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070B1 - 차량용 고무 호스 - Google Patents

차량용 고무 호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070B1
KR100770070B1 KR1020060011789A KR20060011789A KR100770070B1 KR 100770070 B1 KR100770070 B1 KR 100770070B1 KR 1020060011789 A KR1020060011789 A KR 1020060011789A KR 20060011789 A KR20060011789 A KR 20060011789A KR 100770070 B1 KR100770070 B1 KR 100770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layer
layer
rubber
hose
fluororubb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1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0460A (ko
Inventor
김석진
이정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1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070B1/ko
Publication of KR20070080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08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reinforcements embedded in the wall
    • F16L11/085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reinforcements embedded in the wall comprising one or more braided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2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fibres or threads, e.g. of textile which may or may not be impregnated, or provided with an impermeable layer, e.g. fire-h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고무 호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차량용 고무 호스는, 중공된 내부를 가져 단면이 환형을 갖는 불소고무 조성물로 제조된 내층; 상기 내층을 감싸면서 피복된 실리콘고무 조성물로 제조된 중간층; 상기 중간층을 감싸면서 피복된 섬유재로 이루어진 편조층; 및 상기 편조층을 감싸면서 피복된 실리콘고무 조성물로 제조된 외층;을 포함하여 구비되되, 상기 내층과 외층 간의 접착력이 20 N/㎝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층을 이루는 불소 고무 조성물과 외층을 이루는 실리콘 고무 조성물 간의 접착이 향상되며, 내열성, 내유성, 가스에 대한 블로우 저항성 및 내압성이 종래의 제품에 비하여 현저하게 개선되어, 고온의 내열성, 내압성이 요구되는 산업용 호스는 물론 차량용 배관 호스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불소, 실리콘, 호스, 내압성, 인터쿨러, 편조층, 차량

Description

차량용 고무 호스{Rubber hose for vehicles}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 호스의 부분 절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 호스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설명>
10...고무 호스 12...내층 14...중간층
16...편조층 18...외층
본 발명은 차량용 고무 호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층과 중간층 및 외층을 이루는 물질의 적합한 선택, 특히 내층은 불소 고무 조성물을 이용하고, 중간층 및 외층은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들 간의 접착력을 강화시 킨 차량용 고무 호스에 관한 것이다.
내열성, 내압성, 내유성 등이 요구되는 고무 호스가 사용되는 산업 분야에서는 그 제조 공정상의 용이성이나 단가 등은 물론, 요구되는 물성적 특성 등이 충분하게 고려되지 못하면, 설비의 고장이나 사고 등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들 설비에 대한 지속적인 유지 보수의 작업이 요구되는 점으로 인해, 보다 개선된 물성을 갖는 고무 호스를 제조하기 위한 노력과 관심이 제고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 2001-123840호에 따르면, 차량용 터보 차저(turbo charger)가 장착된 엔진의 배관을 실리콘 호스와 강철관으로 구성하여 진동흡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저가형 배관구조를 제시하고 있으나, 낮은 내열성과 낮은 블로우 바이 저항성으로 인하여, 사용환경에 최적화되지 않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국제공개공보 WO 03/098088 A1에 따르면, 내층에 불소 고무 조성물과 외층에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공가류시켜 제조한 디젤 엔진 인터쿨러용 적층 고무 호스가 제시되고 있으나, 박리 강도가 낮고 생산성이 낮아 이에 대해서도 기술적 개선 보완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고온 환경이 요구되는 산업 환경, 특히 차량의 엔진 부근과 같이 고온 환경에 구비되는 고무 호스 제조 분야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 제기되고 있는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필요성이 꾸준하게 인식하고, 종래에 파악된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꾸준하게 행하여 왔으며, 이러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본 발명이 안출된 것이다.