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036B1 - 동기 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극 탭 가압착 장치 - Google Patents

동기 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극 탭 가압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036B1
KR100770036B1 KR1020060015852A KR20060015852A KR100770036B1 KR 100770036 B1 KR100770036 B1 KR 100770036B1 KR 1020060015852 A KR1020060015852 A KR 1020060015852A KR 20060015852 A KR20060015852 A KR 20060015852A KR 100770036 B1 KR100770036 B1 KR 100770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movement
lifting
vertical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5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2780A (ko
Inventor
김성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Priority to KR1020060015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036B1/ko
Publication of KR20070082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2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43B3/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with ligh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specially adapted for babies or small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earthing or ground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기 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극 탭 가압착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PDP 또는 LCD용 패널의 패턴 전극과 전극 탭(TAB)을 가압착하기 위한 전극 탭 가압착 장치에 사용되는 동기 캠 장치는 전후진 이동용 캠; 상기 전후진 이동용 캠과 동축 상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동축에 고정 장착되는 승강 이동용 캠; 상기 전후진 이동용 캠 또는 상기 승강 이동용 캠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동축의 단부에 장착되는 캠 회전 굴대(axle); 상기 전후진 이동용 캠과 상기 승강 이동용 캠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 모터 축; 상기 구동 모터 축 상에 장착되는 모터 회전 굴대; 및 상기 캠 회전 굴대와 상기 모터 회전 굴대(394)를 연결하는 벨트(belt)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진 이동용 캠 및 상기 승강 이동용 캠은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동기적으로 회전하며, 상기 전후진 이동용 캠 및 상기 승강 이동용 캠의 형상 및 사이즈는 상기 전후진 이동용 캠의 상하 이동 거리와 상기 승강 이동용 캠의 상하 이동 거리가 동일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PDP 또는 LCD용 패널의 패턴 전극과 전극 탭(TAB)을 가압착하기 위한 전극 탭 가압착 장치는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동기 캠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기 캠, 전극 탭 가압착 장치

Description

동기 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극 탭 가압착 장치{Synchronous Cam Device and Pressing Apparatus of Electrode Tape Automatic Bonding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의 전극 탭 가압착 장치와 전극 탭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일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전극 탭 가압착 장치의 상세한 후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동기 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극 탭 가압착 장치의 정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동기 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극 탭 가압착 장치의 후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동기 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극 탭 가압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플라즈마 패널 디스플레이(PDP)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CD)의 글래스 기판의 패턴 전극과 외부 연결용 패턴 전극을 가압착하기 위한 전극 탭 가압착 장치의 전후 및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동기 캠 장치 및 이를 구비 한 전극 탭 가압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컴퓨터 모니터 또는 TV 분야에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CD)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PDP 또는 LCD를 제조함에 있어서, 전면 글래스 및 후면 하부 글래스 기판(이하 “패널”이라 함) 상에 전극(어드레스 전극 및 전원 전극) 패턴을 형성한 전면 패턴 전극 단자부 및 후면 패턴 전극 단자부와 이들 전면 및 후면 패턴 전극 단자부를 각각 제어하기 위해, 구동 IC(Drive IC)를 구비한 연성 회로 기판(FPC)의 패턴 전극(이하 “IC 단자용 패턴 전극”이라 함) 및 구동 IC(Drive IC)를 구비하지 않으며, 리드선 기능만을 하는 연성 회로 기판(FPC)의 패턴 전극(이하 “단자용 패턴 전극”이라 함)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전극 탭(TAB: Tape Automatic Bonding)을 패널 상의 패턴 전극 단자부와 본딩하여야 한다.
상술한 PDP 또는 LCD의 패널 상의 패턴 전극을 탭과 본딩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송장치(transfer unit)가 패널을 스테이지 장치(stage unit) 상에 전달한다. 그 후, 스테이지 장치는 전달받은 패널을 전극 탭 가압착 장치 상에 공급한다. 그 후, 전극 탭 공급 장치는 전극 탭 가압착 장치 상에 공급된 패널 상의 패턴 전극 단자부에 전극 탭을 공급한 후 가압착한다. 그 후, 본딩 장치에 의해 가압착된 전극 탭의 본딩 공정이 행해진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은 종래 기술의 전극 탭 가압착 장치와 전극 탭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일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의 전극 탭 가압착 장치의 상세한 후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 여 종래 기술에 따른 전극 탭 가압착 장치(100)와 전극 탭 공급 장치(150)에 의한 전극 탭(160)의 가압착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이송장치(미도시)가 스테이지 장치(stage unit: 미도시)에 패널(140)을 이송한다. 그 후, 스테이지 장치는 이송받은 패널(140)의 가장자리 부근에 형성된 패턴 전극을 가압착하기 위해 패널(140)을 전극 탭 가압착 장치(100)의 상부 플레이트(110) 상에서 전후진 이동이 가능한 상부 스테이지(112) 상으로 이송된다.
