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9374B1 -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 및 지폐 취급 장치 - Google Patents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 및 지폐 취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9374B1
KR100769374B1 KR1020067001951A KR20067001951A KR100769374B1 KR 100769374 B1 KR100769374 B1 KR 100769374B1 KR 1020067001951 A KR1020067001951 A KR 1020067001951A KR 20067001951 A KR20067001951 A KR 20067001951A KR 100769374 B1 KR100769374 B1 KR 100769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heet
detection
roller
thickness
displa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1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0522A (ko
Inventor
다까시 요시다
아끼라 모리
마사노리 데라오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30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0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06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16Testing the dimensions
    • G07D7/164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4Roller pairs
    • B65H2404/143Roller pairs driving roller and idler roller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4Roller pairs
    • B65H2404/144Roller pairs with relative movement of the rollers to / from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3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50Occurence
    • B65H2511/515Absence
    • B65H2511/518Particular portion of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 취급 장치에 탑재 가능한 테이프 등을 부착한 변조 지폐 등을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는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회전 구동되는 기준 롤러(1a, 1b)와, 기준 롤러로 압박되어 종동 회전하는 검지 롤러(5a, 5b)와, 지엽류의 두께에 따라서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외륜(8)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변위 검출 센서(9a, 9b)와, 변위 검출 신호(10a, 10b)와 지폐의 자세 신호로부터 테이프 등이 부착된 변조권을 판정하는 판정 처리부(11)로 이루어진다. 판정 처리부(11)는 변위 검출 신호로부터 지폐의 두께를 감산한 테이프 두께 신호와, 인접한 상기 테이프 두께 신호를 가산한 테이프 두께 가산 신호로부터 변조권을 판정한다. 이에 의해, 테이프의 단부가 한쪽에 탑재되어 검지 롤러가 축방향으로 쓰러져 변위 검출 신호가 저하된 경우에 있어서도 테이프를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지폐 취급 장치,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 검지 롤러, 판정 처리부, 외륜

Description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 및 지폐 취급 장치{THICKNESS DETECTOR FOR PAPER SHEET AND PAPER MONEY HANDLING DEVICE}
본 발명은 지엽류의 변조를 검출하는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금 자동 거래 장치에 구비되는 지폐 취급 장치나 자동 판매기 등과 같이 지폐를 취급하는 장치에서는 테이프, 종이 등으로 변조된 지폐를 감별하는 것이 중요하고, 그로 인해 지폐 판별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특히 최근에는, 그 변조 기술은 교묘화되어 있고, 예를 들어 지폐, 유가 증권, 우표 및 수표 등을 테이프, 종이, 씰(seal) 등으로 변조한 것이 유통되고 있다.
이와 같이 테이프, 종이 등으로 변조된 지폐 등을 감별하는 지폐 판별 장치로서, 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6-49442호 공보에 기재된 종래 기술이 있다.
