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8506A -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한 다기능성 농업용 멀칭필름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한 다기능성 농업용 멀칭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8506A
KR20030028506A KR1020030009943A KR20030009943A KR20030028506A KR 20030028506 A KR20030028506 A KR 20030028506A KR 1020030009943 A KR1020030009943 A KR 1020030009943A KR 20030009943 A KR20030009943 A KR 20030009943A KR 20030028506 A KR20030028506 A KR 20030028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degradable
mulching film
matrix resin
agricultural mulching
multifunctional agricul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9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균
정헌석
Original Assignee
김창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균 filed Critical 김창균
Priority to KR1020030009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8506A/ko
Publication of KR20030028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850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01G13/0275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8Additives for biodegradable polymeric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6Biodegrada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분해성수지(매트릭스수지와 전분 및 변형 전분의 컴파운딩체, 매트릭스수지와 복합분해 첨가제의 컴파운딩체, 생분해 매트릭스수지)와 제올라이트, 맥반석, 키토산, 황토, 숯, 게르마늄과 같은 기능성 첨가제를 함유하는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생분해성수지 100중량부, 제올라이트, 맥반석, 키토산, 황토, 숯, 게르마늄과 같은 기능성 첨가제 1 내지 10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생분해성 수지는 미생물에 의하여 자연분해 되므로 작물재배 후 별도의 수거작업이 필요없어 노동력 감소로 인한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토양오염을 일으키지 않아 후속 재배작물에 전혀 영향을 주지않는다. 따라서, 종래의 비분해 멀칭용 비닐 폐기물의 매립, 소각 증에 따른 토양, 대기, 수질오염의 문제점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또한 제올라이트, 맥반석, 키토산, 황토, 숯, 게르마늄과 같은 기능성 첨가제가 포함된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은 토양에서 유기질을 분해하고 유해균 억제, 유익균 증식 등으로 토양오염을 줄일 수 있고 항균기능으로 각종 병해충을 줄일 수 있어 농약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방출되는 원적외선은 농작물의 생육에 있어 촉진기능을 한다. 또한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은 유기농사에 가장 문제가 되고있는 제초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밭농사는 물론 논농사에 획기적 친환경 농법이 될 것으로 보며 유기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에 충족할 수 있어 국산 농산물의 국제 경쟁력에도 큰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쌀수입 개방을 앞두고 고품질 쌀생산에 경쟁력을 갖기위해 논농사에 가격이 저렴한 생분해성 다기능 멀칭필름을 적극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쌀농사에 새로운 전환기가 될 수 있다.

Description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한 다기능성 농업용 멀칭필름{Biodegrdable polymer as useful functional mulching film in agriculture}
본 발명은 생분해성수지(매트릭스수지와 전분 및 변형전분의 컴파운딩체, 매트릭스수지와 복합분해 첨가제의 컴파운딩체, 생분해 매트릭스수지)와 제올라이트, 맥반석, 키토산, 황토, 숯, 게르마늄과 같은 기능성 첨가물을 함유하는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기존에 분해가 전혀 되지 않는 멀칭필름을 이용할 경우 폐비닐을 제거하기 위하여 노동력이 낭비되며 비분해 멀칭필름 폐기물의 매립, 소각 등에 따른 토양, 대기, 수질오염의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은 작물의 표면에 피복하여 광합성을 못하게 하고 산소를 차단함으로써 잡초 발생을 억제하여 제초작업이나 제초제 사용을 하지 않아도 되고 토양의 건조와 침식, 지온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환경 친화적 유기농사법으로 폐비닐을 수거하는 노동력 절감과 농업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등 비분해 비닐멀칭의 문제점을 개선 농가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제까지 농업용 멀칭 재료로는 투명비닐 또는 검정비닐이 주로 이용되어 왔으나 사용 후 손으로 제거해야하는 수고와 노동력이 필요하고 완벽하게 제거하기 불가능하였다. 더욱이 미처 수거되지 못한 잔여 비닐의 경우 다음에 재배되는 작물의 뿌리 생육과 토양의 배수성을 악화시켜 토양을 오염시키고 있으며, 폐비닐 방치로 농촌의 환경이 더욱 피폐화 되어가고 있다. 또한 지난 수십년 동안 생산성 향상이라는 경제적 측면에만 집착한 나머지 화학물질의 오남용으로 농업환경이 갈수록 피폐해지고 있다.
