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2876B1 - 와이드 스크린 화면 비율을 갖는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와이드 스크린 화면 비율을 갖는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2876B1
KR100772876B1 KR1020060023642A KR20060023642A KR100772876B1 KR 100772876 B1 KR100772876 B1 KR 100772876B1 KR 1020060023642 A KR1020060023642 A KR 1020060023642A KR 20060023642 A KR20060023642 A KR 20060023642A KR 100772876 B1 KR100772876 B1 KR 100772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 signal
unit
wide scree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3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3604A (ko
Inventor
김정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3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2876B1/ko
Publication of KR20070093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3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2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2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Abstract

와이드 스크린 화면 비율을 갖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드 스크린 화면 비율을 갖는 영상 촬영 장치는,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의 위치를 기준 위치에서 소정 간격만큼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촬영부가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제1 간격만큼 좌측으로 이동된 위치에서 획득한 제1 영상 신호 및 상기 촬영부가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제2 간격만큼 우측으로 이동된 위치에서 획득한 제2 영상 신호를 소정 압축 방식으로 압축하여 각각 제1 저장부 및 제2 저장부에 저장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처리부는 영상 재생 모드가 일반 재생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영상 신호 및 제2 영상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영상 신호를 압축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용 장치, 영상(image), 와이드 스크린 화면 비율(wide screen picture ratio)

Description

와이드 스크린 화면 비율을 갖는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icture-taking device with wide screen picture ratio}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b 및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영상 촬영 장치에서 촬영부의 움직임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에서 획득되는 제1 영상 신호 및 제2 영상 신호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드 스크린 화면 비율을 갖는 영상 촬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와이드 스크린 모드로 촬영된 영상을 재생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영상 촬영 장치 110: 촬영부
120: 영상 처리부 130: 디스플레이부
140: 구동부 150: 제어부
160: 제1 저장부 170: 제2 저장부
180: 입력부
본 발명은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화면 비율을 갖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와이드 스크린 화면 비율을 갖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장치의 기능은 점차 다양화 고급화되고 있다. 일 예로, 휴대 전화의 경우, 단순한 통화 기능뿐만 아니라, 음악 파일을 재생하거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촬영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기에 이르렀다.
사용자는 이러한 휴대용 장치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촬영한 다음, 이를 디지털 TV 등에 연결함으로써, 보다 큰 화면을 통해 촬영된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휴대용 장치에 장착되는 카메라는 보통 4:3의 화면 비율을 제공하는데 비해, 디지털 TV와 같은 고정 장치는 16:9의 화면 비율을 제공한다.
때문에 휴대용 장치와 고정 장치를 연결하여, 휴대용 장치로 촬영한 동영상을 고정 장치의 큰 화면을 통해 즐기고자 하는 경우에도, 화면 비율이 서로 달라 사용자의 만족도가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고정 장치에서 제공되는 화면 비 율과 동일한 화면 비율을 제공하는 카메라를 휴대용 장치에 장착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휴대용 장치의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일반 화면 비율을 갖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와이드 스크린 화면 비율을 갖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는,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의 위치를 기준 위치에서 소정 간격만큼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촬영부가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제1 간격만큼 좌측으로 이동된 위치에서 획득한 제1 영상 신호 및 상기 촬영부가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제2 간격만큼 우측으로 이동된 위치에서 획득한 제2 영상 신호를 소정 압축 방식으로 압축하여 각각 제1 저장부 및 제2 저장부에 저장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처리부는 영상 재생 모드가 일반 재생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영상 신호 및 제2 영상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영상 신호를 압축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방법은, 기준 위치에서 제1 간격만큼 좌측으로 이동된 촬영부로부터 제1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기준 위치에서 제2 간격만큼 우측으로 이동된 촬영부로부터 제2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1 영상 신호 및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소정 압축 방식으로 압축하여 각각 제1 저장부 및 제2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영상 재생 모드가 일반 재생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영상 신호 및 상기 제2 영상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영상 신호를 압축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블록도 또는 처리 흐름도에 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드 스크린 화면 비율을 갖는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제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도 1a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영상 촬영 장치(100) 중 촬영부(110)의 움직임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영상 촬영 장치(100)에서 획득되는 제1 영상 신호(210) 및 제2 영 상 신호(220)를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도 2a의 제1 영상 신호(210)와 제2 영상 신호(220)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된 와이드 스크린 화면 비율을 갖는 영상(230)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는 디지털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장치란,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 회로를 가진 장치로써,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DA) 및 휴대전화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80), 촬영부(110), 구동부(140), 영상 처리부(120), 제1 저장부(160), 제2 저장부(170), 디스플레이부(13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18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다. 예를 들면, 입력부(180)는 영상 촬영 모드에 대한 선택 신호, 촬영되는 영상을 녹화하는 신호 및 녹화되어 있는 영상을 재생시키는 신호 등을 입력받는다. 이러한 입력부(180)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수의 기능키 예를 들면, 촬영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키, 영상 촬영 모드를 설정하는 촬영 모드 설정키, 촬영되는 영상을 녹화하는 녹화키 및 녹화되어 있는 영상을 재생시키는 재생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키들은 사용자에 의해 인가되는 경우, 소정 키신호를 발생시키며, 발생된 키신호는 후술될 제어부(150)로 제공된다.
