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1914A - 그레이팅 모듈 - Google Patents
그레이팅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61914A KR20190061914A KR1020170160789A KR20170160789A KR20190061914A KR 20190061914 A KR20190061914 A KR 20190061914A KR 1020170160789 A KR1020170160789 A KR 1020170160789A KR 20170160789 A KR20170160789 A KR 20170160789A KR 20190061914 A KR20190061914 A KR 2019006191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rtition wall
- grating
- water
- block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상의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 중앙부를 전후방향으로 가로지르며 구비되는 구획벽과, 상기 구획벽을 기준으로 상기 받침부 일측으로 상부에 상기 받침부 및 상기 구획벽과 소정 이격된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내부 공간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외부로 물이 배출되는 배출홀이 구비된 오물수거부와, 상기 오물수거부 상부 개방부를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그레이팅부 및 상기 구획벽을 기준으로 상기 받침부 타측으로 상부에 상기 받침부 및 상기 구획벽과 소정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부 외부로부터 물이 내측으로 침투하여 상기 받침부와의 이격된 부위로 유동하도록 형성된 물침투블럭을 포함하는 그레이팅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수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사 그레이팅 및 경사 그레이팅을 구비한 배수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양측부에는 배수로가 도로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배수로에는 필요에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집수부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집수부의 상측 개방부에는 빗물 등에 의해 함께 쓸려오는 주위의 나뭇잎이나 비닐지 등의 비교적 큰 협잡물의 유입을 막고, 차량이나 통행인이 집수부로 빠지는 것을 막기 위한 그레이팅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그레이팅은 일반적으로, 도로, 주거단지, 지하철 등에 설치되고, 주철제로 만들어 지며, 복수의 직사각형 격자구조를 하고 있다.
한편, 최근 들어 전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기상이후가 발생하고 있는데, 국내의 경우에 있어서도, 종전과는 달리 매년 장마기간이 불규칙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은 물론 장마와는 상관 없이도 불규칙적으로 국지성 호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상이변으로 인하여 우리나라 기후가 온대에서 아열대로 바뀌고 있음과 동시에 앞으로도 한반도는 북쪽에서 찬공기가 남하, 기층이 불안정해져 국지성 호우 형태의 많은 비가 내리는 경향을 자주 보일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그레이팅(1)은, 도 1에서와 같이, 협잡물의 유입을 막기 위한 리브(2) 및 배수홀(3)이 구비된 격자 구조가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외부 테두리부(4) 내측에 구비된 형태를 이룬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최근 들어 잦아지고 있는 한번에 많은 양의 집중호우가 내리는 경우에는, 도 2에서와 같이, 큰 흐름을 일으키는 빗물이 도로변을 따라 빠른 속도로 흐르게 되는데 관성력에 의하여 평면 형태로만 되어 있는 종래의 그레이팅(1)은 그대로 빗물이 지나쳐 실제적으로 상기 집수부(7)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배수는 많지가 않았다. 이는 곧 배수효율의 저하를 의미하며, 이에 따라서 저수지의 침수나 도로침수 등을 불러오게 되므로, 새로운 형태로서 배수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그레이팅과 관련된 기술의 개발이 시급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집중호우 등 많은 비가 한꺼번에 내리는 경우에도 배수효율이 종전 대비 획기적으로 개선되도록 구성된 그레이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배수홀의 배치 및 집수구조를 개선하여 배수효율을 증대시킨 그레이팅을 구비한 배수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판상의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 중앙부를 전후방향으로 가로지르며 구비되는 구획벽과, 상기 구획벽을 기준으로 상기 받침부 일측으로 상부에 상기 받침부 및 상기 구획벽과 소정 이격된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내부 공간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외부로 물이 배출되는 배출홀이 구비된 오물수거부와, 상기 오물수거부 상부 개방부를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그레이팅부 및 상기 구획벽을 기준으로 상기 받침부 타측으로 상부에 상기 받침부 및 상기 구획벽과 소정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부 외부로부터 물이 내측으로 침투하여 상기 받침부와의 이격된 부위로 유동하도록 형성된 물침투블럭을 포함하는 그레이팅 모듈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는 내부에 상기 받침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물이 유동하도록 하는 바닥유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벽은 상기 오물수거부와의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부로부터 상기 물침투블럭과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부로 물이 직접 유동하도록 하는 중앙유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레이팅부와 상기 물침투블럭 상부를 가로지르며 설치되는 상부폐쇄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그레이팅부 상부면과 상기 물침투블럭 