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1603A - 완효성 비료를 포함한 볏짚, 갈대, 낙엽이 코팅된 생분해 멀칭용 복합 필름 - Google Patents

완효성 비료를 포함한 볏짚, 갈대, 낙엽이 코팅된 생분해 멀칭용 복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1603A
KR20190041603A KR1020170133022A KR20170133022A KR20190041603A KR 20190041603 A KR20190041603 A KR 20190041603A KR 1020170133022 A KR1020170133022 A KR 1020170133022A KR 20170133022 A KR20170133022 A KR 20170133022A KR 20190041603 A KR20190041603 A KR 20190041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w
composite film
mulching
vinyl
r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원
Original Assignee
강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승원 filed Critical 강승원
Priority to KR1020170133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1603A/ko
Publication of KR20190041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6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01G13/0275Fil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2Mulches, i.e. covering material not-pre-formed in mat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52Mul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2013/006Protecting plants with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2013/008Protecting plants using stra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8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specially adapted for farm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ertilizer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효성 비료층 및 상기 완효성 비료층을 밀봉하는 생분해 비닐을 포함하는 멀칭용 복합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온효과가 크고 수분공급이 원활하여 관리가 용이하고 기존 비닐 멀칭의 사용 후 수거 문제(인건비)를 해결하며 농약, 완효성 비료를 포함시켜 기존 토지 영양 문제를 해결하는 멀칭용 복합 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완효성 비료를 포함한 볏짚, 갈대, 낙엽이 코팅된 생분해 멀칭용 복합 필름{BIODEGRADABLE MULCHING COMPOSITE FILM COATED WITH RICE STRAW, REED, FALLEN LEAVES CONTAINING SLOW RELEASED FERTILIZER}
본 발명은 완효성 비료를 포함한 볏짚, 갈대, 낙엽이 코팅된 생분해 멀칭용 복합 필름에 관한 것이다.
기존농가 및 도시형 주말농장, 텃밭 등에서 작물의 품질 및 관리의 편리함을 위하여 멀칭을 하고 있다. 멀칭(Mulching)이란 작물이 생육하고 있는 농지의 표면을 피복하여 토양의 건조와 침식, 지온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며, 잡초의 발생을 억제하여 제초작업이나 제초제 사용을 억제하는 작물 재배법을 의미한다. 멀칭에 사용하는 재료로는 비닐, 종이, 부직포, 볏짚, 낙엽, 수피(나무껍질), 왕겨 등 다양하지만 보통 저가이며 사용이 간편한 비닐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비닐을 사용할 경우 초기비용은 적으나 작물의 맛이 떨어지고 폐비닐을 제거하기 위하여 노동력이 낭비되며 농약이나 비료를 주기가 어렵고 여름에는 열로 인하여 작물의 시듬 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종이, 부직포 멀칭은 비닐에 비해 가격이 높아 콩, 배추 등 소득이 비교적 낮은 작물에는 경제성이 낮아 이용이 어렵다.
볏짚은 좋은 유기물 멀칭 자재로서 볏짚에는 항균활성, 질소고정, 옥신류 합성과 같이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고초균(바실러스균)을 비롯한 유용한 미생물이 많아 부가적인 효과도 가지고 있으며, 친환경 멀칭 재료인 볏짚, 갈대, 낙엽은 부숙이 되어 토양에 양분을 공급하기도 하지만 관리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3-0028506호
본 발명은 완효성 비료를 포함한 볏짚, 갈대, 낙엽이 코팅된 생분해성 멀칭용 복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완효성 비료층 및 상기 완효성 비료층을 밀봉하는 생분해 비닐을 포함하는 멀칭용 복합 필름.
2. 위 1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 비닐은 적어도 일면이 통기성 비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칭용 복합 필름.
3. 위 1에 있어서, 상기 완효성 비료층은 완효성 비료로 코팅된 볏짚, 갈대 및 낙엽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칭용 복합 필름.
본 발명의 멀칭용 복합 필름은 보온효과가 크고 수분공급이 원활하여 관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멀칭용 복합 필름은 기존 비닐 멀칭의 사용 후 수거 문제(인건비)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멀칭용 복합 필름은 농약, 완효성 비료를 포함시켜 기존 토지 영양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작물 멀칭 재배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생분해 복합 멀칭 필름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통기성 생분해 비닐 구조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완효성 비료층 및 상기 완효성 비료층을 밀봉하는 생분해 비닐을 포함하는 멀칭용 복합 필름을 제공한다.
