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386B1 - 투명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원적외선 방출 생분해성 시트조성물 - Google Patents

투명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원적외선 방출 생분해성 시트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386B1
KR100770386B1 KR1020060061967A KR20060061967A KR100770386B1 KR 100770386 B1 KR100770386 B1 KR 100770386B1 KR 1020060061967 A KR1020060061967 A KR 1020060061967A KR 20060061967 A KR20060061967 A KR 20060061967A KR 100770386 B1 KR100770386 B1 KR 100770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ar
pla
far infrared
infrared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1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식
이상하
박양호
Original Assignee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1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3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3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6Biodegrad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유산(PLA)에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와 원적외선방사체를 함께 용융압출하여 생분해성 시트를 제공하는 것으로, 폴리유산(PLA)의 투명성을 유지하고, 깨지기 쉬운(BRITTLE) 특성도 개선시키면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기능을 갖춘 실용성이 우수한 시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트 조성물은 폴리유산(PLA) 99.8~96.0중량%에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0.1~1.0중량%, 원적외선방사체 0.1~3.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폴리유산, 폴리에스테르, 맥반석, 생분해성, 원적외선방사체

Description

투명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원적외선 방출 생분해성 시트 조성물{BIODEGREDABLE SHEET COMPOSITION EMITTING FAR INFRARED RAY AND HAVING EXCELLENT TRANSPARENCY AND FLEXIBILITY}
본 발명은 유연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원적외선 방출 생분해성 시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유산(PLA) 99.8~96.0중량%에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0.1~1.0중량%, 원적외선 방사체 0.1~3.0중량%로 이루어짐에 따라 유연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원적외선 방출 생분해성 시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합성 플라스틱은 뛰어난 물성과 함께 값싸고 가벼운 특성으로 인하여 세계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합성 플라스틱의 장점이자 단점으로 분해가 잘 되지 않는 문제로 인하여 최근 각국에서 이에 대한 해결책을 찾으려 관심을 모으고 있다. 그 동안은 매립, 소각 및 재생이라는 방법을 주로 활용해 왔으나, 이들 방법으로는 환경오염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 없었다. 따라서 사용이 완료된 플라스틱이 스스로 분해가 가능하도록 만드는 소위 분해성 플라스틱 개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분해성 플라스틱과 관련된 기술을 세분하면 생분해 기술, 광분해 기술 그리고 이들 두 기술을 조합한 생·광분해 기술로 나누어진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는 PHB(Poly-hydroxybutylate)등과 같은 미생물 생산 고분자, 미생물 생산 바이오케미칼(Biochemical)을 합성원료로 한 고분자, 화학적으로 합성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키틴(chitin)등의 천연고분자 및 전분 등을 첨가한 플라스틱 등 여러 형태가 있다. 하지만, 이들 플라스틱은 기존 플라스틱에 비해 기계적 물성이 떨어지며, 가격이 비싼 까닭으로 값싼 전분 등을 혼합해야 하는 까닭에 투명성 및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근래에 들어 폴리유산(이하 PLA)은 L-유산의 발효법 개발에 의해 대량 또한 값싸게 제조되고 있으며, 퇴비화 조건에서 분해속도가 빠르고, 곰팡이에 대한 저항성, 식품에 대한 내착취성 등 우수한 특징을 보유해 그 이용 분야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이 환경친화적이고 실용화가 가능한 PLA는 시트로 성형된 후 각종 식품포장용기의 소재로 이용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기존 합성플라스틱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기능성을 갖추고 있지는 못하다. 이는 다른 합성플라스틱과는 다른 PLA 고유의 특징에 따른 기능성 부여기술이 뒷받침이 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현재 상용화가 되지 못한 기능성 PLA계 시트로는 원적외선 방출시트가 있으며, 원적외선 방출시트로 제조된 작종 용기의 경우 용기자체에서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함으로써, 본 용기로 식품을 포장할 경우 식품의 신성도 유지, 숙성효과, 냄새제거 등의 다양한 기능성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우수한 기능에도 불구하고 PLA시트에 본 기능성이 적용되지 못한 이유는 PLA의 단점인 깨짐성(BRITTLE)에 대한 문제해결과 장점인 투명성을 저해시키지 않아야 하는 문제 때문에 아직까지 원 적외선 방출기능을 갖춘 PLA계 시트에 관한 기술은 소개된 바가 없다.
