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654B1 - Cdma 시스템 및 무선랜 간 이동단말의 전환방법 - Google Patents

Cdma 시스템 및 무선랜 간 이동단말의 전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654B1
KR100770654B1 KR20067004146A KR20067004146A KR100770654B1 KR 100770654 B1 KR100770654 B1 KR 100770654B1 KR 20067004146 A KR20067004146 A KR 20067004146A KR 20067004146 A KR20067004146 A KR 20067004146A KR 100770654 B1 KR100770654 B1 KR 100770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cdma2000
data service
service node
grou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7004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9941A (ko
Inventor
지우리 주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티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039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8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04W36/1446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wherein at least one of the networks is unlicen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단말이 무선랜 시스템에서 CDMA2000 1X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이동단말이 무선랜 시스템 신호의 약화 또는 분실을 검측했을 경우 이동단말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CDMA2000 1X 시스템으로의 전환 여부를 확정하고, 전환할 경우 다음 단계로 진행하고, 전환하지 않을 경우 기존 무선랜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또는 접속을 차단하고; 이동단말은 CDMA2000 1X 시스템 콜을 실행하여 기지국이 이동단말 접속을 허용할 경우, 그루핑 제어 기능 노드는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와 R-P 접속을 구축하며;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는 상기 이동단말을 전환 사용자로 확인한 후 상기 이동단말을 위해 CDMA2000 1X 시스템까지 데이터 전송 채널을 구축하고; 이동단말과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 간 그루핑 제어 기능 노드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고 동시에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는 상기 이동단말이 무선랜 시스템에서 구축한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와 무선 접속점 게이트웨이 간 R-P 접속을 차단한다. 본 발명은 새로운 링크를 구축한 후 기존 링크를 차단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를 유지함으로써, 이동단말이 CDMA2000 1X 시스템과 무선랜 간 전환을 실현하고 연속적인 데이터 전송을 보장한다.
이동단말, 무선랜, 데이터 전송, 전환방법, CDMA2000

Description

CDMA 시스템 및 무선랜 간 이동단말의 전환방법{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Hand-off between the CDMA and the WLAN}
본 발명은 이동단말이 두개 무선 시스템 사이에서의 전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단말이 CDMA2000 1X 시스템과 무선랜(Wireless LAN,WLAN으로 약칭)사이에서 전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드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로 약칭)기술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광대역 대역확산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다중접속 조절기술로, CDMA2000 1X 시스템은 IS-2000 기준을 따르며 CDMA2000 셀(CELL) 이동통신기술 발전의 첫 단계로 153.6Kbps의 그루핑 데이터 전송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CDMA2000 1X 시스템과 무선랜 시스템을 결합한 네트웍 개략도로서, 점선으로 된 프레임 밖 부분은 종래 CDMA2000 1X 시스템의 기능 노드이고, 점선 내 부분은 CDMA2000 1X 시스템과 무선랜 시스템이 결합 후 증가된 기능 노드이다.
종래 CDMA2000 1X 시스템에서 기지국 송수신장치(11)는 빌리지(village)에서 무선 커버구역을 설치하여 이동단말 통신에 사용하고, 기지국 제어장치(12)는 각 기지국 송수신 장치에 대해 제어를 진행하며, 그루핑 제어 기능 노드 PCF는 일반적으로 기지국 제어장치(12) 중에 설치되어 무선 서브시스템 및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 PDSN(14) 간 메세지 전달에 사용하고, 그루핑 제어 기능 노드 PCF는 A8/A9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기지국 제어장치(12)와 접속한다.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 PDSN(14)은 CDMA2000 1X 시스템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고,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 PDSN(14)과 그루핑 제어기능 노드 PCF(12) 사이에는 기준 R-P(Radio-Packet) 인터페이스, 즉 A10/A11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데, 이때 A10은 데이터 채널, A11은 제어 채널이다.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 PDSN(14)은 CDMA2000 1X 사용자에게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PDSN(14)를 통하여 방문AAA서버(19), 미들AAA서버(17) 및 귀속AAA서버(18)에서 인증 및 요금부과를 진행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 먼저 이동교환센터(13)를 거쳐 홈 위치 레지스터 HLR(20)에서 신분 합법성 인증을 거친다. 인증 통과 후, 기지국 제어장치 BSC(12) 및 PCF(12) 사이에 A8/A9 인터페이스를 구축하고, PCF(12)가 PDSN(14)에 메세지를 발송하여, PCF(12)와 PDSN(14) 사이에 R-P 접속을 구축한다. 이어서, 이동단말과 PDSN(14) 사이에 PPP 접속을 구축한다. PPP 접속 구축 후, 사용자가 단순(Simple)IP 사용자일 경우 데이터 서비스를 시작한다. 사용자가 모바일(Mobile) IP 사용자일 경우 MIP 등록을 진행하여 등록 후 모바일 IP 데이터 서비스를 시작한다. 사용자 접속시 PDSN(14)과 완전한 PPP 협상 절차를 진행하고, PPP 는 비동기성(asynchronism) 고위 데이터 링크 제어절차(HDLC) 프레이밍 방식을 채택한다.