이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는 회전 구동되는 기준 롤러와, 기준 롤러에 외륜이 압박되어 외륜과 회전축 사이를 탄성 부재로 접속하여 종동 회전하는 검지 롤러와, 기준 롤러와 검지 롤러 사이에 지엽류를 반송시키고, 외륜의 변위량으로부터 테이프 등의 솟아오름(이하, 융기라 함)을 검출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 :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6-49442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장치는 검지 롤러에 지엽류나 테이프 등의 단부가 한쪽에 탑재되어 통과한 경우에 탄성 부재가 균일하게 수축하지 않으므로 검지 롤러가 회전축 방향으로 기울어 정확하게 지엽류나 테이프 등에 의한 융기를 검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검지 롤러에 지엽류나 테이프 등의 단부가 한쪽에 탑재되어 통과한 경우라도 지엽류나 테이프 등의 융기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회전하는 축에 부착된 기준 롤러와, 이 기준 롤러의 외륜이 접촉하여 회전하는 검지 롤러와, 이 양 롤러와 상기 외륜의 접촉부 사이에 지엽류를 협지 반송시켜 상기 검지 롤러의 변위량으로부터 상기 지엽류의 두께를 검출하는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지 롤러의 변위량을 가산한 변위량으로부터 상기 지엽류의 융기 부분을 검출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상기 검지 롤러의 외륜은 원통 형상의 경질 부재이고, 이 경질 부재와 상기 검지 롤러의 회전축과의 사이는 탄성 부재가 개재되어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상기 검지 롤러는 복수 설치되고, 이들 검지 롤러마다의 변위량으로부터 상기 지엽류의 융기를 검출하고, 인접끼리의 상기 검지 롤러의 변위량을 가산한 변위량으로부터 상기 지엽류의 융기를 검출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회전하는 축에 부착된 기준 롤러와, 이 기준 롤러의 외륜이 접촉하여 회전하는 검지 롤러와, 이 양 롤러와 상기 외륜의 접촉부 사이에 지엽류를 협지 반송시켜 상기 검지 롤러의 변위량으로부터 상기 지엽류의 두께를 검출하는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지 롤러의 변위량으로부터 미리 기억해 둔 상기 지엽류의 두께를 감산한 융기 높이를 구하고, 인접끼리의 검지 롤러의 변위량으로부터 구한 상기 융기 높이를 가산한 융기 높이로부터 상기 지엽류의 융기를 검출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상기 검지 롤러마다의 변위량으로부터 상기 지엽류의 융기를 검출하고, 인접하는 상기 검지 롤러의 변위량으로부터 구한 상기 융기 높이를 가산한 융기 높이로부터 상기 지엽류의 융기를 검출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회전하는 축에 부착된 기준 롤러와, 이 기준 롤러의 외륜이 접촉하여 회전하는 검지 롤러와, 이 양 롤러와 상기 외륜의 접촉부 사이에 지엽류를 협지 반송시켜 상기 검지 롤러의 변위량으로부터 상기 지엽류의 두께를 검출하는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검지 롤러끼리의 변위량을 가산한 지폐 위치에 대한 변위량을 미분하고, 이 미분치로부터 상기 지엽류의 융기 높이를 검출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상기 검지 롤러마다의 변위량으로부터 상기 지엽류의 융기 부분을 검출하고, 인접하는 상기 검지 롤러끼리의 변위량을 가산한 지폐 위치에 대한 변위량을 미분하고, 그 미분치로부터 상기 지엽류의 융기 높이를 검출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회전하는 축에 부착된 기준 롤러와, 이 기준 롤러의 외륜이 접촉하여 회전하는 검지 롤러와, 이 양 롤러와 상기 외륜의 접촉부 사이에 지엽류를 협지 반송시켜 상기 검지 롤러의 변위량으로부터 상기 지엽류의 두께를 검출하는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륜의 양단부로부터 제1 변위량과 제2 변위량을 검출하고, 이 제1 변위량과 제2 변위량으로부터 미리 기억해 둔 상기 지엽류의 두께를 감산한 제1 융기 높이와 제2 융기 높이를 구하고, 이 제1 융기 높이와 제2 융기 높이를 감산한 롤러 경사량으로부터 상기 지엽류의 융기 높이를 검출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상기 외륜의 양단부로부터 제1 변위량과 제2 변위량으로부터 융기를 갖는 상기 지엽류의 검출과, 이 제1 변위량과 제2 변위량으로부터 미리 기억해 둔 상기 지엽류의 두께를 감산한 제1 융기 높이와 제2 융기 높이를 구하고, 이 제1 융기 높이와 제2 융기 높이를 감산한 롤러 경사량으로부터 상기 지엽류의 융기 높이를 검출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전기 롤러 경사량은 인접끼리의 검지 롤러의 롤러 경사량을 가산한 롤러 경사량인 것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회전하는 축에 부착된 기준 롤러와, 이 기준 롤러의 외륜이 접촉하여 회전하는 검지 롤러와, 이 양 롤러와 상기 외륜의 접촉부 사이에 지엽류를 협지 반송시켜 상기 검지 롤러의 변위량으로부터 상기 지엽류의 두께를 검출하는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지 롤러의 회전축 방향의 투영광을 검출하고 상기 검지 롤러의 변위량을 구하여 상기 지엽류의 융기 높이를 검출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회전하는 축에 부착된 기준 롤러와, 이 기준 롤러의 외륜이 접촉하여 회전하는 검지 롤러와, 이 양 롤러와 상기 외륜의 접촉부 사이에 지엽류를 협지 반송시켜 상기 검지 롤러의 변위량으로부터 상기 지엽류의 두께를 검출하는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지 롤러의 변위량으로부터 융기를 갖는 상기 지엽류의 검출과, 상기 검지 롤러의 회전축 방향의 경사량을 검출하여 융기를 갖는 상기 지엽류의 검출로부터 융기를 갖는 상기 지엽류를 검출함으로써 달성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 도1의 변위 검출 신호와, 인접한 변위 검출 신호를 가산한 변위 가산 신호 및 테이프 판정 