한편, 전극 탭 공급 장치(150)는 회전 가능한 복수의 암(arm: 152,154)에 의해 전극 탭(156,158)을 패널(140) 상으로 공급한다. 도 1에는 2개의 암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당업자라면 예를 들어 4개 또는 8개 등 다양한 개수의 암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극 탭 가압착 장치(100) 상에 이송된 패널(140)의 패턴 전극과 전극 탭 공급 장치(150)에 의해 공급된 전극 탭(156,158)을 정렬하여 가압착하기 위해, 전극 탭 가압착 장치(100)는 패널(140)을 전후 방향(X 방향) 및 상하 방향(Y 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전극 탭 가압착 장치(200)는 패널(미도시)의 전후 방향(X 방향) 및 상하 방향(Y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패널은 그 일단부가 상부 스테이지(212) 상의 작업대(218) 상에 놓이도록 공급된다. 작업대(218) 상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전극 탭 공급 장치(150)에 의해 전극 탭(160)이 패널 상에 제공된 후 가압착이 행해진다. 상부 스테이지(212)는 상부 플레이트(210)의 바닥면 상에 부착된 전후진 실린더(214)에 의해 한 쌍의 전후 방향(X방향) 리니어 모션 가이드(Linear Motion Guide: 216,216)를 따라 전후 방향(X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210)는 상부 플레이트(210)와 일체로 형성된 수직 플레이트(220)는 지지 플레이트(240) 상에 부착된 수직 방향(Y방향) 리니어 모션 가이드(242,242)를 따라 수직 방향(Y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수직 플레이트(220)의 수직 방향(Y방향) 이동은 승강 캠(230) 및 캠 팔로어(cam follower: 232)와 승강 캠(230)을 구동하는 승강 실린더(234)에 의해 제어된다. 즉, 승강 실린더(234)가 로드(236)에 의해 연결된 승강 캠(230)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캠 팔로어(232)가 승강 캠(230) 표면 상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고, 그에 따라 승강 캠(230)과 접촉하고 있는 수직 플레이트(220)가 수직 방향(Y방향) 리니어 모션 가이드(242,242)를 따라 수직 방향(Y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전극 탭 가압착 장치(100,200)는 패널과 전극 탭의 가압착 공정을 위해 패널의 전후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2개의 실린더(214,234) 및 2쌍의 리니어 모션 가이드(216,216; 242,242)를 사용하여야 하며, 이들 전후 방향 이동 및 수직 방향 이동은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된다. 이러한 전후 방향 이동 및 수직 방향 이동의 개별 제어로 인해 패널과 전극 탭의 가압착 공정 시간이 상당히 길어져, 전체 공정시간(tact time)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전극 탭 가압착 장치(100,200)의 경우 패널의 전후 방향 이동 및 상하 방향 이동을 개별적으로 제어해야 하므로, 전극 탭 가압착 장치가 복잡해지며 또한 사이즈가 커져 설비 코스트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전극 탭 가압착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동축 상에서 동기 방식으로 구동되며, 패널의 전후 방향 및 수직 방향의 이동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동기 캠 및 이를 구비한 전극 탭 가압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르면, PDP 또는 LCD용 패널의 패턴 전극과 전극 탭(TAB)을 가압착하기 위한 전극 탭 가압착 장치에 사용되는 동기 캠 장치에 있어서, 전후진 이동용 캠; 상기 전후진 이동용 캠과 동축 상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동축에 고정 장착되는 승강 이동용 캠; 상기 전후진 이동용 캠 또는 상기 승강 이동용 캠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동축의 단부에 장착되는 캠 회전 굴대(axle); 상기 전후진 이동용 캠과 상기 승강 이동용 캠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 모터 축; 상기 구동 모터 축 상에 장착되는 모터 회전 굴대; 및 상기 캠 회전 굴대와 상기 모터 회전 굴대(394)를 연결하는 벨트(belt)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진 이동용 캠 및 상기 승강 이동용 캠은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동기적으로 회전하며, 상기 전후진 이동용 캠 및 상기 승강 이동용 캠의 형상 및 사이즈는 상기 전후진 이동용 캠의 상하 이동 거리와 상기 승강 이동용 캠의 상하 이동 거리가 동일하도록 설계되는 동기 캠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르면, PDP 또는 LCD용 패널의 패턴 전극과 전극 탭 (TAB)을 가압착하기 위한 전극 탭 가압착 장치에 있어서, a) i) 전후진 이동용 캠; ii) 상기 전후진 이동용 캠과 동축 상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동축에 고정 장착되는 승강 이동용 캠; iii) 상기 전후진 이동용 캠 또는 상기 승강 이동용 