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2051B1 - 저온고용 냉방장치의 증발기용 집수조 - Google Patents

저온고용 냉방장치의 증발기용 집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2051B1
KR100772051B1 KR1020060038531A KR20060038531A KR100772051B1 KR 100772051 B1 KR100772051 B1 KR 100772051B1 KR 1020060038531 A KR1020060038531 A KR 1020060038531A KR 20060038531 A KR20060038531 A KR 20060038531A KR 100772051 B1 KR100772051 B1 KR 100772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collecting tank
sleeve
cold ai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8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균
Original Assignee
박광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균 filed Critical 박광균
Priority to KR1020060038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20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2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2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1Removal by evaporation
    • F25D2321/1413Removal by evaporation using heat from electric elements or using an electric field for enhancing remov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3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means to fix, clamp, or connect water pipes or evaporation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drip water collection p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6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pipes or pip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1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using ai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24)에 지지되는 냉매관(23)의 냉기를 냉각핀(23a)을 통해 발산하는 증발기(20)의 제상수를 집수하는 냉방장치의 증발기용 집수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증발기(20)에서 적하되는 제상수를 개방된 상부를 통해 집수하고, 집수된 제상수를 배수하는 드레인공(110b)을 가지며, 집수된 제상수의 누수를 방지하면서 증발기(20)에서 발산되는 냉기의 소통을 허용하는 통기구(112b)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냉기소통부재(112, 112')가 경사(θ)를 갖는 바닥면에 마련된 집수탱크(110); 상기 집수탱크(110)에 밀착되는 발열선(122)을 가지며, 이 발열선(122)을 통해 집수탱크(110)를 가열하여 집수된 제상수의 결빙을 방지하는 히터(120) 및; 상기 집수탱크(110)를 상기 증발기(20)의 하부에 연결하는 연결부재(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집수탱크(110)의 바닥면에 마련된 냉기소통부재(112, 112')가, 집수탱크(110)에 집수된 제상수의 누수를 방지하면서 집수탱크(110)에 포집된 증발기의 냉기를 배기시키므로, 증발기(20)의 하부에서 발산되는 냉기를 저온고의 내부에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제공한다.
저온고, 증발기, 집수조, 냉기, 배기

Description

저온고용 냉방장치의 증발기용 집수조 { CISTERN FOR EVAPORATOR OF COOLING DEVICE FOR LOW TEMPERATURE STOREROOM }
도 1은 일반적인 저온고용 냉방장치의 증발기용 집수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저온고용 냉방장치의 증발기용 집수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저온고용 냉방장치의 증발기용 집수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저온고용 냉방장치의 증발기용 집수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집수조의 측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냉기소통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증발기 100 : 집수조
110 : 집수탱크 110a : 관통공
112 : 냉기소통부재 112a : 배기관
112b : 통기구 112c : 루프플레이트
114 : 수용부 120 : 히터
122 : 발열선 140 : 연결부재
