로 해당 화물이 수취인에 의하여 성공적으로 수취되었음을 알리는 수취정보를 전송한다. 수취정보에는 화물의 수취가 완결된 시각, 수취인의 등록ID카드번호 또는 휴대전화번호(식별번호), 화물 관리번호 등의 정보가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st-processing step (S560) is further performed, in the post-processing step transmits the receip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argo was successfully received by the recipient from the destination cargo relay system to the management server. Receip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when the receipt of the cargo is completed, the recipient's registration ID card number or mobile phone number (identification number), the cargo management number.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원격제어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14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remote control method for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을 이루는 각각의 화물중계라커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관리서버에 접속하고, 관리서버로부터 지시되는 작업수행명령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As shown in FIG. 14, each cargo relay locker constituting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iodically connects to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checks whether there is a work execution instruction instruc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먼저 화물중계라커는 관리서버에 접속요청신호를 전송할 주기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400). First, the cargo relay locker determines whether a period for transmitting an access request signal to the management server is reached (1400).

접속주기가 된 경우, 관리서버는 접속요청신호를 관리서버로 전송한다(1410). 이 때, 무인화물중계시스템 내에서 관리서버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복수의 화물중계라커 중에서 어떤 화물중계라커가 접속요청신호를 전송하였는지를 식별하기 위하여, 화물중계라커는 접속요청신호에 그 화물중계라커에 부여된 고유한 식별코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 내의 모든 화물중계라커에 대한 식별코드정보는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되어 있다. If the connection period is reached, th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a connection request signal to the management server (1410). At this time, in order to identify which cargo relay locker transmits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among the plurality of cargo relay lockers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with the management server in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the cargo relay locker is connected to the cargo relay locker with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Contains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assigned to. Identification code information for all cargo relay lockers in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management server.

관리서버는 화물중계라커로부터 접속요청신호를 수신하면(1420) 접속요청신호 내에 포함된 식별코드를 통하여 화물중계라커를 식별한다(1430).When the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access request signal from the cargo relay locker (1420) and identifies the cargo relay locker through the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the access request signal (1430).

관리서버는 화물중계라커를 식별한 후, 해당 화물중계라커에 대하여 지시할 명령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한다(1440). After identifying the cargo relay locker, the management server searches whether there is a command to instruct the cargo relay locker (1440).

관리서버로부터 명령할 수 있는 화물중계라커의 작업수행으로는,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업데이트된 데이터베이스의 다운로드, 화물중계라커의 시스템 리부팅(rebooting) 또는 특정 보관함의 개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Cargo relay lacquer operation can be command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the upgrade of the program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ownload of the updated database, rebooting the cargo relay lacquer system or specified This may include opening the storage box.

작업수행 명령을 검색한 후, 수행하도록 명령할 작업이 있는 경우에는 관리서버는 화물중계라커로 작업수행 명령을 전송한다(1450). 만약, 작업수행 명령의 전송 단계에서 업그레이드된 프로그램 파일, 업데이트된 데이터베이스 파일 등을 전송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명령과 함께 이들 파일을 직접 화물중계라커로 전송할 수도 있다. After retrieving the work execution command, if there is a job to be commanded to perform, th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work execution command to the cargo relay locker (1450). If it is necessary to transfer the upgraded program files, updated database files, etc. in the transmission step of the work execution command, these files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cargo relay locker together with the command.

화물중계라커는 관리서버로부터의 작업수행 명령을 수신하고, 명령에 따른 작업을 수행한다(1460).The cargo relay locker receives a work execution command from the management server and performs a work according to the command (1460).

작업을 수행한 후, 화물중계라커는 작업수행에 성공하였는지 여부에 관한 처리결과 응답을 관리서버로 전송하며(1470), 관리서버는 처리결과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해당 주기의 원격제어 프로세스가 마무리된다(1480). After performing the work, the cargo relay locker transmits the processing result response to the management server as to whether the work execution was successful (1470), and the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processing result response to complete the remote control process of the corresponding cycle ( 1480).