임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 도1의 테이프 두께 검출 신호와, 인접한 테이프 두께 검출 신호를 가산한 테이프 두께 가산 신호 및 테이프 판정 임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 도1의 테이프 두께 검출 신호와, 인접한 테이프 두께 검출 신호를 가산한 테이프 두께 가산 신호 및 테이프 판정 임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 도1의 인접한 테이프 두께 검출 신호를 가산한 테이프 두께 가산 신호의 미분 신호 및 테이프 판정 임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하나의 검지 롤러에 2개의 변위 센서를 설치한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 도6의 테이프 두께 검출 신호와, 인접한 테이프 두께 검출 신호를 감산한 롤러 경사 신호와, 인접한 롤러 경사 신호를 가산한 롤러 경사 신호 및 테이프 판정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검지 롤러의 투영광을 검출하는 광학식 변위 센서를 설치한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검지 롤러의 경사를 검출하는 경사 센서를 설치한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를 이용한 현금 자동 취급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a, 1b : 기준 롤러
2 : 기준 롤러축
3 : 지폐
4 : 테이프
5a, 5b : 검지 롤러
6 : 검지 롤러축
7 : 탄성 부재
8 : 외륜
9a, 9b : 변위 검출 센서
10a, 10b : 변위 검출 신호
11 : 판정 처리부
12 : 판정 신호
13 : 지폐의 스큐, 시프트 자세 신호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구비한 지엽류 두께 검출 장치를 도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에 있어서, 회전 구동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하는 기준 롤러축(2)과, 이 기준 롤러축(2)에 설치된 기준 롤러(1a와 1b)와, 검지 롤러축(6)에 설치된 검지 롤러(5a와 5b)가 기준 롤러(1a와 1b)로 압박되어 종동 회전하는 검지 롤러축(6)과, 지엽류의 두께에 따라서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검지 롤러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와전류 변위 센서 등의 변위 검출 센서(9a와 9b)가 배치된다.
상기 검지 롤러(5a와 5b)는 금속 등의 원통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외륜(8)과, 이 외륜(8)과 검지 롤러축(6) 사이에는 고무 등의 부드러운 탄성 부재(7)가 충전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7)와 외륜(8)은 접착 또는 비접착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준 롤러(1a와 1b)와 검지 롤러(5a와 5b) 사이에 지폐(3)(지엽류)가 서로 맞물리면 탄성 부재(7)가 지엽류의 두께만큼 변형되어 외륜(8)이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량을 변위 검출 센서(9a와 9b)로 검출하여 지폐(3)(지엽류)의 두께에 따른 검출 신호(10a와 10b)를 출력한다. 검출 신호(10a와 10b)는 판정 처리부(11)로 이송된다. 판정 처리부(11)는 검출 신호(10a와 10b)와, 지폐(3)가 검지 롤러를 통과하였을 때의 스큐(skew)(반송 방향의 경사), 시프트(횡방향의 위치)의 자세 신호(13)로부터 지폐(3)가 2매 이상 포개어진 다중 급송인지, 테이프 등이 부착된 변조권인지를 판정하여 그 판정 신호(12)를 출력한다.
또한, 자세 신호(13)는 지폐의 스큐가 없는 상태에 검출 신호를 수정하기 위해서와, 지폐(3)가 검지 롤러를 통과한 위치를 구하기 위해 사용한다. 또한, 지폐(3)에 부착된 테이프(4)를 도시한다. 지폐(3)는 종이면의 수직 방향으로 반송된다.
또한, 도1은 검지 롤러(5a와 5b)에 테이프(4)의 양단부가 한쪽에 탑재되어 통과하여 탄성 부재가 균일하게 수축되지 않으므로, 검지 롤러(5a와 5b)가 회전축 방향으로 기운 상태를 도시한다. 이와 같은 상태일 때, 변위 센서(9a와 9b)의 변위 출력은 지폐(3)의 두께에 테이프(4)의 두께를 가산한 융기보다 작은 값이 된다. 여기서는 변위 센서의 검출부 중심과 외륜의 거리에 대응한 변위 출력이 된다.
그런데, 상기 설명에서는 2세트의 기준 롤러와 검지 롤러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기준 롤러와 검지 롤러는 지폐의 전면을 검출할 수 있도록 지폐 반송 방향과 직각 방향에 다수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판정 처리부(11)에 있어서의 지폐에 부착한 테이프의 판정 방법을 도2, 도3, 도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2는, 가령 도1에 도시한 검지 롤러(5a와 5b)와의 사이를 테이프(4)를 부착한 변조권이 통과한 경우의 변위 검출 센서(9a와 9b)로부터의 변위 검출 신호(15, 19)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2에 있어서, 종축은 변위 출력을 나타낸다. 횡축은 지폐의 이동 거리를 나타낸다. 지폐부의 출력을 부호 16, 20으로 나타내고, 테이프부의 출력은 부호 17, 21로 나타낸다. 또한, 변위 가산 신호(23)는 변위 검출 신호(15, 19)를 가산한 신호이다. 마찬가지로, 지폐부와 테이프부의 출력을 부호 24, 25로 나타내고, 판정 처리를 위한 임계치를 부호 18, 22, 26으로 나타낸다.