상부면과 상기 상부폐쇄부 상부면은 평행하게 구성되며, 상기 상부폐쇄부는 상기 구획벽과 기 설정된 이격 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벽은 양측으로 소정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구획벽과 제2구획벽으로 분리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경사 그레이팅 및 경사 그레이팅을 구비한 배수모듈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그레이팅 모듈에 의하면 받침부 내부에 형성되는 바닥유로부 및 제 1 이격공간, 구획벽과 오물수거부 및 물침투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이격공간, 구획벽에 형성되는 중앙유로부에 의해 유체의 흐름이 분산되어, 비가 많이 내려 유량이 급증하는 경우에도 유체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그레이팅 모듈에 의하면 각 구성요소들을 배수구에 차례로 삽입하여 조립 또는 모듈화가 가능하고, 따라서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의 그레이팅 모듈에 의하면, 도로의 블록부측으로 지지블록부를 구비하되, 상기 지지블록부 측으로도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다 많은 양의 빗물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그레이팅을 상기 지지블록부 측으로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상당량의 빗물 배수 유도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그레이팅을 타나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따른 그레이팅이 적용된 배수모듈을 통하여 집중호우 시 빗물이 배수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에 지지블록부가 더 구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은 종래의 그레이팅을 타나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따른 그레이팅이 적용된 배수모듈을 통하여 집중호우 시 빗물이 배수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에 지지블록부가 더 구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100)은 배수구(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오물수거부(150), 그레이팅부(180), 물침투블럭(170), 받침부(110) 및 구획벽(130)을 포함한다.
오물수거부(150)는 비교적 부피가 큰 오물이 수거되는 부분으로서, 오물이 수집되는 내부공간부(152)가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되는 박스형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오물수거부(150)의 각 면에는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홀(15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개구부를 통해 오물수거부(150)로 유입된 오물은 부피가 큰 이물질은 오물수거부(150) 내에 남아있고, 흙, 먼지와 같은 입자가 작은 이물질과 유체는 배출홀(153)을 통하여 오물수거부(15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오물수거부(150)에는 손잡이(155)가 형성되어 오물수거부(150)의 분리 및 청소가 용이해질 수 있다.
그레이팅부(180)는 오물수거부(150)의 개구부를 덮는 것으로서, 그레이팅부(180)는 직사각형의 테두리부 내에 복수의 리브가 격자형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레이팅부(180)는 오물수거부(150)의 상단에 마련되어 협잡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물침투블럭(170)은 유체나 입자가 작은 이물질이 수거되는 부분으로, 오물수거부(150)와는 달리 개구된 면은 존재하지 않되, 모든 면에는 침투홀(175)이 형성될 수 있다. 침투홀(175)은 배출홀(153)에 비하여 직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물침투블럭(170)의 상면에 형성된 침투홀(175)을 통해 유체와 입자가 작은 이물질이 물침투블럭(170) 내로 유입되고, 나머지 면에 형성된 침투홀(175)을 통해 유체와 입자가 작은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물침투블럭(170)은 배수구(10)에 오물수거부(150)와 나란하게 배치되되,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오물수거부(150)의 상부의 그레이팅부(180)와 물침투블럭(170)의 상면은 동일한 높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오물수거부(150)의 상단부는 물침투블럭(170)의 상면보다 낮게 위치하며, 오물수거부(150)의 상부에 그레이팅부(180)를 설치하면 그레이팅부(180)와 물침투블럭(170)의 높이가 같아질 수 있다. 그리고, 그레이팅부(180)와 물침투블럭(170) 사이에는 상부폐쇄부(185)가 더 마련되며, 그레이팅부(180), 상부폐쇄부(185), 물침투블럭(170)의 상면은 동일한 높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그레이팅부(180), 상부폐쇄부(185), 물침투블럭(170)의 상면은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그레이팅부(180)와 상부폐쇄부(185)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받침부(110)에는 오물수거부(150)와 물침투블럭(170)이 놓일 수 있다. 그리고, 받침부(110)에는 배수로와 연결되어 오물수거부(150)와 물침투블럭(170)으로부터 배출된 유체가 배수로로 흐를 수 있는 제 1 이격공간(117)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받침부(110)는 서로 마주보도록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직접적으로 오물수거부(150)와 물침투블럭(170)을 지지하는 한 쌍의 측면 지지부재(113)와, 한 쌍의 측면 지지부재(113)의 양 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측면 지지부재(113) 사이에는 오물수거부(150)와 물침투블럭(170)으로부터 배출된 유체가 배수로로 흐를 수 있는 제 1 이격공간(117)이 형성되며, 한 쌍의 연결부재에는 제 1 이격공간(117) 및 배수로와 연통되는 바닥유로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한 쌍의 측면 지지부재(113)에 놓인 오물수거부(150) 및 물침투블럭(170)으로부터 배출된 유체 및 입자가 작은 이물질은 제 1 이격공간(117) 및 바닥유로부(112)를 통해 배수로로 이동할 수 있다.