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에 기초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불소 고무 조성물을 이용하여 고무 호스를 제조하는 경우 그 단가가 높으며, 복층으로 제조되는 경우 층간 접착력이 충분하지 않아, 내열성, 내압성 등이 요구되는 용처에서의 사용 적합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해결하고자 함에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차량용 고무 호스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차량용 고무 호스는, 중공된 내부를 가져 단면이 환형을 갖는 불소고무 조성물로 제조된 내층; 상기 내층을 감싸면서 피복된 실리콘고무 조성물로 제조된 중간층; 상기 중간층을 감싸면서 피복된 유기섬유로 이루어진 편조층; 및 상기 편조층을 감싸면서 피복된 실리콘고무 조성물로 제조된 외층;을 포함하여 구비되되, 상기 내층과 중간층의 층간 접착력이 20 N/㎝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 필한 경우에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 호스의 일실시예에 관한 부분 절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무 호스(10)는, 내층(12), 중간층(14), 편조층(16) 및 외층(18)의 4층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내층(12)은 중공된 내부를 가져 단면이 환형을 갖는 불소고무 조성물로 제조되며, 상기 중간층(14)은 상기 내층(12)을 감싸면서 피복된 실리콘고무 조성물로 제조되며, 상기 편조층(16)은 상기 중간층(14)을 감싸면서 피복된 섬유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층(18)은 상기 편조층(16)을 감싸면서 피복된 실리콘고무 조성물로 제조된다. 한편, 상기 내층(12)과 중간층(18) 간의 층간 접착력은 20 N/㎝ 이상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층(12)을 이루는 불소 고무 조성물은, 불소 함량이 65% 이상인 불소 모노머의 탄성 중합체인 베이스고무; 칼슘실리케이트 및 카본블랙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일물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서, 상기 베이스고무 중량 대비 20 내지 50 중량부인 충진제; 퍼옥사이드계 화합물로서, 상기 베이스고무 중량 대비 0.5 내지 5 중량부인 가교제; 시아누레이트계 화합물로서, 상기 베이스고무 중량 대비 1 내지 5 중량부인 가교조제; 및 산화마그네슘 및 산화아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일물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서 상기 베이스고무 중량 대비 1 내지 10 중량부인 금속산화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성물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층(12)을 이루는 불소 고무 조성물에 포함되는 베이스고무로 이용되는 탄성 중합체에 포함되는 불소 함량에 대한 수치범위와 관련하여, 하한치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내유성 및 블로우 바이 저항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내층(12)을 이루는 불소 고무 조성물에 포함되는 베이스고무로 이용되는 탄성 중합체는, 불화비닐리덴, 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 및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이 혼용된 중합체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층(12)을 이루는 불소 고무 조성물에 포함되는 충진제의 함량에 관한 수치 범위와 관련하여, 하한치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충진제의 함량이 너무 작아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고,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불소 고무와 실리콘 간의 층간접착력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내층(12)을 이루는 불소 고무 조성물에 포함되는 충진제로 선택되어 이용되는 칼슘 실리케이트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에폭시계 물질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로 표면처리된 것이면, 불소 고무와 실리콘의 접착력이 향상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층(12)을 이루는 불소 고무 조성물에 포함되는 충진제로 선택되어 이용되는 카본블랙은, 퍼니스블랙(furnace black) 및 써말블랙(thermal black)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일물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층(12)을 이루는 불소 고무 조성물에 포함되는 충진제로 이용되는 카본블랙은, 그 평균입자 크기는 40㎚ 이상이고, 그 표면적이 8 내지 50 ㎡/g, 디부틸 아크릴레이트 흡착량이 30 내지 150 ㎤/100g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층(12)을 이루는 불소 고무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교제로 이용되는 퍼옥사이드계 화합물의 사용 함량에 대한 수치 범위와 관련하여, 하한치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가교 속도가 너무 느리게 진행되며 내열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가교 속도가 너무 빨라져 불소 고무와 실리콘 간의 층간 접착력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내층(12)을 이루는 불소 