이들 임계치는 지폐의 두께가 장소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에, 지폐가 검지 롤러를 통과한 위치에 대응하여 미리 기억해 둔 데이터로부터 선정한다. 그리고, 변위 검출 신호(15, 19) 및 변위 가산 신호(23)가 임계치 이상이면 테이프 있음이라 판정하고, 임계치 미만이면 테이프 없음이라 판정한다.
도3은 도1에 도시하는 검지 롤러에 지폐(3)에 부착한 테이프(4)의 우측단부가 검지 롤러를 통과한 위치마다 변위 검출 센서의 검출 신호로부터 통과 위치마다의 지폐 두께를 감산한 테이프(4)의 두께를 플롯한 테이프 두께 신호(29)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3에 있어서, 도1에 도시한 기준 롤러(1a)의 좌우 단부를 부호 36, 37로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기준 롤러(1b)의 좌우 단부를 부호 38, 39로 나타낸다. 테이프 두께 신호(31)는 변위 검출 센서(9a)에서 검출한 테이프(4)의 두께를 나타내고, 테이프 두께 신호(32)는 변위 검출 센서(9b)에서 검출한 테이프(4)의 두께를 나타낸다. 부호 33은 테이프(4)의 양단부가 검지 롤러(5a와 5b)를 동시에 한쪽에 탑재하여 통과한 위치이며, 검지 롤러가 기울기 테이프(4)의 두께가 작게 측정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테이프 두께 가산 신호(30)는 인접하는 변위 검출 센서(9a와 9b)로부터 얻게 된 테이프 두께(31과 32)를 가산한 테이프 두께를 나타낸다.
또한, 판정 처리를 위한 임계치를 부호 34로 나타낸다. 그리고, 테이프 두께 신호(31, 33) 및 테이프 두께 가산 신호(30)가 임계치(34) 이상이면, 테이프 있음이라 판정하고, 임계치 미만이면 테이프 없음이라 판정한다.
도4는 변위 검출 센서의 변위 검출 신호로부터 통과 위치마다의 지폐 두께를 감산한 테이프 두께 신호 파형을 나타내다.
도4에 있어서, 테이프 두께 신호(40)는 변위 검출 센서(9a)에서 검출한 변위 검출 신호로부터 통과 위치마다의 지폐 두께를 감산한 파형을 나타낸다. 테이프 두께 파형(41)은 변위 검출 센서(9b)에서 검출한 변위 검출 신호로부터 통과 위치마다의 지폐 두께를 감산한 파형을 나타낸다. 또한, 테이프 두께 가산 신호(42)는 인접하는 변위 검출 센서(9a와 9b)로부터 얻게 된 테이프 두께 신호(40과 41)를 가산한 파형을 나타낸다.
부호 17, 21, 24는 테이프부의 두께를 나타내는 파형이다.
또한, 판정 처리를 위한 임계치를 부호 34로 나타낸다. 그리고, 테이프 두 께 신호(40, 41) 및 테이프 두께 가산 신호(42)가 임계치(34) 이상이면 테이프 있음이라 판정하고, 임계치 미만이면 테이프 없음이라 판정한다.
