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2383B1 - 콤팩트한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콤팩트한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2383B1
KR100772383B1 KR1020050112006A KR20050112006A KR100772383B1 KR 100772383 B1 KR100772383 B1 KR 100772383B1 KR 1020050112006 A KR1020050112006 A KR 1020050112006A KR 20050112006 A KR20050112006 A KR 20050112006A KR 100772383 B1 KR100772383 B1 KR 100772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guide plate
screen
light guid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2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4039A (ko
Inventor
키릴 소콜로프
정태홍
이영철
알렉세이 보로둘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2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2383B1/ko
Priority to EP06124520A priority patent/EP1788804B1/en
Priority to JP2006314543A priority patent/JP5137386B2/ja
Priority to DE602006016055T priority patent/DE602006016055D1/de
Priority to US11/603,203 priority patent/US7922339B2/en
Publication of KR20070054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4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2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2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콤팩트한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콤팩트한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받은 영상 신호에 따라 영상을 형성하여 투사하는 영상 제공부; 및 스크린이 일면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영상 제공부로부터 입사된 영상이 상기 스크린에 표시되도록 영상을 가이드하는 평평한 투명 도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Description

콤팩트한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Compact rear projection display}
도 1 내지 도 3b는 노트북 PC 또는 모바일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종래의 소형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한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의 측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한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의 정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한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의 상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한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에서 스크린이 본체 위로 접힌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한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한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의 측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에서 투명 도광판에 형성된 미러 어레이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후면 투사 디스플레이 41.....본체
42.....영상 제공부 43..... 폴딩 미러
44.....도광판 45.....스크린
본 발명은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얇고 작게 제조됨으로써 모바일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콤팩트한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북 PC, PDA,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emitting Device; OLED) 디스플레이와 같이 얇고 가벼우며 소비전력이 적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LCD 나 OLED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동 회로 등으로 인하여, 실제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의 둘레에는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 테두리 부분이 존재하게 된다. 예컨대, 휴대폰이나 노트북 PC의 경우, 메인 보드와 키패드가 설치된 본체부와 연결된 커버부에 디스플레이가 탑재되는데, 디스플레이 영역의 면적은 커버부 전체 면적의 60%~80%에 불과하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증가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이로 인해, 전면 또는 후면 투사 방식의 디스플레이를 노트북 PC, PDA, 휴대 폰 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에 적용하여, 커버부의 거의 전체면을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식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기 시작하면서, 휴대폰과 같은 소형 모바일 장치에서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가능한 크게 할 필요가 증대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b는 이러한 휴대용 기기에 사용할 수 있는 종래의 후면 투사 방식의 디스플레이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1은 미국 특허 제6,525,750호에 개시된 "컴퓨터용 투사 디스플레이(Projection display for computers)"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미국 특허 제6,525,750호에 개시된 종래의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의 경우, 본체(10)에서 생성된 영상 신호는 케이블(12)을 통해 스크린(15)의 상단에 있는 프로젝터(11)로 전달된다. 프로젝터(11)는 영상 신호에 따라 영상을 생성하여 확대 미러(14)에 영상을 입사시킨다. 그러면, 영상은 상기 확대 미러(14)에 의해 확대되어 스크린(15)으로 투사될 수 있다. 비사용시, 상기 확대 미러(14)는 트레이(13)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인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미국 특허 제6,637,896호에 개시된 "컴팩트 투사 시스템(Compact projection system)"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핸드폰과 같은 본체(20)의 일측에 프로젝터(21)가 신축형 지지부재(22)를 통해 탑재되어 있다. 또한, 본체(20)의 상단에는 접이식 스크린(23)이 설치되어 있다. 본체(20)에서 생성된 영상신호는 지지부재(22)를 통해 프로젝터(21)에 전달되며, 프로젝터(21)는 영상을 스크 린(23)에 투사한다. 상기 스크린(23)은, 비사용시, 상기 본체(20)의 상면(24) 위로 접혀질 수 있다.
