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1999B1 - 그레이팅 - Google Patents

그레이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1999B1
KR100771999B1 KR1020040036046A KR20040036046A KR100771999B1 KR 100771999 B1 KR100771999 B1 KR 100771999B1 KR 1020040036046 A KR1020040036046 A KR 1020040036046A KR 20040036046 A KR20040036046 A KR 20040036046A KR 100771999 B1 KR100771999 B1 KR 100771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member
partition
grating
edge
fa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6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1028A (ko
Inventor
김상돈
Original Assignee
김상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돈 filed Critical 김상돈
Priority to KR1020040036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1999B1/ko
Priority to PCT/KR2005/001470 priority patent/WO2006004318A1/en
Publication of KR20050111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3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42D1/007Sheets or sheet block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073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42D15/0086Sheet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레이팅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그레이팅을 구성하는 제2 구획부재 상면의 높이를 테두리 부재 및 제1 구획부재의 상면과 용이하게 맞출 수 있는 그레이팅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인 그레이팅은, 사각형의 테두리 부재와, 테두리 부재를 수직 또는 수평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분할하는 복수의 제1 구획 부재들을 구비하는 그레이팅에 있어서, 제1 구획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구획부재의 양 측면, 및 테두리 부재 중 제1 구획부재의 측면과 대면하는 내측면에 수평하게 연속적으로 형성된 지지 돌출부; 및 지지 돌출부에 의하여 지지되어 제1 구획 부재들 사이 및 제1 구획 부재와 테두리 부재 사이에 각각 설치되고, 테두리 부재 및 제1 구획부재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형성하는 제2 구획 부재;를 구비한다.
그레이팅

Description

그레이팅{Grating}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그레이팅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의 제1 구획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의 제2 구획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의 제1 구획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0 : 그레이팅 20 : 테두리 부재
30 : 제1 구획부재 40 : 제2 구획부재
본 발명은 그레이팅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그레이팅을 구성하는 제2 구획부재 상면의 높이를 테두리 부재 및 제1 구획부재의 상면과 용이하게 맞출 수 있는 그레이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레이팅은 도로, 주거단지, 지하철 등에 설치되는 빗물 집배수로(集排水路)의 덮개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대개 복수개의 직사각형 격자를 구비한다.
상기 직사각형 격자는 베어링바와 크로스바로 이루어진다. 베어링바와 크로스바는 그레이팅의 사각 테두리를 서로 직각으로 구획하도록 설치되며, 이때 두 바의 설치 간격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완성된 격자는 직사각형을 이루게 된다.
그런데, 상기 직사각형의 간격들은 도보하는 사람이나, 차량과 같은 운송수단에 대해서는 충분히 조밀하지만, 유모차, 휠체어, 여행용 가방, 쇼핑카트 등과 같이 작은 바퀴를 가진 운송수단에 대해서는 큰 편이다. 따라서, 유모차 등이 그레이팅을 지나갈 때 그 바퀴가 직사각형 격자에 끼이게 되는 경우가 빈발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유모차 등의 자체 무게 또는 직사각형 격자의 강성에 의하여 바퀴가 쉽게 빠져 나오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무리하게 힘을 가할 경우 유모차 등이 전도되거나 사람이 다치는 경우가 빈발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은 '안전 그레이팅'을 고안하였다. 상기 안전 그레이팅은 실용신안등록공보 제0328159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안전 그레이팅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테두리 부재(2)와, 테두리 부 재(2)를 수직 또는 수평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분할하는 복수개의 메인 구획부재들(4), 및 테두리 부재(2)와 메인 구획부재(4) 및/또는 메인 구획부재들(4)이 형성하는 직사각형 공간(8)을 조밀하게 분할하는 서브 구획부재(6)를 구비한다. 즉, 안전 그레이팅(10)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서브 구획부재(6)가 직사각형 공간(8)을 촘촘하게 분할하기 때문에 유모차, 휠체어, 여행용 가방, 쇼핑카트, 또는 인라인스케이트가 그레이팅에 끼이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서브 구획부재(6)는 메인 구획부재(4) 또는 테두리 부재(2)에 용접되어 설치된다. 즉,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서브 구획부재(6) 상면(7)의 높이를 메인 구획부재(4) 및 테두리 부재(2)와 평탄하게 맞춘 다음, 서브 구획부재(6)를 메인 구획부재(4) 또는 테두리 부재(2)에 용접한다.