142 : 볼트 144 : 너트
146 : 슬리브 146a : 플랜지
146b : 라이너
본 발명은 농작물이나 축산물, 또는 어패류나 식품 등의 신선식품이 저장된 저온고를 냉방시키는 냉방장치의 증발기용 집수조에 관한 것으로서, 증발기에서 발산되는 냉기를 외부의 저온고에 제공하는 저온고용 냉방장치의 증발기용 집수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고나 대형 냉장고의 고내와 같은 저온고를 냉각시키는 저온고용 냉방장치는, 저온고의 내부에 설치된 증발기를 통해 저온고를 냉각시킨다. 즉, 저온고용 냉방장치는 증발기가 외부의 실외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교축시켜서 저온고에 냉기를 발산함에 따라 저온고를 냉각시킨다. 이러한, 냉방장치의 증발기 하부에는 증발기에서 적하되는 제상수를 집수하여 외부로 배수하는 집수조가 장착된다. 따라서, 제상수는 저온고의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첨부된 도 1은 일반적인 저온고용 냉방장치의 증발기용 집수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서, 일반적인 증발기용 집수조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커버(E) 를 갖는 프레임(24)에 지지된 냉매관(23)의 냉기를 냉각핀(23a)을 통해 발산하는 증발기(20)의 하부에 집수조(16)가 볼팅으로 고정되는 것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러한, 집수조(16)는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관(23)에 인접설치되어 컨트롤러(25)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선(25a)에 의해 발생되는 증발기(20)의 제상수를 집수한 후 드레인관(16a)을 통해 배수한다. 이때, 집수조(16)의 바닥에 장착되어 히터컨트롤러(16b)에 의해 작동되는 발열선(16a)은, 집수조(16)를 가열하여 제상수의 결빙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집수조(16)는 내부에 포집되는 증발기(20)의 냉기를 외측의 저온고에 직접적으로 공급하지 못한다. 왜냐하면, 냉기가 배기되는 배기구가 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증발기(20)의 냉기는 오로지 증발기(20)에 일체적으로 장착된 도시된 바와 같은 송풍팬(18)에 의해 강제송풍 방식으로 저온고에 공급된다. 따라서, 저온고에 저장된 신선식품은 냉기가 강제송풍되면서 저온고를 순환하므로, 단기간에 신선도가 저하된다. 즉, 저온고의 신선식품은 강제송풍되는 냉기에 의해 급격히 건조되면서 상품성이 상실된다.
한편, 첨부된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저온고용 냉방장치의 증발기용 집수조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실용신안등록(등록 제 351711 호)된 후, 기술평가에 의해 등록유지결정된 자연대류식 저온고용 냉방장치의 집수조(50)를 증발기(20)와 함께 도시한 측면도이다. 즉, 도 2는 종래기술(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에 의한 집수조(50)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물론, 종래기술1에 의한 집수조(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20)의 하부에 볼팅(B)고정된다.
여기서, 도시된 증발기(20)는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증발기(20)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다만 전술한 도 1의 송풍기(18)가 장착되지 않은 것이 차이점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증발기(20)는 발산되는 냉기가 강제송풍에 의해 저온고를 순환하지 않고, 저온고 내부의 온도차에 의해 자연대류식으로 저온고를 순환한다.
이러한, 증발기(20)에 고정되는 종래기술 1에 의한 집수조(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θ)를 가지면서 일측방이 개방되어 이격상태로 대향하는 복수개의 경사탱크(52)가 하부에 설치된 트랩(54)과 함께 증발기(20)의 제상수를 1차적으로 집수한 후, 트랩(54)이 경사탱크(52)의 경사(θ)에 의해 흘러내리는 제상수를 2차적으로 집수한 다음, 드레인관(54a)을 통해 집수된 제상수를 배수한다. 물론, 경사탱크(52)를 통하지 않고 트랩(54)에 직접적으로 집수되는 제상수는 드레인관(54a)을 통해 곧바로 배수된다. 이때,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탱크(52) 및 트랩(54)의 바닥면에 장착되어, 히터컨트롤러(55)에 의해 작동되는 발열선(55a)은, 경사탱크(52) 및 트랩(54)에 집수되는 제상수의 결빙을 방지한다.
이렇게, 제상수를 집수 및 배수하는 집수조(50)는, 내부에 포집되는 증발기(20)의 냉기를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탱크(52)들 사이에 형성된 냉기소통구(VH) 및 측벽에 관통형성된 냉기공(H)을 통해 자연대류식으로 배기한다. 따라서, 저온고에 저장된 신선식품은 냉기가 증발기(20) 및 집수조(50)에서 자연대류되므로 신선도가 장기간 유지된다. 즉, 저온고의 신선식품은 냉기가 강제순환되지 않으므로 신선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한다.