고무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교제로 이용되는 퍼옥사이드계 화합물은, 디큐밀 퍼옥사이드 (DCP), 디-(2,4-디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 및 2,5-디-메틸-2,5-디-(터어셔리-부틸퍼옥시)-헥산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퍼옥사이드계 물질이거나, 이들 퍼옥사이드계 물질을 포함하는 실리카 분말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층(12)을 이루는 불소 고무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교조제로 이용되는 시아누레이트계 화합물의 사용함량에 대한 수치 범위와 관련하여, 하한치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가교 밀도가 너무 낮아 모듈러스, 경도 등의 기계적 물성 및 내열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불소 고무와 실리콘 간의 층간 접착력이 일정 수준 이상 증가하지 않아 이물질로 작용할 수 있으며, 가공의 불안정 및 모듈러스, 경도 등이 높아져 중간층과의 접착력 저하를 일으킬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내층(12)을 이루는 불소 고무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교조제로 이용되는 시아누레이트계 화합물은, 트리아릴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아릴시아누레이트, 및 트리메틸이소시아누레이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일물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층(12)을 이루는 불소 고무 조성물은, 에스터계 합성 왁스 및 실리콘 오일의 혼합물로서, 상기 베이스고무 중량 대비 0.5 내지 3 중량부인 가공조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성물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가공조제의 함량에 대한 수치 범위와 관련하여, 하한치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압출 가공성이 향상되지 않아 바람직하지 못하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첨가량의 증대에 따른 가공성 향상 효과가 비례적으로 향상되지 않으면서 이물로 작용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전술한 바에 따르는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고무 호스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 호스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먼저, 내층, 중간층 및 외층 제조용 조성물을 각각 준비하여, 이로부터 고무 스트립을 제조한 후(S1), 내층 및 중간층이 적층된 이층 구조의 튜브를 제조하고(S2), 중간층을 감싸는 편조층을 제조하며(S3), 마지막으로 외층을 형성하는 단계(S4)를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각 단계별(S1 내지 S4)로 구분되어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과정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조성물로부터 고무 스트립 제조단계( S1 )
본 발명에 따르는 고무 호스의 제조는 고무 호스 전용 압출기를 사용하여 제조하는데, 먼저 미리 배합한 내층 제조용 불소고무 조성물, 중간층 및 외층 제조용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각각 준비한다. 이때, 각각 준비된 고무 조성물을 폭 10 내지 20㎝, 두께 1 내지 2㎝ 정도의 스트립(strip) 상으로 만들어 이형제를 부착하여 서로 부착되지 않도록 처리한 후, 상온에서 24시간 이상 숙성한다. 이때, 사용된 각각의 조성물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고무 호스에 관하여 전술한 내용에 부합하는 바에 따라 준비되면 바람직하다.
내층 및 중간층 이층 구조의 튜브 제조 단계( S2 )
상기 조성물 준비단계(S1)에 따라 준비된 조성물 성분 중, 먼저 내층 제조용 불소 고무 조성물과 중간층 제조용 실리콘고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각각의 스트립(strip)을 이중 압출기를 이용하여 공압출하여 내층 및 중간층의 이층 구조 를 갖는 튜브를 제조한다. 내층 형성을 위한 압출 조건과 관련하여, 압출기 헤드의 온도는 80 내지 110℃로 유지하고, 스크류 온도는 50 내지 80℃를 유지하며, 스크류 회전수는 5 내지 40 RPM을 유지한다. 한편, 중간층 형성을 위한 압출 조건과 관련하여, 압출기 헤드의 온도는 30 내지 60℃로 유지하고, 스크류 온도는 20 내지 50℃를 유지하며, 스크류 회전수는 5 내지 40 RPM을 유지한다.
편조층 형성 단계( S3 )
상기 압출된 이층 구조를 갖는 튜브의 중간층을 외부에서 감싸도록 보강사를 이용하여 편조층을 형성시킨다. 이는 보강사간의 미끄러짐을 막아주고 내압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에 있다.
외층 형성 단계( S4 )
상기 편조사를 이용하여 편조층을 형성한 후, 미리 준비된 외층 제조용 고무 스트립을 상기 중간층 제조를 위해 진행하는 압출 조건과 동일하게 진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경유하여 내층부터 외층까지의 압출이 완료되면, 가교 작업을 진행하기에 앞서 원형의 호스 내면에 이형제를 도포한 후, 외경 40㎜ 의 원통형 금속 만드렐에 삽입하여 형상을 유지시킨다. 이후, 압력조건을 2 내지 10기압, 가교온도는 120 내지 180℃, 가교시간은 10분 내지 5시간의 조건으로 스팀가교를 실시하거나 연속가교를 실시한 후, 가교된 고무호스를 금속 만드렐로부터 발취하여 호스 제조를 완료한다.
이하, 전술한 바에 따르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 있는 고무 호스 및 고무 호스 제조 방법에 기초하여, 보다 구체적인 내용으로서 실시하고 이를 시험하여 본 발명이 갖는 기술적 효과를 확인해보기로 한다.
