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9679B1 -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9679B1
KR100769679B1 KR1020010001662A KR20010001662A KR100769679B1 KR 100769679 B1 KR100769679 B1 KR 100769679B1 KR 1020010001662 A KR1020010001662 A KR 1020010001662A KR 20010001662 A KR20010001662 A KR 20010001662A KR 100769679 B1 KR100769679 B1 KR 100769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aving
mode
saving mode
external device
j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1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0531A (ko
Inventor
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1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9679B1/ko
Publication of KR20020060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0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한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전방법은 외부기기로부터 작업요청신호가 전달되면 요청작업을 처리하는 정상모드에서 외부기기로부터 일정시간 작업요청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시스템 부하 일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낮추어 절전모드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방법에 있어서, 외부기기로부터 작업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현재의 설정모드를 파악하는 단계와, 설정모드가 절전모드로 파악되면 정상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와, 전환단계를 통해 시스템이 정상모드로 전환되면 요청된 작업을 처리하는 단계 및 요청작업의 처리 완료와 함께 절전모드로 복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시스템을 기동하기 위하여 별도로 키를 조작할 필요가 없게 되며, 작업 수행 후 절전모드로 복귀되므로 항상 작업 대기상태로 있게 되는 시스템에 비하여 전력 소모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절전모드, 화상형성장치, 프린터, 스캔, 모드전환부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방법{Method for power saving of Image form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화상형성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입력부 10a,10b : 조작키
20 : 모드전환부 30 : 인터페이스
30a : ECP 포트 30b : USB 포트
40 : 시스템 메모리 50 : 표시부
60 : 작업수행부 60a : 프린트부
60b : 스캔부 70 : 제어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상형성장치의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한 절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 또는 팩시밀리, 복사기, 스캐너 그리고 이들이 복합적으 로 결합된 복합형 프린터기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절전 스위치가 구비되거나 일정시간 동안 작업요청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시스템 일부에 전원공급을 차단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위와 같이 절전기능을 갖는 화상형성장치에서 파워 스위치가 부착된 시스템의 경우는 인위적으로 스위치를 사용하여 절전모드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시스템 일부에 전원공급이 차단되도록 하는 시스템의 경우는 제어부에서 시간을 체크하여 절전모드로 진입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파워스위치를 사용하여 절전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하여 스위치를 다시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게 된다.
또한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절전모드로 자동 진입되도록 하는 경우는 절전모드에서 작업요청이 발생하면 작업을 수행한 후, 다시 일정시간을 대기하여 절전모드로 복귀되기 때문에 대기시간 만큼의 불필요한 전력소모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절전모드에서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별도의 조작없이 작업 명령을 수행할 수 있으면서 절전모드로 복귀되기 까지의 대기 시간 동안에 소모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방법은 외부기기로부터 작업요청신호가 전달되면 요청작업을 처리하는 정상모드에서 외부기 기로부터 일정시간 작업요청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시스템 부하 일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낮추어 절전모드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방법에 있어서, 외부기기로부터 작업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현재의 설정모드를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모드가 절전모드로 파악되면 정상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전환단계를 통해 시스템이 정상모드로 전환되면 요청된 작업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작업의 처리 완료와 함께 절전모드로 복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정상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시스템에 설정된 절전모드를 작업 요청한 외부기기에 피력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절전모드 해제신호가 전달되면 시스템을 정상모드로 전환하는 단계가 포함되도록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및 스캐너 복합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프린터 및 스캐너 복합형 화상형성장치는 키입력부(10), 모드전환부(20), 인터페이스(30), 메모리(40), 표시부(50), 작업수행부(60) 및 제어부(70)를 구비한다. 작업수행부(60)는 프린트부(60a), 스캔부(60b)를 구비한다.
키입력부(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키신호를 발생하며, 사용자에 의해 절전모드와 정상모드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모드선택키(10a)(10b)가 구비된다.
모드전환부(20)는 제어부(70)에서 출력된 모드전환명령에 응답하여 시스템의 일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낮추거나 차단하는 절전모드 또는 인쇄 또는 스캐닝 작업 이 가능한 상태로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정상모드로 전환된다. 예컨대, 절전모드에서는 프린트부(60a)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중 토너화상을 고온에서 용지에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 롤러와 같은 발열요소들의 발열온도를 인쇄 작업시 요구되는 발열온도 보다 낮추거나 전력공급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한다.