또한, 도 3a 및 도 3b는 미국 특허 제6,870,671호에 개시된 "평판 디스플레이(Flat-panel display)"를 도시하고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프로젝터(31)에서 투사된 영상은 미러(32)를 통해 투명 평판(33)의 일측으로 입사한 후, 전반사에 의해 상기 투명 평판(33) 내부를 진행한다. 그런 후, 두께가 점점 얇아지도록 일면이 테이퍼진 글래스(26)의 일측으로 실린드리컬 렌즈(34)를 통해 영상이 입사한다. 상기 실린드리컬 렌즈(34)의 상면과 하면에는 영상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미러(35a,35b)가 부착되어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래스(26)의 일면이 테이퍼져 있기 때문에, 글래스(26)의 내부를 진행하는 영상 중 일부는 전반사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여 상기 글래스(26)의 상면으로 방출된다. 따라서, 상기 글래스(26)의 상면에 형성된 스크린(37)을 통해 영상을 관찰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소형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들은, 조립시 부품의 정확한 정렬이 매우 어렵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기술의 경우, 미러(14) 또는 프로젝터(21)가 본체로부터 인입되는 구조이므로 고장이 발생하기 쉽다. 더욱이, 영상이 정확하게 디스플레이 되기 위해서는, 미러(14) 또는 프로젝터(21)가 정확한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로 있어야 하며, 이들과 대응하는 스크린(15,23)들 역시 정확한 각도로 세워져 있어야 한다.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기술의 경우, 정확한 위치에서 영상이 방출될 수 있도록, 글래스(36)의 테이퍼진 면에 복잡한 구조의 코팅층이 존재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간단하며 구조를 가지며 부품들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는 콤팩트한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유형에 따른 콤팩트한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받은 영상 신호에 따라 영상을 형성하여 투사하는 영상 제공부; 및 스크린이 일면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영상 제공부로부터 입사된 영상이 상기 스크린에 표시되도록 영상을 가이드하는 평평한 투명 도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투명 도광판은, 상기 영상 제공부에서 투사된 영상이 입사하는 영상 입사면; 상기 입사면과 대향하며,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한 영상을 확대 반사하는 확대 반사면; 상기 스크린과 평행하게 대향하는 것으로, 상기 확대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영상을 전반사하여 스크린으로 향하게 하는 전반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 입사면과 확대 반사면은 상기 투명 도광판의 일측 단부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영상 입사면은 구면 또는 비구면일 수 있으며, 상기 확대 반사면은 영상의 왜곡을 보상하도록 형성된 비구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크린은 상기 투명 도광판의 표면에 직접 형성되거나 부착된 것 으로, 광확산판, 전반사 프리즘 어레이 및 홀로그램 패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영상 제공부는, 광원; 상기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상기 본체부로부터 받은 영상 신호에 따라 변조하여 영상을 형성하는 광변조부; 상기 광원과 광변조부 사이에 배치된 것으로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상기 광변조부에 균일하게 조사하는 조명 광학계; 및 상기 광변조부에서 형성된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 광학계;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제공부는, 상기 투사 광학계로부터 투사된 영상을 상기 투명 도광판의 영상 입사면으로 반사하는 폴딩 미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투명 도광판은 상기 본체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본체부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세워지거나 상기 본체부의 상면 위로 접혀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는, 휴대전화기, PDA, 노트북 PC 및 팜탑 컴퓨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유형에 따른 콤팩트한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받은 영상 신호에 따라 영상을 형성하여 투사하는 영상 제공부; 및 스크린이 일면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영상 제공부로부터 입사된 영상이 상기 스크린에 표시되도록 영상을 가이드하는 평평한 투명 도광판;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투명 도광판은, 상기 투명 도광판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영상 제공부에서 투사된 영상이 입사하는 영상 입사면; 상기 입사면과 대향하며,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한 영상을 상기 투명 도광판의 타측 단부로 반사하는 제 1 반사면; 상기 제 1 반사면에서 반사된 영상을 상기 스크린의 대향면으로 반사하는 제 2 반사면; 및 상기 스크린의 대향면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 2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영상을 스크린에 수직하게 반사하는 미러 어레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영상 입사면과 제 1 반사면은 상기 투명 도광판의 일측 단부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반사면은 상기 투명 도광판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투명 도광판의 영상 입사면은 구면 또는 비구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반사면은 영상의 왜곡을 보상하도록 형성된 비구면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 1 반사면은 볼록면이고 제 2 반사면은 오목면이다.