또 한편, 첨부된 도 3은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저온고용 냉방장치의 증발기용 집수조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특허등록(등록 제 502970 호)된 자연대류식 저온고용 냉방장치의 집수조(60)를 증발기(20)와 함께 도시한 측면도이다. 즉, 도 3은 다른 종래기술(이하 "종래기술2"라 함)에 의한 집수조(60)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여기서, 도시된 증발기(20)는 전술한 도 2에 도시된 증발기(20)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냉기를 자연대류방식으로 공급한다. 그리고, 전술한 종래기술2에 의한 집수조(60)는 도시된 바와 같은 체결부재(65)에 의해 증발기(20)의 하부에 연결된다. 이때, 체결부재(65)는 집수조(60)의 측방을 관통하여 증발기(20)의 프레임(24)에 체결된다. 따라서, 집수조(60)는 증발기(20)와 일체를 이룬다.
이러한, 종래기술2에 의한 집수조(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θ)를 가지면서 개방된 일단부가 서로 교차되는 상태로 연결된 일측 및 타측집수조(62, 64)를 통해 증발기(20)의 제상수를 집수한 후, 드레인관(64b)을 통해 집수된 제상수를 배수한다. 그리고,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및 타측집수조(62, 64)가 교차되는 단부(62a, 64a)에 형성된 냉기소통구(VH)를 통해 내부에 포집된 증발기(20)의 냉기를 자연대류식으로 배기한다. 물론, 종래기술2에 의한 집수조(50)는 바닥면에 장착되어 발열하는 미도시된 발열선에 의해 제상수의 결빙이 방지된다. 따라서, 저온고에 저장된 신선식품은 냉기가 증발기(20) 및 집수조(60)에서 자연대류되므로 신선도가 장기간 유지된다.
이상의 설명과 같은 종래기술1 및 2에 의한 집수조(50, 60)는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일반적인 집수조(16)와 달리, 냉기소통구(VH)를 통해 증발기(20)의 냉기를 자연대류식으로 배기하므로, 저온고의 신선식품을 장기간 동안 보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냉기소통구(VH) 및 냉기공(H)이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측이 아닌 측방측에 마련되어, 내부에 포집된 증발기(20)의 냉기를 최대한 배기시키지 못한다. 즉, 내부에 포집된 냉기의 양에 비해 배기되는 냉기의 양이 미흡하다.
이렇게, 냉기를 최대한 배기시키지 못하는 이유는, 냉기소통구(VH) 및 냉기공(H)이 집수조(50, 60)의 바닥면에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만약, 냉기소통구(VH) 및 냉기공(H)이 집수조(50, 60)의 바닥면에 형성되었다면, 증발기(20)의 하부에서 발산되는 냉기, 즉 집수조(50, 60)에 포집되는 냉기는 곧바로 배기될 수 있다. 하지만, 냉기소통구(VH) 및 냉기공(H)을 집수조(50, 60)의 바닥면에 형성할 경우, 제상수가 냉기소통구(VH) 및 냉기공(H)을 통해 누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증발기(20)의 냉기를 집수조(50, 60)의 바닥을 통해 배기시킬 수 없으므로, 종래기술1 및 2에 의한 집수조(50, 60)는 냉기를 최대한 배기시키지 못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집수된 제상수의 누수를 방지하면서 증발기에서 발산되는 냉기의 소통을 허용하는 구조를 갖는 저온고용 냉방장치의 증발기용 집수조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한, 단순한 공정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바닥면을 제공할 수 있는 저온고용 냉방장치의 증발기용 집수조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저온고용 냉방장치의 증발기용 집수조는, 프레임에 지지되는 냉매관의 냉기를 냉각핀을 통해 발산하는 증발기의 제상수를 집수하는 냉방장치의 증발기용 집수조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에서 적하되는 제상수를 개방된 상부를 통해 집수하고, 집수된 제상수를 배수하는 드레인공을 가지며, 집수된 제상수의 누수를 방지하면서 증발기에서 발산되는 냉기의 소통을 허용하는 통기구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냉기소통부재가 경사를 갖는 바닥면에 마련된 집수탱크; 상기 집수탱크를 가열하는 발열선을 가지며, 이 발열선을 통해 집수탱크에 집수된 제상수의 결빙을 방지하는 히터 및; 상기 집수탱크를 상기 증발기의 하부에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저온고용 냉방장치의 증발기용 집수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저온고용 냉방장치의 증발기용 집수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집수조의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증발기용 집수조(100)는, 마감커버(E)를 갖는 프레임(24)에 지지된 냉매관(23)의 냉기를 냉각핀(23a)을 통해 발산하는 증발기(20)의 하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집수조(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20)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의 