더욱이 맹독성 농약과 제초제 과다사용으로 토양 및 수질을 오염시켜 자연생태계의 파괴를 야기 시키고 있으며 화학비료의 무분별한 사용은 토양을 산성화, 지력저하 및 수질오염등의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고 더 나아가 농산물 자체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불신이 심화되고 있다.
기본 비분해 비닐 멀칭은 보온과 생산성 향상은 기대할 수 있었으나, 사용 후 제거해야하는 불편함과 논농사(벼농사)에는 전혀 사용할 수 없었으며 목재 펄프 및 수입고지를 이용한 기존 일부 멀칭지는 원료가격이 높아 일반농가에서 사용하기 어려웠으며 수입원료의 가격이 심하게 변동하여 가격안정을 기대할 수 없는 불편함과 재생지의 단일기능만 기대할 수 있었다. 또한 기본 생분해성 멀칭 필름들은 고가이므로 실제 농사에 사용하기에는 현실감이 없는 반면 본 발명의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은 기존의 비분해 멀칭비닐과 가격면에서 별 차이가 없고 즉시 사용 가능하여 노동력의 절감, 환경파괴 및 환경복구비용을 줄일 수 있다.
생분해성수지(매트릭스수지와 전분 및 변형 전분의 컴파운딩체, 매트릭스 수지와 복합분해 첨가제의 컴파운딩체, 생분해 매트릭스수지)와 제올라이트, 맥반석,키토산, 황토, 숯, 게르마늄과 같은 기능성 첨가물을 함유하는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은 일정기간이 지나면 자연상태에서 분해되어 작물을 수확할 시기에 이르면 분해되면서 완효성 비료역활을 하여 비닐 멀칭지의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며 제초제가 전혀 필요 없고 농약과 비료사용량을 줄일수 있는 환경친화적 멀칭필름으로써 쌀농사를 중심으로 하는 농촌의 소득증대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본다. 또한 위기에 처한 우리 쌀농사에 새로운 농법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음을 확신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생분해성수지(매트릭스수지와 전분 및 변형 전분의 컴파운딩체, 매트릭스수지와 복합분해 첨가제의 컴파운딩체, 생분해 매트릭스수지)와 제올라이트, 맥반석, 키토산, 황토, 숯, 게르마늄과 같은 기능성 첨가물을 함유하는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을 제조하여,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을 작물의 표면에 피복하여 광합성을 못하게하고 산소를 차단함으로써 잡초발생을 억제하여 제초작업이나 제초제 사용을 하지 않아도 되고 토양의 건조와 침식, 지온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환경 친화적 유기농사법으로 폐비닐을 수거하는 노동력 절감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등 비분해 비닐멀칭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농가소득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은 일정기간이 지나면 자연상태에서 서서히 분해되어 비료화 될 수 있게 함으로써 재해 후 별도의 수거작업이 필요없고 토양오염을 일으키지 않으며 오히려 제올라이트, 맥반석, 키토산, 황토, 숯, 게르마늄과 같은 기능성 첨가물에 의해 토양개량되고 후속재배 작물에 도움을주는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을 제조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분해성수지(매트릭스 수지와 전분 및 변형 전분의 컴파운딩체, 매트릭스수지와 복합분해 첨가제의 컴파운딩체, 생분해 매트릭스수지)와 제올라이트, 맥반석, 키토산, 황토, 숯, 게르마늄과 같은 기능성 첨가물을 함유하는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생분해성수지(매트릭스수지와 전분 및 변형 전분의 컴파운딩체, 매트릭스수지와 복합분해 첨가제의 컴파운딩체, 생분해 매트릭스수지)100중량부, 기능성 첨가제 1 내지 10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별칭필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의 기본 수지는 첫째 매트릭스 수지 100중량부와 전분 및 변형전분 100중량부를 컴파운딩한 컴파운딩체, 둘째 매트릭스 수지 100중량부와 복합분해 첨가제 20중량부를 컴파운딩한 컴파운딩체, 셋째 폴리카프로락톤과 같은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사용하였다.
