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3376B1 - 격자여과망을 가지는 차량용 연료펌프모듈 - Google Patents

격자여과망을 가지는 차량용 연료펌프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3376B1
KR100773376B1 KR1020060119037A KR20060119037A KR100773376B1 KR 100773376 B1 KR100773376 B1 KR 100773376B1 KR 1020060119037 A KR1020060119037 A KR 1020060119037A KR 20060119037 A KR20060119037 A KR 20060119037A KR 100773376 B1 KR100773376 B1 KR 100773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module
casing
fuel pump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9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렬
장진욱
Original Assignee
현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담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담산업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47Layout or arrangement of systems for feeding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연료탱크에 설치되되 내측으로 연료펌프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연료탱크 내의 연료를 저수하는 차량용 연료펌프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탱크 내부의 연료 흡입이 모듈케이싱의 하측 바닥과 측면에서 흡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돌기와 직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모듈흡입구를 통하여 모듈케이싱 내측으로 흡입되는 연료가 다시 연료탱크로 회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모듈흡입구의 일측에 역방지 흡입노즐을 설치하였으며, 흡입되는 연료에 포함되되 모듈흡입구를 막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불순물이 모듈케이싱에 내입되어 상기 모듈흡입구를 막음으로써 연료유입이 방해되지 않도록 일체형 여과망이 설치되거나 교체 및 착탈이 가능한 교체형 필터캡이 설치되는 격자여과망을 가지는 차량용 연료펌프모듈에 관한 것이다.
연료탱크, 연표펌프 모듈, 여과망, 제트펌프, 돌기, 필터

Description

격자여과망을 가지는 차량용 연료펌프모듈{FUEL PUMP MODULE USING LATTICE FILTER}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연료펌프모듈을 나타낸 저면도.
도 2는 종래의 자동차용 연료펌프모듈을 나타낸 또 다른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격자여과망을 가지는 차량용 연료펌프모듈의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격자여과망을 가지는 차량용 연료펌프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하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격자여과망을 가지는 차량용 연료펌프모듈에 일체형의 격자여과망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격자여과망을 가지는 차량용 연료펌프모듈에 교체형 필터캡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3의 A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격자여과망을 가지는 차량용 연료펌프모듈에 그물여과망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A부분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모듈케이싱 11: 돌기
12: 제트펌프 결합체 13: 주입부
14: 모듈흡입구 15: 직곡부
16: 제트펌프 18: 주입관
19: 흡입관 20: 탄착홈
31: 격자여과망 40: 교체형 필터캡
41: 착탈편 42: 결합돌기
43: 필터케이싱 50: 그물여과망
60: 연료탱크 70: 역방지 흡입노즐
본 발명은 차량용 연료탱크에 설치되되 내측으로 연료펌프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연료탱크 내의 연료를 저수하는 차량용 연료펌프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탱크 내부의 연료 흡입이 모듈케이싱의 하측 바닥과 측면에서 흡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돌기와 직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모듈흡입구를 통하여 모듈케이싱 내측으로 흡입되는 연료가 다시 연료탱크로 회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모듈흡입구의 일측에 역방지 흡입노즐을 설치하였으며, 흡입되는 연료에 포함되되 모듈흡입구를 막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불순물이 모듈케이싱에 내입되어 상기 모듈 흡입구를 막음으로써 연료유입이 방해되지 않도록 일체형 여과망이 설치되거나 교체 및 착탈이 가능한 교체형 필터캡이 설치되는 격자여과망을 가지는 차량용 연료펌프모듈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연료펌프모듈은 연료공급모듈의 구성요소이며, 상기 연료공급모듈은 연료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탱크 내의 연료를 엔진으로 이송하기 위한 장치로 연료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연료탱크 내부의 연료를 흡입한 후 이를 엔진으로 이송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료공급모듈은 연료펌프와 연료펌프에서 흡입한 연료를 엔진으로 이송하는 이송관과, 상기 연료펌프와 이송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이송연료를 여과하기 위한 연료필터와, 이송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이송연료의 일부를 리턴시키는 압력조절부를 포함하며, 연료의 안정된 공급을 위해 연료탱크 내의 연료를 저수하는 연료공급모듈이 하단부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리턴연료가 회수진행되는 회수관은 연료공급모듈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회수관을 통해 진행되는 연료는 연료공급모듈의 내부로 회수된다.
