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6893B1 -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패킷 데이터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 - Google Patents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패킷 데이터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6893B1
KR100706893B1 KR1020040001283A KR20040001283A KR100706893B1 KR 100706893 B1 KR100706893 B1 KR 100706893B1 KR 1020040001283 A KR1020040001283 A KR 1020040001283A KR 20040001283 A KR20040001283 A KR 20040001283A KR 100706893 B1 KR100706893 B1 KR 100706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synchron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1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3096A (ko
Inventor
김현욱
김영락
김남건
임종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1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6893B1/ko
Priority to US10/585,403 priority patent/US7843881B2/en
Priority to BRPI0506473-2A priority patent/BRPI0506473A/pt
Priority to CN2005800020536A priority patent/CN1910836B/zh
Priority to PCT/KR2005/000050 priority patent/WO2005067178A1/en
Priority to JP2006549119A priority patent/JP4625814B2/ja
Publication of KR20050073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3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893B1/ko
Priority to US12/568,799 priority patent/US803670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04G17/065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E04G17/065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fully recover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44Plug means for tie-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도먼트 상태에서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비동기망에서 도먼트 상태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이 동기망으로 이동함에 따라 비동기망에서 핸드오버가 필요함을 보고받고, 동기망으로 핸드오버를 명령하면, 이동통신 단말과 동기망 간에 호 처리 및 채널 할당 과정, 트렁크 설정을 수행하고, 이동통신 단말로 모바일 IP 할당함으로써 동기망으로 이동한 이동통신 단말이 동기망에서 도먼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패킷 데이터 서비스 이용중 서비스 단절 현상 없이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패킷 데이터, 핸드오버, 모바일 IP, 도먼트 상태

Description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System for Packet Data Service in the Mixed Network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Hand-over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망의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의 구조도,
도 4a 및 4b는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핸드오버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핸드오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프로토콜 스택의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DBDM 이동통신 단말 20 :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30 :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40 : IP망
50 : CP 서버 110, 150 : 안테나
120 : 비동기 모듈 130 : 동기 모듈
121, 131, 160 : 듀플렉서 122 : 비동기 무선 송수신부
123 : 비동기 모뎀부 132 : 동기 무선 송수신부
133 : 동기 모뎀부 140 : 공통 모듈
170 : 멀티밴드 무선 송수신부 180 : 멀티모드 모뎀부
190 : 기타 처리 모듈 210 : 노드B
220 : 무선망 제어기 230 : 비동기 교환기
240 : SGSN 250 : GPRS망
260 : GGSN 310 : 기지국
320 : 기지국 제어기/패킷 제어기 330 : 교환기
340 : PDSN/FA 350 : HA
360 : AAA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의 핸드오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이동통신 단말의 도먼트(dormant) 상태 중의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망은 세대를 거듭하여 변화하고 있으며, 현재는 2세대 또는 2.5세대망이라 불리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CDMA 이동통신 시스템)과 3세대망이라 불리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WCDMA 이동통신 시스템)이 공존하고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 시스템간 글로벌 로밍을 지원하기 위해 동기방식의 시스템과 비동기 방식의 시스템에서 모두 사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Dual Band Dual Mode Terminal; DBDM 이동통신 단말)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함에 의해 비동기 방식 시스템 영역 및 동기 방식 시스템 영역 각각에서 각기 다른 방식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현재,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서비스 요구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구축 중에 있고, 이에 따라 동기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그 서비스 영역이 비동기 방식 시스템의 서비스 영역을 포함하는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그런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아직 서비스 초기 단계에 있으며, 시스템 구현에 막대한 투자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넓은 지역을 서비스할 수 없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영역에 중첩된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