무선랜은 컴퓨터 네트웍 및 무선통신기술이 결합된 산물로서, 무선 다중접속 채널 사용을 통하여 컴퓨터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고 54 Mbps에 달하는 데이터 전송속도를 제공하며, 무선랜 단말은 통상적으로 이더넷을 기반으로 한 포인트 투 포인트 프로토콜(Point to Point Protocol over Ethernet, PPPoE로 약칭) 또는 Web +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동적 호스트 설정 프로토콜) 방식을 채택하여 다이얼업을 실행한다.
유선 네트웍과 비교할 경우, 무선랜WLAN은 설치가 간단하고 경제적이고 저렴하고 확장이 편리한 장점 등을 구비하고 있어, 신속히 모바일 상태에서 네트웍 접속 또는 로밍 등의 경우에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배선이 힘든 지역 또는 원거리 데이터 처리에 적용되고 있다. 또한 특히 전시회, 미팅, 관광 서비스, 금융 서비스,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 등 영역에서 커다란 발전기회를 구비하고 있다. 무선랜의 큰 장점은 가격이 저렴하고 네트워킹이 영활적이며 설치가 편리하고 무선 데이터 고속 접속을 지원하여 공항, 호텔 등 중심지역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이다.
무선랜에서 무선단말은 접속점 AP를 통하여 고정 전신망에 접속하며 AP는 사용자에게 무선접속 기능, 및 음성과 데이터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고, 802.11 및 802.3 프로토콜 전환을 실행한다. AP 전환을 거친 데이터 패키지는 이더넷 데이터 패키지이다. 그러나, 무선랜이 단말접속에 제공한 인증 및 요금부과 매커니즘은 제한적이어서 물리적 전송층 인증만 제공할 수 있으며, 단말 사용자를 상대로 한 요 금부과 매커니즘을 동시에 제공할 수 없다. 따라서 전신급 활용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으며 무선랜 커버범위는 중심지역에만 제한된다. 이러한 상황은 무선랜의 광범위한 활용에 커다란 한계를 초래하고 있다.
CDMA 시스템은 20여년의 발전을 거쳐 최근에 들어서 CDMA2000 1X 시스템은 이미 대규모의 상업활용에 투입되고 있으며, 해당 인증 및 요금부과 매커니즘 발전이 비교적 성숙되고 완비화 되었을 뿐만아니라 활용 범위도 부단히 확대되고 있다. 단, 대역의 제한성으로 인해 CDMA2000 1X 시스템이 단말 사용자에게 고속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능력도 제한을 받고 있다. 따라서, CDMA2000 1X 시스템과 무선랜 시스템을 유기적으로 결합할 경우 각자의 우세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으며, 두 시스템을 결합하는데 있어서의 해결해야 할 문제점은 단말 사용자가 두 시스템 사이에서의 전환(Seamles Switch)를 어떻게 실현하는가 하는 점이다. 현재까지 단말 사용자가 두 시스템 사이에서의 전환 방법에 관한 기술자료는 찾아볼 수 없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CDMA 시스템과 무선랜 사이에서의 이동단말 전환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이동단말이 두 시스템 사이에서 원만한 전환(Seamles Switch)을 실현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 단계로서, 이동단말이 무선랜 시스템 신호의 약화 또는 분실을 검측했을 경우, 이동단말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CDMA2000 1X 시스템으로의 전환 여부를 확정하고, 전환할 경우 하기의 제 2 단계를 실행하고, 전환하지 않을 경우 기존 무선랜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또는 접속을 차단하며; 제 2 단계로서, 이동단말은 CDMA2000 1X 시스템 콜을 실행하여 기지국이 이동단말 접속을 허용할 경우, 그루핑 제어 기능 노드는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와 R-P 접속을 구축하고; 제 3 단계로서,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는 상기 이동단말을 전환 사용자로 확인한 후 상기 이동단말을 위해 CDMA2000 1X 시스템까지 데이터 전송 채널을 구축하며; 제 4 단계로서, 이동단말과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 간 그루핑 제어 기능 노드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고, 동시에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는 상기 이동단말이 무선랜 시스템에서 구축한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와 무선 접속점 게이트웨이 사이의 R-P 접속을 차단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이 무선랜 시스템에서 CDMA2000 1X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환과정에 상기 이동단말과 상기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 사이의 데이터 전송은 무선 접속점 게이트웨이를 통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이 무선랜 시스템에서 CDMA2000 1X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는 기존 링크의 PPP 접속 정보를 직접 사용하여 포인트 투 포인트 링크 재 협상을 진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이 무선랜 시스템에서 CDMA2000 1X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단계로서, 무선랜 신호를 검측한 후 이동단말은 무선랜 중 접속점과 접속하고, 이동단말은 CDMA2000 1X 시스템에서 무선랜 시스템으로 전환 여부를 확정하고, 전환할 경우 하기의 제 2 단계를 실행하고, 전환하지 않을 경우 기존 CDMA2000 1X 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계속하여 이용하며; 제 2 단계로서, 이동단말은 무선랜 시스템 콜 접속을 진행하여 무선 접속점 게이트웨이와 접속을 구축하고; 제 3단계로서, 무선 접속점 게이트웨이가 이동단말 접속을 허용한 후 무선 접속점 게이트웨이와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 간에 R-P 접속을 구축하며; 제 4단계로서,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는 상기 이동단말을 전환 사용자로 확정한 후 상기 이동단말을 위해 무선랜 시스템까지 데이터 전송 채널을 구축하고; 제 5단계로서, 이동단말과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 간에 무선 