특히, 상기 연료공급모듈에 결합되는 회수관에는 제트펌프라 통칭되는 진공터널형 노즐구성(이하, 제트펌프)이 설치된다. 이 제트펌프는 리턴연료가 노즐에 의해 연료공급모듈의 내부로 분사될 때, 이 분사압력에 의해 노즐과 연료공급모듈의 연료주입홀 주변에 부압이 발생되면, 연료탱크의 연료가 보다 효율적으로 연료공급모듈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연료공급모듈은 적당한 여과장치가 없기 때문에 큰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연료펌프모듈을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자동차용 연료펌프모듈을 나타낸 또 다른 저면도로써, 연료탱크내의 연료가 연료흡입구(100)로 빨려들어갈 때 연료탱크(101) 내에 존재하는 불순물이 연료와 더불어서 끌려오게 된 채로 모듈(102) 내로 흡입됨으로써, 연료흡입을 방해함은 물론, 최악의 경우 모듈흡입구(100)가 막히게 되어 모듈(102) 몸체 내로의 연료흡입이 불가능해진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 모듈(102)의 저면에 다수개의 돌출부(103)를 형성하여 상기 모듈흡입구(100)로 도착하기 전 다수개의 돌출부(103)를 거치면서 1차적으로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는 원천적인 불순물 제거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다만 모듈흡입구(100)로 내입되는 연료의 양을 줄이게 되는 결과와, 제작의 어려움에 따른 생산비의 상승으로 이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이 모두를 해결할 수 있는 차량용 연료펌프모듈의 발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연료펌프모듈에 있어서, 연료케이싱 주입부에 직곡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다수개의 돌기를 저면에 형성함으로써, 연료케이싱 저면과 측면에서부터 연료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하고, 연료가 흡입되는 주입부에 일체형의 격자여과망을 형성하여 모듈흡입구를 막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불순물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도 록 하며, 필터케이싱으로 구성되는 교체형 필터캡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연료 흡입시 불순물을 제거하고, 모듈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격자여과망을 가지는 차량용 연료펌프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제트펌프의 분사노즐을 통해 주입부로 연료가 분사되고, 그로 인해 생기는 상기 주입부 주변의 부압으로 연료탱크 내부의 연료가 모듈흡입구로 내입되어 상기 연료탱크 내의 연료를 저수하는 차량용 연료펌프모듈에 있어서, 상기 연료펌프모듈 저면의 연료를 모듈흡입구로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연료탱크와 연료펌프모듈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다수개의 돌기를 저면에 형성하는 모듈케이싱과; 상기 모듈흡입구로 연료가 내입될 경우, 상기 연료탱크에 함유된 모듈흡입구 크기의 불순물이 상기 모듈케이싱 내로 흡입되어 연료흡입에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연료케이싱과 일체형으로 주입부에 설착되어 상기 불순물을 여과하는 격자여과망;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 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격자여과망을 가지는 차량용 연료펌프모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격자여과망을 가지는 차량용 연료펌프모듈은 모듈 저면과 측면의 연료를 모듈 내부로 내입시키기 위해 연료케이싱의 주입부(13)에 연장 연결되는 직곡부(15)를 형성함과 동시에, 저면에 다수개의 돌기(11)를 형성하며, 모듈 내부로의 연료유입이 연료 자체에 섞여있는 불순물로 인해 방해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주입부(13)에 필터를 설치하되, 상기 필터는 주입부(13)에 맞춤으로 제작되어 연료케이싱과 일체형, 착탈형 등의 형태를 가지거나, 필터망을 가지는 교체형 필터캡(40)으로 착탈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연료펌프모듈에 관한 것으로, 모듈케이싱(10), 격자여과망(31), 주입부(13), 모듈흡입구(14), 돌기(11), 직곡부(15), 교체형 필터캡(40), 역방지 흡입노즐(70)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격자여과망을 가지는 차량용 연료펌프모듈의 실시예 에 대한 사시도로써,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료탱크(60) 내부에 설치되는 연료펌프모듈의 외부를 형성하는 모듈케이싱(10)은 내부로 연료가 유입되기 위한 공간인 주입부(13)를 저면 일측에 형성한다.