이에 따라,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영역이 제한되기 때문에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가입자가 비동기 영역에서 도먼트(dormant) 상태에 있던 중 비동기 이동통신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동기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서비스가 단절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에서, 도먼트 상태란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과 이동통신 시스템 간에 데이터 송수신이 없을 때 접속 중단 상태가 되었다가 데이터 통신 신호가 발생하면 바로 액티브 상태로 천이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만약,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시 도먼 트 상태가 유지되지 않는다면, 즉 패킷 데이터 서비스가 완전히 해제된다면 이동통신 단말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하여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의 접속 과정을 처음부터 다시 수행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접속 시간이 지연되는 등 서비스 품질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공존하고 있고,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영역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영역보다 작은 경우 비동기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간의 연속적인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핸드오버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동기망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하여 도먼트 상태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이 동기망으로 이동하는 경우 패킷 데이터 서비스가 즉시 개시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비동기 모뎀부 및 동기 모뎀부를 구비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핸드오버 방법으로서,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도먼트 상태에 있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SGSN/GGSN이 핸드오버가 필요함을 수신하는 제 1 과정; 상기 SGSN/GGSN이 상 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것을 명령하는 제 2 과정;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기지국으로 발신을 시도하여, 상기 기지국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교환기간에 호 처리 및 채널 할당이 수행되는 제 3 과정;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에 호 처리 설정 관련 협상을 수행하는 제 4 과정;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트렁크 설정을 수행하는 제 5 과정;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의 무선 링크 프로토콜을 초기화하는 제 6 과정; 상기 기지국이 상기 교환기로 채널할당이 완료되었음을 보고하는 제 7 과정;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간에 패킷 데이터 호가 설정되는 제 8 과정; 및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모바일 IP 할당하는 제 9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망의 구성도로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 요소를 위주로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10)은 듀얼 밴드 듀얼 모드(이하, 'DBDM'이라 함) 이동통신 단말로서, 비동기 이동통신 서비스와 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 가능한 형태로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과 선택적으로 무선 접속하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할 것이다.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은 이동통신 단말(10)과의 무선 구간 통신을 위 한 기지국으로서의 노드 B(210), 노드 B(210)의 제어를 위한 무선망 제어기(RNC, 220), 무선망 제어기(220)와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10)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호 교환을 수행하는 비동기 교환기(MSC, 230), 무선망 제어기(220)와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망(250) 사이에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10)의 위치 트랙을 유지하고 액세스 제어 및 보안 기능을 수행하는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240), SGSN(240)와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망(250)을 통해 연결되고, IP망(40)에 접속되어 외부 패킷과의 연동을 지원하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260)을 포함한다.
또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은 이동통신 단말(10)과 무선 구간 통신을 지원하는 기지국(310), 기지국(310)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기(BSC)와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무선 자원 관리 등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공시 기지국 제어기(BSC)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는 패킷 제어기(Packet Control Function; PCF)(320), 하나 이상의 기지국 제어기와 연결되어 호 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교환기(MSC, 330), 패킷 제어기(320)와 접속되어 이동통신 단말(10)과 PPP 세션을 설정하고 외부 노드와 접속을 수행하며, 이동통신 단말(10)의 위치 등록을 위한 외부 에이전트(Foreign Agent; FA) 기능을 수행하여 가입자에게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DSN, 340),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340)와 IP망(40) 간의 접속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코어망(DCN, 도시하지 않음), 이동통신 단말(10)의 인증을 수행하고 패킷 데이터를 외부 에이전트로 전달하기 위한 홈 에이전트(Home Agent, 350), 이동통신 단말의 인증(Authentication), 권한부여(Authorization) 및 과금(Account) 기능을 수행하는 AAA(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의 교환기(230, 330)는 No.7 공통신호망에 의해 상호 접속되어, 이동통신 단말(10)의 핸드오버 등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10)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에 선택적으로 접속되어 두 시스템의 신호처리 상황을 전송하고 처리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의 일 예시도로서, 비동기망 및 동기망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기능부를 독립적으로 구현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DBDM 이동통신 단말(10)은 안테나(110), 비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모듈(120), 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모듈(130) 및 공통 모듈(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테나(110)는 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파수 대역과 비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처리 가능하다.
비동기 모듈(120)은 각각의 주파수를 구분하여 처리하는 밴드 패스 필터로 동작하는 듀플렉서(121), 송수신 전파를 정해진 주파수 대역으로 분리하는 비동기 무선 송수신부(122) 및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무선 구간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비동기 모뎀부(123)를 포함하고, 동기 모듈(130)은 각각의 주파수를 구분하여 처리하는 밴드 패스 필터로 동작하는 듀플렉서(131), 송수신 전파를 정해진 주파수 대역으로 분리하는 동기 무선 송수신부(132)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무선 구간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동기 모뎀부(133)를 포함한다.
공통 모듈(140)은 비동기 모뎀부(123) 및 동기 모뎀부(133)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처리 장치로 동작하고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부, 기타 응용 처리부 등을 포함한다.