매트릭스 수지로는 목적하는 물성에 따라,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틸렌과 비닐아세테이트를 공중합시킨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폴리스테렌, ABS 수지 등이 모두 사용 가능하나,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에틸렌으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 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 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 LLDPE)등이 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성형성을 고려할 때 100∼50 : 30∼0 : 20∼0으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분 및 변형 전분 분말과 복합분해 첨가제의 입경은 멀칭 필름의 외관과 가공성을 고려할 때 10 내지 2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올라이트, 맥반석, 키토산, 황토, 숯, 게르마늄과 같은 기능성 첨가물은 각각의 고유 기능성을 가지고 있어 작물 종류에 따라 그 기능을 달리 할 수 있다. 제올라이트는 수 십 만개 이상의 나노미터 크기의 기공을 가지고 있어 흡착제, 탈취제, 토양개질제로 사용되며 다량 방출되는 원적외선은 농작물을 통과할 때 진동을 일으켜 세포 성분 및 분열을 활성화시켜 농작물에 병충해 예방 및 수확량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조절기능이 탁월하여 지면의 급격한 온도 변화를 방지 할 수 있다.
맥반석의 경우 농작물의 생육시 반드시 필요한 수 종의 미네랄을 다량 함유하는 다공질의 생명석으로 수질 향상 및 정수 능력이 있으며,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농업용수에 녹아 있는 농작물에 흡수될 중금속 및 오염물질을 흡착분해 한다. 가장 주목할 만한 기능은 바로 원적외선 방출이다. 다량 방출되는 원적외선은 농작물을 통과할 때 진동을 일으켜 세포 생성 및 분열을 활성화시켜 농작물의 병충해 예방 및 수확량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키토산은 농작물의 세포를 활성화하여 면역력을 강화해주며 질병을 예방하고 자연적인 치유능력을 활성화하는 기능을 조절하여 사용 농약의 감소를 꽤할 수 있으며 수확량 증대에도 기여한다. 또한 농작물이 이미 흡수한 중금속 및 오염물질 배출 기능을 가지고 있는 고기능의 첨가제가 키토산이다.
숯 또한 아주 중요한 기능성 첨가제이다. 숯의 기능을 살펴보면 숯은 농작물에 필요한 미네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또한 원적외선, 음이온 발산으로 인하여 지표온도를 상승시켜 농작물의 발아가 빨라지고 수확량도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이온은 식물의 산화를 막아준다.
황토는 원적외선을 복사하여 농작물에 흡수되어 농작물의 생육을 촉진하는 기능이 있다. 게르마늄의 주목할 만한 기능은 원적외선 방출이다. 다량 방출되는 원적외선은 농작물을 통과할 때 진동을 일으켜 세포 생성및 분열을 활성화시켜 농작물의 병해충 예방 및 수확량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은 항균 ·항바이러스 기능과 지력증강 역할을 하는 제올라이트, 맥반석, 키토산, 황토, 숯, 게르마늄과 같은 기능성 첨가제를 각 1∼10 중량부 첨가·제조하여 습윤 지력증강을 강화시켰다.