이제까지 농업용 멀칭 재료로는 투명비닐 또는 검정비닐이 주로 이용되어 왔으나 사용 후 손으로 제거해야 하는 수고와 노동력이 필요하고 완벽하게 제거하기가 불가능하였다. 더욱이 미처 수거되지 못한 잔여 비닐의 경우 다음에 재배되는 작물의 뿌리 생육과 토양의 배수성을 악화시켜 토양을 오염시키고 있으며, 폐비닐 방치로 농촌의 환경이 더욱 피폐화되어가고 있다. 또한 지난 수십 년 동안 생산성 향상이라는 경제적 측면에만 집착한 나머지 화학물질의 오남용으로 농업환경이 갈수록 피폐해지고 있다.
본 발명의 생분해 비닐은 자연생분해첨가제(TGR) 방식으로 자외선/열 분해 후 저분자화되어 토양 박테리아 등에 의해 생분해된다. 상기 자연생분해첨가제 조절을 통해 생분해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분해 비닐은 적어도 일면이 통기성 비닐로 이루어진다.
토양에 밀착되는 면에 5 ~ 20μ 수준으로 마이크로 타공 처리하여 비닐에 마이크로홀을 형성한다. 이는 내부의 열, 습기 제거효과가 탁월하여 여름에 작물의 시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완효성 비료층은 완효성 비료로 코팅된 볏짚, 갈대 및 낙엽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는 볏짚, 갈대 또는 낙엽에 비료 성분을 강화하고 뻣뻣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토양에서 발생한 습기가 마이크로홀을 통하여 유입되어 완효성 비료층과 접하면서 시비가 가능해져 완효성 비료 코팅에 의한 1차 완효성 효과와 통기성 멀칭 비닐에 의한 2차 완효성 효과를 가진다.
또한, 멀칭 비닐 및 볏짚, 갈대 또는 낙엽 등을 활용하여 보온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완효성 비료는 속효성 비료의 입자표면에 물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는 난용성 물질을 피복하여 제조하는 피복비료(예, SCU, Meister, Cera Coat, Nutricote, Osmocote 등)와 비료물질 혹은 비료를 함유한 물질을 화학적으로 반응시켜 물에 난용성인 염이나 토양미생물에 쉽게 분해되지 않는 난분해성 물질로 제조하는 합성비료(예, UF, IBDU, CDU, Oxamide, Melamine 등)로 나뉜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완효성 비료의 종류는 표 1과 같다.
구분 SCU 피복요소 UF MU IBDU 유기질
N(%) 39 40-42 38 40 31 2-10
용출기간 12-16주 8-16주 2년 8-12주 12-16주 8-52주
용출기작 피복분해 삼투작용 미생물
분해형
미생물
분해형
가수분해 미생물
분해형
용출요구 수분 수분 수분
온도
수분
온도
수분 수분
온도
최적반응
계절
사계절 여름 여름 여름 봄, 가을 여름
초기반응 중간 느림 중간-느림 중간 중간-느림 느림
물 용해도 낮음 낮음 중간-낮음 중간 중간-낮음 낮음
엽소 가능성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토양온도
의존성
낮음 중간 높음 중간 낮음 높음
본 발명의 생분해 멀칭용 복합 필름은 작물의 표면에 피복하여 광합성을 못하게 하고 산소를 차단함으로써 잡초 발생을 억제하여 제초작업이나 제초제 사용을 하지 않아도 되고 토양의 건조와 침식, 지온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환경 친화적 유기농사법으로 폐비닐을 수거하는 노동력 절감과 농업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등 기존 멀칭 필름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농가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다.
완효성 비료를 포함한 볏짚, 갈대, 낙엽이 코팅되어 농약 살포, 시비의 어려움을 해결하였으며, 통기성을 구비하여 작물의 시듬을 방지하고 작물을 맛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완효성 비료층 및 상기 완효성 비료층을 밀봉하는 생분해 비닐을 포함하는 멀칭용 복합 필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 비닐은 적어도 일면이 통기성 비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칭용 복합 필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효성 비료층은 완효성 비료로 코팅된 볏짚, 갈대 및 낙엽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칭용 복합 필름.