또한, DBDM 이동통신 단말(10)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가 서비스, 이동성 관리, 접속/세션 제어, 리소스 제어, 프로토콜 처리를 위한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어, 사용자가 각종 응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고, 핸드오버를 수행하며, 이동통신 시스템에 맞게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에서, 공통 모듈(140)에 의해 비동기 모듈(120)의 비동기 모뎀부(123) 및 동기 모듈(130)의 동기 모뎀부(133)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비동기 모뎀부(123) 및 동기 모뎀부(133) 중 어느 하나의 모뎀부가 전체 이동통신 단말의 제어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의 다른 예시도로서, 비동기망 및 동기망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기능부가 일체형으로 구현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DBDM 이동통신 단말(10)은 안테나(150), 듀플렉서(160), 멀티밴드 무선 송수신부(170), 멀티모드 모뎀부(180) 및 기타 처리 모듈(1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테나(150)는 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파수 대역과 비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처리 가능하다.
듀플렉서(160)는 비동기망으로부터의 주파수 및 동기망으로부터의 주파수를 각각의 구분하여 처리하는 밴드 패스 필터로 동작하고, 멀티밴드 무선 송수신부(170)는 송수신 전파를 정해진 주파수 대역으로 분리하며, 멀티모드 모뎀부(180)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또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무선 구간 프로토콜을 처리한다.
기타 처리 모듈(190)은 멀티모드 모뎀부(180)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처리 장치로 동작하고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부, 기타 응용 처리부 등을 포함한다.
또한, DBDM 이동통신 단말(10)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가 서비스, 이동성 관리, 접속/세션 제어, 리소스 제어, 프로토콜 처리를 위한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어, 사용자가 각종 응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고, 핸드오버를 수행하며, 이동통신 시스템에 맞게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무선 송수신부 및 모뎀부를 일체화하여 구현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10)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고,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모뎀 메모리를 공유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도 4a 및 4b는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도먼트 상태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개념도이다.
하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또는 핸드오프)는 이동통신 단말이 이동통신 시스템의 한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서비스의 단절 현상 없이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의미하는데, 본 발명은 동기 이동통신 시 스템과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혼재된 망에서, DBDM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으로서, 이동통신 단말(10)이 동기 영역(B)에서 비동기 영역(A)으로 이동한 경우와, 이동통신 단말(10)이 비동기 영역(A)에서 동기 영역(B)으로 이동한 경우 중에서, 후자에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비동기 영역(A)에서 이동통신 단말은 노드B(210)와 세션이 설정되어 있고 모바일 IP가 할당되어 있으며, 데이터 신호가 발생하면 SGSN(240), GGSN(260)을 통해 IP망(40)에 접속되어 CP 서버(50)에서 제공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도먼트 상태에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10)이 비동기 영역(A)과 동기 영역(B)의 중첩 영역(C)을 통해 점차 동기 영역(B)으로 접근함에 따라,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노드 B(210)와 이동통신 단말(10)간의 송수신 전력이 점차 감쇄되게 되며, 전력 감쇄를 감지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또는 이동통신 단말의 접근을 감지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SGSN/GGSN(240, 260)으로 핸드오버가 필요함을 보고한다.
이에 따라 SGSN/GGSN(240, 260)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310)으로 핸드오버를 명령하여, 이동통신 단말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간의 호 설정 및 트렁크 설정이 이루어진다. 이후, 도 4b에 도시한 것과 같이, PDSN(340)에서 이동통신 단말로 모바일 IP를 할당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도먼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영역(B)으로 핸드오버한 이동통신 단말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접속을 완전히 해제하고,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도먼트 상태를 유지하며, 이후 데이터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즉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활성화 상태로 천이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핸드오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비동기망에서 도먼트 상태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10)이 동기망 영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비동기망의 노드B(210)는 이동통신 단말(10)과의 송수신 전력 감쇄를 인지하여 핸드오버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SGSN/GGSN(240, 260)으로 보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비동기 영역에서 벗어났음을 알린다(SRNS Relocation Required)(S101). 이때, 이동통신 단말(10)의 식별 번호를 함께 전송한다. 또한, SGSN/GGSN(240, 260)으로 핸드오버가 필요함을 보고하는 단계(S101)은 이동통신 단말의 접근을 감지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BTS, 310)에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핸드오버가 필요함을 보고받은 SGSN/GGSN(240, 260)은 동기망의 기지국(BTS, 310)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것을 명령한다(SRSN Relocation Command, S102). 또한, 노드B(210)는 이동통신 단말로 핸드오버를 지시하는데(HANDOVER FROM UTRAN CMD)(S103), 이 메시지에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관련 메시지가 포함되며, 특히 채널 할당, 트래픽 채널 진입 등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게 된다.