캠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동축의 단부에 장착되는 캠 회전 굴대(axle); iv) 상기 전후진 이동용 캠과 상기 승강 이동용 캠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 v) 상기 구동 모터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 모터 축; vi) 상기 구동 모터 축 상에 장착되는 모터 회전 굴대; 및 vii) 상기 캠 회전 굴대와 상기 모터 회전 굴대(394)를 연결하는 벨트(belt)를 포함하고, viii) 상기 전후진 이동용 캠 및 상기 승강 이동용 캠은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동기적으로 회전하며, ix) 상기 전후진 이동용 캠 및 상기 승강 이동용 캠의 형상 및 사이즈는 상기 전후진 이동용 캠의 상하 이동 거리와 상기 승강 이동용 캠의 상하 이동 거리가 동일하도록 설계되는 동기 캠 장치; b) 상부에 작업대를 구비하며, 하부 바닥면 소정 위치에 연결되는 수직 부재를 구비한 상부 스테이지; c) 전면 및 후면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일측면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전면 및 상기 후면 사이에 소정의 제 2 공간을 구비하는 수직 플레이트; d) 상부에 상기 상부 스테이지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 이동 가이드 부재가 제공되는 상부 플레이트를 구비하되,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수직 부재의 회동을 가능하게 해주는 소정의 제 1 공간을 구비하는 승강 지지 부재; e) 일측 단부에 상기 전후진 이동용 캠과 접촉하는 제 1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수직 부재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일측면 플레이트에 소정의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링크; f) 일체로 구성되는 수직 링크와 수평 링크를 구비하되, 상기 수직 링크측 단부에는 상기 승강 이동용 캠과 접촉하는 제 2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수평 링크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제 2 공간을 통해 상기 승강 지지 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재가 구비되는 제 2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및 상기 후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승강 지지 부재의 수직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수직 방향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 및 상기 후면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수평 링크의 수직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수직 방향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일측면 플레이트는 상기 수직 링크의 수직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수직 방향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 지지 부재는 상기 제 1 링크에 의해 회동될 때 상기 상부 스테이지와 상호 연동하는 전극 탭 가압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은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가 동일한 구성요소를 표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동기 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극 탭 가압착 장치의 정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동기 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극 탭 가압착 장치의 후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극 탭 가압착 장치(300)는 전후진 이동용 캠(360) 및 승강 이동용 캠(370)을 포함하는 동기 캠 장치(350)를 구비한다. 전후진 이동용 캠(360) 및 승강 이동용 캠(370)은 동축(352) 상에서 동기적으 로 회전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전후진 이동용 캠(360) 및 승강 이동용 캠(370)은 캠 지지대(380) 상에 수용 지지된다. 전후진 이동용 캠(360) 및 승강 이동용 캠(370)은 동축(352) 상에서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고정 장착된다. 전후진 이동용 캠(360)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축(352)의 단부에는 캠 회전 굴대(axle)(354)가 장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동축(352)의 단부가 전후진 이동용 캠(360)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전후진 이동용 캠(360) 및 승강 이동용 캠(370)이 서로 교환 가능하게 위치되며, 동축(352)의 단부가 승강 이동용 캠(370)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구동 모터(390)가 전후진 이동용 캠(360)의 측면 방향으로 소정 위치에 위치된다. 