집수탱크(110)와; 이 집수탱크(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집수탱크(110)를 히팅하는 히터(120) 및; 이 집수탱크(110)를 증발기(20)에 결합시키는 연결부재(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술한 구 성요소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집수탱크(110)는 플라스틱재 성형물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 보다는 후술되는 냉기소통부재(112)가 용이하게 성형되도록 금속판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집수탱크(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상부측이 증발기(20)에 직결되므로, 상부를 통해 제상수를 집수한다. 그리고, 집수탱크(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마련된 파이프형태의 드레인공(110b)을 통해 집수된 제상수를 배수한다. 또한, 집수탱크(110)는 바닥면에 일체로 형성된 복수개의 냉기소통부재(112)를 통해 증발기(20)의 냉기를 소통시킨다. 이때, 냉기소통부재(112)는 특별히 설계된 구조를 통해 제상수의 누수를 방지하면서 냉기를 배기시킨다.
여기서, 이러한 냉기소통부재(112)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냉기소통부재(112)는 예컨대, 도면의 좌측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탱크(110)의 바닥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면서 일체로 마련되는 배기관(112a) 및; 이 배기관(112a)의 상부에 지붕을 제공하는 루프플레이트(112c);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배기관(112a)은 집수탱크(110)의 바닥면과 직교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집수탱크(110)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통기구(112b)를 갖는다. 또한, 루프플레이트(112c)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관(112a)의 상단부에 일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C)를 갖는다. 그리고, 루프플레이트(112a)는 연결부(C)의 반대편에 위치한 일측이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관(112a)의 상단과 이격됨에 따라 배기관(112a)의 상부에 지붕을 제공한다. 따라서, 배기관(112a)은 집수탱크(110)에 집수되는 제상수가 통기구(112b)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루프플레이트(112a)는 집수 탱크(110)에 포집된 냉기를 배기관(112a)의 상단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통기구(112b)로 전달한다.
이러한, 냉기소통부재(112)는 금속재의 집수탱크(110) 바닥을 드로잉가공하면서 절개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집수탱크(110)의 평평한 바닥면을 프레스의 죽창형(竹槍形) 펀치로 상향 펀칭하여 캡형태의 상부가 막힌 통기구(112b)를 갖는 배기관(112a)을 성형하는 동시에, 통기구(112b)가 관통되도록 성형된 배기관(112a)의 상단 일부분을 원주방향으로 절개하여 연결부(C)를 갖는 루프플레이트(112a)를 형성한다. 이때, 루프플레이트(112a)는 통기구(112b)의 상단을 개방시키면서 적하되는 제상수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C)를 중심으로 배기관(112a)의 축방향에 대해 경사형성한다. 즉, 루프플레이트(112c)는 경사를 갖는다. 물론, 루프플레이트(112a)는 경사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배기관(112a)의 상단과 이격되면서 배기관(112a)의 상단에 틈새를 제공한다. 따라서, 냉기소통부재(112)는 이 틈새를 통해 집수탱크(110)에 포집된 냉기를 배기하고, 집수탱크(110)에 집수되는 제상수가 루프플레이트(112a) 및 배기관(112a)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루프플레이트(112a) 및 배기관(112a)은 제상수가 통기구(112b)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 전술한 히터(120)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탱크(110)에 밀착설치되어 발열하는 발열선(122) 및; 이 발열선(122)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12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발열선(122)은 전원부(124)의 전원에 의해 발열한다. 이와 달리, 전술한 히터(120)는 예컨대, 전술한 발열선(122) 을 미도시된 실외기의 압축기로부터 고온의 냉매를 공급받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발열선(122)은 압축기에서 압축상태로 공급되는 고온의 냉매에 의해 발열하므로 전술한 전원부(124)를 생략할 수 있다.