전분 및 변형 전분과 기능성 첨가제 분말, 복합분해 첨가제의 입경은 플라스틱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품의 외관과 가공성을 고려할 때 10내지 2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생분해성수지(매트릭스수지와 전분 및 변형 전분의 컴파운딩체, 매트릭스수지와 복하분해 첨가제의 컴파운딩체, 생분해 매트릭스수지)와 기능성 첨가제를 일정 비율로 혼합한 다음, 이축 압출기를 이용해 용융, 압출시킨 후 펠레타이저(Pelletizer)로 펠렛 형태로 가공하여 블로우몰딩을 통하여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실시예 1)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매트릭스 수지 100중량부 200∼300㎛인 복합분해 첨가제 20중량부, 제올라이트 5중량부를 혼합하고, 150∼170℃의 온도하에서 2∼3분간 용융, 혼합시킨 다음, 압출기를 사용하여 140℃의 온도하에서 압출시켜 펠렛의 형태로 가공하고 140℃에서 블로우 몰딩기를 통하여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을 생산하였다.
(실시예 2∼10)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에 따라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표 1)
(실시예 11)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매트릭스 수지 100중량부, 300∼500㎛인 변형전분 분말 100중량부, 제올라이트 5중량부를 혼합하고, 150∼170℃의 온도하에서 2∼3분간 용융, 혼합시킨 다음 압출기를 사용하여 140℃의 온도하에서 압출시켜 펠렛의 형태로 가공하고 140℃에서 블로우 몰딩기를 통하여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을 생산하였다.
(실시예 12)
하기 표 2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에 따라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표 2)
(실시예 21)
폴리카프로락톤으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매트릭스 수지 100중량부, 제올라이트 5중량부를 혼합하고, 140∼160℃의 온도하에서 2∼3분간 용융, 혼합시킨 다음, 압출기를 사용하여 130℃의 온도하에서 압출시켜 펠렛의 형태로 가공하고 130℃에서 블로우 몰딩기를 통하여 생분해성 다기능성 농업용 멀칭필름을 생산하였다.
(실시예 22)
하기 표 3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에 따라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표 3)
실시예 1로 제조된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으로 멀칭하여 분해 속도, 잡초방제효과, 지온변화, 수도생육 및 수량성, 병충해 방제효과등을 시험하였다.
(표 4) 재배방법
벼이앙 시 논 상면을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으로 피복한 후 멀칭필름이 분해되는 과정을 시험한 결과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앙후 50일부터 서서히 분해되었고 100일 정도에는 생분해성 소재가 거의 분해되었다. 단 작물 종류에 따라 멀칭필름이 분해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밭에서보다 논의 경우가 분해 속도가 빨랐다.
(표 5) 멀칭후 생분해 기간에 따른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의 잔류량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에 의한 잡초방제효과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으로 멀칭후 35일, 50일이 경과한 후 제초제를 사용한 논,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은 논, 그리고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에 의한 제초효과는 94∼97%이상 잡초 발생이 억제가 되었다.
(표 6)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에 의한 잡초방제 효과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에 의한 논의 지온 효과
논 상면을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으로 피복한 논 표면과 깊이 5cm 부근의 온도를 측정한 결과 지표면의 1일 온도변화를 보면 무멀칭보다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의 경우가 저녁 무렵에서 이른 아침까지 보온 효과가 있으며 깊이 5cm에서는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의 경우가 일중과 야간의 경우 모두 다 약간 높았다.
(표 7) 30일간의 평균 지온(2002)
생육 및 수량성 실험
초기 생육에서 출수까지의 생육을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생분해성 기능 농업용 멀칭필름 멀칭구에서는 초기에 생육이 완만하였고 엽령이 약간 적었다. 그러나 만식재배의 경우와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이 흑색의 경우에는 그 차이가 없다.
(표 8)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에 의한 수도생육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에 의한 병충해 방제효과 및 시비기술 생분해성 다기능 멀칭필름에 의한 부차적 효과로는 벼입집무늬 마른병 및 도열병 등 병충해 방제 효과가 뚜렷하였다. 이를 병원균핵으로 월동한 후 이듬해 봄 담수한 논의 수면에 떠올라 벼입집에 부착 감염하는 것으로,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으로 벼를 이앙한 것은 무멀칭에 비해 감염수가 3분의 1이상 감소하였다. 이는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이 논 수면에서 차단 효과 및 기능성 첨가제들에 의한 항균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농약의 종류와 양을 대폭 감소 시켜 무제초제, 저농약을 상시 대량으로 생산 가능하다고 확신한다.