하기 표 1에 따르는 실시예(1~3) 및 하기 표 2에 따르는 비교예(1~6)에 따라 각각 준비된 조성물을, 오픈롤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베이스고무, 충진제, 가교조제, 기타첨가제 및 가교제의 순으로 투입하면서 약 20 내지 25분 정도 혼련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시트 상태로 제조한 후, 전기 가열 방식의 프레스를 이용하여 177℃에서 10분간 가압성형 및 상온 냉각하여 특성평가를 위한 시편을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1~3)
1 2 3
불소고무 공중합체(불소함량 66%) 100 100 100
아연산화물(ZnO) 3 3 3
MT 카본블랙 30 20 10
칼슘실리케이트 - 10 20
에스터계 왁스 1 1 1
실리콘 오일 0.5 0.5 0.5
가교조제(TAIC, 70% 실리카 분말) 4 4 4
가교제(DCP, 40% 실리카 분말) 5 5 5
구분 비교예(1~6)
1 2 3 4 5 6
불소고무 공중합체(불소함량 66%) 100 100 100 100 100 100
아연산화물(ZnO) 3 3 3 3 3 -
마그네슘산화물(MgO) - - - - - 3
MT 카본블랙 20 20 20 20 20 20
칼슘실리케이트 10 10 10 10 10 10
에스터계 왁스 - 5 3 1 1 1
실리콘 오일 - - 2 0.5 0.5 0.5
가교조제(TAIC, 70% 실리카 분말) 4 4 4 4 1.3 4
가교제(DCP, 40% 실리카 분말) 5 5 5 10 5 5
상기 표 1 및 2에 따라 준비된 각각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각각의 시험 시편에 대해, 인장시험, 노화시험, 접착시험 및 압축영구줄음률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각각의 결과를 구분하여 나타내었다.
인장시험은 한국공업규격 KSM 6518 2-4의 인장시험에 준하여 평가하였으며, 노화시험은 한국공업규격 KSM 6518 2-7의 노화시험에 준하여 평가하였다. 온도 및 시간은 200±2℃에서 72시간의 조건으로 시험을 행하였으며, 터보 차저 호스 용도로 이용되기 위한 일반적으로 요구 기준치는 인장강도 변화율 및 신율 변화율이 ±30% 이내이어야 한다. 접착시험은 ISO 36에 준하여 불소 고무와 실리콘 고무 간의 접착력을 평가하였다. 시편의 크기는 길이 150㎜×폭 25 ㎜×두께 4㎜로 하였으며, 이때, 두께는 불소 고무 조성물로 제조된 부분의 두께를 2㎜로 하고, 실리콘 고무 조성물로 제조된 부분의 두께를 2㎜로 하였다. 상기 준비된 각각의 시편을 50㎜/분의 속도로 180도 박리시험을 하였다. 차량용 터보 차저 호스 용도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상온에서의 접착력은 20 N/㎝ 이상이어야 하며, 내열접착력은 15 N/㎝ 이상을 만족하여야 한다. 압축영구줄음률 시험은 한국공업규격 KSM 6518 2-10의 압축영구줄음률 시험에 준하여 평가하였다. 이때의 온도 및 시간 조건은 200±2℃에서 70시간으로 하여 시험을 행하였다.
