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2996B1 - 납축전지 - Google Patents

납축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2996B1
KR100772996B1 KR1020050086515A KR20050086515A KR100772996B1 KR 100772996 B1 KR100772996 B1 KR 100772996B1 KR 1020050086515 A KR1020050086515 A KR 1020050086515A KR 20050086515 A KR20050086515 A KR 20050086515A KR 100772996 B1 KR100772996 B1 KR 100772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acid battery
lead acid
lea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6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1744A (ko
Inventor
김광석
김남국
김용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트라스비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트라스비엑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트라스비엑스
Priority to KR1020050086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2996B1/ko
Publication of KR20070031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2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2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34Gastight accumulators
    • H01M10/342Gastight lead accum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형 납축전지에 있어서 내부가스압력에 따라 그 배기가 조절되어지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납축전지에 전기적 활성을 부여하는 화성이나 충전시 활물질의 전이보다 먼저 가스가 발생하는데, 특히 충전이 과도하게 될 때는 물이 전기분해 하여 외부로의 가스방출이 활발하게 일어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충전반응에 의해 발생 되어진 가스에 의한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발생가스가 카바의 일정 경로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도록 납축전지를 구성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납축전지는 차량이 가혹조건에서 운행되어지는 경우, 특히, 엔진부와 인접하여 높은 온도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는 최 외곽 셀의 경우, 외부로의 가스배출에 의한 액고갈 현상이 심하게 나타나며 직접적인 반응종지의 원인이 되어 왔던 바, 본 발명은 종래 열려진 상태로 카바의 일정경로에 따라 위치한 가스 배출로를 내부 가스압력에 따라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조를 변경, 과도한 가스방출에 의한 전해액 고갈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성능 및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납축전지를 제공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납축전지, 가스, 배기, 전해액, 압력조절밸브

Description

납축전지{lead-acid battery}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컨테이너
2 …. 메인커버
3 …. 최종커버
4 …. 밸브
5 …. 외부체
51 …. 유입관
52 …. 고무캡
53 … 배출공
7 ….. 가스배출로
9 ….. 가스배출로
본 발명은 밀폐형 납축전지에 있어서 내부가스압력에 따라 그 배기가 조절되어지는 장치를 가진 납축전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납축전지에 전기적 활성을 부여하는 화성이나 충전시 활물질의 전이보다 먼저 가스가 발생한다. 즉, 양극에서는 산소가, 음극에서는 수소가 발생한다. 이러한 가스발생에 의한 물의 전기분해는 반응유지에 있어서 문제가 되어, 양극에서 생긴 산소가 음극에서 납을 산화시켜, 물을 생성시키는 밀폐형 전지(Sealed battery)가 개발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충방전시 다량의 수소나 산소를 함유하는 가스가 발생하여 납축전지의 배기장치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 반응유지에 필요한 최소한의 전해액 마저 고갈되어 반응종지의 주원인이 되고 있다.
종래 배기장치의 경우, 각 단전지 셀에서 배출되어지는 가스를 카바 양측면에 있는 열려진 상태의 배기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식으로 설계되어져 있어, 차량의 엔진부 내부의 온도 상승 등에 의하여 가장 넓은 단면적이 외부와 접해있는 최외곽 셀의 액 고갈이 다른 셀에 비하여 촉진되어 택시 등의 가혹조건 운행차량에 있어서 반응종지의 주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납축전지의 단전지셀 중 가장 넓은 면적이 외부와 접해있는 최외곽셀의 전해액고갈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내부압력에 따라 배기가 조절되어지는 카바구조를 가지는 납축전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이유로 엔진부 인접셀의 카바 배기구를 막고, 그 반대편 배기구만을 이용,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를 가지는 납축전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납축전지에 있어서 그 요부를 발췌 도시한 단면도이다.본 발명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과 음극, 격리판 및 전해액이 담겨지는 컨테이너(1)와 컨테이너의 상부에 설치되는 메인카바(2)와 상기 메인카바(2)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는 최종카바(3)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카바(2)에는 각 셀(11)(12)(13) ……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배출구(7)를 형성시키며, 상기 최종카바(3)에 가스배출로(9)를 형성시켜서 된 것에 있어서, 최종카바(3)의 가스 배출로(9)에 내부압력에 따라 개폐가 조절되어지는 밸브(4)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밸브(4)는 가스배출로(9)에 긴밀하게 결합되는 외부체(5)와 외부체(5)의 중앙 저부에 설치한 유입관(51)과 유입관(51)을 긴밀하게 감싸는 컵 모양의 고무캡(52)과 가스배출로(9)의 출측으로 연통된 배출공(53)으로 구성되며, 각 셀(11)(12)(13) ……의 내부 압력이 급격히 높아져 가스가 폭발적으로 배출되더라도 고무캡(52)이 유입관(51)을 벗어나지 아니하도록 고무캡(52)의 상부가 외부체(5)의 상부에 의하여 제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무캡(52)은 내부압력이 커지면 고무캡(52)의 하단 주연이 벌어지면서, 폭발 방지를 위한 최소량의 발생가스만을 가스배출로(9)로 배출하게 되어 최 외곽 셀(11)의 전해액 레벨 및 황산 농도 편차를 최소화 시키게 된다.
최종카바(3)에 설치된 가스 배출로(9)는 통상 최종카바(3)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바, 본 발명은 최종카바(9)의 양측에 설치되어진 가스배출로(9)중 엔진부 인접 가스배출로(9)는 이를 막고 그 반대편 가스배출로만을 이용하여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게 하는 구조를 가진 납축전지를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납축전지는, 내부가스압력에 따라 그 배기가 조절되어지므로, 가스의 배출이 제한되어 단전지셀 중 가장 넓은 단면적이 외부와 접해있는 최외곽셀의 전해액고갈을 최소화하여, 다른 셀과의 전해액 레벨 및 황산농도편차를 최소화하여 택시 등의 가혹조건 운행차량의 과도한 가스방출에 의한 전해액 고갈을 방지하여, 그에 따른 성능 및 수명연장에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양극과 음극, 격리판 및 전해액이 담겨지는 컨테이너(1)와 컨테이너의 상부에 설치되는 메인카바(2)와 상기 메인카바(2)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는 최종카바(3)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카바(2)에는 각 셀(11)(12)(13) ……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배출구(7)를 형성시키며, 상기 최종카바(3)에 가스배출로(9)를 형성키며, 최종카바(3)의 가스 배출로(9)에 밸브(4)를 설치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밸브(4)는 가스배출로(9)에 긴밀하게 결합되는 외부체(5)와 외부체(5)의 중앙 저부에 설치한 유입관(51)과 유입관(51)을 긴밀하게 감싸는 컵 모양의 고무캡(5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축전지.
  4. 제3항에 있어서, 밸브(4)는 고무캡(52)의 상부가 외부체(5)의 상부에 의하여 제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축전지.
KR1020050086515A 2005-09-15 2005-09-15 납축전지 KR100772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515A KR100772996B1 (ko) 2005-09-15 2005-09-15 납축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515A KR100772996B1 (ko) 2005-09-15 2005-09-15 납축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744A KR20070031744A (ko) 2007-03-20
KR100772996B1 true KR100772996B1 (ko) 2007-11-02