이후, 이동통신 단말은 ORM(Origination Message)를 이용하여 기지국(BTS, 310)로 발신을 시도하고(ORM[DRS=1])(S104), 이에 따라 기지국(310)과 교환기(330)간에 호 처리 및 채널 할당이 수행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동통신 단말의 발신 시도에 따라 기지국(310)은 교환기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CM Serv. Req.)(S105), 교환기(330)는 기지국(310)으로 채널 할당을 요청하며(Assign. Req.)(S106), 이를 수신한 기지국(310)이 이동통신 단말로 채널 할당 메시지를 전송한다(ECAM; Extended Channel Assignment Message)(S107).
다음에, 이동통신 단말(동기 모듈)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310) 간에 호 처리 설정 관련 협상(negotiate and connect service)이 이루어지고(S108) 트렁크 설정 과정이 수행된다. 트렁크 설정 과정은 A-인터페이스에 의해 수행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지국(310)이 패킷 제어기(PCF, 320)로 트렁크 설정을 요청하면(A9 Setup-A8)(S109), 패킷 제어기(320)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DSN, 340)으로 트렁크 설정을 요청하고 그 응답을 수신하며(A11 RRQ, A11 RRP)(S110, S111),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340)의 응답 신호를 패킷 제어기(320)가 기지국(310)으로 전송한다(A9 Connect-A8)(S112).
이와 같이, 트렁크 설정이 완료되면 이동통신 단말과 기지국(310) 간에 무선 링크 프로토콜(Radio Link Protocol; RLP)의 초기화가 수행되고(RLP Initialization)(S113), 기지국(310)은 교환기(330)로 채널 할당이 완료되었음을 보고한다(Assignment Complete)(S114). 이어서, 이동통신 단말과 PDSN(340) 간에 PPP 설정이 이루어져(PPP Establishment)(S115) 새로운 패킷 데이터 호를 설정한 후, 모바일 IP 할당 과정을 수행한다.
모바일 IP 할당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동통신 단말이 패킷 제어기(320)로 모바일 IP를 할당해 줄 것을 요청하고(MIP registration request)(S116), 이에 따라 패킷 제어기(320)가 AAA(360)로 이동통신 단말의 인증을 요구한다(Access Request)(S117).
이에 따라 AAA(360)에서 이동통신 단말의 적법성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PDSN(340)으로 전송하며(Access Reply)(S118), AAA(360)로부터 수신한 적법성 확인 결과 이동통신 단말이 접속 가능한 단말인 경우 PDSN(340)은 홈 에이전트(350)로 모바일 IP를 할당해 줄 것을 요청한 후, 그 응답을 수신한다(MIP RRQ/RRP)(S119, S120). 이와 같이 하여 모바일 IP가 할당되면, 이를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한다(MIP registration reply)(S121).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과의 접속을 완전히 해제하고,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새로운 모바일 IP를 할당받아 도먼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프로토콜 스택의 예시도로서,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은 DBDM 단말기에서 공통 모듈(140)이 이동통신 단말을 제어하는 구조를 갖는 경우 적용 가능한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낸다.
먼저, 도 6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PDP 타입을 PPP로 사용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홈 에이전트(350)와의 인터페이스 구축에 의해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홈 에이전트(350)는 IP망(40)과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으로서 코딩, 변조 등을 수행하기 위한 계층(L1, 물리계층), 메시지의 정확한 전송을 위한 응답을 처리하기 위한 계층(L2) 및 IP 계층을 포함한다. 또한, 비동기망의 GGSN(260) 및 동기망의 PDSN(340)과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으로서 계층 L1, 계층 L2 및 계층 L2의 터널링을 위한 IP 터널링 계층을 포함한다.
비동기망의 GGSN(260)은 계층 L1, 계층 L2를 포함하고 홈 에이전트(350)의 IP 터널링 계층에 대응하여 IP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에서 메시지 교환을 수행하는 UDP/IP 계층, 패킷 데이터와 정보 흐름을 정의하기 위한 GTP(GPRS Tunneling Protocol)-U 계층, 데이터 통신을 위한 패킷의 압축, 인증,IP 할당 등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PPP(Point-to-Point Protocol) 계층을 포함한다.