구분 실시예(1~3) 비교예(1~6)
특성 평가항목 1 2 3 1 2 3 4 5 6
상온특성 인장강도(㎏f/㎟) 167 160 155 166 146 143 164 152 161
신율(%) 272 280 283 262 290 285 276 287 280
내열특성 인장강도변화율(%) -6 -7 -7 -6 -7 -6 -2 -9 -6
신율변화율(%) -14 -17 -16 -13 -17 -18 -11 -32 -16
접착특성 접착력(N/㎝) 28 42 36 23 17 14 22 18 19
내열접착특성 접착력(N/㎝) 15 21 17 11 6 5 10 5 9
압축영구줄음률(%) 14 15 14 14 16 17 8 19 13
상기 표 3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들(1~3)의 경우에는, 터보 차저 용도로 사용되기 위해 요구되는 접착특성의 기준치인, 상온에서의 접착력은 20 N/㎝ 이상 및 내열접착력은 15 N/㎝ 이상을 모두 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달리, 비교예 1과 4를 제외하고는 다른 비교예들(2,3,5,6)에서 상온 접착력 요구 기준치에 미달하고 있으며, 비교예 1 및 4의 경우에도 내열 접착특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터보 차저와 같은 고내열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한 고무 호스로서는 적합성이 결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5의 경우에는 내열특성으로서의 신율변화율의 요구 기준치에 미달하고 있음도 알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고무 호스가 접착성이 개선되었으며, 내열성 및 블로우 바이 저항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 장시간 물리적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차량용 터보 차저용 고무 호스로서 그 적합성이 충분하게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층을 이루는 불소 고무 조성물과 외층을 이루는 실리콘 고무 조성물 간의 접착이 향상되며, 내열성, 가스에 대한 블로우 저항성 및 내압성이 종래의 제품에 비하여 현저하게 개선되어, 고온의 내열성, 내압성이 요구되는 산업용 호스, 특히 차량용 배관 호스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중공된 내부를 가져 단면이 환형을 갖는 불소고무 조성물로 제조된 내층;
    상기 내층을 감싸면서 피복된 실리콘고무 조성물로 제조된 중간층;
    상기 중간층을 감싸면서 피복된 유기섬유로 이루어진 편조층; 및
    상기 편조층을 감싸면서 피복된 실리콘고무 조성물로 제조된 외층;을 포함하여 구비되되,
    상기 내층을 이루는 불소 고무 조성물은, 불소 함량이 65% 이상인 불소 모노머의 탄성 중합체인 베이스고무; 칼슘실리케이트 및 카본블랙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일물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서, 상기 베이스고무 중량 대비 20 내지 50 중량부인 충진제; 퍼옥사이드계 화합물로서, 상기 베이스고무 중량 대비 0.5 내지 5 중량부인 가교제; 및 시아누레이트계 화합물로서, 상기 베이스고무 중량 대비 1 내지 5 중량부인 가교조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성물이며,
    상기 내층과 중간층의 층간 접착력이 20 N/㎝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무 호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을 이루는 불소 고무 조성물에 포함되는 베이스고무로 이용되는 탄성 중합체는, 불화비닐리덴, 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 및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이 혼용된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무 호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을 이루는 불소 고무 조성물에 포함되는 충진제로 선택되어 이용되는 칼슘 실리케이트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에폭시계 물질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로 표면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무 호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을 이루는 불소 고무 조성물에 포함되는 충진제로 선택되어 이용되는 카본블랙은, 퍼니스블랙(furnace black) 및 써말블랙(thermal black)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일물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무 호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을 이루는 불소 고무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교제로 이용되는 퍼옥사이드계 화합물은, 디큐밀 퍼옥사이드(DCP), 디-(2,4-디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 및 2,5-디-메틸-2,5-디-(터어셔리-부틸퍼옥시)-헥산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퍼옥사이드계 물질이거나, 이들 퍼옥사이드계 물질을 포함하는 실리카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무 호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을 이루는 불소 고무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교조제로 이용되는 시아누레이트계 화합물은, 트리아릴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아릴시아누레이트, 및 트리메틸이소시아누레이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일물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무 호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선택된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을 이루는 불소 고무 조성물은, 에스터계 합성 왁스 및 실리콘 오일의 혼합물로서, 상기 베이스고무 중량 대비 0.5 내지 3 중량부인 가공조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무 호스.