촬영부(110)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촬영부(110)는 카메라 센서(미도시) 및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카메라 센서(미도시)는 피사체에서 반사된 빛이 렌즈를 통해 들어오면, 렌즈를 통해 들어온 영상의 빨간색, 녹색, 파란색의 밝기와 컬러값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러한 카메라 센서(미도시)는 '전하 결합 소자' 또는 '고체 촬상 소자' 라고 불리우는 CCD(Charge Coupled Device)로 구현될 수 있다. CCD는 빛의 강도에 따라 반응하는 트랜지스터가 일정하게 배열되어 있는 소자로, 각각의 트랜지스터에서 제공된 정보는 한데 모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이미지를 만든다. 이때, 이미지의 품질은 CCD의 입자수에 따라 달라지는데, 입자수가 많을수록 더 정확하게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CCD는 4:3의 화면비율을 갖는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는 CCD로서, 예를 들면 가로×세로 픽셀(pixel)이 174×144, 320×240, 640×480, 800×600, 1024×768, 1280×1204 및 1600×1200 인 CCD를 예로 들 수 있다.
신호 처리부(미도시)는 CCD에서 출력되는 아날로스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신호 처리부(미도시)는 CCD에서 출력되는 영상 아날로그 신호를 0과 1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즉, 신호 처리부(미도시)는 CCD 각 광전 변화 입자들의 컬러 정보를 비트화된 데이터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신호 처리부(미도시)는 예를 들어,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은 촬영부(110)는 후술될 구동부(140)에 의해 움직임이 제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1b 및 도 1c는 촬영부(110)의 이동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먼저, 도 1b는 촬영부(110)가 기준 위치에서 제1 간격만큼 좌측으로 이동되는 모습과 기준 위치에서 제2 간격만큼 우측으로 이동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제1 간격 및 제2 간격은 후술될 구동부(140)를 구현하는 방법에 따라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갖거나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제1 간격 및 제2 간격의 합은, 촬영부(110)가 기준 위치에서 제1 간격만큼 좌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입력받은 영상 신호(이하, '제1 영상 신호'라고 한다)와, 촬영부(110)가 기준 위치에서 제2 간격만큼 우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입력받은 영상 신호(이하, '제2 영상 신호'라고 한다)를 합성하였을 때, 와이드 스크린과 동일한 화면 비율을 갖는 영상(230)을 얻을 수 있는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16:9의 와이드 스크린 화면 비율을 갖는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가로×세로가 각각 256×144 픽셀의 영상 신호가 필요한데, 만약, 촬영부(110)가 가로×세로 각각 174×144 픽셀의 영상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경우, 촬영부(110)의 이동 간격의 합은 제1 영상 신호(210)와 제2 영상 신호(220)의 96 픽셀이 중첩될 수 있는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c는 촬영부(110)가 기준점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제1 각도만큼 회전하는 모습과, 기준점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제2 각도만큼 회전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앞서 도 1b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1 각도의 크기 및 제2 각도의 크기는 후술될 구동(140)를 구현하는 방법에 따라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갖거나,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제1 각도의 크기 및 제2 각도의 크기는, 촬영부(110)가 제1 각도만큼 회전하였을 때 입력받은 제1 영상 신호(210) 및 촬영부 (110)가 제2 각도만큼 회전하였을 때 입력받은 제2 영상 신호(220)를 합성하였을 때, 와이드 스크린과 동일한 화면 비율을 갖는 영상(230)을 얻을 수 있는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140)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부(110)의 위치 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동부(140)는 예를 들어, 스텝 모터 및 전자석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영상 처리부(120)는 신호 처리부(미도시)에서 제공된 제1 영상 신호(210) 및 제2 영상 신호(220)를 소정 압축 방식 예를 들면, MPEG(Motion Picture Experts Groups)-4 방식으로 압축한다. 압축된 제1 영상 신호(210) 및 제2 영상 신호(220)는 후술될 제1 저장부(160) 및 제2 저장부(170)에 각각 저장된다.