한 쌍의 측면 지지부재(113) 사이에는 한 쌍의 측면 지지부재(113)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구획벽(13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구획벽(130)은 측면 지지부재(113) 상에 놓인 오물수거부(150)와 물침투블럭(170) 사이에 위치하는 동시에, 상부폐쇄부(185)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구획벽(130)은 한 쌍의 측면 지지부재(113)와는 접하되, 오물수거부(150), 물침투블럭(170) 및 상부폐쇄부(185)와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제 2 이격공간을 형성하며, 구획벽(130)과 오물수거부(150) 및 물침투블럭(170) 사이에 형성된 제 2 이격공간은 유체 및 입자가 작은 이물질이 이동하는 유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구획벽(130)의 중앙부에는 구획벽(130)을 관통하는 중앙유로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중앙유로부(135)는 제 2 이격공간의 유체의 흐름을 분산시켜 유량 집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획벽(130)은 바닥과도 이격되어 바닥유로부(112)가 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오물수거부의 배출홀 및 물침투블럭의 침투홀을 통해 배출된 유체는 제 1 이격공간(117), 제 2 이격공간, 중앙유로부(135), 바닥유로부(112)로 분산되어 배수로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비가 많이 내려 유체의 양이 급격히 증가한 경우에도 배수 효율이 종래에 비하여 개선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100)의 설치는 아래와 같은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배수구(10)에 받침부(110)를 삽입할 수 있다. 받침부(110)는 배수구(10)에 삽입 전 측면 지지부재(113)와 연결부재가 조립된 상태로 배수구(10)에 삽입될 수 있다. 구획벽(130)은 배수구(10)에 받침부(110)가 삽입된 상태에서 한 쌍의 측면 지지부재(113)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또는, 받침부(110)를 배수구(10)에 삽입하기 전에 측면 지지부재(113)와 연결부재 조립 시 구획벽(130)을 함께 조립한 상태로 받침부(110)가 배수구(10)에 삽입될 수도 있다.
받침부(110) 및 구획벽(130)의 삽입이 완료되면, 구획벽(130)의 양 측에 각각 오물수거부(150)와 물침투블럭(170)을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오물수거부(150)의 상부에 그레이팅부(180)를 설치하고, 구획벽(130)의 상부에 구획벽(130)과 이격되도록 상부폐쇄부(185)를 설치할 수 있다. 그레이팅부(180)와 상부폐쇄부(185)의 설치 순서는 어떤 것이 먼저 실시되어도 무방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의 유체의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그레이팅 모듈(100)에 의하면 우수, 오수와 같은 유체와 낙엽, 쓰레기, 흙 등의 이물질은 배구수에 설치되는 본 실시예의 그레이팅 모듈(100)로 유입되는데, 특히 입자가 큰 이물질인 낙엽, 쓰레기 등은 그레이팅부(180)를 통하여 오물수거부(150)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입자가 작은 이물질인 흙, 먼지 등은 침투홀(175)을 통하여 물침투블럭(17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우수, 오수와 같은 유체는 오물수거부(150) 및 물침투블럭(170) 어디든 유입될 수 있다.