(표 9)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에 의한 방제효과
또한 비료사용 후 토양 중 비료의 농도를 살펴보면 이앙 후 초기에는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으로 멀칭한 경우가 무멀칭 재배 경우보다 농도가 낮았으며 이앙 후 45일 이후부터 즉, 후기에는 오히려 비료의 농도가 높았다. 이는 초기에 시비한 비료의 일부가 멀칭필름에 첨가한 다공성 기능성 첨가제에 흡착되어 잡혀 있다가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이 서서히 분해되면서 비료성분의 효과를 증진시키는 역할과 자체가 규산질 비료 역할을 하게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은 생분해성수지(매트릭스수지와 전분 및 변형 전분의 컴파운딩체, 매트릭스수지와 복합분해 첨가제의 컴파운딩체, 생분해 매트릭스수지)와 제올라이트, 맥반석, 키토산, 황토, 숯, 게르마늄과 같은 기능성 첨가제를 함유하는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으로서 자연상태에서 100일부터 서서히 분해되어 작물재배 후 별도의 수거작업이 필요없으므로 노동력 감소로 인한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토양오염을 일으키지 않아 후속 재배작물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으며 기능성 첨가제들의 항균기능과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의 차단효과에 의해 각종 병충해를 3/1정도 감소시킬 수 있어 농약 사용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비료사용량도 3/1정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생분해성수지(매트릭스수지와 전분 및 변형 전분의 컴파운딩체, 매트릭스수지와 복합분해 첨가제의 컴파운딩체, 생분해 매트릭스수지)와 제올라이트, 맥반석, 키토산, 황토, 숯, 게르마늄과 같은 기능성 첨가제를 함유하는 생분해성 고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은 유기농사에 가장 문제가 되며 환경 호르몬까지 발생시키는 제초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밭농사는 물론 논농사에 획기적 친환경농법으로 적용될 것으로 보며 농작물의 질을 높임으로서 대량 생산에 의한 가격하락을 방지할 수 있고 수입농산물에 대한 국제경쟁력을 높이고 유기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농가 수입증대에도 크게 기여될 것으로 본다.
더구나 밭농사는 물론 논농사의 쌀 생산에 멀칭 작업을 할 수 있어 그간 오리농법, 왕우렁이 농법 등 일부 제한적 무공해 쌀 생산에서 완전 무공해 쌀을 상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아 고품질 쌀 생산에 크게 기여, 국제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생분해성수지(매트릭스수지와 전분 및 변형 전분의 컴파운딩체, 매트릭스수지와 복합분해 첨가제의 컴파운딩체, 생분해 매트릭스수지)와 제올라이트, 맥반석, 키토산, 황토, 숯, 게르마늄과 같은 기능성 첨가제를 함유하는 생분해성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자연훼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폐비닐로 인한 농촌 환경파괴 또한 줄일 수 있다. 더욱 중요한 것은 기존의 비분해 멀칭필름과 가격차이가 별로 없어 즉시 대량 생산, 기본 비닐을 상당량 대체할 수 있으며 멀칭 이앙기의 개발과 더불어 논농사에 실제 대량 사용이 가능하여 쌀 전면 개방을 앞둔 우리 쌀농사에 꼭 필요한 농법으로 판단된다.

Claims (6)

  1. 생분해성 수지 100중량부, 기능성 첨가제 1내지 20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다기능 멀칭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수지는 매트릭스수지 와 생분해제의 컴파운딩체, 매트릭스수지 와 복합분해 첨가제의 컴파운딩체,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유산, 지방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
  3. 제 2항에 있어서 생분해제는 전분 및 변형전분으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
  4. 제 2항에 있어서 매트릭스 수지는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
  5. 제 1항에 있어서 기능성 첨가제는 제올라이트, 맥반석, 키토산, 황토, 숯, 게르마늄으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
  6. 제 1항에 있어서 기능성 첨가제는 제 5항에 나열된 첨가제들을 하나 혹은 두가지 이상을 함께 첨가하는 생분해성 다기능 농업용 멀칭필름.