접속점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고, 동시에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는 상기 이동단말이 CDMA2000 1X 시스템에서 구축한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와 그루핑 제어 기능 노드 간 R-P 접속을 차단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이CDMA2000 1X 시스템에서 무선랜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환과정에 이동단말과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 간 데이터 전송은 그루핑 제어 기능 노드를 통하여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이 CDMA2000 1X 시스템에서 무선랜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은 PPPoE 방식을 채택하여 콜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이 CDMA2000 1X 시스템에서 무선랜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접속점 게이트웨이는 이동단말 접속을 허용한 후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에 A11 등록 청구 메세지를 발송하여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가 해당 등록 청구 메세지를 접수할 경우 무선 접속점 게이트웨이에 A11 등록 청구 메세지를 백킹하고 무선 접속점 게이트웨이에서 해당 메세지를 접수한 후 R-P 접속을 성공적으로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이CDMA2000 1X 시스템에서 무선랜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에서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는 기존 링크의 PPP 접속 정보를 직접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이CDMA2000 1X 시스템에서 무선랜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환방법은 전환과정에 새로운 링크를 구축하고 다시 기존 링크를 차단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또한 전환과정에서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는 변화되지 않으며, 이동단말과 포인트 투 포인트 링크의 재 협상을 진행하지 않음으로써, 이동단말이 CDMA2000 1X 시스템과 무선랜 시스템 사이에서 전환할 경우 연속적인 데이터 전송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환방법은 전환과정에 교환되는 명령을 감소하여 CDMA2000 1X의 시스템 커버 영역이 넓고 무선랜 고속 데이터 전송 특점을 충분히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고속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환방법은 단말 사용자가 CDMA2000 1X 시스템과 무선랜 시스템 사이의 전환을 실현할 수 있고 CDMA2000 1X 시스템과 무선랜 시스템의 유기적인 결합을 실행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CDMA2000 1X 시스템과 무선랜 시스템을 결합한 네트웍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중 이동단말이 무선랜에서 CDMA2000 1X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중 이동단말이 CDMA2000 1X 시스템에서 무선랜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구체적인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발명의 기술방안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 중 전환방법은 도 1에 도시된 CDMA2000 1X 시스템과 무선랜 시스템을 결합한 네트웍에 활용된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점선 외 부분은 CDMA2000 1X 시스템의 기능 노드, 점선 내 부분은 CDMA2000 1X 시스템과 무선랜 기능을 결합 후 추가된 기능 노드이다. 종래기술 부분에서 CDMA2000 1X 시스템의 주요기능에 대해 설명을 제공했으므로, 아래에 본 발명의 주요 기능 노드에 대해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그루핑 제어 기능 노드 PCF(12)는 주로 공중 무선 인터페이스와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 PDSN(14) 간의 연결을 실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그루핑 제어 기능 노드 PCF(12)는 종래의 CDMA 시스템의 공지된 설비로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기술에 속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3GPP2 [3GPP2 P.S0001-A-1 Version 1.0 /Date: Decmber 15, 2000 Wireless IP Network Standard] 참조).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 PDSN(14)은 CDMA2000 1X 시스템 및 무선랜 시스템 단말 접속을 실현하며, CDMA2000 1X 시스템 및 무선랜 시스템 단말에 두가지 접속 방법인 단순 IP 서비스 및 모바일 IP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단말의 PPP 접속 정보를 저장하고, 이동단말이 무선랜 시스템과 CDMA2000 1X 시스템 사이에서 전환을 실현할 경우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 PDSN(14)은 현재 이동단말이 전환 사용자 여부를 식별하며, 즉 전환을 요청하는 이동단말이 동시에 CDMA2000 1X 시스템과 무선랜 시스템 접속 능력을 구비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환 사용자일 경우 해당되는 데이터 전송 채널을 오프닝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 PDSN(14)는 종래의 CDMA 시스템의 공지된 설비로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기술에 속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3GPP2 [3GPP2 P.S0001-A-1 Version 1.0 /Date: Decmber 15, 2000 Wireless IP Network Standard] 참조).