  8. 삭제
KR1020060011789A 2006-02-07 2006-02-07 차량용 고무 호스 KR100770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789A KR100770070B1 (ko) 2006-02-07 2006-02-07 차량용 고무 호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789A KR100770070B1 (ko) 2006-02-07 2006-02-07 차량용 고무 호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460A KR20070080460A (ko) 2007-08-10
KR100770070B1 true KR100770070B1 (ko) 2007-10-24

Family

ID=38600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1789A KR100770070B1 (ko) 2006-02-07 2006-02-07 차량용 고무 호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00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497A (ko) 2018-05-11 2019-11-20 쿠퍼스탠다드오토모티브앤인더스트리얼 주식회사 친환경 난연성 고무호스 조성물, 이를 이용한 친환경 난연성 고무호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31228A (ko) 2018-05-16 2019-11-26 쿠퍼스탠다드오토모티브앤인더스트리얼 주식회사 브레이크 호스
KR102359338B1 (ko) 2021-02-23 2022-02-08 대윤텍스켐 주식회사 브레이크 호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494B1 (ko) 2007-09-21 2008-11-26 주식회사 엠앤이 내화학성이 향상된 불소고무
KR101716674B1 (ko) * 2015-10-12 2017-03-15 주식회사 백일 압출형 내열고압고무호스용 아라미드단섬유 복합딥코드의 제조방법
KR102609119B1 (ko) * 2023-07-18 2023-12-05 주식회사 이니트 내열성이 강화된 테프론호스 및 이를 포함하는 테프론호스어셈블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9297B1 (ko) * 1986-08-20 1993-09-25 도소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제품
JP2000193152A (ja) * 1998-12-24 2000-07-14 Toyoda Gosei Co Ltd 耐熱性ホース
KR100311858B1 (ko) 1993-09-10 2001-12-17 미야타 아키라 연료호스및그제법및여기에이용하는장치
JP2002357285A (ja) * 2000-04-24 2002-12-13 Asahi Glass Co Ltd 燃料用ホース
US6655414B2 (en) 1999-09-30 2003-12-02 Asahi Glass Company, Limited Fuel hose
JP2005140199A (ja) 2003-11-05 2005-06-02 Ube Ind Ltd 積層体ホース
KR20050112955A (ko) * 2004-05-28 2005-12-0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자동차용 고무 호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9297B1 (ko) * 1986-08-20 1993-09-25 도소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제품
KR100311858B1 (ko) 1993-09-10 2001-12-17 미야타 아키라 연료호스및그제법및여기에이용하는장치
JP2000193152A (ja) * 1998-12-24 2000-07-14 Toyoda Gosei Co Ltd 耐熱性ホース
US6655414B2 (en) 1999-09-30 2003-12-02 Asahi Glass Company, Limited Fuel hose
JP2002357285A (ja) * 2000-04-24 2002-12-13 Asahi Glass Co Ltd 燃料用ホース
JP2005140199A (ja) 2003-11-05 2005-06-02 Ube Ind Ltd 積層体ホース
KR20050112955A (ko) * 2004-05-28 2005-12-0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자동차용 고무 호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497A (ko) 2018-05-11 2019-11-20 쿠퍼스탠다드오토모티브앤인더스트리얼 주식회사 친환경 난연성 고무호스 조성물, 이를 이용한 친환경 난연성 고무호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31228A (ko) 2018-05-16 2019-11-26 쿠퍼스탠다드오토모티브앤인더스트리얼 주식회사 브레이크 호스
KR102359338B1 (ko) 2021-02-23 2022-02-08 대윤텍스켐 주식회사 브레이크 호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460A (ko) 2007-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070B1 (ko) 차량용 고무 호스
EP0695405B1 (en) Wrapped composite gasket material
US8158260B2 (en) Molding method and molded article of fluoropolymer with multilayered particulate structure
JP3568977B2 (ja) 炭化水素搬送用パイプ製造のためのポリマー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ベースとする物品
JP2010280915A5 (ko)
AU2013224775A1 (en) High-strength flexible tubular structure for oil exploitation
WO2014113202A9 (en) A layered tube for a hose assembly
EP1563985B1 (en) Method of making a flexible PVC hose
JP4626624B2 (ja) 耐熱エアホース
KR100756748B1 (ko) 고무 호스 및 그 제조방법
EP1559538B1 (en) Heat resistant air hose
JP5391188B2 (ja) ガスケット用フッ素樹脂シート、ガスケット用フッ素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シートガスケット
KR101423816B1 (ko) 고내열 고무호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무호스
KR100683308B1 (ko) 차량용 고무 연료 호스 제조용 조성물 및 차량용 고무 연료호스
KR20200139898A (ko) 성능을 개선시킨 차량용 배관 고무호스
WO2007043525A1 (ja) フッ素樹脂成形体
EP0464508B1 (en) Method for shaping tetrafluoroethylene resin pipe
JP2006096991A (ja) Ptfe樹脂成型体、ptfe樹脂成型体を用いた一体化構造、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20200139894A (ko) 우수한 성능의 자동차용 고무호스
KR20160022037A (ko) 내마모성이 우수한 불소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저압전선
KR101263575B1 (ko) 고무호스 조성물, 이를 이용한 고무호스 및 그 제조방법
KR102346343B1 (ko) 내열성이 우수한 불소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EP2412518B1 (de) Schlauchleitung, insbesondere für Sanitäranwendungen, sowie Schlauchanordnung
KR100804359B1 (ko) 자동차용 고무호스
JPH0615216B2 (ja) 耐油性ゴムホース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