또한, 영상 처리부(120)는 저장되어 있는 영상 신호를 와이드 스크린 모드로 재생하는 경우, 제1 저장부(160) 및 제2 저장부(170)에 각각 압축되어 저장되어 있는 제1 영상 신호(210) 및 제2 영상 신호(220)를 디코딩한 후, 소정의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영상 처리부(120)는 제1 영상 신호(210)와 제2 영상 신호(220)에서 중복되는 영역에 소정 필터 예를 들면, 미디언 필터(Median Filter)를 적용하여, 두 영상 신호를 합성한다. 그 결과, 와이드 스크린의 화면 비율을 갖는 영상 신호(230)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명령 처리 결과를 가시적인 형태로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 처리부(120)에 의해 생성된, 와이드 화면 비율을 갖는 영상(230)을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저장부(160) 및 제2 저장부(170)는 각각 제1 영상 신호(210) 및 제2 영상 신호(220)를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는 캐쉬(Cache), 롬(Read Only Memory; ROM), 피롬(Programable ROM; PROM),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OM; 이피롬),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이이피롬)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와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 영상 신호 및 제2 영상 신호는 제1 저장부(160) 및 제2 저장부(170)에 각각 MPEG-4 Part1: System(ISO/IEC 14496-1)에서 명시하고 있는 트랙 아톰(track atom)으로 저장된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80)에서 제공된 키신호에 따라 영상 촬영 장치(100) 내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영상 촬영 모드가 와이드 스크린 모드로 지정된 상태에서 입력부(180)를 통해 녹화를 실행하는 신호가 제공된 경우, 제어부(150)는 구동부(140)를 제어하여 촬영부(110)가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제1 간격 및 제2 간격만큼 각각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촬영부(110)가 제1 영상 신호(210) 및 제2 영상 신호(220)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디지털 TV와 같은 고정 장치 및 다른 디지털 장치와의 확장을 위한 확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확장부는 예를 들어, 디지털 TV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영상 촬영 장치(1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지털 TV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에서 와이드 스크린을 위한 영상 촬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영상 촬영 장치(100)의 제어부(150)는 촬영 기능이 실행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10).
판단 결과, 촬영 기능이 실행되지 않은 경우(S310, 아니오), 제어부(150)는 입력부(18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영상 촬영 장치(100) 내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한다(S320). 예를 들어, 전원을 오프(off)시키는 키가 인가된 경우, 제어부(150)는 영상 촬영 장치(100)의 전원을 오프시킨다.
판단 결과, 촬영 기능이 실행된 경우(S310, 예), 제어부(150)는 촬영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프리뷰(preview)를 실행한다. 이로써, 녹화가 실행되기 이전, 촬영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330).
이 후, 제어부(150)는 녹화 기능이 실행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40). 판단 결과, 녹화 기능이 실행되지 않은 경우(S340, 아니오), 제어부(150)는 계속하여 프리뷰 동작을 수행한다(S330). 판단 결과, 녹화 기능이 실행된 경우(S340, 예), 제어부(150)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영상 촬영 모드가 와이드 스크린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350).