유체의 양이 많지 않은 경우에는 오물수거부(150)에 수집된 유체 및 이물질 중 유체는 오물수거부(150)의 하부에 위치한 배출홀(153)을 통하여 오물수거부(150) 외부로 배출되고, 오물수거부(150)에는 이물질만 남을 수 있다. 그리고, 물침투블럭(170)으로 유입된 유체 및 입자가 작은 이물질은 물침투블럭(170)의 하부에 위치한 침투홀(175)을 통하여 물침투블럭(17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유체가 받침부(110) 내의 제 1 이격공간(117) 및 바닥유로부(112)를 통하여 배수로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155)를 이용하여 배수구(10)로부터 오물수거부(150)를 분리하여 오물수거부(150)에 남은 이물질을 청소할 수 있다.
그러나, 비가 많이 내려 유체의 양이 급격히 증가한 경우에는 오물수거부(150)에 수집된 유체 및 이물질 중 유체는 오물수거부(150)의 모든 면에 위치한 배출홀(153)을 통하여 오물수거부(150) 외부로 배출되고, 물침투블럭(170)으로 유입된 유체 및 입자가 작은 이물질은 물침투블럭(170)의 상면을 제외한 모든 면에 위치한 침투홀(175)을 통하여 물침투블럭(17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오물수거부(150) 및 물침투블럭(170)의 외부로 배출된 유체는 제 1 이격공간(117), 제 2 이격공간, 중앙유로부(135), 바닥유로부(112)를 통하여 배수로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비가 많이 내려 유체의 양이 급격히 증가한 경우에도 배수 효율이 종래에 비하여 개선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에 지지블록부가 더 구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그레이팅 모듈(100)에는 지지블록부(19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배수구(10)는 도로의 가변에 위치하며, 빗물이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도로의 가변부는 외측으로 갈수록 약간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지지블록부(197)는 도로의 가변 측에 위치하며,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도로 가변의 경사를 따라 흘러내린 유체를 가로막아 오물수거부(150) 또는 물침투블럭(170)으로 유입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상당량의 유체 배수 유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1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100)은 오물수거부(150), 그레이팅부(180), 물침투블럭(170), 받침부(110) 및 구획벽(2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오물수거부(150), 그레이팅부(180), 물침투블럭(170) 및 받침부(11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구획벽(230)은 제 1 구획벽, 제 2 구획벽(230)으로 분리되며, 제 1 구획벽과 제 2 구획벽(230)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제 1 구획벽과 제 2 구획벽(230) 사이에 제 3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 3 이격공간은 제 1 이격공간(117), 제 2 이격공간, 중앙유로부(135) 및 바닥유로부(112)와 연통되어 하나의 유로에 유량이 집중되는 경우 이를 분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그레이팅 모듈(100)의 설치와, 본 실시예의 그레이팅 모듈(100)을 통한 배수 과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배수구 100: 그레이팅 모듈
110: 받침부 112: 바닥유로부
113: 측면 지지부재 117: 제 1 이격공간
130: 구획벽 135: 중앙유로부
150: 오물수거부 152: 내부공간부
153: 배출홀 155: 손잡이
170: 물침투블럭 175: 침투홀
180: 그레이팅부 185: 상부폐쇄부
197: 지지블록부 230: 제 1, 2 구획벽
235: 중앙유로부
110: 받침부 112: 바닥유로부
113: 측면 지지부재 117: 제 1 이격공간
130: 구획벽 135: 중앙유로부
150: 오물수거부 152: 내부공간부
153: 배출홀 155: 손잡이
170: 물침투블럭 175: 침투홀
180: 그레이팅부 185: 상부폐쇄부
197: 지지블록부 230: 제 1, 2 구획벽
235: 중앙유로부
Claims (5)
- 판상의 받침부;
상기 받침부 중앙부를 전후방향으로 가로지르며 구비되는 구획벽;
상기 구획벽을 기준으로 상기 받침부 일측으로 상부에 상기 받침부 및 상기 구획벽과 소정 이격된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내부 공간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외부로 물이 배출되는 배출홀이 구비된 오물수거부;
상기 오물수거부 상부 개방부를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그레이팅부; 및
상기 구획벽을 기준으로 상기 받침부 타측으로 상부에 상기 받침부 및 상기 구획벽과 소정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부 외부로부터 물이 내측으로 침투하여 상기 받침부와의 이격된 부위로 유동하도록 형성된 물침투블럭;