Family

ID=41636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6515A KR100772996B1 (ko) 2005-09-15 2005-09-15 납축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29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336B1 (ko) * 2011-12-09 2017-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스 재순환형 배터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8909A (ja) * 2002-11-26 2004-06-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式二次電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8909A (ja) * 2002-11-26 2004-06-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式二次電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336B1 (ko) * 2011-12-09 2017-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스 재순환형 배터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744A (ko) 2007-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55263B1 (en) The use of catalysts in standby valve-regulated lead acid cells
US20050147874A1 (en) Venting system for battery
WO2018077407A1 (en) A double-chamber battery venting system
US20200036019A1 (en) Air Cell
RU2680516C1 (ru) Натрий-серный аккумулятор
US5702841A (en) Electrolyte venting system with tubular splash guards
KR100772996B1 (ko) 납축전지
JP2009212039A (ja) 制御弁式鉛蓄電池
JPH1140468A (ja) 電気化学素子
JP4715091B2 (ja) 鉛蓄電池
CN109638309A (zh) 一种气相逆流的无隔膜金属-含氧气体液流电池
KR100916418B1 (ko) 내구성이 향상된 자동차용 배터리
RU2313856C2 (ru) Крышка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аккумулятора со свободным электролитом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аккумулятор
RU2183371C1 (ru) Металловоздушная батарея
KR20200119450A (ko) 금속공기전지용 전해질 순환처리장치
JPH0373988B2 (ko)
JP2003346781A (ja) 制御弁式鉛蓄電池
JP4295477B2 (ja) 二次電池のガス抜構造及びガス抜方法、並びに二次電池
KR100576250B1 (ko) 납축전지의 가스배출밸브
KR101872280B1 (ko) 안전 벤트를 갖는 나트륨 이차전지
JP4552375B2 (ja) 鉛蓄電池
JPH1021954A (ja) 負極吸収式シール形鉛蓄電池
KR102651295B1 (ko) 납축전지 누액방지 밸브 캡
JP4324829B2 (ja) 制御弁式鉛電池
KR20070045549A (ko) 자동차용 연축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