인터페이스(30)는 PC(Personal Computer)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처리한다. 바람직하게는 인터페이스(30)는 외부기기와 양방향 병렬 통신을 위하여 개선된 포트(Enhanced Capability Port : ECP )(30a) 및 직렬 통신을 위한 통합직렬버스 (Universal Serial Bus : USB) 포트(30b)가 마련된다.
메모리(40)는 시스템 운영을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표시부(50)는 제어부(70)의 제어하에 시스템의 상태 및 키입력부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된 신호에 대응되는 내용을 표시한다.
프린트부(60a)는 제어부(70)로부터 출력된 프린팅 명령에 의해 PC로부터 전송된 인쇄데이터를 용지에 인쇄될 수 있도록 구동된다.
스캔부(60b)는 장착된 문서 또는 사진을 키입력부(10)로부터 출력된 스캔신호 또는 PC로부터 입력되어 제어부(70)를 통해 전송된 스캔제어명령에 따라 스캐닝한다.
제어부(70)는 메모리(40)에 기록된 프로그램 내용에 따라 키입력부(10) 및 인터페이스(30)를 통해 전달된 신호에 대응하여 시스템 전반을 제어한다. 특히 키입력부(10)를 통해 절전모드가 선택되면 시스템의 절전모드가 수행될 수 있도록 모드전환부(20)를 제어한다. 그리고 시스템이 절전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인터페이 스(30)를 통해 PC로부터 작업 요청신호가 전달되면 정상모드로 전환될 수 있도록 모드전환부(20)를 제어하여 요청된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절전모드에서 PC로부터 인쇄작업이 요청된 경우에는 정상모드로 모드를 전환하여 PC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프린트부(60a)에서 용지에 인쇄될 수 있도록 처리하며, 스캔작업이 요청된 경우에는 스캔부(60b)를 통해 스캔된 문서의 이미지 데이터가 PC로 전송될 수 있도록 처리한다. 그리고 제어부(70)는 절전모드에서 요청된 작업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면 모드전환부(20)에 절전모드 전환명령을 출력하여 절전모드로 다시 복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및 스캐너 복합형 장치의 절전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터페이스(30)를 통해 PC로부터 프린팅 또는 스캐닝 작업요청신호가 수신(S1)되면, 설정된 현재 모드가 절전모드인지를 파악(S2)하게 된다. 그래서 파악된 설정모드가 정상모드이면 요청된 작업을 즉시 처리(S5)할 수 있도록 한다. 만일 파악된 설정모드가 절전모드였다면 시스템을 정상모드로 전환하여 요청된 작업을 처리(S3)한 후, 곧 바로 절전모드로 복귀(S4)되도록 한다.
여기서 파악된 설정모드가 절전모드일 때 요청된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S3)는 작업을 요청한 PC에 현재모드가 절전모드임을 피력(S3-1)한 후, PC로부터 절전모드 해제신호가 전송되는지를 감시(S3-2)한다. 그래서 절전모드 해제신호가 수신되면 시스템이 정상모드로 전환(S3-3)되도록 한다. 모드 전환 동작은 제어부(70)에서 절전모드 해제신호가 수신(S3-2)되면 모드전환부(20)에 작업이 가능한 정상모드 로 전환될 수 있도록 모드 전환명령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시스템이 절전모드에서 정상모드로 전환(S3-3)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단계 S3-1 및 S3-2는 생략될 수 있으며, 모드 판단단계(S2)에서 절전모드로 판단되면 즉시 정상모드로 전환(S3-3)되도록 제어부(70)의 동작을 프로그램할 수 있겠다.
그리고 제어부(70)는 모드가 정상모드로 전환(S3-3)되면, PC로부터 요청된 작업을 처리(S3-4)하게 된다. 즉, 프린팅 요청신호가 수신된 경우 PC로부터 수신된 프린트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용지에 인쇄될 수 있도록 처리한다. 만일 스캐닝 신호가 입력된 경우 스캔부(65)를 제어하여 장착된 문서 또는 사진의 스캐닝을 수행하여 이미지데이터를 작업요청한 PC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위와 같이 PC로부터 요청된 작업의 처리가 완료(S3-5)되면 시스템을 다시 절전모드로 복귀(S4)시킨다.