원적외선 방출기능시트에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는 (주)새한의 성형성이 우수하고 원적외선 방출 효과가 뛰어난 수지시트의 제조방법특허(KR10-2003-002333 공개번호 이하같다)이 있으나, 이는 합성플라스틱에 적용한 것으로 생분해성 수지와는 차이가 있으며, 본 기술을 PLA에 적용할 경우 깨짐성(BRITTLE)과 투명성에 대한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또한, 원적외선 방출기능 조성물에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의 광물 성분을 함유한 생분해성 폴리머특허(KR10-2005-0116883)가 있으나, 이는 단순히 생분해성 조성물에 대한 특허로 원적외선과 음이온의 방출기술에만 초점을 맞춘 것으로 식품포장용기에 적합한 유연성과 투명성에 대한 고려가 없다. PLA의 단점인 깨짐성(BRITTLE)의 개선에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는 일본 미쯔이사의 PLA와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 전분, 가소제로 이루어진 조성물특허(JP11241008), 일본 미쯔비시사의 PLA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조성물 특허(JP11124495), 일본 유니티카사의 PLA와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가소제 등으로 이루어진 필름특허(JP11327107), 일본 시세이도사의 PLA와 PBS로 이루어진 용기특허(JP2001039426), 이래화학의 PLA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조성물 특허(KR10-2003-0022514) 및 PLA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조성물특허(KR10-2001-0045677), 유럽 NOVAMONT사의 PLA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조성물 특허(EP1227129) 및 PLA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카프로락톤(PCL)로 이루어진 조성물 특허(EP1227130) 등이 있다. 이들 기술은 단순히 PLA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및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를 블랜드 시키는 것 이외에도 부족한 물성을 강화하기 위해 기타 가소제, 무기 충전제, 전분 등을 혼합하였으며, 어떤 경우에는 PLA의 함량보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및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함량이 더 높게 되어 있어 PLA의 고유 특성 특히, 투명성을 유지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폴리유산(PLA)에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와 원적외선 방사체를 함께 용융압출하여 시트를 제작하는 것으로 PLA의 함량이 전체 조성물 함량 중 99.8~96.0중량%이상을 차지하는 생분해성 시트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시트는 PLA의 투명성을 유지하고, 깨지기 쉬운(BRITTLE) 특성도 개선시키면서도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기능을 갖춘 실용성이 우수한 시트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폴리유산(PLA) 99.8~96.0중량%에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0.1~1.0중량%, 원적외선 방사체 0.1~3.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원적외선 방출 생분해성 시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용된 폴리유산은 L-락트산, D-락트산 또는 L,D-락트산으로 구성되며, 분자량은 10,000이상 이다. 이들 폴리유산은 단독 혹은 복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로는 ROOC(CH2)nCOOR'(R, R'은 수소 또는 알킬기, n은 2~14의 정수)구조를 가지는 숙신산, 글루탈산, 말론산, 옥살산, 아디프산, 세바신산, 아젤라산, 노난디카르복실산과 이들의 알킬 또는 아릴에스테르 유도체로 구성되는 군으로 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며, 글리콜류는 HO-(CH2)n-OH(n은 2이상의 정수)구조를 가지는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타디올, 1,6-헥산디옥이나 프로필렌그리콜, 1,4-시클로헥산디올, 헥사메틸렌그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그릴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로 구성되는 알킬렌글리콜이나 폴리알킬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이나 일반식(1)로 표현되는 분지구조를 형성 할 수 있는 지방족 2가 알콜인 1,2-프로판디올, 1,2부타디올, 1,3-부탄디올, 1,2-펜타디올, 1,3-펜탄디올, 1,4-헥산디올, 1,2-헥산디올, 1,3-헥산디올, 1,4-헥산디올, 1,5-헥산디올, 1,2-옥탄디올, 1,3-옥탄디올, 1,4-옥탄디올, 1,5-옥탄디올, 1,6-옥탄디올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이 사용 될 수 있다.