이와 같이 도1에 도시한 검지 롤러(5a, 5b)가 기운 경우에는 변위 검출 센서의 출력이 저하되어 도2에 도시하는 변위 검출 센서로부터 얻게 된 변위 검출 신호(15, 19)에서는 판정 임계치(18, 19) 이하가 되는 테이프를 검출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도3에 도시하는 테이프 두께 신호(31, 32)로는 판정 임계치(34) 이하가 되는 테이프를 검출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도4에 도시하는 테이프 두께 신호(40, 41)로는 판정 임계치(34) 이하가 되는 테이프를 검출할 수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도2에 도시하는 인접하는 변위 검출 센서(9a와 9b)로부터 얻게 된 변위 검출 신호(15와 19)를 가산한 변위 가산 신호(23)를 이용하면, 테이프부의 검출 신호가 커져 테이프(4)의 양단부가 검지 롤러(5a와 5b)를 동시에 한쪽에 탑재하여 통과하여 검지 롤러가 기운 경우에도 테이프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3에 도시하는 변위 검출 센서(9a와 9b)로부터 얻게 된 테이프 두께 신호(31과 32)를 가산한 테이프 두께 가산 신호(30)를 이용하면, 테이프부의 검출 신호가 커져 테이프(4)의 양단부가 검지 롤러(5a와 5b)를 동시에 한쪽에 탑재하여 통과하여, 검지 롤러가 기운 경우에도 테이프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4에 도시하는 변위 검출 센서(9a와 9b)로부터 얻게 된 테이프 두께 신호(40과 41)를 가산한 테이프 두께 가산 신호(42)를 이용하면, 테이프부의 검출 신호가 커져 테이프(4)의 양단부가 검지 롤러(5a와 5b)를 동시에 한쪽에 탑재하여 통과하여, 검지 롤러가 기운 경우에도 테이프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 실시예)
도5는 판정 처리부(11)에 있어서의 지폐에 부착한 테이프를 판정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5에 있어서, 테이프 두께 미분 신호(43)는 도4의 테이프 두께 가산 신호(42)를 미분한 신호를 나타낸다. 부호 44, 45는 판정 처리를 위한 임계치를 나타낸다. 그리고, 테이프 두께 미분 신호(43)의 절대치가 임계치(44) 이상[임계치(44) = 임계치(45)의 절대치]이면 테이프 있음이라 판정하고, 임계치 미만이면 테이프 없음이라 판정한다.
또한, 도2의 인접끼리의 변위 검출 신호를 가산한 변위 가산 신호(23)를 미분해도 같은 결과를 얻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변위 검출 센서(9a와 9b)로부터 얻게 된 테이프 두께 신호(40과 41)를 가산한 테이프 두께 가산 신호(42)를 미분한 테이프 두께 미분 신호(43)를 이용하면, 테이프부의 미분 신호가 커져 테이프(4)의 양단부가 검지 롤러(5a와 5b)를 동시에 한쪽에 탑재하여 통과하여, 검지 롤러가 기운 경우에도 테이프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발명에서는 검출한 인접끼리의 변위 검출 신호를 가산한 신호, 인접끼리의 테이프 두께를 가산한 신호 및 인접끼리의 가산한 신호의 미분 신호로부터 테이프를 검출하는 방법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검출 롤러마다 검출한 변위 검 출 신호와, 검출한 인접끼리의 변위 검출 신호를 가산한 신호, 인접끼리의 테이프 두께를 가산한 신호 및 인접끼리의 가산한 신호의 미분 신호의 양쪽의 판정 결과를 조합하여 변조권을 검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발명에서는 하나의 검지 롤러에 하나의 변위 검출 센서인 경우의 적용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하나의 검지 롤러에 복수의 변위 검출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6은 하나의 검지 롤러에 2개의 변위 검출 센서를 이용한 지엽류 두께 검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6에 있어서, 검지 롤러(50a, 50b)의 외륜(53) 양단부의 변위를 변위 검출 센서(54a, 54b 및 54c, 54d)를 이용하여 계측하고, 지엽류의 두께를 검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1의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와 같은 구성이다.
검지 롤러축(51)에 설치된 검지 롤러(50a와 50b)가 기준 롤러(1a와 1b)로 압박되어 종동 회전하는 검지 롤러축(51)과, 지엽류의 두께에 따라서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검지 롤러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와전류 변위 센서 등의 변위 검출 센서(54a, 54b 및 54c, 54d)가 배치된다.
상기 검지 롤러(50a, 50b)는 금속 등의 원통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외륜(53)과, 외륜(53)의 양단부와 검지 롤러축(51) 사이에는 고무 등의 부드러운 탄성 부재(52a와 52b)가 분리되어 충전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52a, 52b)와 외륜(53)은 접착 또는 비접착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준 롤러(1a와 1b)와 검지 롤러(50a, 50b) 사이에 지엽류가 서로 맞물리면 탄성 부재(52a, 52b)가 지엽류의 두께만큼 변형되어 외륜(53)이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량을 변위 검출 센서(54a, 54b 및 54c, 54d)에서 검출하여 지엽류의 두께에 따른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검출 신호는 판정 처리부(55)로 이송된다. 판정 처리부(55)는 검출 신호와 지폐가 검지 롤러를 통과하였을 때의 스큐(반송 방향의 경사), 시프트(횡방향의 위치)의 자세 신호(57)로부터 지폐가 2매 이상 포개어진 다중 급송인지, 테이프 등이 부착된 변조권인지를 판정하여 그 판정 신호(56)를 출력한다. 또한, 자세 신호(56)는 지폐의 스큐가 없는 상태로 검출 신호를 수정하기 위해서와, 지폐가 검지 롤러를 통과한 위치를 구하기 위해 사용한다. 또한, 지폐(3)에 부착된 테이프(4)를 도시한다. 지폐는 종이면의 수직 방향으로 반송된다.