상기 스크린의 대향면에 형성된 미러 어레이는 톱니형 또는 프레넬 렌즈형 미러 어레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은 상기 투명 도광판의 표면에 직접 형성되거나 부착된 것으로, 광확산판, 전반사 프리즘 어레이, 홀로그램 패턴, 렌티큘러 스크린, 마이크로렌즈 스크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한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한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의 측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한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40)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본체부(41)와, 상기 본체부(41)로부터 받은 영상 신호에 따라 영상을 형성하여 투사하는 영상 제공부(42)와, 스크린(45)이 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영상 제공부(42)로부터 입사된 영상이 상기 스크린(45)에 표시되도록 영상을 가이드하는 평평한 투명 도광판(44)을 포함한다.
본체부(41)의 내부에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전자회로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41)의 상면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정보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48)가 배열되어 있다. 예컨대, 상기 본체부(41)는 휴대전화기, PDA, 노트북 PC, 팜탑 컴퓨터 등과 같은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4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힌지부재(47)를 통해 투명 도광판(44)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시에는 스크린(45)이 본체부(41)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세워질 수 있다. 또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사용시에는 스크린(45)이 형성된 투명 도광판(44)을 본체부(41)의 상면 위로 접혀지게 할 수 있다.
영상 제공부(42)는, 후술하듯이, 공지된 프로젝터 또는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일반적인 영상 제공부와 같은 구조와 기능을 갖는다. 즉, 영상 제공부(42)는 본체부(41)로부터 영상 신호를 받고, 영상 신호에 따라 영상을 형성하여 투사한다. 상기 영상 제공부(42)에서 투사된 영상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도광판(44)에 입사된 후, 스크린(45)에 디스플레이 된다. 영상 제공부(42)의 광축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도광판(44)의 표면과 평행한 경우에는, 영상 제공부(42)에서 투사된 영상이 투명 도광판(44)에 입사할 수 있도록 폴딩 미러(folding mirror)(43)를 영상 제공부(42)와 투명 도광판(44)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투명 도광판(44)은, 상기 영상 제공부(42)로부터 입사된 영상이 상기 투명 도광판(44)의 내부를 진행하여 투명 도광판(44)의 일면에 형성된 스크린(45)에 표시되도록 가이드 한다. 따라서, 상기 투명 도광판(44)은, 예컨대, 글래스(glass)나 PMMA(Polymethyl Metacrylate)와 같은 광투과율이 우수한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한다.
도 6에는 이러한 영상 제공부(42)와 투명 도광판(44)의 구조가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 제공부(42)는, 광원(42a), 조명 광학계(42b), 광변조부(42c) 및 투사 광학계(42d)를 일반적으로 구비한다. 광원(42a)은, 예컨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LD), 면발광 레이저(Vertical Cavity Surface Emitting Laser; VCSEL) 또는 마이크로 레이저(Microlaser; ML) 등과 같은 소형 광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원(42a)에서 출사된 광은 조명 광학계(42b)에 입사한다. 공지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 광학계(42b)는 입사광을 균일하게 만드는 것으로, 예컨대, 다수의 렌즈와 인티그레이터(Integrator)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조명 광학계(42b)를 통과한 광은 광변조부(42c)를 균일하게 조명하게 된다. 광변조부(42c)는, 본체부(41)로부터 받은 영상 신호에 따라 입사광을 변조하여 영상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광변조(42c)로는, 예컨대, 투명한 AMLCD(active-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또는 유기발 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등을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변조부(42c)에 의해 형성된 영상은 다수의 렌즈로 구성된 투사 광학계(42d)를 통해 투명 도광판(44)으로 투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축이 투명 도광판(44)의 표면과 평행한 경우에는, 폴딩 미러(43)(도 5b 참조)가 상기 투사 광학계(42d) 다음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투사 광학계(42d)로부터 투사된 영상은 상기 투명 도광판(44)의 영상 입사면(44a)으로 입사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 입사면(44a)은 투명 도광판(44)의 아래쪽 단부에 구면 또는 비구면으로 음각되어 있다. 이러한 영상 입사면(44a)은, 도 5b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으로도 구면 또는 비구면을 갖는다. 따라서, 투사 광학계(42d)로부터 투사된 영상은 상기 영상 입사면(44a)을 통해 투명 도광판(44)의 내부로 확대되어 입사하게 된다.