촬영 모드의 종류를 판단 결과, 현재 설정되어 있는 촬영 모드가 와이드 스 크린 모드가 아닌 경우(S350, 아니오), 즉, 일반 모드인 경우, 제어부(150)는 촬영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영상 처리부(120)에 의해 소정 압축 방식 예를 들면, MPEG-4 방식으로 압축되어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S360). 이때, 압축된 영상 신호는 제1 저장부(160) 또는 제2 저장부(170)에 MPEG-4 Part1: System(ISO/IEC 14496-1)에서 명시하고 있는 트랙 아톰(track atom)으로 저장된다.
촬영 모드의 종류를 판단 결과, 현재 설정되어 있는 촬영 모드가 와이드 스크린 모드인 경우(S350, 예), 제어부(150)는 구동부(140)를 제어한다. 그 결과, 촬영부(110)가 기준 위치에서 제1 간격 및 제2 간격만큼 각각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되어 각 위치에서 제1 영상 신호(210) 및 제2 영상 신호(220)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한다(S380). 이때, 촬영부(110)의 이동 간격의 합은, 촬영부(110)가 기준 위치에서 제1 간격만큼 좌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입력받은 제1 영상 신호(210)와, 촬영부(110)가 기준 위치에서 제2 간격만큼 우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입력받은 제2 영상 신호(220)를 합성하였을 때, 와이드 스크린과 동일한 화면 비율을 갖는 영상을 얻을 수 있는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16:9의 와이드 스크린 화면 비율을 갖는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가로×세로가 각각 256×144 픽셀의 영상 신호가 필요한데, 만약, 촬영부(110)가 가로×세로 각각 174×144 픽셀의 영상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경우, 촬영부(110)의 이동 간격의 합은, 제1 영상 신호(210)와 제2 영상 신호(220)의 96 픽셀이 중첩될 수 있는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촬영부(110)의 위치 이동은 녹화가 실행되는 동안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촬영부(110)를 통해 입력된 제1 영상 신호(210) 및 제2 영상 신호(220)는 각각 영상 처리부(120)에 의해 소정 압축 방식 예를 들면, MPEG-4 방식에 의해 압축된 후, 각각 제1 저장부(160) 및 제2 저장부(170)에 저장된다(S390).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에서 와이드 스크린 모드로 촬영된 영상을 재생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영상 촬영 장치(100)의 제어부(150)는 영상 재생 기능이 실행되었는지를 판단한다(S410).
판단 결과, 영상을 재생하는 기능이 실행된 경우(S410, 예), 제어부(150)는 현재 영상 재생 모드가 와이드 스크린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420).
영상 재생 모드의 종류를 판단한 결과, 현재 영상 재생 모드가 일반 모드인 경우(S420, 아니오), 제어부(150)는 저장되어 있는 영상 신호가 영상 처리부(120)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도록 한다(S430). 이 때, 재생하려는 영상이 일반 촬영 모드로 녹화된 영상인 경우, 영상 처리부(120)는 제1 저장부(160) 및 제2 저장부(170) 중 어느 하나의 저장부로부터 해당 영상을 읽어 디코딩한다. 만약, 재생하려는 영상이 와이드 스크린 촬영 모드로 녹화된 영상인 경우, 영상 처리부(120)는 제1 저장부(160) 및 제2 저장부(170) 중 어느 하나로부터 해당 영상 신호를 읽어 디코딩한다.
한편, 영상 재생 모드의 종류를 판단한 결과, 현재 영상 재생 모드가 와이드 스크린 모드인 경우(S420, 예), 제어부(150)는 제1 저장부(160)에 저장되어 있는 제1 영상 신호(210) 및 제2 저장부(170)에 저장되어 있는 제2 영상 신호(220)가 각각 영상 처리부(120)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도록 한다(S440).
이와 같이, 제1 저장부(160) 및 제2 저장부(170)에 각각 저장되어 있는 제1 영상 신호(210) 및 제2 영상 신호(220)가 디코딩되면, 영상 처리부(120)는 제1 영상 신호(210) 및 제2 영상 신호(220)에 소정의 영상 처리를 가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영상 처리부(120)는 제1 영상 신호(210)와 제2 영상 신호(220)에서 중복되는 영역에 소정 필터 예를 들면, 미디언 필터(Medial Filter)를 적용한다. 예를 들어, 제1 영상 신호(210) 및 제2 영상 신호(220)가 가로×세로 각각 174×144의 픽셀로 이루어진 경우, 영상 처리부(120)는 도 2a와 같이, 제1 영상 신호(210) 및 제2 영상 신호(220)의 96 픽셀에 해당하는 영역에 미디언 필터를 적용한다.