이러한, 히터(120)는 발열선(122)이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탱크(110)의 바닥면 하부에 밀착상태로 부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발열선(122)은 집수탱크(110)의 하부에 용접으로 고정된 링형태의 클램프(미도시)에 의해 파지된다. 따라서, 발열선(122)은 집수탱크(110)의 바닥면 하부에 고정되어, 설정된 시간이나 온도에 따라 집수탱크(110)를 가열하면서, 집수탱크(110)에 집수된 제상수의 결빙을 방지하거나 결빙된 제상수를 해동시킨다.
그 다음, 전술한 연결부재(140)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재의 절연성 슬리브(146)와; 이 슬리브(146)를 집수탱크(110)에 고정시키는 슬리브고정수단 및; 이 슬리브(146)를 관통해서 전술한 증발기(20)에 체결되는 체결구(142, 14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슬리브(14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플랜지(146a)를 갖는 원통관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체결구(142, 14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146) 및 증발기(20)의 일측면을 관통하는 볼트(142) 및 이 볼트(142)에 체결되는 너트(144)로 구성된다.
여기서, 전술한 슬리브고정수단은 예컨대, 도면상 우측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탱크(110)에 '8'자 모양으로 연통된 하광상협의 관통공(110a)을 형성하되, 하부의 지름은 슬리브(146)의 플랜지(146a) 지름 보다 크게 형성하고, 상부의 지름은 슬리브(146)의 외경에 대응형성하여, 슬리브(146)가 관통공(110a)의 하부로 유입되어 상부에 구속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관통공(110a)의 상부에 형성된 구멍은 슬리브(146)의 외경과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슬리브(146)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슬리브(146)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110a)의 하부로 플랜지(146a)가 관통된 후, 외주면이 관통공(110a)의 상부에 억지끼움으로 끼워져서 압입고정된다. 즉, 관통공(110a)은 상부를 통해 슬리브(146)를 파지한다. 물론, 슬리브(146)의 플랜지(146a)는 관통공(110a)의 하부를 관통할 경우, 관통공(110a)의 하부가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관통공(110a)의 내주면과 마찰되지 않는다.
한편, 전술한 집수탱크(110)는 내부에 포집된 냉기를 전술한 냉기소통부재(112)와 함께 외부로 배기하는 도시된 바와 같은 냉기방출공(H)이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히터(120)의 발열선(122)을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하는 홈형태의 수용부(114)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에 부착되어 온도차에 의해 외측면에 결로가 결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재(1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전술한 수용부(114)는 도면상 좌측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탱크(110)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발열선(122)을 집수탱크(110)의 내측으로 은폐시킨다. 그리고, 단열재(130)는 전술한 냉기방출공(H)에 대응하는 냉기방출공(H) 및, 앞서 설명한 관통공(110a)에 대응하는 관통공(130a)을 갖는다.
여기서, 전술한 발열선(122)은 도면의 좌측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한 수용부(114)에 삽입되므로, 집수탱크(110)와 접촉되는 면적이 확대된다.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만약 집수탱크(110)의 하부에 수용부(114)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 집수탱크(110)의 하부면은 평평한 형태를 형성한다. 따라서, 발열선(122)은 집수탱크(110)의 하부로 삽입되지 못하고, 집수탱크(110)의 하부면과 선접촉된 상태로 발열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집수조는 발열선(122)이 수용부(114)에 삽입되면서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3면이 집수탱크(110)의 하부면과 면접촉한다. 따라서, 발열선(122)은 접촉면적이 확대됨에 따라 보다 많은 열을 집수탱크(110)에 전이한다. 물론, 집수탱크(110)는 발열선(122)에서 보다 많은 열이 전이됨에 따라 보다 신속하게 가열된다.