또한, SGSN(240)은 GGSN(260)과 Gn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며, GGSN(260)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변환을 위하여, L1 계층에 대응하는 L1bis 계층, L2 계층에 대응하여 패킷 데이터의 생성, 추출, 교환 등을 수행하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계층을 포함하고, 그 이상의 계층(UDP/IP, GTP-U)에서 사용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노드B/무선망 제어기(210, 220)는 SGSN(240)과 Iu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되며, SGSN(240)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변환을 위하여, L1bis 계층에 대응하는 L1 계층, ATM 계층에 대응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를 위한 무선 자원 할당 등을 수행하는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 UDP/IP 계층에 대응하여 이동통신 단말과 무선 링크 설정을 수행하고, 패킷 데이터의 조합, 분할 등을 수행하 기 위한 RLC(Radio Link Control) 계층, GTP-U 계층에 대응하여 패킷 데이터 헤더의 압축 등을 수행하기 위한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을 포함한다.
아울러, 이동통신 단말의 비동기 모뎀부(123)는 노드B/무선망 제어기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의 변환을 위하여 L1 계층은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지 않고, MAC/RLC/PDCP 계층에 대응하여 링크의 접속과 해지를 위한 링크 관리, 동기화 문제, 흐름 제어, 오류 제어 등을 수행하기 위한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프레이밍 계층을 포함하고, GGSN(260)의 PPP 계층에 의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PPP 계층을 포함한다.
한편 PDSN(340)은 홈 에이전트(350)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기 위하여 계층 L1, 계층 L2 및 IP 터널링 계층에 대응하여 IP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에서 메시지 교환을 수행하는 UDP/IP 계층, 패킷의 암호화, 압축을 수행하기 위한 GRE(Generic Routing Encapsulation) 계층, 데이터 통신을 위한 패킷의 압축, 인증,IP 할당 등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PPP(Point-to-Point Protocol) 계층을 포함한다.
패킷 제어기(PCF, 320)는 PDSN(340)과 A-인터페이스(A10)에 의해 접속되며, PDSN(340)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변환을 위하여, 계층 L1에 대응하는 L1bis 계층, L2 계층에 대응하여 패킷 데이터의 생성, 추출, 교환 등을 수행하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계층을 포함하고, 그 이상의 계층(UDP/IP, GRE)에서 사용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기지국(BTS, 310)은 패킷 제어기(PCF, 320)와 A-인터페이스(A8)에 의해 접속되며, 패킷 제어기(PCF, 320)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변환을 위하여 L1bis 계층에 대응하는 L1 계층, ATM 계층에 대응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를 위한 무선 자원 할당 등을 수행하는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 UDP/IP 계층에 대응하여 무선 구간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의 재전송을 요구하기 위한 RLP(Radio Link Protocol) 계층을 포함한다.
아울러,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부(133)는 기지국/패킷 제어기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의 변환을 위하여 L1 계층은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지 않고, MAC/RLP 계층에 대응하여 링크의 접속과 해지를 위한 링크 관리, 동기화 문제, 흐름 제어, 오류 제어 등을 수행하기 위한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프레이밍 계층을 포함하고, GGSN(260)의 PPP 계층에 의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PPP 계층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이동통신 단말의 공통 모듈(140)은 비동기 모뎀부(123) 및 동기 모뎀부(133)에서 수신한 데이터의 프로토콜 변환을 위하여 L1 계층, PPP 계층, IP 계층, 전송(Transport) 계층, 응용(Application) 계층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비동기 모뎀부(123) 및 동기 모뎀부(133)는 단순히 통신 기능만 담당하며, 공통 모듈에서 PPP와 IP 계층 상위단의 프로토콜이 설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PDP 타입의 IP를 사용하는 경우로서, PPP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PPP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도 6과 달리 GGSN(260)과 이동통신 단말의 비동기 모뎀부(123)에 PPP 계층이 사용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이용 중 비동기망으로부터 동기망으로의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하여 동기망에서 이동통신 단말로 새로운 PPP 설정 및 모바일 IP 할당 과정이 수행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로 연속적인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이 도먼트 상태에 있는 경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한 후에도 계속해서 도먼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패킷 데이터 서비스에 즉시 반응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비동기 모뎀부 및 동기 모뎀부를 구비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핸드오버 방법으로서,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도먼트 상태에 있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SGSN/GGSN이 핸드오버가 필요함을 수신하는 제 1 과정;
    상기 SGSN/GGSN이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것을 명령하는 제 2 과정;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기지국으로 발신을 시도하여, 상기 기지국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교환기간에 호 처리 및 채널 할당이 수행되는 제 3 과정;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에 호 처리 설정 관련 협상을 수행하는 제 4 과정;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트렁크 설정을 수행하는 제 5 과정;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의 무선 링크 프로토콜을 초기화하는 제 6 과정;