이후, 해당 화물중계라커는 다음 접속주기까지 관리서버로의 접속을 대기하게 된다(1490).Thereafter, the cargo relay locker waits for access to the management server until the next access cycle (149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apparatus and the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Implementation may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무인화물중계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을 이용하면, 지하철 및 전철을 통한 화물중계에 있어서 발송인과 수취인이 시각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한 때에 화물을 주고받을 수 있으므로 운송인과 직접 만나 야 하는 불편이 해소되며, 화물의 집배송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배송의 우려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By using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and the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cargo relay through the subway and train, the sender and the receiver can send and receive cargo at a convenient time regardless of the time, so as to directly Discomfort to meet is eliminated,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liminate the concerns of mis-delivery that can occur during the home delivery of cargo.

Claims (18)

삭제delete 적어도 2개의 화물중계라커 및 상기 화물중계라커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인화물중계시스템으로서,An unmanned cargo relay system comprising at least two cargo relay lockers and a management server connected to the cargo relay locker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화물중계라커는, The cargo relay locker,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마그네틱카드 리더부와 바코드 리더부와 키패드부 및 터치스크린부를 포함하는 입력부와, An input unit including a magnetic card reader unit, a barcode reader unit, a keypad unit, and a touch screen unit for receiving input data from a user; 사용자로의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모니터부와 스피커부 및 프린터부를 포함하는 출력부와, An output unit including a monitor unit, a speaker unit, and a printer unit for outputting output data to a user; 화물에 대한 발송인 정보, 발송지 정보, 수취인 정보, 도착지 정보, 입출고 내역 정보 및 결제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ender information, the ship destination information, the recipient informatio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he goods receipt history information and the payment history information about the cargo; 보관상자 및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보관상자의 내부에 화물을 보관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관함과,At least one storage box, including a storage box and a door, for storing cargo inside the storage box, 상기 보관함에 화물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화물감지센서와,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전기정 및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도어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보관함 제어부와,A storage control unit including a cargo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re is cargo in the storage box, an electric well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nd a door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관리서버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관리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a management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상기 입력부, 상기 출력부, 상기 저장부, 상기 보관함 제어부, 상기 통신부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It comprises a centr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input unit, the output unit, the storage unit, the storage control unit, the communication unit, 상기 관리서버는, The management server, 상기 화물에 대한 상기 발송인 정보, 상기 발송지 정보, 상기 수취인 정보, 상기 도착지 정보, 상기 입출고 내역 정보, 상기 결제내역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중 상기 무인화물중계시스템에 등록한 등록사용자에 관한 등록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Stores the sender information, the ship destination information, the payee informatio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he goods receipt history information, the payment history information and the registered user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user of the unregistered cargo relay system for the cargo Further includes a database, 상기 화물중계라커로부터 전송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입력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등록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등록사용자인지 여부에 관한 인증을 수행하고, Performing authentication as to whether the user is the registered user by comparing the input data of the user transmitted from the cargo relay locker with the registered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만일 상기 사용자가 상기 등록사용자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사용자의 휴대전화번호에 의거하여,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휴대전화번호가 가입되어 있는 이동통신회사의 서버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화물에 관한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에 관한 휴대폰 인증을 수행하는If the user is not the registered user, based on the mobile phone number of the user input from the user,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is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mobile phone number is subscribed to. Performing mobile phone authentication as to whether the user is a legitimate user of the cargo via a server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화물중계시스템.Unmanned cargo rel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복수의 화물중계라커 및 상기 화물중계라커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운영방법으로서,A method of operating an unmanned cargo relay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cargo relay lockers and a management server connected to the cargo relay locker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도착지 화물중계라커로 