한편 모드 판단단계(S2)에서 비절전모드(정상모드)로 판단되면, 곧바로 요청작업을 앞서 S3-4 단계를 통해 설명된 바와 같이 수행(S5-1)한다. 이후, 요청된 작업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S5-2), 다음 작업이 가능한 정상모드를 유지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절전모드를 선택하여 시스템이 절전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작업요청이 발생하면 작업가능한모드로 전환되어 요청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작업이 수행이 완료되면 절전모드로 복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절전모드에서 작업이 요청된 경우 시스템에서 이를 인식하여 요청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시스템을 기동하기 위하여 별도로 스위치를 조작할 필요가 없게 되며, 작업수행 이후에는 다시 절전모드로 복귀되므로 항상 작업 대기상태로 있게 되는 시스템에 비하여 전력 소모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외부기기로부터 작업요청신호가 전달되면 요청작업을 처리하는 정상모드에서 외부기기로부터 일정시간 작업요청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시스템 부하 일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낮추어 절전모드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방법에 있어서,
    외부기기로부터 작업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현재의 설정모드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설정모드가 절전모드로 파악되면 정상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전환단계를 통해 시스템이 정상모드로 전환되면 요청된 작업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작업의 처리 완료와 동시에 절전모드로 복귀하는 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모드에서 상기 정상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시스템에 설정된 절전모드를 작업 요청한 외부기기에 피력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절전모드 해제신호가 전달되면 시스템을 정상모드로 전환하는 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방법.
KR1020010001662A 2001-01-11 2001-01-11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방법 KR100769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662A KR100769679B1 (ko) 2001-01-11 2001-01-11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662A KR100769679B1 (ko) 2001-01-11 2001-01-11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531A KR20020060531A (ko) 2002-07-18
KR100769679B1 true KR100769679B1 (ko) 2007-10-24

Family

ID=27691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1662A KR100769679B1 (ko) 2001-01-11 2001-01-11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96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3008A (ko) 2010-01-13 2011-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관리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2127A (ja) * 1993-03-26 1994-10-07 Brother Ind Ltd 印刷装置
KR970073995A (ko) * 1996-05-31 1997-12-10 김광호 프린터의 웨이크 업 방법
JP2000250732A (ja) * 1999-03-04 2000-09-14 Ricoh Co Ltd プリンタシステム
KR20000056600A (ko) * 1999-02-24 2000-09-15 윤종용 인쇄기 및 그 전력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2127A (ja) * 1993-03-26 1994-10-07 Brother Ind Ltd 印刷装置
KR970073995A (ko) * 1996-05-31 1997-12-10 김광호 프린터의 웨이크 업 방법
KR20000056600A (ko) * 1999-02-24 2000-09-15 윤종용 인쇄기 및 그 전력제어방법
JP2000250732A (ja) * 1999-03-04 2000-09-14 Ricoh Co Ltd プリンタ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531A (ko) 200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93147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Low Power Thereof
JP2009302831A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83008A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관리방법
JP2002142385A (ja) サーバ装置、ネットワーク機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並びにそれらの制御方法
US785250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04222234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省エネ制御方法
US886793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program
JP2001358871A (ja) 印刷システム、印刷方法及び記憶媒体、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2078955A (ja) 情報処理装置、その電源制御方法、及び電源制御プログラム
KR100769679B1 (ko)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방법
US20070139690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nterrupt control method
US20130050727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power-saving method of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4046917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2033865A (ja) 画像入力装置および画像出力装置
JP2000321943A (ja) 画像形成装置
JPH07319642A (ja) 印刷方法及び装置及び該装置における電力供給制御方法
JP2008216320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およ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JPH11194917A (ja) 印字システム
JP2015002434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571793B1 (ko) 복사 기능 선택 가능한 호스트 장치 및 그 방법
JP2002218118A (ja) 複合機能における電子印刷出力の選択方法及び複合機能電子印刷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14235366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9116100A (ja) 印刷装置
KR20000019773A (ko) 프린터의 전원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법
JP2003189016A (ja) 複合機能複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