이렇게 투명 도광판(44)의 내부로 입사한 영상은 확대 반사면(44b)에 의해 반사되어 투명 도광판(44)의 전반사면(44c)을 향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대 반사면(44b)은, 투명 도광판(44)의 아래쪽 단부에서 영상 입사면(44a)과 대향하는 면을 음각한 후 음각된 면에 반사코팅을 함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확대 반사면(44b)은 볼록한 반사면을 갖게 된다. 여기서, 상기 확대 반사면(44b)은 영상의 왜곡을 보상하도록 설계된 비구면으로 형성된다. 영상 입사면(44b)과 마찬가지로 도 5b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대 반사면(44b)은 수직 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으로도 비구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영상은 상기 확 대 반사면(44b)에 의해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확대 반사되어 전반사면(44c)으로 향하게 된다.
상기 확대 반사면(44b)에 의해 반사되어 투명 도광판(44)의 전반사면(44c)에 입사한 영상은 상기 전반사면(44c)에 의해 전반사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반사면(44c)과 스크린(45)은 투명 도광판(44)의 상호 대향하는 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반사면(44c)에 의해 전반사된 영상은 스크린(45)으로 입사하게 되고, 상기 스크린(45)을 통해 투명 도광판(44)의 외부로 출사된다. 그런데, 전반사면(44c)에 의해 전반사된 영상이 비스듬한 각도로 스크린(45)에 입사하기 때문에, 상기 스크린(45)은 영상을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게 확산시킬 수 있어야 한다. 스크린(45)이 단순한 평면일 경우, 영상은 비스듬한 각도로 출사되기 때문에, 영상을 적절하게 관찰할 수 있는 시야각이 매우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스크린(45)으로서, 예컨대, 광확산판, 전반사(TIR) 프리즘 어레이, 또는 홀로그램 패턴 등과 같이 광을 균일하게 확산시키는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크린(45)은 상기 투명 도광판(44)의 표면에 직접 형성되거나 또는 투명한 광접착제를 이용하여 투명 도광판(44)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부품이 정렬되어 동작하는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하나의 투명 도광판(44)을 이용하여 후면 투사가 가능하다. 따라서,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 비용이 저감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구성이 단순하고 후면 투사를 위하여 다수의 부품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고장이 발생할 염려가 적어서 휴대용으로 적합하며, 얇고 콤팩트하게 제조가 가능 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한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7에서는, 본체부의 도시가 생략되었으며, 도 6과 같이, 영상 제공부(52)와 투명 도광판(54)의 구조가 중점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체부는 휴대전화기, PDA, 노트북 PC 또는 팜탑 컴퓨터일 수 있으며, 예컨대, 힌지부재를 통해 상기 투명 도광판(54)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부(52)는 도 6에 도시된 영상 제공부(42)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영상 제공부(52)는 광원(52a), 상기 광원(52a)에서 출사된 광을 광변조부(52c)에 균일하게 조사하는 조명 광학계(52b), 상기 광원(52a)에서 출사된 광을 본체부로부터 받은 영상 신호에 따라 변조하여 영상을 형성하는 광변조부(52c) 및 상기 광변조부(52c)에서 형성된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 광학계(52d)를 구비한다. 또한, 도 7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영상 제공부(52)의 광축이 투명 도광판(54)의 표면과 평행한 경우에는, 투사 광학계(52d) 다음에 폴딩 미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투사 광학계(52d)로부터 투사된 영상은 투명 도광판(54)의 영상 입사면(54a)으로 입사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 입사면(54a)은 투명 도광판(54)의 아래쪽 단부에 구면 또는 비구면으로 음각되어 있다. 영상 입사면(54a)을 통해 투명 도광판(54)의 내부로 입사한 영상은 상기 영상 입사면(54a)과 대향하 는 제 1 반사면(54b)에 입사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반사면(54b)은, 투명 도광판(54)의 아래쪽 단부에서 영상 입사면(54a)과 대향하는 면을 음각한 후 음각된 면에 반사코팅을 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제 1 반사면(54b)은 영상의 왜곡을 보상하도록 설계된 볼록한 비구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50)에서, 상기 제 1 반사면(54b)에 입사한 영상은 투명 도광판(54)의 위쪽 단부에 형성된 제 2 반사면(54c)으로 반사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반사면(54b)과 제 2 반사면(54c)은 투명 도광판(54)의 양측 단부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2 반사면(54c)은 입사 영상을 스크린(55)과의 대향면에 형성된 미러 어레이(54d)로 반사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2 반사면(54c)은 오목한 비구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투명 도광판(54)에서, 스크린(55)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미러 어레이(54d)는 상기 제 2 반사면(54c)에서 반사된 영상을 스크린에 수직하게 반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미러 어레이(54d)는, 도 8에 확대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형 또는 프레넬 렌즈형 미러 어레이의 형태를 갖는다. 