발송될 화물이 발송인의 발송명령 입력에 의하여 발송지 화물중계라커에 입고되는 발송지 입고 처리단계와,The process of receiving the place of shipment at which the cargo to be delivered to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is received at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by input of the sender's shipment order; 상기 발송지 화물중계라커에 입고된 상기 화물이 상기 도착지 화물중계라커로 배송되기 위하여 상기 발송지 화물중계라커로부터 출고되는 발송지 출고 처리단계와,A shipment destination processing step of the cargo received in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to be shipped from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to be delivered to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상기 발송명령 입력에 따라 생성된 배송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화물이 상기 도착지 화물중계라커로 배송되는 분류 및 배송단계와,A classification and delivery step in which the cargo is delivered to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based on the delivery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shipment command input; 상기 도착지 화물중계라커로 배송된 상기 화물이 상기 도착지 화물중계라커에 입고되는 도착지 입고 처리단계, 및An arrival destination wearing step of receiving the cargo delivered to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in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수취인의 수취명령 입력에 의하여 상기 화물이 상기 도착지 화물중계라커로부터 출고되는 도착지 출고 처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By the recipient's receipt order input, the cargo is made including a destination delivery processing step of leaving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상기 발송지 입고 처리단계는,The shipment destination processing step, 상기 발송인이 상기 관리서버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등록사용자인 경우에는 상기 발송인의 등록ID카드번호에 의거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의하여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고, 상기 발송인이 등록사용자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발송인의 휴대전화번호에 의거하여 상기 관리서버 및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된 상기 발송인의 휴대전화번호에 관한 이동통신회사의 휴대폰 인증서버에 의하여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는 발송인 인증단계를 더 포함하며,If the sender is a registered user registered in the user database of the management server,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y the management server based on the registration ID card number of the sender, and if the sender is not a registered user, And a sender authentication step in which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y a mobile phone authentication server of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relating to the management server and the sender's mobile phone number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based on the mobile phone number. 상기 발송지 출고 처리단계는, The shipment origin processing step, 운송인이 등록사용자인 경우에는 상기 운송인의 등록ID카드번호에 의거하여 인증이 수행되고, 상기 운송인이 등록사용자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운송인의 휴대전화번호에 의거하여 상기 관리서버 및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된 상기 운송인의 휴대전화번호에 관한 이동통신회사의 휴대폰 인증서버에 의하여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는 발송지 운송인 인증단계를 더 포함하며,If the carrier is a registered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registered ID card number of the carrier. If the carrier is not a registered user, the management server and the management server communicate with the management server based on the mobile phone number of the carrier. And further comprising a carrier verification step of the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y the mobile phone authentication ser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with respect to the carrier's mobile phone number connected to, 상기 도착지 입고 처리단계는, The destination arrival processing step, 상기 운송인이 등록사용자인 경우에는 상기 운송인의 등록ID카드번호에 의거하여 인증이 수행되고, 상기 운송인이 등록사용자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운송인의 휴대전화번호에 의거하여 상기 관리서버 및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된 상기 운송인의 휴대전화번호에 관한 이동통신회사의 휴대폰 인증서버에 의하여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는 도착지 운송인 인증단계를 더 포함하며,If the carrier is a registered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registered ID card number of the carrier. If the carrier is not a registered user, the carrier is communicated with the management server and the management server based on the carrier's mobile phone number. Further comprising a destination carrier authentication step of the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y the mobile phone authentication ser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for the mobile phone number of the carrier connected to the network, 상기 도착지 출고 처리단계는, The destination delivery processing step, 상기 수취인이 등록사용자인 경우에는 상기 수취인의 등록ID카드번호에 의거하여 인증이 수행되고, 상기 수취인이 등록사용자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수취인의 휴대전화번호에 의거하여 상기 관리서버 및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된 상기 수취인의 휴대전화번호에 관한 이동통신회사의 휴대폰 인증서버에 의하여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는 도착지 수취인 인증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운영방법.If the payee is a registered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registered ID card number of the payee; if the payee is not a registered user, communica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and the management server is based on the mobile phone number of the payee; And a destination payee authentication step in which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y a mobile phone authentication server of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with respect to the mobile phone number of the payee connected via a network.