일반식(1)
Figure 112006047646647-pat00001
상기 일반식(1)에서 R1은 C2~C8의 알킬렌기이며, R2는 C2~C8의 알킬기이다.
원적외선 방사체는 세라믹(맥반석), 게르마늄, 옥가루, 벤토나이트, 옥토, 황토, 참숯, 해조탄, 토르말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원적외선 방사체 중 적어도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마스터배치칩(Master Batch Chip)으로 제조하여 시트 압출시 사용된다. 본 마스터배치칩(Master Batch Chip) 제조시에 기초(BASE)원료로는 분쇄된 PLA원료를 사용하며, 투입되는 원적외선 방사체는 0.1~50.0㎛범위의 평균입경을 가지는 것으로 전체 마스터배치칩(Master Batch Chip)의 함량중에서 10~30중량%로 투입되어야 한다. 전체 마스터배치칩(Master Batch Chip)의 함량에서 원적외선 방사체입자의 함량은 클수록 좋으나, 마스터배치칩(Master Batch Chip) 제조과정에서 우수한 분산성과 생산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10~20중량%가 가장 좋다.
상기의 폴리유산과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원적외선 방사체로 이루어지는 원적외선 방출 생분해성 시트 조성물은 각 성분의 혼합 용융압출에 의해 제조되며 전체 시트 조성물의 함량에서 폴리유산의 함량이 99.8~96.0중량%로 조절되어야 한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함량은 전체 시트 조성물의 함량에서 0.1~ 1.0중량%가 되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0.5~0.8중량%가 가장 좋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함량이 0.1중량% 이하에서는 폴리유산의 깨지기쉬운(BRITTLE) 특성을 개선시킬 수 없으며, 1.0중량% 이상 일때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성분의 영향으로 인해 폴리유산의 장점인 투명성을 유지시킬 수가 없다. 시트의 경우 두께에 따라 광학적 특성에 차이가 있으며, 동일 함량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를 투입하더라도 시트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투명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기 때문에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를 1.0중량% 이상 함유시키기가 어렵다. 원적외선 방사체의 경우 전체 시트 조성물의 함량에서 0.1~3.0중량%가 되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0.3~1.0중량%가 가장 좋다. 이는 0.1중량% 이하에서는 원적외선 방출에너지가 작기 때문에 충분한 원적외선 방출효과를 가지기 어렵기 때문이며, 3.0중량% 이상에서는 원적외선 방출효과는 증대되지만 시트의 투명성이 저하되고, 시트의 유연성이 떨어져 쉽게 깨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시트의 투명성은 그 두께에 따라 다르지만, 400~700nm의 빛을 투과 시켰을 때 전투과성에 대한 산란광의 정도인 HAZE%로 볼 때 2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에 따라 다르지만,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와 원적외선 방사체의 함량이 각각 1.0중량%, 3.0중량% 이상에서는 20%이하의 HAZE%를 가지기 어렵다. 또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와 원적외선 방사체의 함량이 각각 1.0중량%, 3.0중량% 이하에서도 PLA과의 혼합에서 분산이 충분하지 못할 경우 20% 이상의 HAZE%를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PLA과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원적외선 방사체의 혼합 시 적절한 혼합조건을 부여하여 최상의 분산 상태를 이루어야 한다. 즉, 매트릭스 수지인 PLA 내에 분산상으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및 원적외선 방사체가 분산되어 있는 개념으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및 원적외선 방사체의 domain size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가시광선 영역에서 빛의 산란을 최소화 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PLA과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및 원적외선 방사체의 용융압출 시 기존의 일반 쌍(twin) 압출기를 통해 적정온도 수준에서 압출을 진행하였으며, 이때 PLA과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및 원적외선 방사체의 수분율을 최소로 유지하였 으며, 바람직하게는 300ppm이하의 수분율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압출기에 2곳의 진공 분출구(vent)를 두어 수지의 융용 시 발생하는 수분을 최대한 제거 하였다. 본 용융압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온도조건이며 180~250℃ 의 온도범위, 바람직하게는 200~230℃의 온도범위에서 가공을 하는 것이 좋다. 이는 수지 조성물의 열분해를 최소로 하여 시트조성물의 유연성을 배가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충분한 용융온도를 유지함으로써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및 원적외선 방사체의 분산성을 키워 시트조성물의 투명성을 높여 주는 효과가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PLA의 깨지기쉬운(BRITTLE) 단점을 보완함과 동시에 PLA의 장점인 투명성을 그대로 유지시킨 생분해성 시트조성물에 원적외선 방출 기능을 추가한 것으로 기존의 합성플라스틱과 유사한 물성을 가지지만 사용이 완료된 후 일반적인 퇴비조건에서 생분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의 실시 예 및 비교 예는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필요한 측정 및 평가 방법은 아래와 같은 조건에서 행하였다.