구동 모터(390)의 일측 방향에는 구동 모터(390)로부터 연장되는 구동 모터 축을 구비하며, 이 구동 모터 축 상에 모터 회전 굴대(394)가 장착된다. 캠 회전 굴대(axle)(354)와 모터 회전 굴대(394)는 벨트(belt)(396)로 연결된다. 벨트(396)는 타이밍 벨트(timing belt), 장력 벨트, 또는 체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전후진 이동용 캠(360)의 표면은 제 1 롤러(342)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며, 제 1 롤러(342)는 제 1 링크(340)의 일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제 1 링크(340)의 타측 단부는 수직 부재(324)에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수직 부재(324)는 상부 스테이지(312)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 1 링크(340)는 중간 부분에 힌지(344)를 구비하고 있으며, 힌지(344)는 수직 플레이트(330)를 구성하는 일측면 플레이트(332) 상에 고정된다. 전후진 이동용 캠(360)이 구동 모터(390)에 의 해 회전하면, 제 1 롤러(342)가 힌지(344)를 기준으로 회동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 1 롤러(342)가 전후진 이동용 캠(360)의 동축(352)에서 멀어질수록 제 1 링크(340)는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전후진 이동용 캠(360)의 동축(352)에 가까워질수록 제 1 링크(34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제 1 링크(34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제 1 링크(340)에 고정 부착된 수직 부재(324) 및 수직 부재(324)에 연결된 상부 스테이지(312)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여기서, 수직 부재(324)는 승강 지지 부재(320)의 상부 플레이트(310)의 일부에 길게 형성된 제 1 캐비티(311) 내에서 회동한다. 승강 지지 부재(320) 상에는 상부 스테이지(312)의 전후진 방향(X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리니어 모션 가이드(316,316)가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전후진 이동용 캠(360)이 회전하면, 상부 스테이지(312)는 상하 방향(Y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전후진 방향(X방향)으로 이동한다. 상부 스테이지(312) 상에는 도 2에 도시된 작업대(218)에 대응되며, 패널(미도시)의 일단부가 위치되는 작업대(318)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수직부재(324)가 제 1 캐비티(311)를 통해 상부 플레이트(310)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당업자라면 제 1 캐비티(311) 대신 제 1 캐비티(311) 일측이 개방된 U자형 공간을 통해 연결되거나, 또는 기타 임의 형상의 폐쇄 또는 개방된 공간을 통해 연결되거나, 또는 상부 플레이트(310)와 승강지지 부재(320)가 2개 부분으로 분리되어, 그 분리된 완전히 개방된 공간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부 플레이트(310)와 승강지지 부재(320)가 "T"자형 또는 "ㄱ"자형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당업자라면 상부 플레이트(310)와 승강지지 부재(320)는 승강지지 부재(320)가 상부 플레이트(310)를 수평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임의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승강 이동용 캠(370)의 표면은 제 2 롤러(372)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며, 제 2 롤러(372)는 수직 링크(374) 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수직 링크(374)와 수평 링크(375)는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 2 링크를 구성한다. 수직 링크(374)는 일측면 플레이트(332) 상에 형성된 리니어 모션 가이드(373)에 의해 수직 방향 이동이 안내되며, 수평 링크(375)는 수직 플레이트(330) 상에 형성된 리니어 모션 가이드(376)에 의해 수직 방향 이동이 안내된다. 수평 링크(375)는 연결부재(378)에 의해 수직 플레이트(330) 상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제 2 캐비티(334)를 통해 승강 지지 부재(320)와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연결부재(378)가 제 2 캐비티(334)를 통해 승강 지지 부재(320)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당업자라면 제 2 캐비티(334) 대신 제 2 캐비티(334) 상부가 개방된 U자형 공간을 통해 연결되거나, 또는 기타 임의 형상의 폐쇄 또는 개방된 공간을 통해 연결되거나, 또는 수직 플레이트(330)의 좌측 절반 또는 우측 절반(도 3b 참조)을 커팅하여 제 2 캐비티(334) 대신 완전히 개방된 공간(이 경우, 수직 플레이트(330) 상에 형성된 한 쌍의 리니어 모션 가이드(326,326) 중 하나만 사용되며, 좌측 절반을 사용할 경우, 수직 플레이트(330) 상에 형성된 리니어 모션 가이드(376)은 수직 플레이트(330)의 좌측 절반 상에 제공된다)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승강 이동용 캠(370)이 구동 모터(390)에 의해 회전하면, 제 2 롤러(372)가 승강 이동용 캠(370)의 표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수직 링크(374) 및 수평 링크(375)는 각각 리니어 모션 가이드(373) 및 리니어 모션 가이드(376)를 따라 상하 이동이 안내된다. 