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4699Y1 -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대차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4699Y1
KR200404699Y1 KR20-2005-0028887U KR20050028887U KR200404699Y1 KR 200404699 Y1 KR200404699 Y1 KR 200404699Y1 KR 20050028887 U KR20050028887 U KR 20050028887U KR 200404699 Y1 KR200404699 Y1 KR 2004046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late
support member
height
faste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88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윤섭
황재관
송보섭
Original Assignee
송윤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윤섭 filed Critical 송윤섭
Priority to KR20-2005-00288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46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46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46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바(bar)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저면에 다수개의 바퀴 및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적재물을 지지하는 플레이트로 구성된 물품운반용 대차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면이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플레이트가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일정간격씩 이격되어 돌출된 조절턱 및 상기 지지부재의 밀착면 상하단에 구멍이 형성되는 체결부재가 구비된 다수개의 높이조절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대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물품운반 대차에 플레이트가 안착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씩 이격되는 조절턱이 형성된 높이조절수단을 프레임에 체결하여, 사용자의 편이에 따라 플레이트 높이를 조절하여 적재물 운반시 많은 양을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대차 {ROLLTAINER WITH HEIGHT CONTROLLING MEANS}
본 고안은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바(bar)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저면에 다수개의 바퀴 및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적재물을 지지하는 플레이트로 구성된 대차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면이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플레이트가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일정간격씩 이격되어 돌출된 조절턱 및 상기 지지부재의 밀착면 상하단에 구멍이 형성되는 체결부재가 구비된 다수개의 높이조절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장의 조립라인들에서 반 조립 물품들의 운반 또는 포장라인의 말단부에서 완성되어 출하되는 완제품의 운반, 그리고 물류창고나 하치장등 산업장내에서 화물을 운반시키기 위해 사용된 대차는 현재까지 여러 종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대차는 다수개의 바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저면에 방향전환이 가능한 다수개의 바퀴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적재가 가능한 평판체의 플레이트가 위치하여 적재품을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차들은 플레이트의 높낮이 조절이 불가능한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적재물 운반시에 많은 적재물을 운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물품운반 대차에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일정간격씩 이격되는 조절턱이 다수개 형성된 높이조절수단을 프레임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적재물의 크기에 따라 플레이트간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대차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높이조절수단을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프레임의 높이가 다른 기존의 제품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대차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저면일측에 테이퍼가 형성되어 플레이트가 테이퍼의 경사면을 따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대차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대차는, 다수개의 바(bar)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다수개의 바퀴 및 적재물을 지지하는 플레이트로 구성된 대차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측면에 접하는 밀착면이 형성된 바형상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일면에 플레이트가 안착되도록 일정간격씩 이격되어 설치된 조절턱; 및 상기 지지부재 상·하단부에 형성된 체결부재로 이루어진 높이조절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밀착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상부체결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밀착면에 접하는 하부체결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체결부재와 하부체결부재가 포개져서 높이조절수단이 다수개 결합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조절턱은 일측 저면이 테이퍼로 형성되고, 상면이 판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조절턱은 상면 일측에 상기 플레이트가 프레임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좌우 쌍으로 대응되어 상기 프레임에 체결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바(bar)로 이루어진 프레임(110)과, 다수개의 바퀴(130) 및 적재물을 지지하는 플레이트(120)로 이루어진 물품운반용 대차(100)에 있어서, 높이조절수단(20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턱(210)과, 걸림턱(240)과, 지지부재(220) 및 체결부재(230)로 구성된다.
상기 조절턱(210)은 상기 지지부재(220) 일면에 다수 개 설치되며, 상기 플레이트(120)가 안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일정간격씩 이격되어 다수 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조절턱(210)의 상면은 상기 플레이트(120)가 안착되도록 평면을 이루며, 그 하면은 상기 플레이트(120)의 삽입이 용이하게 상기 조절턱(210) 상호간의 공간을 넓힐 수 있도록 테이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턱(240)은 상기 플레이트(120)가 프레임(110)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조절턱(210)의 상면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턱(240)은 상기 대차를 이루는 좌측프레임과 우측프레임에 각각 결합되는 조절턱(2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하나의 쌍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턱(240)은 상기 대차를 이루는 좌우측프레임 중 후면을 형성하는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높이조절수단(200)에만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지지부재(220)의 일 측에는 상기 조절턱(210)이 일정간격씩 다수 개 설치되어 고정되고, 타 측에는 상기 프레임(110)에 밀착되는 밀착면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20)에는 다수개의 상기 조절턱(210)이 일정간격으로 형성하는 간격 사이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을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110)과 체결되며, 상기 구멍의 수는 적재물의 하중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적절히 체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체결부재(230)는 상기 지지부재(220) 상·하단에 각각 밀착면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220) 상단에 형성된 상부체결부재(231)는 밀착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220) 하단에 형성된 하부체결부재(232)는 상기 밀착면에 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상부체결부재(231)와 하부체결부재(232)는 밀착면에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포개져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10)의 길이가 길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조절수단(200)을 결합하여 사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220)의 상·하단에 형성된 상기 체결부재(230)를 서로 대응하여 반복 체결한 후 상기 조절수단(200) 상·하단에 형성되는 체결부재(230)의 구멍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110)에 체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대차의 작용을 설명한다.
지지부재(220)의 밀착면을 프레임(110)의 일측에 밀착시킨 후 체결부재(230)와 지지부재(220)에 형성된 구멍 등을 통해 나사못을 결합하여, 높이조절수단(200)을 프레임(110)에 설치한다. 이때, 대차(100)의 프레임(110) 내면과 체결되는 상기 높이조절수단(200) 상·하단에 형성된 체결부재(230)를 나사못을 사용하여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120)를 상기 조절턱(210)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조절턱(210) 저면에 테이퍼가 형성되어 상기 테이퍼 사이에 상기 플레이트(120)가 위치할 경우에도 테이퍼의 경사면을 따라 삽입이 용이하게 형성되고, 상면이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120)가 안착된다. 이와 같이 삽입된 플레이트(120)는 상기 조절턱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240)에 걸리개 되어 언덕이나 장애물 운반시에 경사면 또는 충격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120)가 상기 프레임(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흔들림도 막아준다. 그리고 운반하고자 하는 적재물을 저면에 위치한 플레이트(120) 상면에 싣는다.
이때, 적재물의 운반물량이 많을 경우 적재물의 높이에 맞게 다수개의 플레이트(120)를 삽입하여 플레이트(120)와 플레이트(120)간의 간격을 줄임으로서 다수의 적재물을 싣는다.
또한, 적재물의 부피가 큰 경우에는 적재물의 높이에 맞게 상기 플레이트(120)를 일부 빼서 적재물을 운반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110)의 길이가 길 경우에는 상기 다수개의 지지부재 양끝단에 형성된 체결부재(230)를 이용하여 상부체결부재(231)와 하부체결부재(232)를 서로 포개어 체결부재에 형성된 구멍을 일치시킨다. 구멍에 나사못을 체결하여 상기 프레임(110)의 길이와 맞게 다수개의 높이조절수단(200)을 결합하여 사용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물품운반 대차에 플레이트가 안착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씩 이격된 다수개의 조절턱이 형성된 높이조절수단을 프레임에 체결하여,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플레이트 높이를 조절하여 적재물 운반시 많은 양을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다수의 높이조절수단을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프레임의 높이가 다른 기존의 제품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효과는, 저면 일측에 테이퍼가 형성되어 플레이트가 테이퍼의 경사면을 따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대차 사시도,
도 2는 본 도1의 A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의 결합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대차 110 - 프레임
120 - 플레이트 130 - 바퀴
200 - 높이조절수단 210 - 조절턱
220 - 지지부재 230 - 체결부재
231 - 상부체결부재 232 - 하부체결부재
240 - 걸림턱