접속점(Access Point, AP로 약칭)(16)은 무선랜 신호를 유선 네트웍 전송 신호를 전환하는데 이용되며 간단한 무선 유저 관리 및 무선 채널의 동적 배분을 실현한다.
무선 접속점 게이트웨이(Access Point Gateway,APGW로 약칭)(15)는 주요하게 무선랜 단말 데이터의 3단계 캡슐화 (즉 AP 전환을 거친 이더넷 데이터를 IP 패킷으로 캡슐화) 및 캡슐화 해제를 실현하며, 무선랜 단말의 데이터를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 PDSN(14)에 발송하거나, 또는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 PDSN(14)에서 발송된 데이터를 무선랜 단말에 전달한다.
그루핑 제어 기능 노드(12)와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14) 사이의 인터페이스와, 무선 접속점 게이트웨이(15)와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14)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각각 표준 R-P 인터페이스이다.
무선랜 단말 접속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14)는 PPPoE 콜 방법을 채택하고, PPPoE 콜 접속은 두개 단계인 발견단계 및 대화(colloquy)단계로 나뉘어지며, 발견단계는 서비스 제공 노드 무선접속점 게이트웨이(15)를 찾고, 대화단계는 단말과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14) 간 포인트 투 포인트 링크 협상을 실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PPPoE 콜 접속은 종래의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IETF)의 표준규범에 관한 것으로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RFC2561 [A Method for Transmitting PPP Over Ethernet(PPPoE)] 참조).
이동단말에 있어서, CDMA2000 1X 시스템과 무선랜 시스템 간 전환을 실현하려 할 경우, 두개의 독립적인 공중 인터페이스를 구비해야만 CDMA2000 1X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으며 또한 무선랜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고, 또한 두개 시스템 간 자유로운 전환 기능을 실현한다. 예를 들면, 이동단말이 무선랜 신호가 일정하게 약해졌음을 검측하거나, 또는 무선랜 신호를 검측할 수 없을 경우 CDMA2000 1X 시스템 접속 콜을 진행하거나, 또는 이동단말이 무선랜 커버지역에 도달 후 자동으로 무선랜에 접속하도록 한다. 따라서 모바일 사용자는 두개 시스템으로부터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해야 한다.
현재, 무선랜 커버구역은 중심지역에만 분포되어 있으므로, 이로 인하여 이동단말이 접속점과 멀리 떨어질 경우 데이터 전송 FER (frame error Ratio)이 증가되고 전송 속도가 현저하게 낮아진다. 이러할 경우 이동단말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CDMA2000 1X 시스템으로 자동 전환해야 한다.
또한, 이동단말이 무선랜을 통하여 시스템에 접속한 후 무선랜 신호의 강약을 부단히 검측해야 한다. 무선랜 신호가 약할 경우 또는 신호가 없을 경우, 이동단말은 일정한 원칙하에 예를 들면 사전에 설정된 신호 강약 역치(threshold value), 사전에 설정된 전환 규칙 등, 무선랜 시스템에서 CDMA2000 1X 시스템으로 전환한다.
상기 내용으로 볼 경우, CDMA2000 1X 시스템 중 PCF(12)와 PDSN(14) 사이의 접속방식과, WLAN 시스템 중 APGW(15)와 PDSN(14) 사이의 접속방식은 기능 및 그루 핑 면에서 많은 공통점들이 존재하고 있다. PCF(12)와 APGW(15)는 모두 무선과 유선 사이의 전환 인터페이스로서, 다른 점이라면 무선 조건하에서의 프로토콜이 다를 뿐이다. PPP 접속을 구축할 경우, PPP 협상 절차를 완성해야 하며 무선랜 시스템에서는 PPPoE 프로토콜을 채용하고, CDMA2000 1X 시스템에서는 비동기식 HDLC 캡슐화 PPP 프로토콜을 채용한다. PPPoE 제2단계-PPP 대화 단계에서는 비동기식 HDLC 캡슐과 PPP 프로토콜과 완전히 동일한 것이다. 또한 양자가 사용자 정보도 거의 일치한다. 따라서, PDSN(14) 기존의 기능에 기초하여 무선랜 사용자 접속을 증가할 경우, 동시에 PCF(12)와 APGW(15)의 접속을 지원할 수 있다. 동시에, 사용자 PPP 접속 정보는 PDSN(14)에 저장되며, 이는 이동단말이 WLAN 시스템과 CDMA2000 1X 간 전환에 가능성을 부여했다.
도 2 는 이동단말이 무선랜 시스템 접속 및 무선랜에서 CDMA2000 1X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실시예로서, 전환과정에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는 변하지 않는다.
이동단말이 무선랜 시스템에 접속하는 절차는 아래와 같다.