그러나, 이러한 용접 과정에서 서브 구획부재(6)의 높이를 메인 구획부재(4) 및 테두리 부재(2)와 평탄하게 맞추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어려운 작업이다. 또한, 서브 구획부재(6)는 오로지 용접에 의해서 메인 구획부재(4) 및 테두리 부재(2)에 지지되기 때문에 필요한 용접 포인트가 많고, 그 지지력도 충분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상면의 높이를 평탄하게 맞출 수 있는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지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용접 포인트를 대 폭 감소시킬 수 있는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은, 사각형의 테두리 부재와, 상기 테두리 부재를 수직 또는 수평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분할하는 복수의 제1 구획 부재들을 구비하는 그레이팅에 있어서, 상기 제1 구획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구획부재의 양 측면, 및 상기 테두리 부재 중 상기 제1 구획부재의 측면과 대면하는 내측면에 수평하게 연속적으로 형성된 지지 돌출부; 및 상기 지지 돌출부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제1 구획 부재들 사이 및 상기 제1 구획 부재와 테두리 부재 사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테두리 부재 및 상기 제1 구획부재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형성하는 제2 구획 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구획부재는 상기 제1 구획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절곡되어, 서로 대면하는 제1 구획부재들 또는 서로 대면하는 제1 구획부재와 테두리 부재에 순차적으로 접하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그레이팅은, 상기 제1 구획부재의 양 측면 및 상기 테두리 부재 중 상기 제1 구획부재의 측면과 대면하는 내측면에 수평하게 연속적으로 상기 지지 돌출부의 상측에 형성된 고정 돌출부; 및 상기 제2 구획부재가 상기 지지 돌출부에 지지되어 설치된 경우에 상기 고정 돌출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구획부재에 형성된 삽입홈;을 더 구비하여, 상기 제2 구획부재가 상기 지지 돌출부 및 고정 돌출부에 의하여 지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은, 상기 제1 구획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구획부재의 양 측면 및 상기 테두리 부재 중 상기 제1 구획부재와 대면하는 내측면에 수평하게 연속적으로 형성된 고정 돌출부; 및 상기 제1 구획 부재들 사이 및 상기 제1 구획 부재와 테두리 부재 사이에 각각 설치되고, 서로 대면하는 제1 구획부재들 또는 서로 대면하는 제1 구획부재와 테두리 부재에 순차적으로 접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절곡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구획 부재 및 상기 테두리 부재와 접하는 부분에 상기 고정 돌출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 부재 및 상기 제1 구획부재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형성하는 제2 구획부재;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그레이팅의 고정 돌출부의 끝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끝단이 날카롭게 됨에 따라 상기 제2 구획부재와의 용접 또는 압착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적재용 카세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1 구획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제2 구획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그레이팅(100)은 테두리 부재(20)와, 테두리 부재(20)를 분할하는 제1 구획부재(30)와, 제1 구획부재들(30) 사이 또는 제1 구획부재(30)와 테두리 부재(20) 사이에 설치되는 제2 구획부재(40)를 구비한다.