(1)기계적 강도(인장강도 ; ASTM D 882A)
인장시험기를 사용하여 온도 23±2℃, 상대습도 50±2%인 상태에서 인장속도 10mm/분으로 측정을 행하였다. 또한, 시트의 길이 방향을 MD, 폭방향을 TD로 표시 하였다.
(2)유연성 (신도 ; ASTM D 882A)
상기 인장강도와 같은 조건에서 시트가 파단할 때까지의 신율을 구하였다.
(3)투명성 (ASTM D 1003)
가로, 세로 5cm의 시편을 제작하여 Haze Meter(Nippon Denshoku)를 이용하여 400~700nm의 파장을 갖는 빛을 투과시키며, 이때 전투과광에 대한 산란광을 측정한 Haze% 수치를 표시하였다.
(4) 원적외선 방사율 (Far Infared Emissivity Test)
FR-IR을 사용하여 원적외선의 방사율을 측정하였다. 시료의 크기는 30x30mm이며, 시료로에 시료를 밀착시켜 시료를 40℃로 가열하여 시료로부터 나오는 원적외선 방사율을 파장 5~20㎛의 범위에서 측정하였다. 원적외선 방사율은 방사율 %로 표시하였다.
(실시예 1)
폴리유산으로 N.W LLC사의 PLA수지 99.4kg과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로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코-아디페이트(Polybutylenesuccinate-co-adipate, PBSA) 0.1kg, 원적외선 방사체로 맥반석이 20중량% 함유된 PLA BASE 마스터배치칩(Master Batch Chip) 0.5kg을 혼합하여 전체 조성물 함량이 PLA 99.8중량%, PBSA 0.1중량%, 맥반석 0.1중량%가 되도록 한 후 이축압출기를 통해 210~240℃의 가공온도에서 용융 블랜딩 시킨 후 SLIP형 DIE를 통해 토출시켜 350㎛ 두께의 SHEET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SHEET에서 시편을 제작하여 인장강도, 신도, 투명성, 원적외선 방사율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폴리유산으로 N.W LLC사의 PLA수지 94.5kg과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로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아디페이트(Polybutylenesuccinate-co-adipate, PBSA) 0.5kg, 원적외선 방사체로 맥반석이 20중량% 함유된 PLA BASE 마스터배치칩(Master Batch Chip) 5.0kg을 혼합하여 전체 조성물 함량이 PLA 98.5중량%, PBSA 0.5중량%, 맥반석 1.0중량%가 되도록 한 후 이축압출기를 통해 210~240℃의 가공온도에서 용융 블랜딩 시킨 후 SLIP형 DIE를 통해 토출시켜 350㎛ 두께의 SHEET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SHEET에서 시편을 제작하여 인장강도, 신도, 투명성, 원적외선 방사율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폴리유산으로 N.W LLC사의 PLA수지 84.0kg과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로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아디페이트(Polybutylenesuccinate-co-adipate, PBSA) 1.0kg, 원적외선 방사체로 맥반석이 20중량% 함유된 PLA BASE 마스터배치칩(Master Batch Chip) 15.0kg을 혼합하여 전체 조성물 함량이 PLA 96.0중량%, PBSA 1.0중량%, 맥반석 1.0중량%가 되도록 한 후 이축압출기를 통해 210~240℃의 가공온도에서 용융 블랜딩 시킨 후 SLIP형 DIE를 통해 토출시켜 350㎛ 두께의 SHEET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SHEET에서 시편을 제작하여 인장강도, 신도, 투명성, 원적외선 방사율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폴리유산으로 N.W LLC사의 PLA수지 99.7kg과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로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아디페이트(Polybutylenesuccinate-co-adipate, PBSA) 0.05kg, 원적외선 방사체로 맥반석이 20중량% 