이 후, 영상 처리부(120)는 두 영상 신호를 합성하여, 와이드 스크린 화면 비율을 갖는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S450). 예를 들면, 도 2b와 같이 와이드 스크린 화면 비율을 갖는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영상 처리부(120)에 의해 생성된 와이드 스크린 화면 비율을 갖는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S460).
이상과 같이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드 스크린 화면 비율을 갖는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와이드 스크린 화면 비율을 갖는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일반 화면 비율을 갖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와이드 스크린 화면 비율을 갖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의 위치를 기준 위치에서 소정 간격만큼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촬영부가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제1 간격만큼 좌측으로 이동된 위치에서 획득한 제1 영상 신호 및 상기 촬영부가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제2 간격만큼 우측으로 이동된 위치에서 획득한 제2 영상 신호를 소정 압축 방식으로 압축하여 각각 제1 저장부 및 제2 저장부에 저장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영상 처리부는 영상 재생 모드가 일반 재생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영상 신호 및 제2 영상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영상 신호를 압축해제하는 와이드 스크린 화면 비율을 갖는 영상 촬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영상 재생 모드가 와이드 스크린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영상 신호 및 상기 제2 영상 신호에서 중복되는 영역에 소정 영상 처리를 수행한 후 합성하여, 와이드 스크린 화면 비율을 갖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와이드 스크린 화면 비율을 갖는 영상 촬영 장치.
  3. 삭제
  4. 기준 위치에서 제1 간격만큼 좌측으로 이동된 촬영부로부터 제1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기준 위치에서 제2 간격만큼 우측으로 이동된 촬영부로부터 제2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1 영상 신호 및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소정 압축 방식으로 압축하여 각각 제1 저장부 및 제2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영상 재생 모드가 일반 재생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영상 신호 및 상기 제2 영상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영상 신호를 압축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와이드 스크린 화면 비율을 갖는 영상 촬영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영상 재생 모드가 와이드 스크린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영상 신호 및 상기 제2 영상 신호에서 중복되는 영역에 소정 영상 처리를 수행한 후 합성하여 와이드 스크린 화면 비율을 갖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와이드 스크린 화면 비율을 갖는 영상 촬영 방법.
KR1020060023642A 2006-03-14 2006-03-14 와이드 스크린 화면 비율을 갖는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0772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642A KR100772876B1 (ko) 2006-03-14 2006-03-14 와이드 스크린 화면 비율을 갖는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642A KR100772876B1 (ko) 2006-03-14 2006-03-14 와이드 스크린 화면 비율을 갖는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604A KR20070093604A (ko) 2007-09-19
KR100772876B1 true KR100772876B1 (ko) 2007-11-02

Family

ID=38687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3642A KR100772876B1 (ko) 2006-03-14 2006-03-14 와이드 스크린 화면 비율을 갖는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28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265A (ko) * 1997-11-04 1999-06-05 윤종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파노라마 화상 획득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265A (ko) * 1997-11-04 1999-06-05 윤종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파노라마 화상 획득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604A (ko) 200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69389B2 (ja) 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2441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ooting star trail video,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8436928B2 (en) Image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with drive control vari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output fields
US10129488B2 (en) Method for shooting light-painting video,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storage medium
JP4639965B2 (ja) 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556195B2 (ja) 撮像装置、動画再生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9111518A (ja) 撮像装置、画像再生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画像ファイルのデータ構造
JPH1169293A (ja) 画像処理システムならびにカメラ一体型ビデオレコーダ
JP6351212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3179798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17163191A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203334A (ja) 画像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7325152A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7123670A (ja) 撮像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2009065320A (ja) 撮像装置
KR100772876B1 (ko) 와이드 스크린 화면 비율을 갖는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JP2015019243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6351213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JP6594485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JP7110985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012985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7096809A (ja) 撮像装置、動画記憶方法および動画記憶プログラム
JP2018174541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00034291A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the method
JP2005012693A (ja) 動画記録装置、電子カメラ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