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발송지 입고 처리단계는, 상기 발송인으로부터 결제방법을 선불로 하는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발송인으로부터 결제 관련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결제 관련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관리서버가 상기 결제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금융기관 서버를 통한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선불결제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운영방법.The shipment destination processing step may include receiving payment related information from the sender when a command to prepay a payment method is input from the sender, transmitting the payment related information to a management server, and a management server. And a prepaid payment step of performing a payment process through a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using the payment related information.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발송지 입고 처리단계는, 상기 발송인으로부터 결제방법을 후불로 하는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화물 배송정보에 상기 결제방법이 후불이라는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운영방법.The shipment destination receiving step may further include stor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payment method is postpaid in the cargo delivery information when a command to postpaid the payment method is input from the sender.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도착지 입고 처리단계는, The destination arrival processing step, 상기 수취인이 등록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Determining whether the payee is a registered user; 등록사용자인 경우에는 상기 도착지 화물중계라커의 모니터에 출력되는 목록 중에서 수취인을 지정하는 상기 운송인의 선택명령이 입력되는 단계와, In the case of a registered user, inputting a selection command of the carrier specifying a recipient from a list displayed on the monitor of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등록사용자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운송인으로부터 상기 수취인에 대한 식별번호가 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화물에 대한 상기 수취인 정보가 잘못 입력되는 경우를 검출하도록 하는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운영방법. If the user is not a registered user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inputt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for the recipient from the carrier, the operation method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for detecting the case where the recipient information for the cargo is incorrectly input.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도착지 입고 처리단계는,The destination arrival processing step, 상기 도착지 화물중계라커에 입력된 상기 화물의 화물 관리번호가 상기 화물에 관한 상기 발송지 화물중계라커의 화물 관리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Checking whether the cargo management number of the cargo inputted to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matches the cargo management number of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for the cargo; 불일치하는 경우 상기 도착지 화물중계라커에 오류 메시지가 출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화물에 대한 상기 수취인 정보가 잘못 입력되는 경우를 검출하도록 하는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운영방법.And in case of a mismatch, outputting an error message to the destination cargo relay locker, to detect a case in which the consignee information on the cargo is incorrectly input. 삭제delete 삭제delete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화물중계라커와 관리서버 간에 이루어지는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원격제어방법으로서,As a remote control method of an unmanned cargo relay system made between a cargo relay locker and a management server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요청신호를 전송할 제1 주기가 도래하였는지 여부를 상기 화물중계라커가 판단하는 단계와,Determining, by the cargo relay locker, whether a first period for transmitting a connection request signal to the management server has arrived; 상기 제1 주기가 도래한 경우, 상기 화물중계라커로부터 상기 관리서버로 상기 접속요청신호가 전송되는 단계와,When the first period arrives, transmitting the access request signal from the cargo relay locker to the management server; 상기 접속요청신호를 수신한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접속요청신호에 포함된 상기 화물중계라커의 식별코드에 의하여 상기 화물중계라커를 식별하는 단계와,Identifying, by the management server, receiving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the cargo relay locker by an identification code of the cargo relay locker included in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화물중계라커에 작업수행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와,Transmitting, by the management server, a job execution command to the cargo relay locker; 상기 화물중계라커가 상기 작업수행 명령에 따른 작업수행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원격제어방법.The cargo relay locker remote control method of the unmanned cargo relay system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the work in accordance with the work execution command.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화물중계라커가 상기 작업수행을 하는 단계 후에 상기 작업수행의 처리결과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원격제어방법.And transmitting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work execu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after the cargo relay locker performs the work. 삭제delete
KR1020060128038A 2006-12-14 2006-12-14 Apparatus and method for unmanned locker and unmanned parcel delivery system KR1007733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038A KR100773389B1 (en) 2006-12-14 2006-12-14 Apparatus and method for unmanned locker and unmanned parcel deliver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038A KR100773389B1 (en) 2006-12-14 2006-12-14 Apparatus and method for unmanned locker and unmanned parcel delivery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3389B1 true KR100773389B1 (en) 2007-11-05