제 2 롤러(372)가 승강 이동용 캠(370)의 동축(352)에서 멀어질수록 수직 링크(374) 및 수평 링크(375)는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승강 이동용 캠(370)의 동축(352)에 가까워질수록 수직 링크(374) 및 수평 링크(375)는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수평 링크(375)의 연결 부재(378)에 의해 연결된 승강 지지 부재(320)도 수직 플레이트(330) 상에 형성된 한 쌍의 리니어 모션 가이드(326,326)을 따라 수직 방향(Y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전후진 이동용 캠(360)에 의해 상부 스테이지(312)가 회동하면, 승강 지지 부재(320)도 리니어 모션 가이드(316,316)에 의해 상부 스테이지(312)와 연동하여 수직방향(Y방향)으로 이동하여야 한다. 또한, 승강 이동용 캠(370)에 의해 승강 지지 부재(320)가 수직방향(Y방향)으로 이동하면, 상부 스테이지(312)도 리니어 모션 가이드(316,316)에 의해 승강 지지 부재(320)와 연동하여 수직방향(Y방향)으로 이동하여야 한다. 따라서, 전후진 이동용 캠(360)과 승강 이동용 캠(370)은 그 각각의 외주 표면 형상이 상부 스테이지(312)와 승강 지지 부재(320)가 서로 연동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특정한 형상 및 치수를 갖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즉, 전후진 이동용 캠(360)과 승강 이동용 캠(370)의 형상 및 치수는 전후진 이동용 캠(360)에 의한 상부 스테이지(312)의 회동에 따른 상부 스테이지(312)의 수직 방향의 이동 거리와 승강 이동용 캠(370)에 의한 상부 스테이지(312)의 수직 방향의 이동 거리가 같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러한 전후진 이동용 캠(360)과 승강 이동용 캠(370)의 외주 표면 형상이 특정한 형상 및 치수를 갖도록 설계하는 것은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316,316; 326,326; 373,376)는 수직 이동 가이드 부재 또는 수평 이동 가이드 부재를 예시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들 리니어 모션 가이드와 균등한 별개의 수직 이동 가이드 부재 또는 수평 이동 가이드 부재가 사용될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전극 탭 가압착 장치(300)는 동기 캠 장치(350)를 사용함으로써, 상부 스테이지(312)가 전후진 방향 이동 및 상하 방향 이동이 동시에 동기적으로 이루어지므로, 패널과 전극 탭의 가압착 공정 시간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전체 공정시간(tact time)이 상당히 감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극 탭 가압착 장치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달성된다.
1. 전체 공정 시간(tact time)이 상당히 단축된다.
2. 전극 탭 가압착 장치의 설비 코스트가 대폭 감소된다.
3. PDP 또는 LCD 제조에 필요한 전체 공정 라인의 길이가 축소된다.
다양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예 시된 구성 및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거나 첨부 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따라서만 정해져야 한다.

Claims (12)

  1. PDP 또는 LCD용 패널의 패턴 전극과 전극 탭(TAB)을 가압착하기 위한 전극 탭 가압착 장치에 사용되는 동기 캠 장치에 있어서,
    전후진 이동용 캠;
    상기 전후진 이동용 캠과 동축 상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동축에 고정 장착되는 승강 이동용 캠;
    상기 전후진 이동용 캠 또는 상기 승강 이동용 캠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동축의 단부에 장착되는 캠 회전 굴대(axle);
    상기 전후진 이동용 캠과 상기 승강 이동용 캠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 모터 축;
    상기 구동 모터 축 상에 장착되는 모터 회전 굴대; 및
    상기 캠 회전 굴대와 상기 모터 회전 굴대(394)를 연결하는 벨트(belt)
    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진 이동용 캠 및 상기 승강 이동용 캠은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동기적으로 회전하며,
    상기 전후진 이동용 캠 및 상기 승강 이동용 캠의 형상 및 사이즈는 상기 전후진 이동용 캠의 상하 이동 거리와 상기 승강 이동용 캠의 상하 이동 거리가 동일하도록 설계되는
    동기 캠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캠 장치는 상기 전후진 이동용 캠 및 상기 승강 이동용 캠을 수용 지지하는 캠 지지대를 추가로 구비하는 동기 캠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타이밍 벨트(timing belt), 장력 벨트, 및 체인 중 어느 하나인 동기 캠 장치.