즉, 미러 어레이(54d)는 다수의 미세한 경사 미러가 나란하게 배열된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미러 어레이(54d)를 사용함으로써, 영상이 스크린에 비스듬하게 입사하는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달리, 제 2 실시예에서는 영상이 스크린(55)에 거의 수직하게 입사하게 된다. 따라서, 비교적 고가인 광확산판, 전반사 프리즘 어레이 또는 홀로그램 패턴 등을 스크린(55)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지만, 보다 저렴하고 일반적인 렌티큘러 스크린이나 마이크로렌즈 스크린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스크린(55)은,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투명 도광판(54)의 표면에 직접 형성되거나 또는 투명한 광접착제를 이용하여 투명 도광판(54)의 표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는, 다수의 부품이 정렬되어 동작하는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하나의 투명 도광판만을 이용하여 후면 투사가 가능하다. 따라서, 조립 및 제조가 비교적 용이하고 제조 비용이 저감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구성이 단순하고 후면 투사를 위하여 다수의 부품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고장이 발생할 염려가 적어서 휴대용으로 적합하며, 얇고 콤팩트한 제조가 가능하다.

Claims (20)

  1.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받은 영상 신호에 따라 영상을 형성하여 투사하는 영상 제공부; 및
    스크린이 일면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영상 제공부로부터 입사된 영상이 상기 스크린에 표시되도록 영상을 가이드하는 평평한 투명 도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도광판은:
    상기 영상 제공부에서 투사된 영상이 입사하는 영상 입사면;
    상기 입사면과 대향하며,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한 영상을 확대 반사하는 확대 반사면;
    상기 스크린과 평행하게 대향하는 것으로, 상기 확대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영상을 전반사하여 스크린으로 향하게 하는 전반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입사면과 확대 반사면은 상기 투명 도광판의 일측 단부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입사면은 구면 또는 비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반사면은 영상의 왜곡을 보상하도록 형성된 비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투명 도광판의 표면에 직접 형성되거나 부착된 것으로, 광확산판, 전반사 프리즘 어레이 및 홀로그램 패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제공부는:
    광원;
    상기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상기 본체부로부터 받은 영상 신호에 따라 변조하여 영상을 형성하는 광변조부;
    상기 광원과 광변조부 사이에 배치된 것으로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상기 광변조부에 균일하게 조사하는 조명 광학계; 및
    상기 광변조부에서 형성된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 광학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제공부는, 상기 투사 광학계로부터 투사된 영상을 상기 투명 도광판의 영상 입사면으로 반사하는 폴딩 미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도광판은 상기 본체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본체부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세워지거나 상기 본체부의 상면 위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휴대전화기, PDA, 노트북 PC 및 팜탑 컴퓨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
  11.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받은 영상 신호에 따라 영 상을 형성하여 투사하는 영상 제공부; 및 스크린이 일면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영상 제공부로부터 입사된 영상이 상기 스크린에 표시되도록 영상을 가이드하는 평평한 투명 도광판;을 포함하며,
    상기 투명 도광판은:
    상기 투명 도광판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영상 제공부에서 투사된 영상이 입사하는 영상 입사면;
    상기 입사면과 대향하며,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한 영상을 상기 투명 도광판의 타측 단부로 반사하는 제 1 반사면;
    상기 제 1 반사면에서 반사된 영상을 상기 스크린의 대향면으로 반사하는 제 2 반사면; 및
    상기 스크린의 대향면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 2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영상을 스크린에 수직하게 반사하는 미러 어레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입사면과 제 1 반사면은 상기 투명 도광판의 일측 단부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반사면은 상기 투명 도광판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입사면은 구면 또는 비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반사면은 영상의 왜곡을 보상하도록 형성된 비구면인 것으로, 상기 제 1 반사면은 볼록면이고 제 2 반사면은 오목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대향면에 형성된 미러 어레이는 톱니형 미러 어레이 및 프레넬 렌즈형 미러 어레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투명 도광판의 표면에 직접 형성되거나 부착된 것으로, 광확산판, 전반사 프리즘 어레이, 홀로그램 패턴, 렌티큘러 스크린, 마이크로렌즈 스크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