이동단말이 무선 접속점 AP에 접속하고(S 201), 무선랜 공중 채널을 구축한 후 이동단말은 PPPoE 방식으로 콜을 진행하고 무선 접속점 게이트웨이 APGW 사이에서 PPPoE 발견 단계 협상을 진행한다(S 202). 무선 접속점 게이트웨이에서 이동단말 접속을 허락한 후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에 A11 등록 청구 메세지를 발송하여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가 등록 청구 메세지를 접수했을 경우 무선 접속점 게이트웨이에 A11 등록 응답 메세지를 발송하며, 무선 접속점 게이트웨이에서 해당 응답 메세지를 접수한 후 무선 접속점 게이트웨이와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사이에 R-P 접속을 성공적으로 구축한다(S 203). 무선 접속점 게이트웨이와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 사이의 R-P 접속을 성공적으로 구축한 후, 이동단말과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 사이에서 포인트 투 포인트 PPP 링크 협상을 진행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A11 등록 응답 메세지의 발송은 CDMA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접속을 시도할 경우 무선측과 그루핑 영역에서 전환을 명령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통상적인 CDMA 기술의 일종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3GPP2 [3GPP2 A.S0017-0 Version 1.0 /Date: November 16, 2001 Interoperability Specification (IOS) for CDMA 2000 Access Network Interfaces - Part 7 (A10 and A11 Interfaces) Revision 0 (3G IOSv4.2)] 참조). PPP 접속을 구축하는 과정에 단순 IP 사용자일 경우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는 해당 이동단말에 IP 주소 하나를 배분하고, 모바일 IP 사용자일 경우 MIP 등록을 진행해야 한다 (S 204). 이동단말과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 간 PPP 링크를 성공적으로 구축(모바일 IP 사용자일 경우 MIP 등록도 성공적으로 구축)한 후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는 이동단말에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S 205).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MIP 등록의 경우에는 종래의 CDMA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접속을 시도할 경우 무선측과 그루핑 영역에서 전환을 명령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통상적인 CDMA 기술의 일종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3GPP2 [3GPP2 P.S0001-A-1 Version 1.0 /Date: Decmber 15, 2000 Wireless IP Network Standard] 및 IETF 규범 RFC2002 [IP Mobility Support)] 참조).
이동단말은 무선랜 신호를 계속적으로 검측하여 무선랜 신호가 사전에 정한 전환 역치에 도달했을 경우, 이동단말은 아래와 같이 무선랜 시스템에서 CDMA2000 1X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실행할 수 있다.
이동단말이 CDMA2000 1X 시스템 접속 콜을 실행하고(S 206), 기지국은 이동단말의 접속을 허락하며, 그루핑 제어 기능 노드 및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 사이에서 R-P 연결을 구축한다(S 207). 그루핑 제어 기능 노드 및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 사이에서 R-P 접속을 성공적으로 구축한 후,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는 해당 사용자가 전환 사용자임을 확정하며, 즉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와 링크 접속을 구축한 사용자로 확정하고, 이동단말과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 간에 그루핑 제어 기능 노드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을 진행한다(S 208). 마지막으로 그루 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를 통하여 무선 접속점 게이트 웨이 및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 사이의 R-P 접속을 차단한다(S 209).
상기 절차를 거쳐 이동단말 무선랜 시스템에 접속하고 CDMA2000 1X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완성한다. 전환 과정에 새로운 링크를 구축한 후 기존 링크를 차단하는 방법을 채용하고, 전환과정에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는 변하지 않으며, 포인트 투 포인트 PPP 재 협상을 거치지 않음으로 사용자 데이터 연속 전송을 보장하고 접속을 실현한다.
상기와 같이, 이동단말이 CDMA2000 1X 시스템 접속 후 연속적으로 무선랜 신호에 대해 검측을 진행하여 신호를 검측했을 경우, 이동단말은 일정한 원칙하에 사전에 지정한 신호 강약 역치 또는 사전에 정한 전환 규칙에 의해 CDMA2000 1X 시스템에서 무선랜으로 전환을 실현한다.
도 3 은 이동단말이 CDMA2000 1X 시스템 전환 및 CDMA2000 1X 시스템에서 무선랜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실시예로서, 전환과정에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는 변하지 않는다.
이동단말이 CDMA2000 1X 시스템에 접속하는 절차는 아래와 같다.