다른 한편, 도면상 미설명 부호 25a는 과냉각된 증발기(20)를 가열하는 발열 선이고, 25는 이 발열선(25a)의 발열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이다. 물론, 이러한 발열선(25a)은 미도시된 압축기로부터 고온의 냉매를 공급받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증발기(20)는 도시된 바와 달리 냉기를 강제송풍하는 송풍팬을 구비할 수 있다. 이렇게, 고온냉매를 관류시키는 발열선(25a) 및 송풍팬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집수조(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40)에 의해 증발기(20)의 하부에 직결된다. 이러한, 연결부재(140)는 도면상 좌측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탱크(110)의 관통공(110a, 130a)에 관통고정된 슬리브(146) 및 증발기(20)의 프레임(24)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볼트(142)가 너트(144)에 체결됨에 따라 집수조(100)를 증발기(20)의 하부에 직결시킨다. 이때, 볼트(142)는 슬리브(146)의 내주면에 인서트된 원통형의 라이너(146b)를 관통한다. 즉, 슬리브(146)는 내주면에 강성을 보강하는 라이너(146b)가 인서트된다.
한편, 집수조(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감온센서(126)가 집수탱크(110)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감온센서(126)는 집수탱크(110)의 온도를 감지하여 전술한 히터(120)의 전원부(124)로 인가한다. 이에 따라, 전원부(124)는 인가되는 감지온도가 결빙온도인 0℃에 해당하면 전술한 발열선(122)을 발열시키고, 감지온도가 발열억제온도인 영상 1℃ 내지 5℃에 해당하면 발열선(122)의 발열을 중단시킨다. 물론, 전원부(124)는 발열선(122)에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발열선(122)의 작동을 제어한다. 따라서, 히터(120)는 집수조(100)에 집수된 제상수의 결빙을 방지한다. 결론적으로, 전술한 히터(120)는 전술한 바와 같은 감온센서(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결빙온도는 전술한 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필요에 따라 영상 1℃ 내지 5℃의 범위에서 설정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발열억제온도는 전술한 바와 달리 영상 1℃ 내지 영상 40℃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빙 및 발열억제온도는 증발기의 용량이나 저온고의 냉각온도에 따라 결정된다.
또 한편, 집수탱크(110)의 바닥면에 마련된 전술한 냉기소통부재(112)는, 도면상 우측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관(112a) 및 경사진 루프플레이트(112c)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냉기를 유입한 후, 통기구(112b)를 통해 집수탱크(110)의 외부로 배기시킨다. 이때, 배기관(112a)은 집수탱크(110)의 바닥면에 집수된 제상수가 통기구(112b)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루프플레이트(112c)는 증발기(20)에서 수직으로 적하되는 제상수가 통기구(112b)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여기서, 경사진 루프플레이트(112c)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관(112a)의 상단과 이격되어 냉기를 유입하는 일측 끝단이, 집수탱크(110)의 경사(θ)에 의해 배기관(112a)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상의 수직선(Y)과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이에 따라, 루프플레이트(112c)는 상부에 적하되는 제상수가 배기관(112a)의 통기구(112b)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루프플레이트(112c)의 상부에 적하되는 제상수는 집수탱크(110)의 바닥에 집수된다. 이러한, 루프플레이트(112c)의 경사각도, 즉 배기관(112a)에 대한 루프를레이트(112c)의 경사각도는 집수탱크(110) 의 경사(θ)에 의해 결정된다.
다른 한편,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냉기소통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기소통부재(1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탱크(110)의 바닥면에 일체로 연결된 통기구(112b)를 갖는 배기관(112a)의 상단 일측에 연결부(C)가 상부를 향해 마련되고, 이 연결부(C)의 상단에 루프플레이트(112c)가 실질적으로 수평을 형성하면서 연결된다. 이에 따라, 루프플레이트(112c)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C)의 반대편측 일단부가 배기관(112a)의 상단과 이격된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기소통부재(1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의 상단부 일부분이 개방된 캡형태를 갖는다. 즉,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기소통부재(112')는 연결부(C)가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관(122a)의 상단부에 수직으로 마련된 것이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이다.