  17. 제 1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제공부는:
    광원;
    상기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상기 본체부로부터 받은 영상 신호에 따라 변조하여 영상을 형성하는 광변조부;
    상기 광원과 광변조부 사이에 배치된 것으로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상기 광변조부에 균일하게 조사하는 조명 광학계; 및
    상기 광변조부에서 형성된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 광학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제공부는, 상기 투사 광학계로부터 투사된 영상을 상기 투명 도광판의 영상 입사면으로 반사하는 폴딩 미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
  19. 제 1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도광판은 상기 본체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본체부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세워지거나 상기 본체부의 상면 위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휴대전화기, PDA, 노트북 PC 및 팜탑 컴퓨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
KR1020050112006A 2005-11-22 2005-11-22 콤팩트한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 KR100772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006A KR100772383B1 (ko) 2005-11-22 2005-11-22 콤팩트한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
EP06124520A EP1788804B1 (en) 2005-11-22 2006-11-21 Rear projection display
JP2006314543A JP5137386B2 (ja) 2005-11-22 2006-11-21 コンパクトな背面投射ディスプレイ
DE602006016055T DE602006016055D1 (de) 2005-11-22 2006-11-21 Rückprojektionssystem
US11/603,203 US7922339B2 (en) 2005-11-22 2006-11-22 Compact rear projection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006A KR100772383B1 (ko) 2005-11-22 2005-11-22 콤팩트한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039A KR20070054039A (ko) 2007-05-28
KR100772383B1 true KR100772383B1 (ko) 2007-11-01

Family

ID=37730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2006A KR100772383B1 (ko) 2005-11-22 2005-11-22 콤팩트한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22339B2 (ko)
EP (1) EP1788804B1 (ko)
JP (1) JP5137386B2 (ko)
KR (1) KR100772383B1 (ko)
DE (1) DE602006016055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765B1 (ko) * 2005-11-15 2007-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터/프로젝션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07691B1 (ko) * 2011-01-11 2017-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디스플레이장치
JP5676748B2 (ja) * 2011-03-28 2015-02-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投写光学系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JP5124051B1 (ja) * 2012-03-02 2013-01-23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US20140267077A1 (en) * 2013-03-15 2014-09-18 Amazon Technologies, Inc. User Device with a Primary Display and a Substantially Transparent Secondary Display
TW201445242A (zh) * 2013-05-20 2014-12-01 Hon Hai Prec Ind Co Ltd 可攜式電子裝置
TW201508329A (zh) * 2013-08-19 2015-03-01 Hon Hai Prec Ind Co Ltd 光源裝置
KR102464260B1 (ko) * 2015-10-02 2022-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 모바일 기기
KR102479811B1 (ko) 2016-06-13 2022-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US10108014B2 (en) 2017-01-10 2018-10-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aveguide display with multiple focal depths
WO2023115231A1 (es) * 2021-12-23 2023-06-29 Pontificia Universidad Catolica De Chile Sistema magnificador portátil e interactivo, para amplificar imágenes desde un dispositivo electrónico móvil
DE102022107677A1 (de) * 2022-03-31 2023-10-05 Carl Zeiss Jena Gmbh Transparente Anzeig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5678A (ja) * 1994-04-21 1995-11-10 Kodo Eizo Gijutsu Kenkyusho:Kk 携帯型情報機器用投射式表示装置
KR19980055086A (ko) * 1996-12-28 1998-09-25 아이린 코스트라키스 영상 투사 장치 및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US6005720A (en) 1998-12-22 1999-12-21 Virtual Vision, Inc. Reflective micro-display system