KR1020030009943A 2003-02-17 2003-02-17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한 다기능성 농업용 멀칭필름 KR200300285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943A KR20030028506A (ko) 2003-02-17 2003-02-17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한 다기능성 농업용 멀칭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943A KR20030028506A (ko) 2003-02-17 2003-02-17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한 다기능성 농업용 멀칭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506A true KR20030028506A (ko) 2003-04-08

Family

ID=29578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943A KR20030028506A (ko) 2003-02-17 2003-02-17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한 다기능성 농업용 멀칭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850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795B1 (ko) * 2005-05-12 2007-03-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친환경성 멀칭지 제조 방법 및 그 제품
KR100770386B1 (ko) * 2006-07-03 2007-10-26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투명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원적외선 방출 생분해성 시트조성물
KR100959690B1 (ko) * 2008-06-11 2010-05-27 황치원 친환경 생분해성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41603A (ko) 2017-10-13 2019-04-23 강승원 완효성 비료를 포함한 볏짚, 갈대, 낙엽이 코팅된 생분해 멀칭용 복합 필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795B1 (ko) * 2005-05-12 2007-03-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친환경성 멀칭지 제조 방법 및 그 제품
KR100770386B1 (ko) * 2006-07-03 2007-10-26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투명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원적외선 방출 생분해성 시트조성물
KR100959690B1 (ko) * 2008-06-11 2010-05-27 황치원 친환경 생분해성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41603A (ko) 2017-10-13 2019-04-23 강승원 완효성 비료를 포함한 볏짚, 갈대, 낙엽이 코팅된 생분해 멀칭용 복합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15714B (zh) 保湿型草本花卉育苗营养土及其制备方法
CN102976863B (zh) 一种保水缓释肥
KR101383445B1 (ko) 임해매립지 토양개량제 및 그 제조방법
CN107417363A (zh) 一种花卉盆栽营养土及其制备方法
CN106699341A (zh) 一种花卉栽培营养基质及其制备方法
CN101270001A (zh) 具有液体地膜功能的生态多效喷施肥及其生产方法
CN105439712A (zh) 一种竹炭复合微生物肥料及其制备方法
CN101284749A (zh) 一种多功能生物质膜
KR101311986B1 (ko) 스틱형 완효성 비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0028506A (ko)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한 다기능성 농업용 멀칭필름
CN110606790A (zh) 一种土壤改良修复剂及其制作方法
CN105439713A (zh) 一种活化土壤肥力的微生物肥料及其制备方法
DE4334249C2 (de) Verfahren zur Aufbereitung von Kompost zu einem vermarktungsfähigen Produkt
Ranjith et al. Smart fertilizers as the best option for ecofriendly agriculture
CN103011939A (zh) 草坪专用缓控释肥及其生产工艺
KR102027654B1 (ko)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
CN112573951A (zh) 一种污泥混合秸秆制备生物有机肥的方法
CN1253529C (zh) 纳米泥炭系列组合物及其产品和应用
CN111635273A (zh) 一种土壤活性改良用土壤肥料及其生产方法
KR100282260B1 (ko) 멀칭재
KR102536291B1 (ko) 생분해폴리머 및 바이오차를 포함하는 영양성분 방출 조절형 복합비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538072B1 (ko) 유기질 비료 및 그 제조방법
CN102795930A (zh) 生物菌隔热包裹生产添加生物菌复混肥的方法
CN108949189A (zh) 一种农业土壤水分阻滞剂及制备方法
CN107586191A (zh) 一种基于菌菇渣‑硫磺调酸的蔬果育苗基质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