이동단말이 CDMA2000 1X 시스템 콜을 진행하고(S 301), 그루핑 제어 기능 노드와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 사이에서 R-P 접속을 구축한다(S 302). 따라서 이동단말과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 사이에서 포인트 투 포인트 PPP 링크 협상을 진행하여(S 303), 이동단말과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간 PPP 링크가 성공적으로 구축된 후,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는 이동단말에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동단말이 무선랜 신호를 검측한 후 이동단말과 무선 접속점 사이의 접속을 구축한다(S 305). 이동단말은 일정한 규칙에 따라 전환 실행 여부를 선택한다. 이동단말이 CDMA2000 1X 시스템에서 무선랜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결정한 후 PPPoE 콜을 진행하고 무선 접속점 게이트웨이 사이에서 PPPoE 발견 단계 협상을 진행한다(S 306). 무선 접속점 게이트웨이가 이동단말 접속을 허용한 후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에 A11 등록 청구 메세지를 발송하고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가 해당 등록 청구 메세지를 접수했을 경우, 무선 접속점 게이트웨이에 A11 등록 응답 메세지를 백킹하고, 무선 접속점 게이트웨이는 해당 응답 메세지를 접수한 후 성공적으로 R-P 접속을 구축한다(S 307). 따라서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는 해당 이동단말이 전환 사용자임을 확정하고 이동단말과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 간에 무선 접속점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며(S 308), 동시에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는 그루핑 제어 기능 노드와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 간 R-P 접속을 차단한다(S 309).
상기 절차를 거쳐 이동단말이 CDMA2000 1X 시스템에서 무선랜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실현할 수 있다. 전환 과정에 상기와 같이 먼저 새로운 링크를 구축한 후 기존의 링크를 끊는 방법을 채용하고, 전환과정에 포인트 투 포인트 PPP 재 협상을 진행하지 않고 사용자 데이터 전송도 중단하지 않는다.
WLAN 시스템과 CDMA2000 1X 시스템에서 사용자 신분은 유일한 것으로 사용자 는 WLAN 모드에서 CDMA2000 1X 시스템 중 NAI 또는 MSID를 사용하여 인증 및 요금부과를 진행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한 이동단말이 CDMA2000 1X 시스템과 무선랜 시스템 사이의 전환 방법에 있어서, 기준 R-P 인터페이스와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 전환 기능 이용 및 무선 접속점 게이트웨이 APGW를 통하여 두 시스템 사이의 전환을 실현함으로써 CDMA2000 1X 시스템과 무선랜 시스템의 유기적인 결합을 실현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전환방법은 CDMA2000 1X EV-DO, CDMA2000 1X EV-DV 및 무선랜 시스템 간 전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으로서, 본 발명이 상기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구체적인 설명을 진행함으로써 동 기술영역 일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했으며, 동 방안에 대해 기존 기술방안의 범위 및 고안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정한 수정 또는 교체를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단말의 전환방법은 전환과정에 신규한 링크를 구축하고 다시 기존 링크를 차단하는 방법을 채택하였고, 또한 상기의 전환과정에서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를 변화시키지 않았으며, 이동단말과 포인트 투 포인트 링크의 재 협상을 진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동단말이 CDMA2000 1X 시스템 과 무선랜 시스템 사이에서 원만하게 전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단말의 전환방법은 전환과정에 교환되는 명령을 감소시킴으로써, CDMA2000 1X의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 영역을 더욱 확장하였고, 또한 무선랜을 통하여 고속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고속 데이터 전송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단말의 전환방법은 단말 사용자가 CDMA2000 1X 시스템과 무선랜 시스템 사이의 전환을 원만하고 원활하게 실현할 수 있으므로, CDMA2000 1X 시스템과 무선랜 시스템의 유기적인 결합을 실행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Claims (8)

  1. 이동단말이, CDMA2000 1X 시스템의 그루핑 제어 기능 노드와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를 이용하여, 무선랜 시스템에서 CDMA2000 1X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단계로서, 이동단말이 무선랜 시스템 신호의 약화 또는 분실을 검측했을 경우, 이동단말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CDMA2000 1X 시스템으로의 전환 여부를 확정하고, 전환할 경우 하기의 제 2 단계를 실행하고, 전환하지 않을 경우 기존 무선랜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또는 접속을 차단하며;
    제 2 단계로서, 이동단말은 CDMA2000 1X 시스템 콜을 실행하여 기지국이 이동단말 접속을 허용할 경우, 그루핑 제어 기능 노드는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와 R-P 접속을 구축하고;
    제 3 단계로서,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는 상기 이동단말을 전환 사용자로 확인한 후 상기 이동단말을 위해 CDMA2000 1X시스템까지 데이터 전송 채널을 구축하며;
    제 4 단계로서, 이동단말과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 간 그루핑 제어 기능 노드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고, 동시에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는 상기 이동단말이 무선랜 시스템에서 구축한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와 무선 접속점 게이트웨이 사이의 R-P 접속을 차단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무선랜 시스템에서 CDMA2000 1X 시스템으로의 전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과정에 상기 이동단말과 상기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 사이의 데이터 전송은 무선 접속점 게이트웨이를 통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무선랜 시스템에서 CDMA2000 1X 시스템으로의 전환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의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는 기존 링크의 PPP 접속 정보를 직접 사용하여 포인트 투 포인트 링크 재 협상을 진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무선랜 시스템에서 CDMA2000 1X 시스템으로의 전환 방법.