상기 주입부(13)의 일측에는 제트펌프(16)가 설착되는 제프펌프 결합체(12)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제트펌프(16)에서 분출되는 연료가 모듈케이싱(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모듈흡입구(1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주입부(13)에는 하기에서 설명될 격자여과망(31)이 설착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격자여과망을 가지는 차량용 연료펌프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하부사시도로써,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 3과는 다른 실시예의 모듈케이싱(10)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모듈케이싱(10)의 저면에 형성된 주입부(13) 내측의 일면에는 상기 제트펌프(16)에서 분출되는 연료가 모듈케이싱(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모듈흡입구(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모듈케이싱(10)의 저면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출되는 돌기(11)를 다수 개 형성한다. 이는 상기 모듈케이싱(10) 저면의 연료가 돌기(11)와 돌기(11) 사이로 유동되어 상기 제트펌프(16)가 모듈흡입구(14)를 향해 연료를 분출하게 될 경우 상기 주입부(13)에 생기는 부압에 의해 제트펌프(16)에서 분출되는 연료와 함께 모듈흡입구(14)로 빨려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주입부(13)와 직각을 이루며 주입부(13)의 측면으로 연결되는 직곡부(15)를 형성함으로써, 저면에서의 연료가 모듈흡입구(14)로 내입될 때와 마찬가지로, 상기 직곡부(15)로 인해 제트펌프(16)가 연료를 분출할 시 측면부의 연료를 모듈케이싱(10)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격자여과망을 가지는 차량용 연료펌프모듈에 일체형의 격자여과망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로써,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격자여과망(31)이 모듈케이싱(10)과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형성된 일실시예에 따른 도면이다.
이때, 상기 모듈케이싱(10)의 주입부(13)에는 제작할 당시부터 망 형태의 격자여과망(31)이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있으므로 인해 연료케이싱(10) 내부로 유입되는 연료 내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을 유입시에 자동적으로 걸러주게 된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비교적 큰 불순물 즉, 상기 모듈흡입구(14)를 막을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불순물을 여과하여 상기 모듈흡입구(14)가 막히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 설치의 목적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격자여과망을 가지는 차량용 연료펌프모듈에 교체형 필터캡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입부(13)의 상, 하부에 형성된 탄착홈(20)에 대응결합되는 결합돌기(42)를 형성하며 주입부(13)에 끼움 결합하는 착탈편(41)이,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 상부가 만곡지는 형 태를 가지는 형태의 필터케이싱(43)의 일측에 형성되는 교체형 필터캡(40)과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망으로 형성된 필터케이싱(43)의 교체가 더욱 편리할 뿐만 아니라, 상기 모듈케이싱(10)의 주입부(13)와 결합되는 착탈편(41)을 형성함으로써, 언제든지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한 형태이다.
도 7은 도 3의 A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 4의 상면에서 절단하여 바라본 모습이다.
제트펌프 결합체(12)의 내부에 제트펌프(16)가 설착되어 있고, 제트펌프(16)의 일측에 형성된 분사노즐(17)로 연료가 분사될 경우, 상기 분사노즐(17)과 대향하고 있는 모듈흡입구(14)를 통해 연료가 내입되는 형태이다.