도6은 검지 롤러(50a, 50b)에 테이프(4)의 양단부가 한쪽에 탑재되어 통과하여, 탄성 부재가 균일하게 수축되지 않으므로 검지 롤러(50a, 50b)가 회전축 방향으로 기운 상태를 도시하지만, 이와 같은 상태일 때, 변위 센서(54a, 54b 및 54c, 54d)의 변위 출력은 지폐(3)의 두께에 테이프(4)의 두께를 가산한 두께보다 작은 값이 된다. 여기서는 변위 센서의 검출부 중심과 외륜의 거리에 대응한 변위 출력이 된다.
도7은 도6에 도시하는 검지 롤러에 지폐(3)에 부착한 테이프(4)의 우측 단부가 검지 롤러를 통과한 위치마다 변위 검출 센서의 검출 신호로부터 통과 위치마다의 지폐 두께를 감산한 테이프(4)의 두께를 플로팅한 것이다.
도7에 있어서, 기준 롤러(1a)의 좌우 단부를 부호 69, 70으로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기준 롤러(1b)의 좌우 단부를 부호 71, 72로 나타낸다. 테이프 두께 신호(61)는 도6에 도시한 변위 검출 센서(54a)에서 검출한 테이프(4)의 두께를 나타내다. 또한, 테이프 두께 신호(62)는 마찬가지로 변위 검출 센서(54b)에서 검출한 테이프(4)의 두께를 나타내다. 테이프 두께 신호(63)는 변위 검출 센서(54c)에서 검출한 테이프(4)의 두께를 나타낸다. 테이프 두께 신호(64)는 변위 검출 센서(54d)에서 검출한 테이프(4)의 두께를 나타낸다. 또한, 판정 처리를 위한 임계치를 부호 59로 나타낸다.
그리고, 테이프 두께 신호(61, 62, 63, 64)가 임계치(59) 이상이면 테이프 있음이라 판정하고, 임계치 미만이면 테이프 없음이라 판정한다.
또한, 부호 67은 테이프(4)의 양단부가 검지 롤러(50a, 50b)를 동시에 한쪽에 탑재하여 통과한 위치이며, 검지 롤러가 기울기 테이프(4)의 두께가 작게 측정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롤러 경사 신호(60)는 롤러의 경사를 나타낸 신호이다. 롤러 경사 신호(65)는 인접하는 변위 검출 센서(54a, 54b)로부터 얻게 된 테이프 두께(61과 62)를 감산한 값의 절대치이며 롤러의 경사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롤러 경사 신호(66)는 인접하는 변위 검출 센서(54c, 54d)로부터 얻게 된 테이프 두께(63과 64)를 감산한 값의 절대치이며 롤러의 경사를 나타낸다. 또한, 판정 처리를 위한 임계치를 부호 68로 나타낸다. 그리고, 롤러 경사 신호(65, 67)가 임계치(68) 이상이면 롤러의 경사가 크기 때문에 테이프 있음이라 판정하고, 임계치 미만이면 테이프 없 음이라 판정한다.
또한, 롤러 경사 가산 신호(73)는 인접하는 롤러 경사 신호(65)와 롤러 경사 신호(66)를 가산한 것이다. 또한, 판정 처리를 위한 임계치를 부호 74로 나타낸다. 그리고, 롤러 경사 가산 신호(73)가 임계치(74) 이상이면 롤러의 경사가 크기 때문에 테이프 있음이라 판정하고, 임계치 미만이면 테이프 없음이라 판정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테이프 두께 신호(61, 62, 63, 64)와 롤러 경사 신호(65, 67)를 이용하면 테이프(4)의 양단부가 검지 롤러(5a와 5b)를 동시에 한쪽에 탑재하여 통과하여, 검지 롤러가 기운 경우라도 테이프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테이프 두께 신호(61, 62, 63, 64)와 롤러 경사 가산 신호(73)의 양쪽의 판정 결과를 조합하여 이용하면, 테이프(4)가 검지 롤러의 어느 곳을 통과한 경우라도 테이프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4 실시예)
도8은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에 있어서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8에 있어서, 검지 롤러(5a, 5b)의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 센서에 광학식 센서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도1의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와 같은 구성이다.
변위 센서는 대향하는 투광부(76), 수광부(78) 및 투광부(79)와 수광부(81)로 이루어지고, 검지 롤러(5a, 5b)의 롤러 상부가 띠 형상의 광선(77, 80)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투광부의 띠 형상의 광선을 수광부에서 검출하고, 수광량 또는 라인 형상으로 배치한 수광 소자의 수광 위치에 의해 변위를 검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검지 롤러의 투영광을 검출함으로써 검지 롤러의 변위를 검출하여 지엽류의 두께를 검출하는 것이다.