함유된 PLA BASE 마스터배치칩(Master Batch Chip) 0.25kg을 혼합하여 전체 조성물 함량이 PLA 99.9중량%, PBSA 0.05중량%, 맥반석 0.05중량%가 되도록 한 후 이축압출기를 통해 210~240℃의 가공온도에서 용융 블랜딩 시킨 후 SLIP형 DIE를 통해 토출시켜 350㎛ 두께의 SHEET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SHEET에서 시편을 제작하여 인장강도, 신도, 투명성, 원적외선 방사율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폴리유산으로 N.W LLC사의 PLA수지 93.0kg과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로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아디페이트(Polybutylenesuccinate-co-adipate, PBSA) 2.0kg, 원적외선 방사체로 맥반석이 20중량% 함유된 PLA BASE 마스터배치칩(Master Batch Chip) 5.0kg을 혼합하여 전체 조성물 함량이 PLA 97.0중량%, PBSA 2.0중량%, 맥반석 1.0중량%가 되도록 한 후 이축압출기를 통해 210~240℃의 가공온도에서 용융 블랜딩 시킨 후 SLIP형 DIE를 통해 토출시켜 350㎛ 두께의 SHEET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SHEET에서 시편을 제작하여 인장강도, 신도, 투명성, 원적외선 방사율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폴리유산으로 N.W LLC사의 PLA수지 79.0kg과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로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아디페이트(Polybutylenesuccinate-co-adipate, PBSA) 1.0kg, 원적외선 방사체로 맥반석이 20중량% 함유된 PLA BASE 마스터배치(Master Batch Chip) 20.0kg을 혼합하여 전체 조성물 함량이 PLA 95.0중량%, PBSA 1.0중량%, 맥반석 4.0중량%가 되도록 한 후 이축압출기를 통해 210~240℃의 가공온도에서 용융 블랜딩 시킨 후 SLIP형 DIE를 통해 토출시켜 350㎛ 두께의 SHEET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SHEET에서 시편을 제작하여 인장강도, 신도, 투명성, 원적외선 방사율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폴리유산으로 N.W LLC사의 PLA수지 78.0kg과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로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아디페이트(Polybutylenesuccinate-co-adipate, PBSA) 2.0kg, 원적외선 방사체로 맥반석이 20중량% 함유된 PLA BASE 마스터배치(Master Batch Chip) 20.0kg을 혼합하여 전체 조성물 함량이 PLA 94.0중량%, PBSA 2.0중량%, 맥반석 4.0중량%가 되도록 한 후 이축압출기를 통해 210~240℃의 가공온도에서 용융 블랜딩 시킨 후 SLIP형 DIE를 통해 토출시켜 350㎛ 두께의 SHEET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SHEET에서 시편을 제작하여 인장강도, 신도, 투명성, 원적외선 방사율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47646647-pat00002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폴리유산의 깨지기쉬운(BRITTLE) 단점을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사용을 통해 개선을 이루었으며, 원적외선 방사체를 적용하여 원적외선 방출 생분해성 시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본 시트 조성물은 폴리유산의 장점인 투명성을 그대로 유지시킨 것이 특징으로 기존의 플라스틱과 유사한 가공성, 물성, 기능성을 보유해 실제 사용이 가능한 환경친화성 제품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실용 가치가 우수한 시트 조성물이다.