Family

ID=39060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8038A KR100773389B1 (en) 2006-12-14 2006-12-14 Apparatus and method for unmanned locker and unmanned parcel delivery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338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126B1 (en) * 2014-12-31 2016-10-25 김영민 Receipt and delivery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apartment security office
KR20180003506A (en) * 2015-08-07 2018-01-09 이재용 Automatic parcel storage box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CN109448253A (en) * 2018-12-05 2019-03-08 南京天弘益华信息科技有限公司 Switch cabinet management system in a kind of power grid intelligent termina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611A (en) * 2000-08-03 2002-02-09 김재우 Logistics link servic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03058790A (en) 2001-08-20 2003-02-28 Ibm Japan Ltd Article delivery method and system, locker management server, locker opening and closing controller, and article delivery request reception device
KR20050034399A (en) * 2003-10-09 2005-04-14 주식회사 에스텍서비스 Delivery freight transit locker and managing method of delivery freight transit system
KR20050105638A (en) * 2003-05-30 2005-11-08 주식회사 디앤에스 테크놀로지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rticle using custody ca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611A (en) * 2000-08-03 2002-02-09 김재우 Logistics link servic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03058790A (en) 2001-08-20 2003-02-28 Ibm Japan Ltd Article delivery method and system, locker management server, locker opening and closing controller, and article delivery request reception device
KR20050105638A (en) * 2003-05-30 2005-11-08 주식회사 디앤에스 테크놀로지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rticle using custody case
KR20050034399A (en) * 2003-10-09 2005-04-14 주식회사 에스텍서비스 Delivery freight transit locker and managing method of delivery freight transit syste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126B1 (en) * 2014-12-31 2016-10-25 김영민 Receipt and delivery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apartment security office
KR20180003506A (en) * 2015-08-07 2018-01-09 이재용 Automatic parcel storage box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KR101837271B1 (en) * 2015-08-07 2018-04-19 이재용 Automatic parcel storage box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KR102451561B1 (en) * 2015-08-07 2022-10-06 이재용 Automatic parcel storage box management system
CN109448253A (en) * 2018-12-05 2019-03-08 南京天弘益华信息科技有限公司 Switch cabinet management system in a kind of power grid intelligent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1927B2 (en) Method and system for supervised disembarking of passengers from a bus
US97156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rvice systems
US10628784B2 (en) Method for dropping off a shipment in a motor vehicle, and associated motor vehicle
JP3748790B2 (en) Courier delivery system and method thereof
US72422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proof of delivery verification for freight transportation systems
KR100625253B1 (en) Unmaned delivery and products delivery system
US98306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vehicle transactions
KR102451561B1 (en) Automatic parcel storage box management system
US97926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vehicle transactions
KR101496296B1 (en) Unmanned transport method using unmanned delibery system
US200802031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rvice Systems
CN106709691A (en) Express receiving and delivering system of mobile express cabinet
JP2002083325A (en) Automatic settlement system for traffic fare and storage device for traffic agency
KR10077338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nmanned locker and unmanned parcel delivery system
JP3832324B2 (en) Article delivery destination designation method
JP2008123055A (en) Coin locker system and coin locker management method
WO200006549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livering a parcel
JP3828860B2 (en) Delivery box
JP6505183B2 (en) System, settlement machine and box device
KR2009000007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nmanned parcel delivery system
CA28230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rvice systems
JP2019537101A (en) Transportation delivery confirmation method, monitoring device, and central processing system
JP5315738B2 (en) Luggage management program
KR20180070180A (en) Smart mail acceptance system and method using iot technology
CN110544056B (en) Logistics object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