이러한, 냉기소통부재(112')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관(112a)의 상단과 이격된 루프플레이트(112c)의 일단부측 끝단이 배기관(112a)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가상의 수직선(Y) 외측에 위치하거나, 확대 도시된 바와 달리 이 수직선(Y)과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이에 따라, 루프플레이트(112c)는 상부에 적하되는 제상수가 배기관(112a)의 통기구(112b)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루프플레이트(112c)의 상부에 적하되는 제상수는 집수탱크(110)의 바닥에 집수된다.
이와 같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기소통부재(112')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플레이트(112c)의 일단부를 통해 집수탱크(110)에 포집된 냉기를 유입한 후, 배기관(112a)의 통기구(112b)를 통해 냉기를 배기한다. 그리고, 루프플레이트(112c) 및 배기관(112a)을 통해 제상수가 통기구(112b)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저온고용 냉방장치의 증발기용 집수조는, 집수탱크의 바닥면에 마련된 냉기소통부재가, 집수탱크에 집수된 제상수의 누수를 방지하면서 집수탱크에 포집된 증발기의 냉기를 배기시키므로, 증발기의 하부에서 발산되는 냉기를 저온고의 내부에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배기관 및 루프플레이트로 구성된 냉기소통부재를 동시에 실시되는 드로잉가공 및 절개가공을 통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연결부재가 탄성재 절연성 슬리브로 구성되어, 증발기의 냉기가 집수조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집수조가 증발기의 냉기에 의해 과냉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하광상협의 관통공으로 이루어진 슬리브고정수단이 슬리브를 집수조에 용이하게 고정시키므로, 집수조를 증발기에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특히, 발열선이 집수탱크의 하부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부에 삽입되어 집수탱크의 하부면과 면접촉 상태로 발열하므로, 집수탱크를 단시간에 전체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1. 프레임(24)에 지지되는 냉매관(23)의 냉기를 냉각핀(23a)을 통해 발산하는 증발기(20)의 제상수를 집수하는 냉방장치의 증발기용 집수조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20)에서 적하되는 제상수를 개방된 상부를 통해 집수하고, 집수된 제상수를 배수하는 드레인공(110b)을 가지며, 집수된 제상수의 누수를 방지하면서 증발기(20)에서 발산되는 냉기의 소통을 허용하는 통기구(112b)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냉기소통부재(112, 112')가 경사(θ)를 갖는 바닥면에 마련된 집수탱크(110);
    상기 집수탱크(110)를 가열하는 발열선(122)을 가지며, 이 발열선(122)을 통해 집수탱크(110)에 집수된 제상수의 결빙을 방지하는 히터(120); 및
    상기 집수탱크(110)를 상기 증발기(20)의 하부에 연결하는 연결부재(140);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탱크(110)는,
    상기 히터(120)의 발열선(122)을 수용하는 홈형태의 수용부(1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고용 냉방장치의 증발기용 집수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탱크(110)의 냉기소통부재(112, 112')는,
    상기 집수탱크(110)의 바닥면 상부에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면서 일체로 마련되고, 내측에 상기 집수탱크(110)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상기 통기구(112b)가 형성된 배기관(112a); 및
    상기 배기관(112a)의 상단부에 일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C)를 가지며, 배기관(112a)의 상단과 일측이 이격되면서 배기관(112a)의 상부에 지붕을 제공하는 루 프플레이트(112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고용 냉방장치의 증발기용 집수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플레이트(112c)는,
    상기 배기관(112a)의 축방향에 대해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고용 냉방장치의 증발기용 집수조.