상기 테두리 부재(20)는 소정 높이와 길이 및 폭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이다. 테두리 부재(20) 중 제1 구획부재(30)의 측면과 대면하는 내측면(22)에는 지지 돌출부(24)와 고정 돌출부(26)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 돌출부(24)는 제2 구획부재(40)의 하면(42)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1 구획부재(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내측면(22)에 수평하게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 돌출부(26)는 지지 돌출부(24)의 상측에 수평하게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고정 돌출부(26)는 제2 구획부재(40)의 삽입홈(44)과 형합하여 제2 구획부재(40)에 지지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1 구획부재(30)는 테두리 부재(20)를 수직 또는 수평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분할한다. 즉, 제1 구획부재(30)는 테두리 부재(20)를 직사각형의 공간(60)으로 분할한다. 한편, 제1 구획부재(30)는 그 상면(32)이 테두리 부재(20)의 상면(27)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설치된다. 이것은 그레이팅의 상면이 평탄하게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 구획부재(30)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양 측면에 형성된 지지 돌출부(24)와 고정 돌기부(26)를 구비한다. 지지 돌출부(24)와 고정 돌기부(26)는 상술(上述)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 구획부재(40)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테두리 부재(20)와 제1 구획부재(30)에 의하여 형성된 직사각형 공간(60)에 설치되어 직사각형 공간(60)을 다시 촘촘히 분할한다. 즉, 제2 구획부재(40)는 지지 돌출부(24) 및 고정 돌출부(26)에 의하여 지지되어 제1 구획부재들(30) 사이 및 제1 구획부재(30)와 테두리 부재(20) 사이에 설치된다. 제2 구획부재(40)는 그 상면(46)이 제1 구획부재(30)의 상면(32) 및 테두리 부재(20)의 상면(27)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설치된다. 이것은 그레이팅(100)의 상면이 평탄하게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 제2 구획부재(40)는 제1 구획부재(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절곡되어, 서로 대면하는 제1 구획부재들(30) 또는 서로 대면하는 제1 구획부재(30)와 테두리 부재(20)에 순차적으로 접하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제2 구획부재(40)는 지지 돌출부(24)에 지지되어 설치된 경우에 고정 돌출부(26)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삽입홈(44)을 포함한다. 즉, 삽입홈(44)은 제2 구획부재(40)가 제1 구획부재(30) 및 테두리 부재(20)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고정 돌출부(26)는 삽입홈(44)에 삽입되어 제2 구획부재(40)에 지지력을 제공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의 제1 구획부재(30a)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고정 돌기부(26a)의 끝단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요홈(26b)이 형성된다. 요홈(26b)은 고정 돌기부(26)의 끝단을 날카롭게 함으로써 제2 구획부재(40)와의 용접이 용이하게 되도록 한다. 즉, 끝단이 날카롭게 되면 용접 작업시 효과적으로 끝단이 녹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구획부재(30a)와 제2 구획부재(40)를 압착시켜 고정하는 경우에도 고정 돌기부(26a)의 끝단을 날카로우면 압착이 용이하게 된다. 도 6은 제1 구획 부재(30a)의 고정 돌출부(26a)에 형성된 요홈(26b)을 나타내고 있으나, 상기 요홈은 테두리 부재(20)의 고정 돌출부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그레이팅은 제2 구획부재(40)가 지지 돌출부(24) 및 고정 돌출부(26)(26a)에 의하여 견고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용접 포인트 수를 대폭 줄일 수 있다. 즉, 수직으로 작용하는 수직력에 대하여 지지 돌출부(24) 및 고정 돌출부(26)(26a)가 제2 구획부재(40)를 지지하기 때문에 용접 포인트 수를 줄일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100)의 제조 과정을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의 일면이 개방된 테두리 부재(20)를 제조한 후, 제1 구획부재(30)를 소정 간격으로 설치한다. 상기 소정 간격은 제2 구획부재(40)가 슬라이딩되어 설치될 수 있는 간격으로서, 지그 등을 이용하여 소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한다.