을 포함하는 그레이팅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내부에 상기 받침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물이 유동하도록 하는 바닥유로부가 더 구비되는,
그레이팅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은 상기 오물수거부와의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부로부터 상기 물침투블럭과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부로 물이 직접 유동하도록 하는 중앙유로부가 더 구비되는,
그레이팅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부와 상기 물침투블럭 상부를 가로지르며 설치되는 상부폐쇄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그레이팅부 상부면과 상기 물침투블럭 상부면과 상기 상부폐쇄부 상부면은 평행하게 구성되며,
상기 상부폐쇄부는 상기 구획벽과 기 설정된 이격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그레이팅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은 양측으로 소정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구획벽과 제2구획벽으로 분리되어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0789A KR102059729B1 (ko) | 2017-11-28 | 2017-11-28 | 그레이팅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0789A KR102059729B1 (ko) | 2017-11-28 | 2017-11-28 | 그레이팅 모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1914A true KR20190061914A (ko) | 2019-06-05 |
KR102059729B1 KR102059729B1 (ko) | 2019-12-26 |
Family
ID=66845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60789A KR102059729B1 (ko) | 2017-11-28 | 2017-11-28 | 그레이팅 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59729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1999B1 (ko) | 2004-05-20 | 2007-10-31 | 김상돈 | 그레이팅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083721B2 (en) * | 2003-05-12 | 2006-08-01 | Mcclure Stewart D | Stormdrain curb-inlet multi-stage filtration-unit |
KR101217390B1 (ko) * | 2010-06-21 | 2012-12-31 | (주)이앤씨 | 맨홀용 정화장치 |
-
2017
- 2017-11-28 KR KR1020170160789A patent/KR10205972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1999B1 (ko) | 2004-05-20 | 2007-10-31 | 김상돈 | 그레이팅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59729B1 (ko) | 2019-1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53417B2 (en) | Floating storm water drain basket | |
KR101781334B1 (ko) | L형 측구를 활용한 다기능 배수관 | |
KR101652055B1 (ko) | 우수받이 | |
KR100983466B1 (ko) |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 |
KR101102576B1 (ko) | 맨홀용 협잡물 수거장치 | |
KR101400081B1 (ko) | 경사 그레이팅을 구비한 배수모듈 | |
KR100920060B1 (ko) | 경계석이 일체로 된 도로 비점오염 저감설비 | |
KR102026939B1 (ko) | 배수로에서의 이중 배수 및 유지 보수 가능한 집수조 커버용 그레이팅 구조물 | |
KR101639377B1 (ko) | 저영향개발기법 기반의 침투식 빗물저류 구조 | |
KR101865202B1 (ko) | 우수 배수시설의 전처리장치 | |
KR200416118Y1 (ko) | 우, 오수받이. | |
KR100576323B1 (ko) | 도로의 배수측구겸용 우수처리시설물 | |
KR20190061914A (ko) | 그레이팅 모듈 | |
KR20140004867A (ko) | 산 비탈면 및 절토 면의 배수로에 적용되는 집수정 구조 | |
KR20090008698A (ko) | 빗물받이 커튼식 악취 방지 장치 | |
KR101054282B1 (ko) | 빗물받이 | |
KR20110088263A (ko) | 착탈식 투수 우수받이 | |
KR100758603B1 (ko) |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도로노면 측구의 티형 확장우수받이 | |
KR200265463Y1 (ko) | 악취차단 및 토사유입방지 맨홀 | |
JPH10299068A (ja) | 雨水マスシステム | |
KR100623426B1 (ko) | 이물질 유입방지용 부재가 설치된 도로 배수로 | |
KR200239951Y1 (ko) | 우수받이뚜껑및받침틀 | |
KR102638787B1 (ko) | 비점 오염 빗물 분리 정화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 |
KR101054283B1 (ko) | 빗물받이 | |
KR20040020855A (ko) | 도심 시가지 도로 측구 배수 우수 받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