    상기 기지국이 상기 교환기로 채널할당이 완료되었음을 보고하는 제 7 과정;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간에 패킷 데이터 호가 설정되는 제 8 과정; 및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모바일 IP 할당하는 제 9 과정;
    을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과정에서 상기 SGSN/GGSN은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노드B 또는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가 필요함을 보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과정에서 상기 SGSN/GGSN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식별 번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과정에서 상기 SGSN/GGSN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핸드오버 수행 명령 메시지는 채널 할당 정보, 트래픽 채널 진입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과정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발신 시도에 따라 상기 기지국이 상 기 교환기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교환기가 상기 기지국으로 채널 할당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채널 할당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과정은 상기 기지국이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패킷 제어기로 트렁크 설정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패킷 제어기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 트렁크 설정을 요청하고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킷 제어기가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의 응답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9 과정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패킷 제어기로 모바일 IP를 할당해 줄 것을 요청함에 따라, 상기 패킷 제어기가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AAA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인증을 요구하는 단계;
    상기 AAA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적법성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적법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가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홈 에이전트로 모바일 IP를 할당할 것을 요청하고, 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홈 에이전트에서 할당한 모바일 IP를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
  8. 비동기 모뎀부 및 동기 모뎀부를 구비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과의 무선 구간 통신을 위한 기지국으로서의 노드 B; 무선망 제어기;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을 포함하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무선 구간 통신을 지원하는 기지국; 패킷 제어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홈 에이전트를 포함하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혼재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이용 중 핸드오버가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홈 에이전트는 데이터 코딩, 변조를 수행하기 위한 계층 L1, 메시지 전송을 위한 응답을 처리하기 위한 계층 L2 및 IP 계층에 의해 IP망과 통신하고, 상기 계층 L1, 계층 L2 및 IP 터널링을 위한 계층에 의해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및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하며,
    상기 GGSN의 프로토콜 스택은 상기 홈 에이전트의 계층 L1 및 L2에 각각 대응하는 계층 L1 및 L2, 상기 홈 에이전트의 IP 터널링 계층에 대응하여 메시지 교 환을 수행하기 위한 UDP/IP 계층, 패킷 데이터와 정보 흐름을 정의하기 위한 GTP(GPRS Tunneling Protocol)-U 계층, 데이터 통신을 위한 패킷의 압축, 인증,IP 할당 등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PPP(Point-to-Point Protocol) 계층을 포함하고,
    상기 SGSN의 프로토콜 스택은 상기 GGSN의 L1 계층에 대응하는 L1bis 계층, L2 계층에 대응하여 패킷 데이터의 생성, 추출, 교환을 수행하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계층, UDP/IP 계층 및 GTP-U 계층을 포함하며,
    상기 노드B/무선망 제어기의 프로토콜 스택은 상기 SGSN의 L1bis 계층에 대응하는 L1 계층, ATM 계층에 대응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를 위한 무선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 UDP/IP 계층에 대응하여 이동통신 단말과 무선 링크 설정을 수행하고, 패킷 데이터의 조합, 분할을 수행하기 위한 RLC(Radio Link Control) 계층, GTP-U 계층에 대응하여 패킷 데이터 헤더의 압축을 수행하기 위한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비동기 모뎀부는 상기 노드B/무선망 제어기의 상기 MAC/RLC/PDCP 계층에 대응하여 링크의 접속과 해지를 위한 링크 관리, 동기화 문제, 흐름 제어, 오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프레이밍 계층, 상기 GGSN의 PPP 계층에 의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PPP 계층을 포함하는 프로토콜 스택에 의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9. 비동기 모뎀부 및 동기 모뎀부를 구비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 과의 무선 구간 통신을 위한 기지국으로서의 노드 B; 무선망 제어기;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을 포함하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무선 구간 통신을 지원하는 기지국; 패킷 제어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홈 에이전트를 포함하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혼재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이용 중 핸드오버가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홈 에이전트는 데이터 코딩, 변조를 수행하기 위한 계층 L1, 메시지 전송을 위한 응답을 처리하기 위한 계층 L2 및 IP 계층에 의해 IP망과 통신하고, 상기 계층 L1, 계층 L2 및 IP 터널링을 위한 계층에 의해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및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하며,