  4. 이동단말이, CDMA2000 1X 시스템의 그루핑 제어 기능 노드와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를 이용하여, CDMA2000 1X 시스템에서 무선랜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단계로서, 무선랜 신호를 검측한 후 이동단말은 무선랜 중 접속점과 접속하고, 이동단말은 CDMA2000 1X 시스템에서 무선랜 시스템으로 전환 여부를 확정하고, 전환할 경우 하기의 제 2 단계를 실행하고, 전환하지 않을 경우 기존 CDMA2000 1X 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계속하여 이용하며;
    제 2 단계로서, 이동단말은 무선랜 시스템 콜 접속을 진행하여 무선 접속점 게이트웨이와 접속을 구축하고;
    제 3단계로서, 무선 접속점 게이트웨이가 이동단말 접속을 허용한 후 무선 접속점 게이트웨이와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 간에 R-P 접속을 구축하며;
    제 4단계로서,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는 상기 이동단말을 전환 사용자로 확정한 후 상기 이동단말을 위해 무선랜 시스템까지 데이터 전송 채널을 구축하고;
    제 5단계로서, 이동단말과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 간에 무선 접속점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고, 동시에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는 상기 이동단말이 CDMA2000 1X 시스템에서 구축한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와 그루핑 제어 기능 노드 간 R-P 접속을 차단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CDMA2000 1X 시스템에서 무선랜 시스템으로의 전환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과정에 이동단말과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 간 데이터 전송은 그루핑 제어 기능 노드를 통하여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CDMA2000 1X 시스템에서 무선랜 시스템으로의 전환 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이동단말은 PPPoE 방식을 채택하여 콜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CDMA2000 1X 시스템에서 무선랜 시스템으로의 전환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무선 접속점 게이트웨이는 이동단말 접속을 허용한 후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에 A11 등록 청구 메세지를 발송하여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가 해당 등록 청구 메세지를 접수할 경우 무선 접속점 게이트웨이에 A11 등록 청구 메세지를 백킹하고 무선 접속점 게이트웨이에서 해당 메세지를 접수한 후 R-P 접속을 성공적으로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CDMA2000 1X 시스템에서 무선랜 시스템으로의 전환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에서, 그루핑 데이터 서비스 노드는 기존 링크의 PPP 접속 정보를 직접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CDMA2000 1X 시스템에서 무선랜 시스템으로의 전환 방법.
KR20067004146A 2003-09-03 2003-12-17 Cdma 시스템 및 무선랜 간 이동단말의 전환방법 KR1007706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03156356.2 2003-09-03
CNB031563562A CN1312870C (zh) 2003-09-03 2003-09-03 移动终端在码分多址系统与无线局域网间切换的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941A KR20060039941A (ko) 2006-05-09
KR100770654B1 true KR100770654B1 (ko) 2007-10-29

Family

ID=34287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7004146A KR100770654B1 (ko) 2003-09-03 2003-12-17 Cdma 시스템 및 무선랜 간 이동단말의 전환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61548B2 (ko)
JP (1) JP4399418B2 (ko)
KR (1) KR100770654B1 (ko)
CN (1) CN1312870C (ko)
AU (1) AU2003292855A1 (ko)
WO (1) WO20050275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4531B1 (ko) * 2003-10-28 2006-07-2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패킷 데이터 서비스 방법
US7392049B2 (en) * 2003-12-19 2008-06-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network and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packet data services between mobile stations
JPWO2005115034A1 (ja) * 2004-05-21 2008-03-27 三菱電機株式会社 第3世代移動体通信・無線lan統合システム及び第3世代移動体通信・無線lan統合方法
CN102227149B (zh) * 2004-11-05 2013-07-3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移动通信终端装置及其信息交换方法
CN101053176B (zh) * 2004-11-05 2011-07-2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移动通信终端装置、其控制方法、通信系统及其漫游方法
CN1809005B (zh) * 2005-01-18 2010-04-28 华为技术有限公司 在切换过程中断开终端与服务网络连接的方法
CN100450079C (zh) * 2005-03-11 2009-01-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网状网络数据处理方法及无线网状网络
JP4595619B2 (ja) * 2005-03-28 2010-12-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移動ルータ、ホームエージェント、および端末位置管理方法
CN100417291C (zh) * 2005-04-28 2008-09-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域间切换的方法、系统及所用的域切换控制器
KR100948219B1 (ko) * 2005-05-16 2010-03-18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고속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에 있어서 활성 상태에서 인터-액세스 네트워크 핸드오프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IL169503A (en) * 2005-07-03 2010-12-30 Alvarion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wing transfer of communication sessions between base stations in wireless networks
CN1953607B (zh) * 2005-10-17 2012-01-25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移动网络通信中切换的方法和设备
US7813321B2 (en) * 2006-02-16 2010-10-12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providing network selection management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5031434B2 (ja) * 2007-04-26 2012-09-19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US8451752B2 (en) * 2007-05-21 2013-05-28 Arrowspan, Inc. Seamless handoff scheme for multi-radio wireless mesh network
CN101257429B (zh) * 2008-04-14 2011-09-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网络漫游实现方法和装置
JP4930460B2 (ja) * 2008-06-06 2012-05-1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接続制御方法