  4. PDP 또는 LCD용 패널의 패턴 전극과 전극 탭(TAB)을 가압착하기 위한 전극 탭 가압착 장치에 있어서,
    a) i) 전후진 이동용 캠;
    ii) 상기 전후진 이동용 캠과 동축 상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동축에 고정 장착되는 승강 이동용 캠;
    iii) 상기 전후진 이동용 캠 또는 상기 승강 이동용 캠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동축의 단부에 장착되는 캠 회전 굴대(axle);
    iv) 상기 전후진 이동용 캠과 상기 승강 이동용 캠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
    v) 상기 구동 모터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 모터 축;
    vi) 상기 구동 모터 축 상에 장착되는 모터 회전 굴대; 및
    vii) 상기 캠 회전 굴대와 상기 모터 회전 굴대(394)를 연결하는 벨트(belt)
    를 포함하고,
    viii) 상기 전후진 이동용 캠 및 상기 승강 이동용 캠은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동기적으로 회전하며,
    ix) 상기 전후진 이동용 캠 및 상기 승강 이동용 캠의 형상 및 사이즈는 상기 전후진 이동용 캠의 상하 이동 거리와 상기 승강 이동용 캠의 상하 이동 거리가 동일하도록 설계되는
    동기 캠 장치;
    b) 상부에 작업대를 구비하며, 하부 바닥면 소정 위치에 연결되는 수직 부재를 구비한 상부 스테이지;
    c) 전면 및 후면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일측면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전면 및 상기 후면 사이에 소정의 제 2 공간을 구비하는 수직 플레이트;
    d) 상부에 상기 상부 스테이지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 이동 가이드 부재가 제공되는 상부 플레이트를 구비하되,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수직 부재의 회동을 가능하게 해주는 소정의 제 1 공간을 구비하는 승강 지지 부재;
    e) 일측 단부에 상기 전후진 이동용 캠과 접촉하는 제 1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수직 부재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일측면 플레이트에 소정의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링크; 및
    f) 일체로 구성되는 수직 링크와 수평 링크를 구비하되, 상기 수직 링크측 단부에는 상기 승강 이동용 캠과 접촉하는 제 2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수평 링크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제 2 공간을 통해 상기 승강 지지 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재가 구비되는 제 2 링크
    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및 상기 후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승강 지지 부재의 수직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승강 지지 부재용 수직 이동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 및 상기 후면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수평 링크의 수직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수평 링크용 수직 이동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일측면 플레이트는 상기 수직 링크의 수직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수직 링크용 수직 이동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 지지 부재는 상기 제 1 링크에 의해 회동될 때 상기 상부 스테이지와 상호 연동하는
    전극 탭 가압착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캠 장치는 상기 전후진 이동용 캠 및 상기 승강 이동용 캠을 수용 지지하는 캠 지지대를 추가로 구비하는 전극 탭 가압착 장치.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타이밍 벨트(timing belt), 장력 벨트, 및 체인 중 어느 하나 인 전극 탭 가압착 장치.
  7.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동 가이드 부재, 상기 승강 지지 부재용 수직 이동 가이드 부재, 상기 수평 링크용 수직 이동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수직 링크용 수직 이동 가이드 부재가 각각 리니어 모션 가이드인 전극 탭 가압착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동 가이드 부재, 상기 승강 지지 부재용 수직 이동 가이드 부재, 상기 수평 링크용 수직 이동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수직 링크용 수직 이동 가이드 부재가 각각 리니어 모션 가이드인 전극 탭 가압착 장치.