이때, 상기 모듈흡입구(14)의 내측에는 유입된 연료가 다시 연료탱크(60)로 회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역방지 흡입노즐(70)을 결합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격자여과망을 가지는 차량용 연료펌프모듈에 그물여과망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료탱크(60) 내부의 연료를 모듈케이싱(10)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주입부(13) 측으로 연료를 유동시키도록 주입관(18)을 상기 모듈케이싱(10) 내부에 형성한다.
연료가 최초유입되는 주입관(18)은 상기 모듈케이싱(10)의 저면과 수직방향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이는 연료탱크(60)의 연료를 모듈케이싱(10)의 저면에서 유 입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주입부(13)로 유입된 연료를 제트펌프(16)에서 분사된 연료와 함께, 상기 제트펌프(16)로 인해 발생된 부압에 의해 모듈흡입구(14)로 유동시켜, 상기 모듈케이싱(10)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주입부(13)와 연통되는 흡입관(19)을 내부에 형성한다.
더불어 상기 도면 8에 있는 기호 F는 연료의 유량 흐름을 나타낸다.
도 9는 도 8의 A부분 확대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료탱크(60) 내부의 연료가 모듈케이싱(10) 내부로 최초 유입되는 부분인 상기 주입관(18)의 일측에 그물형상의 여과망을 가지는 그물여과망(5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료탱크(60) 내부에 잔여되 있는 불순물이 상기 모듈케이싱(1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활을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용 연료펌프모듈에 있어서, 연료케이싱 주입부에 직곡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다수개의 돌기를 저면에 형성함으로써, 연료케이싱 저면과 측면에서부터 연료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하고, 연료가 흡입되는 주입부에 일체형의 격자여과망을 형성하여 모듈흡입구를 막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불순물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하며, 필터케이싱으로 구성되는 교체형 필터캡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연료 흡입시 불순물을 제거하고, 모듈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제트펌프(16)의 분사노즐(17)을 통해 주입부(13)로 연료가 분사되고, 그로 인해 생기는 상기 주입부(13) 주변의 부압으로 연료탱크(60) 내부의 연료가 모듈흡입구(14)로 내입되어 상기 연료탱크(60) 내의 연료를 저수하는 차량용 연료펌프모듈에 있어서,
    상기 연료펌프모듈 저면의 연료를 모듈흡입구(14)로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연료탱크(60)와 연료펌프모듈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다수개의 돌기(11)를 저면에 형성하는 모듈케이싱(10)과;
    상기 모듈흡입구(14)로 연료가 내입될 경우, 상기 연료탱크(60)에 함유된 모듈흡입구(14) 크기의 불순물이 상기 모듈케이싱(10) 내로 흡입되어 연료흡입에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연료케이싱(10)과 일체형으로 주입부(13)에 설착되어 상기 불순물을 여과하는 격자여과망(31);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여과망을 가지는 차량용 연료펌프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케이싱(10)은 주입부(13)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직곡부(15)를 형성하여 측면에서도 연료가 흡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여과망을 가지는 차량용 연료펌프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케이싱(10)은 주입부(13)와 착탈이 가능한 교체형 필터캡(40)이 장착되되, 상기 교체형 필터캡(40)은 일측에 형성된 착탈편(41)으로 상기 주입부(13)와 분리 및 결합하며,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 만곡지는 형태의 필터케이싱(43)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여과망을 가지는 차량용 연료펌프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케이싱(10)은 모듈흡입구(14)로 내입된 연료가 연료탱크(60)로 역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모듈흡입구(14) 내부에 역방지 흡입노즐(7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여과망을 가지는 차량용 연료펌프모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케이싱(10)은 저면에서 연료탱크(60) 내부의 연료를 주입부(13)로 유입시키는 주입관(18)과, 상기 주입부(13)와 모듈흡입구(14)를 연통시키는 흡입관(19)을 내부에 형성하되, 연료가 상기 모듈케이싱(10) 내부로 최초 투입되는 상기 주입관(18) 일측에는 연료 내 불순물 유입을 차단하는 격자 형상의 그물여과망(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여과망을 가지는 차량용 연료펌프모듈.