KR1020170133022A 2017-10-13 2017-10-13 완효성 비료를 포함한 볏짚, 갈대, 낙엽이 코팅된 생분해 멀칭용 복합 필름 KR201900416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022A KR20190041603A (ko) 2017-10-13 2017-10-13 완효성 비료를 포함한 볏짚, 갈대, 낙엽이 코팅된 생분해 멀칭용 복합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022A KR20190041603A (ko) 2017-10-13 2017-10-13 완효성 비료를 포함한 볏짚, 갈대, 낙엽이 코팅된 생분해 멀칭용 복합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603A true KR20190041603A (ko) 2019-04-23

Family

ID=66285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022A KR20190041603A (ko) 2017-10-13 2017-10-13 완효성 비료를 포함한 볏짚, 갈대, 낙엽이 코팅된 생분해 멀칭용 복합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160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3085A (ko) 2019-05-16 2020-11-26 (주)한국알파시스템 식물성 섬유를 이용한 농업용 시트재 및 그 제조방법
US11217069B1 (en) 2020-06-17 2022-01-04 Hyosung TNS Inc. Automated teller machi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506A (ko) 2003-02-17 2003-04-08 김창균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한 다기능성 농업용 멀칭필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506A (ko) 2003-02-17 2003-04-08 김창균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한 다기능성 농업용 멀칭필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3085A (ko) 2019-05-16 2020-11-26 (주)한국알파시스템 식물성 섬유를 이용한 농업용 시트재 및 그 제조방법
US11217069B1 (en) 2020-06-17 2022-01-04 Hyosung TNS Inc. Automated teller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hri et al. The response of Gladiolus tristis L. to N and P2O5 fertilizers
Farjana et al. Effects of organic and inorganic fertilizers, and mulching on growth and yield of cabbage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L.)
CN111247897A (zh) 一种北苍术绿色防控高效节本生产的栽培方法
Ahmed et al. Performance of mulching on the yield and quality of potato
CN105557252A (zh) 一种药肥一体化的三七栽培方法
KR20190041603A (ko) 완효성 비료를 포함한 볏짚, 갈대, 낙엽이 코팅된 생분해 멀칭용 복합 필름
RU2405294C1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плодородия почвы
Qasem Weed control in tomato (Solanum lycopersicum Mill.) by new biodegradable polypropylene sheets and other soil mulching materials.
Patel et al. Effect of organic manures and biofertilizers on growth, flowering and flower yield of Rose (Rosa hybrida L.) cv. Gladiator
CN111133962A (zh) 一种增加朝天椒座果量的栽培方法
Abdul-baki et al. Tillage and mulch effects on yield and fruit fresh mass of bell pepper (Capsicum annum L.)
Mallikarjunarao et al. Dry land techniques for vegetable production in India-a review.
CN113079965A (zh) 一种养地种植方法
Mihovsky et al. Reduced tillage practices
Sharma et al. Peach (Prunus persica L. Batsch) perfection: Boosting yields with mulching
CN115413539B (zh) 秸秆反应堆结合施肥缓解大棚哈密瓜连作障碍的栽培方法
CN113854013B (zh) 一种园林养护中抑制杂草生长的方法
Courter et al. Mulching vegetables: practices and commercial applications
Ajema et al. Growth and Biomass production Response of Pineapple (Ananas Comosus) Seedling to Compost with Top Soil Ratio Nursery Media Preparation
RU2775557C1 (ru) Способ возделывания риса на грядах при поверхностном капельном поливе под мульчирующей пленкой
RU2777465C1 (ru) Способ грядового возделывания риса на землях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не относящихся к рисовым оросительным системам на подземном капельном орошении под мульчирующей пленкой
RU2775405C1 (ru) Способ возделывания риса на грядках при поверхностном капельном поливе под мульчирующей пленкой на рисовых оросительных системах
RU2774844C1 (ru) Способ возделывания риса при поверхностном капельном поливе под мульчирующей пленкой
Bahadur et al. Effect of drip irrigation scheduling and mulching on plant growth, physiology, yield, water use efficiency and weed growth in spring-summer okra (Abelmoschus esculents Muench)
RU2775577C1 (ru) Способ возделывания риса на грядах при подземном капельном поливе под мульчирующей пленкой на рисовых оросительных система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