  4. 삭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40)는,
    상기 집수탱크(110)의 일측면을 관통하고, 이 집수탱크(110)의 내·외측에 걸리는 한쌍의 플랜지(146a)가 양단부에 제각기 형성되며, 강성을 보강하는 라이너(146b)가 인서트된 탄성재 절연성 슬리브(146);
    상기 집수탱크(110)에 상기 슬리브(146)의 플랜지(146a)를 관통시키되, 마찰이 방지되는 상태로 관통시키고, 관통이 완료된 이 플랜지(146a)들 사이의 슬리브(146) 외주면을 파지하여, 상기 집수탱크(110)의 일측면에 슬리브(146)를 고정시키는 슬리브고정수단; 및
    상기 슬리브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집수탱크(110)의 일측면에 고정된 상기 슬 리브(146)의 라이너(146b)를 관통해서 상기 증발기(20)의 프레임(24)에 체결되는 체결구(142, 144);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고정수단은, 상기 집수탱크(110)에 하광상협의 관통공(110a)을 형성하되, 하부의 지름은 상기 슬리브(146)의 플랜지(146a) 지름 보다 크게 형성하고, 상부의 지름은 슬리브(146)의 외경에 대응형성하여, 양단부에 플랜지(146a)를 갖는 슬리브(146)가 상기 관통공(110a)의 하부로 유입되어 상부에 구속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고용 냉방장치의 증발기용 집수조.
KR1020060038531A 2006-04-28 2006-04-28 저온고용 냉방장치의 증발기용 집수조 KR100772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531A KR100772051B1 (ko) 2006-04-28 2006-04-28 저온고용 냉방장치의 증발기용 집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531A KR100772051B1 (ko) 2006-04-28 2006-04-28 저온고용 냉방장치의 증발기용 집수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2051B1 true KR100772051B1 (ko) 2007-10-31

Family

ID=38816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531A KR100772051B1 (ko) 2006-04-28 2006-04-28 저온고용 냉방장치의 증발기용 집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20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05581A (zh) * 2018-01-23 2018-06-01 北京东方通捷燃气有限责任公司 一种水回收液化天然气储罐
CN114576917A (zh) * 2022-02-28 2022-06-03 广州万宝集团冰箱有限公司 一种自动售卖机蒸发器接水盘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6972U (ko) 1979-11-20 1981-06-23
KR200351711Y1 (ko) 2004-03-17 2004-05-28 주식회사 한국산업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냉방장치
KR100535218B1 (ko) 2005-08-16 2005-12-08 박광균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냉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6972U (ko) 1979-11-20 1981-06-23
KR200351711Y1 (ko) 2004-03-17 2004-05-28 주식회사 한국산업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냉방장치
KR100535218B1 (ko) 2005-08-16 2005-12-08 박광균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냉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05581A (zh) * 2018-01-23 2018-06-01 北京东方通捷燃气有限责任公司 一种水回收液化天然气储罐
CN114576917A (zh) * 2022-02-28 2022-06-03 广州万宝集团冰箱有限公司 一种自动售卖机蒸发器接水盘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33432A1 (en) Laundry treat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50247662A1 (en) Single Evaporator Refrigeration System For Multi-Compartment Refrigerator Appliance With Isolated Air Flows
US20070214823A1 (en) Heat exchanging device for refrigerator
JP7369434B2 (ja) 冷蔵庫
KR100772051B1 (ko) 저온고용 냉방장치의 증발기용 집수조
JP3989143B2 (ja) 冷蔵庫
JP2006189209A (ja) 冷却庫
JP4065420B2 (ja) 直冷式冷蔵庫
JP2008002760A (ja) 冷蔵庫
JP2001099561A (ja) 冷蔵庫
JP5367553B2 (ja) 冷却貯蔵庫
JP2008002719A (ja) 冷蔵庫
JP2001099558A (ja) 冷蔵庫
JP2005241244A (ja) 冷蔵庫
JP2001116428A (ja) 冷蔵庫
JP2007017057A (ja) 冷却庫
JP3611021B2 (ja) 冷蔵庫
JP4587398B2 (ja) 冷蔵庫
US20220146155A1 (en) Refrigerator
JP4711567B2 (ja) 空気調和装置
JP2008002696A (ja) 冷蔵庫
JP2005155938A (ja) 冷却貯蔵庫
JP2001124460A (ja) 冷蔵庫
KR100436274B1 (ko) 냉장고
RU215693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хлаждения и сушки продук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