US6222677B1 (en) 1999-04-12 2001-04-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act optical system for use in virtual display applications
US20020167733A1 (en) 2001-04-27 2002-11-14 Wouter Roest Compact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5882A (en) * 1993-09-29 1995-10-03 Associated Universities, Inc. Interactive optical panel
US5381502A (en) * 1993-09-29 1995-01-10 Associated Universities, Inc. Flat or curved thin optical display panel
US5390085A (en) * 1993-11-19 1995-02-14 Motorola, Inc. Light diffuser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US6712481B2 (en) * 1995-06-27 2004-03-30 Solid State Opto Limited Light emitting panel assemblies
US5613751A (en) * 1995-06-27 1997-03-25 Lumitex, Inc. Light emitting panel assemblies
US5625736A (en) 1996-01-11 1997-04-29 Associated Universities, Inc. Black optic display
US6525750B1 (en) * 1996-03-08 2003-02-25 Duke University Projection display for computers
US5745266A (en) * 1996-10-02 1998-04-28 Raytheon Company Quarter-wave film for brightness enhancement of holographic thin taillamp
FI103220B1 (fi) 1997-06-24 1999-05-14 Nokia Mobile Phones Ltd Näyttölaite
US6184943B1 (en) * 1998-01-23 2001-02-06 Compaq Computer Corporation Portable computer system incorporating a rear projection display
JPH11331863A (ja) * 1998-05-14 1999-11-30 Hideo Maeda プロジェクターテレビ
US6222971B1 (en) * 1998-07-17 2001-04-24 David Slobodin Small inlet optical panel and a method of making a small inlet optical panel
US6002826A (en) 1998-08-28 1999-12-14 Brookhaven Science Associates Thin display optical projector
JP2000194067A (ja) * 1998-12-24 2000-07-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投射型表示装置、制御方法、表示パネル、映像表示装置、ビュ―ファインダ、投射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ビデオカメラ
JP2000137428A (ja) * 1998-10-30 2000-05-16 Sony Corp 画像再生装置
AU1242300A (en) * 1998-11-06 2000-05-29 Kopin Corporation Microdisplay viewer
US6832727B2 (en) * 1999-04-30 2004-12-21 Brookhaven Science Associates Integrated display scanner
US6561649B1 (en) * 1999-07-09 2003-05-13 Sarnoff Corporation Compact rear projection system using birefringent optics
US6406150B1 (en) * 1999-07-09 2002-06-18 Sarnoff Corporation Compact rear projections system
DE60038028T2 (de) * 1999-07-14 2009-02-05 Nec Display Solutions, Ltd. Bildformendes optisches system
WO2001056275A2 (en) * 2000-01-27 2001-08-02 Sarnoff Corporation Retractable rear projection display
JP2001264634A (ja) * 2000-03-17 2001-09-26 Minolta Co Ltd 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光学系
JP3727543B2 (ja) * 2000-05-10 2005-12-14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2001330796A (ja) * 2000-05-23 2001-11-30 Olympus Optical Co Ltd 携帯型画像表示装置
GB0024112D0 (en) * 2000-10-03 2000-11-15 Cambridge 3D Display Ltd Flat panel display
GB0028800D0 (en) * 2000-11-25 2001-01-10 Cambridge 3D Display Ltd Achromatic flat panel display
GB0101682D0 (en) * 2001-01-23 2001-03-07 Cambridge 3D Display Ltd Flat panel correction optics
US6457834B1 (en) * 2001-01-24 2002-10-01 Scram Technologies, Inc. Optical system for display panel
JP2002350774A (ja) * 2001-05-29 2002-12-04 Minolta Co Ltd 投影光学系とその光学調整方法
US6755534B2 (en) * 2001-08-24 2004-06-29 Brookhaven Science Associates Prismatic optical display
IL160902A0 (en) 2001-09-25 2004-08-31 Cambridge Flat Projection Flat-panel projection display
US6637896B2 (en) * 2001-10-31 2003-10-28 Motorola, Inc. Compact projection system and associated device
JP2003149744A (ja) * 2001-11-09 2003-05-21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表示システム
KR100436666B1 (ko) * 2001-12-14 2004-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홀로그램 스크린을 이용한 표시 장치가 적용된 휴대용단말기
ITTO20020625A1 (it) * 2002-07-17 2004-01-19 Fiat Ricerche Guida di luce per dispositivi di visualizzazione di tipo "head-mounted" o "head-up"
JP2004077825A (ja) * 2002-08-19 2004-03-11 Fuji Photo Optical Co Ltd 投写光学系およびこれを用いた投写型画像表示装置