    상기 GGSN의 프로토콜 스택은 상기 홈 에이전트의 계층 L1 및 L2에 각각 대응하는 계층 L1 및 L2, 상기 홈 에이전트의 IP 터널링 계층에 대응하여 메시지 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UDP/IP 계층, 패킷 데이터와 정보 흐름을 정의하기 위한 GTP(GPRS Tunneling Protocol)-U 계층을 포함하고,
    상기 SGSN의 프로토콜 스택은 상기 GGSN의 L1 계층에 대응하는 L1bis 계층, L2 계층에 대응하여 패킷 데이터의 생성, 추출, 교환을 수행하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계층, UDP/IP 계층 및 GTP-U 계층을 포함하며,
    상기 노드B/무선망 제어기의 프로토콜 스택은 상기 SGSN의 L1bis 계층에 대응하는 L1 계층, ATM 계층에 대응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를 위한 무선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 UDP/IP 계층에 대응하여 이동통 신 단말과 무선 링크 설정을 수행하고, 패킷 데이터의 조합, 분할을 수행하기 위한 RLC(Radio Link Control) 계층, GTP-U 계층에 대응하여 패킷 데이터 헤더의 압축을 수행하기 위한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비동기 모뎀부는 상기 노드B/무선망 제어기의 상기 MAC/RLC/PDCP 계층에 대응하여 링크의 접속과 해지를 위한 링크 관리, 동기화 문제, 흐름 제어, 오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프레이밍 계층을 포함하는 프로토콜 스택에 의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홈 에이전트와 접속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의 프로토콜 스택은 상기 계층 L1 및 L2에 각각 대응하는 계층 L1 및 L2, 상기 IP 터널링 계층에 대응하여 메시지 교환을 수행하는 UDP/IP 계층, 패킷의 암호화, 압축을 수행하기 위한 GRE(Generic Routing Encapsulation) 계층, 데이터 통신을 위한 패킷의 압축, 인증,IP 할당 등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PPP(Point-to-Point Protocol) 계층을 포함하고,
    상기 패킷 제어기의 프로토콜 스택은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의 계층 L1에 대응하는 L1bis 계층, L2 계층에 대응하여 패킷 데이터의 생성, 추출, 교환 등을 수행하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계층, UDP/IP 계층 및 GRE 계층을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의 프로토콜 스택은 상기 패킷 제어기의 L1bis 계층에 대응하는 L1 계층, 상기 ATM 계층에 대응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를 위한 무선 자원 할당 등을 수행하는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 UDP/IP 계층에 대응하여 무선 구간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의 재전송을 요구하기 위한 RLP(Radio Link Protocol) 계층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부는 L1 계층, 상기 MAC/RLP 계층에 대응하여 링크의 접속과 해지를 위한 링크 관리, 동기화 문제, 흐름 제어, 오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프레이밍 계층, 상기 GGSN의 PPP 계층에 의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PPP 계층을 포함하는 프로토콜 스택에 의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공통 모듈은 상기 비동기 모뎀부 및 상기 동기 모뎀부에서 수신한 데이터의 프로토콜 변환을 위하여 L1 계층, PPP 계층, IP 계층, 전송(Transport) 계층, 응용(Application) 계층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KR1020040001283A 2004-01-08 2004-01-08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패킷 데이터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 KR100706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283A KR100706893B1 (ko) 2004-01-08 2004-01-08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패킷 데이터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
US10/585,403 US7843881B2 (en) 2004-01-08 2005-01-07 System for packet data service in the mixed network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hand-over method thereof
BRPI0506473-2A BRPI0506473A (pt) 2004-01-08 2005-01-07 sistema para serviço de pacote de dados em rede mista de rede de comunicação assìncrona e de rede de comunicação sìncrona e método de transmissão do mesmo
CN2005800020536A CN1910836B (zh) 2004-01-08 2005-01-07 在异步通信网络与同步通信网络的混合网络中用于分组数据服务的系统及其切换方法
PCT/KR2005/000050 WO2005067178A1 (en) 2004-01-08 2005-01-07 System for packet data service in the mixed network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hand-over method thereof
JP2006549119A JP4625814B2 (ja) 2004-01-08 2005-01-07 非同期網と同期網が混在する移動通信網におけるパケットデータサービスのための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ハンドオーバー方法
US12/568,799 US8036709B2 (en) 2004-01-08 2009-09-29 System for packet data service in the mixed network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hand-over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283A KR100706893B1 (ko) 2004-01-08 2004-01-08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패킷 데이터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096A KR20050073096A (ko) 2005-07-13
KR100706893B1 true KR100706893B1 (ko) 2007-04-11

Family