또한, 한 쌍의 투광부와 수광부를 복수의 검지 롤러를 협지하여 대향하여 배치하여 복수의 검지 롤러의 최대 변위를 검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검지 롤러의 투영광을 검출하기 위해, 검지 롤러가 기운 경우에 있어서도 검출 출력의 저하가 없으므로 고정밀도로 테이프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5 실시예)
도9는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에 있어서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9에 있어서, 검지 롤러(5a, 5b)의 회전축 방향의 경사를 검출하는 정전 용량식 변위 센서(85, 86)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도1의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와 같은 구성이다.
정전 용량식 변위 센서(85)는 전극(88)과 전극(87) 사이의 정전 용량을 검출한다. 이는 검지 롤러가 기울면 검지 롤러와 전극의 거리가 변화되기 때문에 정전 용량의 변화가 되어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검지 롤러의 경사를 검출함으로써 검지 롤러에 테이프가 한쪽에 탑재되어 검지 롤러가 기운 경우에, 테이프 등을 한쪽에 탑재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고정밀도로 테이프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0은 본 발명의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에 있어서의 현금 자동 취급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10에 있어서, 현금 자동 취급 장치에 탑재되는 지폐 취급 장치(90)는 현금 예금 시에 공급된 지폐(96a)를 수납하기 위한 지폐의 분리와 현금 출금 시에 이용자가 지정한 금액을 출금하기 위한 지폐 공급 수취 기구(91)와, 지폐 반송로(92a, 92b)와, 지폐의 무늬를 검출하는 화상 센서와, 지폐의 자기 패턴을 검출하는 자기 센서와, 지폐의 형광 화상을 검출하는 형광 센서로 이루어지는 지폐의 화폐 종류 또는 진위를 판정하는 진위 판정 장치와, 지폐가 2매 이상 포개어져 있는 다중 급송 및 테이프, 종이 등으로 변조된 지폐를 검출하는 본 발명의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를 이용하여 지폐의 진위를 판정하는 지폐 감별 장치(97)와, 지폐의 수납 시와 출금 시에 일시적으로 지폐를 축적해 두는 일시 스태커(stacker)(93)와, 기계 처리를 할 수 없는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지폐 회수 상자(94)와, 화폐 종류별로 지폐(96b)를 수납하여 출금하기 위한 화폐 종류 수납 상자(95a, 95b, 95c)로 구성된다.
이 현금 자동 취급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현금 예금 시에는 지폐 공급 수취 기구(91)에 공급된 지폐(96a)는 1매씩 분리되어 반송로(92a)에 공급된다. 지폐 감별 장치(97)에 있어서 지폐가 진권인지 위조권인지를 감별하고, 또한 지폐가 1매인지 2매 이상인지를 판별한다. 지폐가 진권이고 1매 및 꺾인 지폐인 경우에는 일시 스태커(93)에 축적되어 거래 금액을 표시한다. 한편, 공급한 지폐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공급한 모든 지폐는 지폐 공급 수취 기구(91)로 복귀된다.
거래가 성립한 경우에는 다시 지폐 감별 장치(97)를 통해 지폐가 1매인지 2매인지를 체크하여 각각의 화폐 종류 수납 상자(95)에 수납한다. 현금 지불 시에 는 화폐 종류 수납 상자(95)의 지폐(96b)를 1매씩 분리하여 반송로(92b)에 공급한다. 지폐 감별 장치(97)에 있어서 지폐가 1매인지 2매 이상인지를 판별한다. 지폐가 1매인 경우에는 지폐 공급 수취 기구(91)에 출금된다. 2매 이상 및 꺾인 지폐인 경우에는 일시 스태커에 축적되고, 그 후, 지폐 회수 상자(94)에 수납된다. 또한, 지폐 감별 장치(97)는 왕복 어느 방향으로부터 지폐가 반송되어도 감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를 이용한 지폐 감별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지폐가 2매 이상 겹쳐져 있는 다중 급송 및 테이프, 종이 등으로 변조된 지폐를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변위 검출기에 와전류식 변위 센서를 이용하고 있지만, 정전 용량식 변위 센서, 광학식 변위 센서, 접촉식 변위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현금 자동 취급 장치에 사용하는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자동 판매기의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금 자동 취급 장치 등에 적용하여 지폐가 2매 이상 포개어져 있는 다중 급송 및 테이프, 종이 등으로 변조된 지폐를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는 지폐 취급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1. 