CN100449401C (zh) * 2002-11-26 2009-01-07 三菱电机株式会社 透射式屏幕及投射式显示装置
JP4223936B2 (ja) * 2003-02-06 2009-02-12 株式会社リコー 投射光学系、拡大投射光学系、拡大投射装置及び画像投射装置
KR101006653B1 (ko) 2003-05-29 2011-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기기
US6899433B2 (en) * 2003-06-19 2005-05-31 Brookhaven Science Associates Split image optical display
GB0325849D0 (en) * 2003-11-05 2003-12-10 Microsharp Corp Ltd Rear projection screen,and rear projection system using the screen
JP2005189583A (ja) * 2003-12-26 2005-07-14 Toray Ind Inc 光拡散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
JP5042818B2 (ja) * 2004-03-30 2012-10-03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投射モジュール及び投射モジュールを用いる投射機
JP2005301074A (ja) * 2004-04-14 2005-10-27 Konica Minolta Opto Inc 投影光学系
JP4043454B2 (ja) * 2004-04-26 2008-02-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フレネルレンズシート、透過型スクリーン及び背面投射型表示装置
JP4713583B2 (ja) * 2004-07-06 2011-06-29 ルーミン・オズ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
JP2006154041A (ja) * 2004-11-26 2006-06-15 Konica Minolta Opto Inc プロジェクション光学系
WO2006061927A1 (ja) * 2004-12-06 2006-06-15 Nikon Corporation 画像表示光学系、画像表示装置、照明光学系、及び液晶表示装置
US7477814B2 (en) * 2005-02-07 2009-01-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of making a louver device for a light guide screen
US7256951B2 (en) * 2005-03-17 2007-08-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ight guide display with protective layer
US7397984B2 (en) * 2005-11-01 2008-07-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ight guide screen louver device
JP5191771B2 (ja) * 2007-04-04 2013-05-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と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5678A (ja) * 1994-04-21 1995-11-10 Kodo Eizo Gijutsu Kenkyusho:Kk 携帯型情報機器用投射式表示装置
KR19980055086A (ko) * 1996-12-28 1998-09-25 아이린 코스트라키스 영상 투사 장치 및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US6005720A (en) 1998-12-22 1999-12-21 Virtual Vision, Inc. Reflective micro-display system
US6222677B1 (en) 1999-04-12 2001-04-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act optical system for use in virtual display applications
US20020167733A1 (en) 2001-04-27 2002-11-14 Wouter Roest Compact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88804A1 (en) 2007-05-23
EP1788804B1 (en) 2010-08-11
DE602006016055D1 (de) 2010-09-23
KR20070054039A (ko) 2007-05-28
US7922339B2 (en) 2011-04-12
JP2007143166A (ja) 2007-06-07
JP5137386B2 (ja) 2013-02-06
US20070153242A1 (en) 2007-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2383B1 (ko) 콤팩트한 후면 투사 디스플레이
US10473947B2 (en) Directional flat illuminators
EP2467749B1 (en) Efficient collimation of light with optical wedge
TWI409799B (zh) 顯示裝置、製造顯示裝置之方法、形成影像之方法及照明裝置之方法
JP4696066B2 (ja) 角度の選択的な拡散体を備えた表示デバイス
US7360937B2 (en) White light generating unit,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160216435A1 (en) Curved display device
KR101185670B1 (ko) 전자장치의 이중 위치 디스플레이
EP1205791A1 (en) Rear surface projection type display device
US8558937B2 (en) Dual display device for camera apparatus having projector therein
CN101082763A (zh) 便携式电子设备
EP1914584B1 (en) Illumination device and projection display including the illumination device
US20120229771A1 (en) Projector and image display system
US20080266531A1 (en) Display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reflective mirror module
US20120127436A1 (en) Illumination module and projection apparatus
WO2007138501A2 (en) Miniature projection engine
KR20160022855A (ko) 착용형 디스플레이장치
US11287731B2 (en) Optical module and projector
CN113167989B (zh) 图像显示装置和投影光学系统
JP4789796B2 (ja) 携帯電話機
US7611250B2 (en) Projector
KR20080024914A (ko) 다이크로익 미러 홀딩 구조 및 이를 구비한 마이크로프로젝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