ID=37262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283A KR100706893B1 (ko) 2004-01-08 2004-01-08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패킷 데이터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68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030B1 (ko) 2011-07-15 2012-11-3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송수신장치 및 송수신장치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896B1 (ko) * 2008-12-09 2011-02-2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Hnb를 이용한 개방형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3380581B (zh) 2011-06-03 2017-12-05 Sk电信有限公司 收发装置和收发装置的操作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9491A (ko) * 1999-10-22 2001-05-15 박종섭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기지국과 비동기식 기지국간핸드오프 처리방법
KR20010059522A (ko) * 1999-12-30 2001-07-06 윤종용 비동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동기 이동통신시스템으로의핸드오프 수행장치 및 방법
US20020105927A1 (en) 2001-02-02 2002-08-08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and system for inter-operator handover between WCDMA and GSM
KR20050017318A (ko) * 2003-08-12 2005-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대기모드 핸드오버를 수행 중 듀얼모드단말의 호 착신장치 및 방법
KR20050055563A (ko) * 2003-12-08 2005-06-13 이노에이스(주) 시디엠에이 모뎀의 상태 천이 방법 및 상기 시디엠에이모뎀을 포함한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의 핸드오프시상태 천이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9491A (ko) * 1999-10-22 2001-05-15 박종섭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기지국과 비동기식 기지국간핸드오프 처리방법
KR20010059522A (ko) * 1999-12-30 2001-07-06 윤종용 비동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동기 이동통신시스템으로의핸드오프 수행장치 및 방법
US20020105927A1 (en) 2001-02-02 2002-08-08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and system for inter-operator handover between WCDMA and GSM
KR20050017318A (ko) * 2003-08-12 2005-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대기모드 핸드오버를 수행 중 듀얼모드단말의 호 착신장치 및 방법
KR20050055563A (ko) * 2003-12-08 2005-06-13 이노에이스(주) 시디엠에이 모뎀의 상태 천이 방법 및 상기 시디엠에이모뎀을 포함한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의 핸드오프시상태 천이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030B1 (ko) 2011-07-15 2012-11-3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송수신장치 및 송수신장치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096A (ko) 200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6709B2 (en) System for packet data service in the mixed network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hand-over method thereof
JP4713499B2 (ja) 非同期網と同期網が混在する移動通信網におけるパケットデータサービスのための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ハンドオーバー方法
US7372835B2 (en) Handoff system and method of dual mode mobile for connecting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network
RU2369986C2 (ru) Способ переключения обслуживания с коммутацией пакетов
JP3917427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接続
US20060099949A1 (en) Handover system and method in heterogeneous network
EP1404143B1 (en) Handover of a wireless terminal
KR100678151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로밍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060046728A1 (en)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JP2008529443A (ja) セルラー網と無線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間の密結合連動方法及び装置
KR20050008746A (ko) 셀룰러와 무선 근거리 통신망 사이의 효율적인 핸드오프
WO2003096594A3 (en) Handover in a hybrid communications network
KR100711313B1 (ko)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간의 망 연동 방법
KR100706893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패킷 데이터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
CN1910837B (zh) 在异步通信网络与同步通信网络的混合网络中用于分组数据服务的系统及其切换方法
JP2007534265A (ja) 非同期網と同期網との間のパケットハンドオーバーを可能にするための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パケットハンドオーバー方法と、このための移動通信端末
KR100779403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패킷 데이터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
KR100601877B1 (ko) Cdma2000망과 휴대 인터넷간의 연동이 가능한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서의 로밍 방법
KR100749532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패킷 데이터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
KR101005176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의 핸드오버방법
KR20050121118A (ko) 씨디엠에이 2000과 휴대인터넷망간 핸드오프 시스템 및이를 이용한 핸드오프 방법
KR100589953B1 (ko)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핸드오버 방법
KR100636328B1 (ko) 이종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의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KR100334804B1 (ko) 비동기 전송모드를 기반으로 한 알-피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
KR100612676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묵음구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