이어서, 제2 구획부재(40)를 테두리 부재(20)의 개방면을 통하여 제1 구획부재(30) 사이에 삽입한다. 즉, 제2 구획부재(40)의 하면(42)이 지지 돌출부(24)에 의하여 지지되고, 삽입홈(44)에 고정 돌출부(26)가 삽입되도록 슬라이딩시켜 설치한다.
이와 같이, 제2 구획부재(40)가 지지 돌출부(24) 및 고정 돌출부(26)에 지지되기 때문에 제2 구획부재(40) 상면(46)의 높이를 제1 구획부재(30)의 상면(32) 및 테두리 부재(20)의 상면(27)과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다음, 제2 구획부재(40)를 제1 구획부재(30) 또는 테두리 부재(20)에 용접 또는 압착시킨다. 제2 구획부재(40)는 지지 돌출부(24)와 고정 돌출부(26)에 의하여 각각 지지되기 때문에 종래의 그레이팅에 비하여 필요한 용접 포인트 수가 대폭 줄어든다. 따라서, 용접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한편, 이상의 본 명세서는 지지 돌출부(24) 및 고정 돌출부(26)(26a)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2 구획부재(40)를 설명하고 있으나, 제2 구획부재(40)는 지지 돌출부(24) 또는 고정 돌출부(26)(26a)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만 지지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제2 구획부재 상면의 높이를 제1 구획부재의 상면 및 테두리 부재의 상면과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둘째, 제2 구획부재가 지지 돌출부 및 고정 돌출부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지지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용접 포인트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용접 포인트 수를 줄임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Claims (5)

  1. 사각형의 테두리 부재와, 상기 테두리 부재를 수직 또는 수평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분할하는 복수의 제1 구획 부재들을 구비하는 그레이팅에 있어서,
    상기 제1 구획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구획부재의 양 측면, 및 상기 테두리 부재 중 상기 제1 구획부재의 측면과 대면하는 내측면에 수평하게 연속적으로 형성된 지지 돌출부; 및
    상기 지지 돌출부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제1 구획 부재들 사이 및 상기 제1 구획 부재와 테두리 부재 사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테두리 부재 및 상기 제1 구획부재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형성하는 제2 구획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획부재는 상기 제1 구획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절곡되어, 서로 대면하는 제1 구획부재들 또는 서로 대면하는 제1 구획부재와 테두리 부재에 순차적으로 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획부재의 양 측면 및 상기 테두리 부재 중 상기 제1 구획부재의 측면과 대면하는 내측면에 수평하게 연속적으로 상기 지지 돌출부의 상측에 형성된 고정 돌출부; 및
    상기 제2 구획부재가 상기 지지 돌출부에 지지되어 설치된 경우에 상기 고정 돌출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구획부재에 형성된 삽입홈;을 더 구비하여, 상기 제2 구획부재가 상기 지지 돌출부 및 고정 돌출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4. 사각형의 테두리 부재와, 상기 테두리 부재를 수직 또는 수평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분할하는 복수의 제1 구획 부재들을 구비하는 그레이팅에 있어서,
    상기 제1 구획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구획부재의 양 측면 및 상기 테두리 부재 중 상기 제1 구획부재와 대면하는 내측면에 수평하게 연속적으로 형성된 고정 돌출부; 및
    상기 제1 구획 부재들 사이 및 상기 제1 구획 부재와 테두리 부재 사이에 각각 설치되고, 서로 대면하는 제1 구획부재들 또는 서로 대면하는 제1 구획부재와 테두리 부재에 순차적으로 접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절곡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구획 부재 및 상기 테두리 부재와 접하는 부분에 상기 고정 돌출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 부재 및 상기 제1 구획부재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형성하는 제2 구획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출부의 끝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끝단이 날카롭게 됨에 따라 상기 제2 구획부재와의 용접 또는 압착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KR1020040036046A 2004-05-20 2004-05-20 그레이팅 KR100771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046A KR100771999B1 (ko) 2004-05-20 2004-05-20 그레이팅