CN101500131B (zh) * 2009-03-09 2011-03-23 深圳市源富创新电子有限公司 音视频无线传输系统及传输方法
CN102594646B (zh) * 2011-12-31 2015-11-25 华为数字技术(成都)有限公司 一种因特网协议安全隧道切换方法、装置及传输系统
US20130267224A1 (en) * 2012-04-10 2013-10-10 Jyotsna KRISHNASWAMY Apparatus and method for efficient location-based seamless modem and mobile application activation
CN103686595B (zh) * 2012-09-26 2018-10-12 联想(北京)有限公司 状态切换方法和电子设备
CN102917359A (zh) * 2012-09-27 2013-02-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内置PPPoE拨号功能的移动终端及其拨号方法
CN103109565A (zh) * 2012-09-29 2013-05-15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络切换的方法和终端
WO2014126440A1 (en) * 2013-02-18 2014-08-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offloading handover of wireless connections from a lte network to a wi-fi network
JP6432102B2 (ja) * 2014-10-07 2018-12-05 インテル アイピー コーポレーション Wlan接続性を再取得するデバイスのための改良したpdn接続再開を実装する、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CN104994545A (zh) * 2015-07-08 2015-10-21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接入点负载均衡方法、系统及无线网络
CN106487678A (zh) * 2015-08-27 2017-03-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626A (ko) * 2001-09-21 2003-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와 무선랜의 통합단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2567B1 (ko) * 1997-12-31 2000-11-15 서평원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동 인터넷
KR100396646B1 (ko) * 1999-04-20 2003-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6477373B1 (en) * 1999-08-10 2002-11-05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Method and apparatus to maintain connectivity for mobile terminals in wireless and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s
US7010300B1 (en) * 2000-06-15 2006-03-07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intersystem wireless communications session hand-off
WO2002041587A2 (en) 2000-10-23 2002-05-23 Bluesocket, Inc.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centralized control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8019335B2 (en) 2001-01-29 2011-09-13 Nokia Corporation Identifying neighboring cells in telecommunication network
US7194010B2 (en) * 2001-05-02 2007-03-20 Strix Systems, Inc. Wireless base station to base station synchroniz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a system employing a short range frequency hopping or time division duplex scheme
CN1307576C (zh) 2001-12-19 2007-03-28 汤姆森特许公司 在移动网络和无线局域网之间切换移动终端的方法和设备
CN100508474C (zh) * 2002-02-10 2009-07-01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局域网中移动终端在接入点间切换的方法
KR100605824B1 (ko) * 2002-05-13 2006-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방송서비스 방법
WO2003101025A2 (en) * 2002-05-28 2003-12-04 Zte San Diego, Inc. Interworking mechanism between cdma2000 and wlan
US20040082330A1 (en) * 2002-10-29 2004-04-29 Marin James Scott Method for handoff and redundancy using mobile IP
US7133386B2 (en) * 2002-11-18 2006-11-07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service portability across disjoint wireless networks
US6931249B2 (en) * 2003-01-23 2005-08-16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target-initiated handoff from a source cellular wireless network to a target non-cellular wireless networ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626A (ko) * 2001-09-21 2003-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와 무선랜의 통합단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99418B2 (ja) 2010-01-13
AU2003292855A1 (en) 2005-04-06
KR20060039941A (ko) 2006-05-09
CN1523801A (zh) 2004-08-25
US20060291415A1 (en) 2006-12-28
WO2005027554A1 (fr) 2005-03-24
JP2007507116A (ja) 2007-03-22
CN1312870C (zh) 2007-04-25
US7561548B2 (en) 2009-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654B1 (ko) Cdma 시스템 및 무선랜 간 이동단말의 전환방법
EP1576744B1 (en) Multi-processor platform fo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partitioned protocol stack
KR101001237B1 (ko) 심리스 네트워크 접속성 용이화를 위한 무선 시스템
KR100997654B1 (ko) 셀룰러와 무선 근거리 통신망 사이의 효율적인 핸드오프
RU2369986C2 (ru) Способ переключения обслуживания с коммутацией пакетов
US7965693B2 (en) Interworking mechanism between wireless wide area network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81074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roaming between wireless networks
US20060077934A1 (en) Handoff system and method of dual mode mobile for connecting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network
JP2002524892A (ja) プロキシ移動ノード登録を使用するip移動サポート
JP2007518343A (ja) 非同期網と同期網が混在する移動通信網におけるパケットデータサービスのための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ハンドオーバー方法
CN1292554C (zh) 一种实现码分多址系统与无线局域网结合的用户接入方法
KR100706893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패킷 데이터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
KR100779403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패킷 데이터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