Claims (5)

  1. 다수개의 바(bar)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다수개의 바퀴 및 적재물을 지지하는 플레이트로 구성된 대차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측면에 접하는 밀착면이 형성된 바형상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일면에 플레이트가 안착되도록 일정간격씩 이격되어 설치된 조절턱; 및
    상기 지지부재 상·하단부에 형성된 체결부재로 이루어진 높이조절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대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밀착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상부체결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밀착면에 접하는 하부체결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체결부재와 하부체결부재가 포개져서 높이조절수단이 다수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대차.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턱은 일측 저면이 테이퍼로 형성되고, 상면이 판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대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턱은 상면 일측에 상기 플레이트가 프레임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수단이 구비된 대차.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좌우 쌍으로 대응되어 상기 프레임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대차.
KR20-2005-0028887U 2005-10-11 2005-10-11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대차 KR2004046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887U KR200404699Y1 (ko) 2005-10-11 2005-10-11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887U KR200404699Y1 (ko) 2005-10-11 2005-10-11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4699Y1 true KR200404699Y1 (ko) 2005-12-27

Family

ID=49297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887U KR200404699Y1 (ko) 2005-10-11 2005-10-11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469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3948B2 (en) System for shelf mounting in mobile truck body
US20010022436A1 (en) Shopping cart with wheeled support base preventing tip overs
WO2006061150A3 (de) Transportgerät für hochbauendes transportgut
JP6037352B2 (ja) 運搬台車
CN204586944U (zh) 物料转运车
JP5283002B2 (ja) 運搬装置
KR200404699Y1 (ko)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대차
JP5221989B2 (ja) 運搬台車
JP6714341B2 (ja) 運搬台車
JP5160342B2 (ja) 台車システム及び台車用の床フレーム
JP5520697B2 (ja) 運搬台車
KR101358012B1 (ko) 접이식 손수레
CN201105743Y (zh) 地板车
JP3180883U (ja) 搬送台車
JPH1111324A (ja) 運搬用台車の連結構造
JP4019495B2 (ja) ハンガースタンド運搬用台車
JP3779244B2 (ja) 輸送コンテナ
JP2021066278A (ja) 台車用車輪受部材および台車
JP5222349B2 (ja) 運搬台車
CN212149689U (zh) 一种组合式木栈板
JP3682963B2 (ja) 輸送コンテナ用コーナ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6222509B1 (ja) 機械及び付属部品の運搬台車
JP3971054B2 (ja) パレット
HU215099B (hu) Konténeralaplap három derékszögű rögzítőelemmel a sarkokban
KR20220001544U (ko) 캐스터 연결형 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