Claims (5)

  1. 폴리유산 99.8~96.0중량%,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0.1~1.0중량%, 원적외선방사체 0.1~3.0중량%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시트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유산은 L-락트산, D-락트산 또는 L,D-락트산으로 구성되며, 분자량은 10,000이상인 것으로, 이들이 단독 혹은 복합으로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시트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ROOC-(CH2)n-COOR′(R, R′은 수소 또는 알킬기, n은 2~14정수)구조의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과, HO-(CH2)n-OH (n은 2이상의 정수)구조의 디올 또는 폴리알킬렌글리콜이나 일반식(1)로 표현되는 구조의 지방족 2가 알콜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로부터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시트 조성물.
    일반식(1)은
    Figure 112007044654925-pat00003
    이고, 상기 일반식(1)에서 R1은 C2~C8의 알킬렌기이며, R2는 C2~C8의 알킬기이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방사체는 세라믹, 맥반석, 게르마늄, 옥가루, 벤토나이트, 옥토, 황토, 참숯, 해조탄, 토르말린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시트 조성물.
  5. 삭제
KR1020060061967A 2006-07-03 2006-07-03 투명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원적외선 방출 생분해성 시트조성물 KR100770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1967A KR100770386B1 (ko) 2006-07-03 2006-07-03 투명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원적외선 방출 생분해성 시트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1967A KR100770386B1 (ko) 2006-07-03 2006-07-03 투명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원적외선 방출 생분해성 시트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0386B1 true KR100770386B1 (ko) 2007-10-26

Family

ID=38815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1967A KR100770386B1 (ko) 2006-07-03 2006-07-03 투명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원적외선 방출 생분해성 시트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03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694B1 (ko) * 2019-08-12 2019-10-31 금강기업 주식회사 비결정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506A (ko) * 2003-02-17 2003-04-08 김창균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한 다기능성 농업용 멀칭필름
KR20030042945A (ko) * 2001-11-26 2003-06-02 심재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제조되는 생분해성 수지 필름
US20040248486A1 (en) 2003-06-03 2004-12-09 Hodson Simon K. Fibrous sheets coated or impregnated with biodegradable polymers or polymers blen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945A (ko) * 2001-11-26 2003-06-02 심재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제조되는 생분해성 수지 필름
KR20030028506A (ko) * 2003-02-17 2003-04-08 김창균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한 다기능성 농업용 멀칭필름
US20040248486A1 (en) 2003-06-03 2004-12-09 Hodson Simon K. Fibrous sheets coated or impregnated with biodegradable polymers or polymers blen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694B1 (ko) * 2019-08-12 2019-10-31 금강기업 주식회사 비결정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9614B2 (en) Biodegradable nanopolymer compositions and biodegradable articles made thereof
EP2013280B1 (en) Novel biodegradable polymer composition useful for the preparation of biodegradable plastic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aid composition
TWI386457B (zh) 生物分解性樹脂組成物,其製造方法,及使用該組成物之成形體
KR101022786B1 (ko) 폴리락트산-함유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US7138439B2 (en) Biodegradable compounds including poly(lactic acid) polymer compositions and products
JP2005035134A (ja) 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KR102194850B1 (ko) 폴리락틱산,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코-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JPWO2017138392A1 (ja) 生分解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該樹脂組成物から成る成形体
US11952489B2 (en) Biologically degradable film
KR20080067424A (ko) 다층구조를 가진 생분해성 시트
KR100770386B1 (ko) 투명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원적외선 방출 생분해성 시트조성물
Babaniyi et al. Recycling of used polyethylene through solvent blending of plasticized polyhydroxybutyrate and its degradation potential
KR20060035384A (ko) 유연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KR101082397B1 (ko)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JP2004250500A (ja) ポリ乳酸系樹脂組成物
JP5170359B2 (ja) 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2006342196A (ja) 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2023141764A (ja) 生分解性複合体組成物
Phommachanh Effects of accelerated weathering on the properties of polylactic acid toughened with an ethylene copolymer as an impact modifier
Adur Bio-based plastics compounds for the emerging bio economy
JP2008019418A (ja) 生分解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体
Burns Mechanical properties and compostability of injection-moulded biodegradable compositions
JP2011099065A (ja)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KR20140081978A (ko)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