PCT/KR2005/001470 WO2006004318A1 (en) 2004-05-20 2005-05-19 Gra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046A KR100771999B1 (ko) 2004-05-20 2004-05-20 그레이팅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028A KR20050111028A (ko) 2005-11-24
KR100771999B1 true KR100771999B1 (ko) 2007-10-31

Family

ID=35783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046A KR100771999B1 (ko) 2004-05-20 2004-05-20 그레이팅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71999B1 (ko)
WO (1) WO200600431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914A (ko) 2017-11-28 2019-06-05 김정현 그레이팅 모듈
KR20210055456A (ko) 2019-11-07 2021-05-17 박종하 그레이팅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075251A0 (fi) * 2007-04-13 2007-04-13 Hytest Oy Immunomääritys epästabiilien antigeenien määrittämiseksi
KR101255632B1 (ko) * 2012-11-06 2013-04-16 주식회사 신화테크 고강도 합금 그레이팅
KR101432673B1 (ko) * 2013-12-03 2014-09-23 (주)우창그레이팅 중 하중용 고강성 그레이팅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690A (en) * 1979-07-03 1981-01-29 Ajinomoto Co Inc Preparation of alanine by fermentation
JPS6381990A (ja) * 1986-09-26 1988-04-12 Tokuzo Sukegawa 発光素子用材料
JPH11324092A (ja) * 1998-05-15 1999-11-26 Daikure Co Ltd 滑り低減溝蓋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690U (ko) * 1979-06-27 1981-01-24
GB2238815B (en) * 1989-12-04 1994-02-16 British Gas Plc Cover for trenches
DE20009796U1 (de) * 2000-05-31 2000-09-21 Panne Gmbh & Co Kg Grundstueck Gitterros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690A (en) * 1979-07-03 1981-01-29 Ajinomoto Co Inc Preparation of alanine by fermentation
JPS6381990A (ja) * 1986-09-26 1988-04-12 Tokuzo Sukegawa 発光素子用材料
JPH11324092A (ja) * 1998-05-15 1999-11-26 Daikure Co Ltd 滑り低減溝蓋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1324092
56008690
63081990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914A (ko) 2017-11-28 2019-06-05 김정현 그레이팅 모듈
KR20210055456A (ko) 2019-11-07 2021-05-17 박종하 그레이팅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028A (ko) 2005-11-24
WO2006004318A1 (en) 200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0770B2 (ja) グレーティング
DK1858743T3 (da) Sortiment af indköbsvogne
KR100771999B1 (ko) 그레이팅
KR101061948B1 (ko) 안전 그레이팅
KR101161000B1 (ko) 그레이팅의 지지부재 제조장치
KR101443520B1 (ko) 북앤드부를 구비하는 북트럭
KR200328159Y1 (ko) 안전 그레이팅
KR101382492B1 (ko) 안전망을 고정하는 보강 구획 연결바로 이루어진 안전 그레이팅
KR101270362B1 (ko) 보도 블럭 세트를 구비한 스틸 그레이팅
KR20140013481A (ko) 그레이팅, 및 그 제조방법
JP2004124597A (ja) 防護板の縁用金属管装置
CN213968730U (zh) 一种用于轮辋加工的滚型机
KR102342279B1 (ko) 우산 빗물 제거기
CN2709272Y (zh) 购物车
KR101310924B1 (ko) 그레이팅 및 그 제조방법
JP3656811B2 (ja) 棚付き台車
KR101001215B1 (ko) 스틸 그레이팅 및 이의 제조방법
DE29909319U1 (de) Garten- bzw. Stapelkarre
WO2007051564A3 (de) Einkaufswagen
JP2845688B2 (ja) 小型電動リフター
JPH0136699Y2 (ko)
JPH0335656Y2 (ko)
DE20018711U1 (de) Rollwagen
KR200404699Y1 (ko)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대차
CN108639114A (zh) 一种纺织用小推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