  9.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간 및 상기 제 2 공간이 각각 캐비티, 일측이 개방된 U자형 캐비티, 및 완전히 개방된 공간 중 어느 하나인 전극 탭 가압착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간 및 상기 제 2 공간이 각각 캐비티, 일측이 개방된 U자형 캐비티, 및 완전히 개방된 공간 중 어느 하나인 전극 탭 가압착 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간 및 상기 제 2 공간이 각각 캐비티, 일측이 개방된 U자형 캐 비티, 및 완전히 개방된 공간 중 어느 하나인 전극 탭 가압착 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간 및 상기 제 2 공간이 각각 캐비티, 일측이 개방된 U자형 캐비티, 및 완전히 개방된 공간 중 어느 하나인 전극 탭 가압착 장치.
KR1020060015852A 2006-02-17 2006-02-17 동기 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극 탭 가압착 장치 KR100770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852A KR100770036B1 (ko) 2006-02-17 2006-02-17 동기 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극 탭 가압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852A KR100770036B1 (ko) 2006-02-17 2006-02-17 동기 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극 탭 가압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2780A KR20070082780A (ko) 2007-08-22
KR100770036B1 true KR100770036B1 (ko) 2007-10-26

Family

ID=38612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5852A KR100770036B1 (ko) 2006-02-17 2006-02-17 동기 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극 탭 가압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003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39858A (ja) * 1988-03-18 1989-09-25 Shinkawa Ltd 基板支持機構
JPH05191095A (ja) * 1992-01-17 1993-07-30 Sanyo Electric Co Ltd プリント基板の支持装置
JPH0778852A (ja) * 1993-09-06 1995-03-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ウターリードボンディング装置およびアウターリードボンディング方法
KR19980064127A (ko) * 1996-12-16 1998-10-07 가야시마고조 플렉시블 기판 맞붙임 장치 및 맞붙임 방법
KR20000040676A (ko) * 1998-12-19 2000-07-05 구자홍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플렉시블 기판의 연결장치
JP2000338896A (ja) 1999-05-31 2000-12-08 Sony Corp 基板位置決め装置および基板貼り合わせ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39858A (ja) * 1988-03-18 1989-09-25 Shinkawa Ltd 基板支持機構
JPH05191095A (ja) * 1992-01-17 1993-07-30 Sanyo Electric Co Ltd プリント基板の支持装置
JPH0778852A (ja) * 1993-09-06 1995-03-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ウターリードボンディング装置およびアウターリードボンディング方法
KR19980064127A (ko) * 1996-12-16 1998-10-07 가야시마고조 플렉시블 기판 맞붙임 장치 및 맞붙임 방법
KR20000040676A (ko) * 1998-12-19 2000-07-05 구자홍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플렉시블 기판의 연결장치
JP2000338896A (ja) 1999-05-31 2000-12-08 Sony Corp 基板位置決め装置および基板貼り合わ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2780A (ko) 2007-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79530B (zh) 零件安装装置及其方法
US8646171B2 (en)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method
CN100556259C (zh) 面板组装装置及面板组装方法
CN101933128B (zh) 部件压接装置及方法
CN1796254B (zh) 面板供给装置、面板供给方法和面板装配装置
US20100126363A1 (en) Screen printing machine and printing unit
US8366864B2 (en) Component press bonding apparatus and method
CN102162953B (zh) 背光板组装装置
JP7370644B2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側面端子印刷システム
KR20080047205A (ko) 기판 이재 로봇
KR100770036B1 (ko) 동기 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극 탭 가압착 장치
CN211086851U (zh) 一种液晶屏幕自动对位压接点灯装置
KR20120048430A (ko) 기판 반송장치 및 기판 반송방법
KR20130011263A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벤딩장치
WO2019200846A1 (zh) 一种用于压制cof与lcd的全自动预压机
JP4747618B2 (ja) パネル供給装置およびパネル搬送方法
CN108345136B (zh) 一种lcd吸附上料装置
JP2009043846A (ja) 基板搬送装置
KR100782569B1 (ko) 백라이트 유닛 제조를 위한 램프 픽싱장치 및 이를 이용한램프 픽싱 공정 제어방법
KR20020065099A (ko) 엘시디 패널 위치 정렬장치
KR101034041B1 (ko) 기판 정렬장치
JP2016084537A (ja) 蒸着用マスク装着装置
KR20140000500A (ko) 자동점등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691810B1 (ko) 개선된 패턴 전극 본딩 장치
KR102237083B1 (ko) 세타 얼라인 기능을 갖는 백업 일체형 메인 본딩 스테이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