KR1020060119037A 2006-09-07 2006-11-29 격자여과망을 가지는 차량용 연료펌프모듈 KR1007733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86268 2006-09-07
KR1020060086268 2006-09-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3376B1 true KR100773376B1 (ko) 2007-11-05

Family

ID=39060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037A KR100773376B1 (ko) 2006-09-07 2006-11-29 격자여과망을 가지는 차량용 연료펌프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33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83656A (ja) * 2018-04-02 2019-10-24 愛三工業株式会社 フィルタと燃料ポンプとの連結構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3459A (ja) * 1987-12-18 1989-06-27 Jidosha Denki Kogyo Co Ltd 燃料タンク内蔵式燃料ポンプ装置
US6502558B1 (en) 1998-05-26 2003-01-07 Marwal Systems Assembly for transferring fuel from a motor vehicle tank
JP2004003392A (ja) 2002-05-31 2004-01-08 Kyosan Denki Co Ltd ポンプモジュール
JP2006194155A (ja) 2005-01-13 2006-07-27 Denso Corp 燃料供給装置
JP2006226223A (ja) 2005-02-18 2006-08-31 Hitachi Ltd 燃料ポンプ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3459A (ja) * 1987-12-18 1989-06-27 Jidosha Denki Kogyo Co Ltd 燃料タンク内蔵式燃料ポンプ装置
US6502558B1 (en) 1998-05-26 2003-01-07 Marwal Systems Assembly for transferring fuel from a motor vehicle tank
JP2004003392A (ja) 2002-05-31 2004-01-08 Kyosan Denki Co Ltd ポンプモジュール
JP2006194155A (ja) 2005-01-13 2006-07-27 Denso Corp 燃料供給装置
JP2006226223A (ja) 2005-02-18 2006-08-31 Hitachi Ltd 燃料ポンプモジュー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83656A (ja) * 2018-04-02 2019-10-24 愛三工業株式会社 フィルタと燃料ポンプとの連結構造
JP7019491B2 (ja) 2018-04-02 2022-02-15 愛三工業株式会社 フィルタと燃料ポンプとの連結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9108B2 (ja) 燃料供給装置
US20060180535A1 (en) Fuel supply unit with filter self-cleaning features
US7473353B2 (en) Fuel filter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0190056A (ja) サクションフィルタ及び燃料供給装置
CN105317599A (zh) 用于车辆的燃料供给系统
US7895991B2 (en) Integrated canister strainer
KR100773376B1 (ko) 격자여과망을 가지는 차량용 연료펌프모듈
KR100534731B1 (ko) 자동차용 연료 펌프 어셈블리
US20050286103A1 (en) In-tank fuel supply unit with attachable jet pump assembly and filter
US20110174274A1 (en) Fuel Pump Module
KR101476052B1 (ko) 연료 공급 장치
CN101408144B (zh) 车辆用燃料供给装置
CN103987951A (zh) 燃料供给单元
KR100916950B1 (ko) 일체형 구조로 형성된 연료펌프모듈의 듀얼 제트노즐
JPH05157014A (ja) ディーゼル機関の気泡排出装置
KR100993574B1 (ko) 이물질 유입방지 플레이트가 구비된 연료공급장치
KR101046309B1 (ko) 연료탱크에 사용되는 부가 연료공급장치
CN101718240B (zh) 车辆用燃料供给装置
JP2007198208A (ja) 燃料供給装置
US7007678B2 (en) In-tank fuel filter
JP2008155890A (ja) 燃料タンク構造
JP2007177700A (ja) 燃料供給装置
JP4239685B2 (ja) 燃料供給装置
CN217950554U (zh) 一种引射带过滤结构的储油桶
CN109763924A (zh) 带有排气装置的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