회전하는 기준 롤러축에 부착된 기준 롤러와, 이 기준 롤러의 외륜이 접촉하여 회전하는 검지 롤러와, 이 양 롤러와 상기 외륜의 접촉부 사이에 지엽류를 협지 반송시켜 상기 검지 롤러의 변위량으로부터 상기 지엽류의 두께를 검출하는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지 롤러의 변위량을 가산한 변위량으로부터 상기 지엽류의 융기 부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롤러의 외륜은 원통 형상의 경질 부재이고, 이 경질 부재와 상기 검지 롤러의 회전축 사이는 탄성 부재가 개재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롤러는 복수 설치되고, 이들 검지 롤러마다의 변위량으로부터 상기 지엽류의 융기를 검출하여 인접끼리의 상기 검지 롤러의 변위량을 가산한 변위량으로부터 상기 지엽류의 융기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
  4. 회전하는 기준 롤러축에 부착된 기준 롤러와, 이 기준 롤러의 외륜이 접촉하여 회전하는 검지 롤러와, 이 양 롤러와 상기 외륜의 접촉부 사이에 지엽류를 협지 반송시켜 상기 검지 롤러의 변위량으로부터 상기 지엽류의 두께를 검출하는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지 롤러의 변위량으로부터 미리 기억해 둔 상기 지엽류의 두께를 감산한 융기 높이를 구하고, 인접끼리의 검지 롤러의 변위량으로부터 구한 상기 융기 높이를 가산한 융기 높이로부터 상기 지엽류의 융기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롤러마다의 변위량으로부터 상기 지엽류의 융기를 검출하고, 인접하는 상기 검지 롤러의 변위량으로부터 구한 상기 융기 높이를 가산한 융기 높이로부터 상기 지엽류의 융기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
  6. 회전하는 기준 롤러축에 부착된 기준 롤러와, 이 기준 롤러의 외륜이 접촉하여 회전하는 검지 롤러와, 이 양 롤러와 상기 외륜의 접촉부 사이에 지엽류를 협지 반송시켜 상기 검지 롤러의 변위량으로부터 상기 지엽류의 두께를 검출하는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검지 롤러끼리의 변위량을 가산한 지엽류의 위치에 대한 변위량을 미분하고, 이 미분치로부터 상기 지엽류의 융기 높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롤러마다의 변위량으로부터 상기 지엽류의 융기 부분을 검출하여 인접하는 상기 검지 롤러끼리의 변위량을 가산한 지엽류의 위치에 대한 변위량을 미분하고, 그 미분치로부터 상기 지엽류의 융기 높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
  8. 회전하는 기준 롤러축에 부착된 기준 롤러와, 이 기준 롤러의 외륜이 접촉하여 회전하는 검지 롤러와, 이 양 롤러와 상기 외륜의 접촉부 사이에 지엽류를 협지 반송시켜 상기 검지 롤러의 변위량으로부터 상기 지엽류의 두께를 검출하는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륜의 양단부로부터 제1 변위량과 제2 변위량을 검출하여 이 제1 변위량과 제2 변위량으로부터 미리 기억해 둔 상기 지엽류의 두께를 감산한 제1 융기 높이와 제2 융기 높이를 구하고, 이 제1 융기 높이와 제2 융기 높이를 감산한 롤러 경사량으로부터 상기 지엽류의 융기 높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륜의 양단부로부터 제1 변위량과 제2 변위량으로부터 융기를 갖는 상기 지엽류의 검출과, 이 제1 변위량과 제2 변위량으로부터 미리 기억해 둔 상기 지엽류의 두께를 감산한 제1 융기 높이와 제2 융기 높이를 구하고, 이 제1 융기 높이와 제2 융기 높이를 감산한 롤러 경사량으로부터 상기 지엽류의 융기 높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경사량은 인접끼리의 검지 롤러의 롤러 경사량을 가산한 롤러 경사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
  11. 삭제
  12. 회전하는 기준 롤러축에 부착된 기준 롤러와, 이 기준 롤러의 외륜이 접촉하여 회전하는 검지 롤러와, 이 양 롤러와 상기 외륜의 접촉부 사이에 지엽류를 협지 반송시켜 상기 검지 롤러의 변위량으로부터 상기 지엽류의 두께를 검출하는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지 롤러의 변위량으로부터 융기를 갖는 상기 지엽류의 검출과, 상기 검지 롤러의 회전축 방향의 경사량을 검출하고 융기를 갖는 상기 지엽류의 검출로부터 융기를 갖는 상기 지엽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
  13. 제1항 내지 제9항,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KR1020067001951A 2004-06-18 2005-06-17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 및 지폐 취급 장치 KR1007693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80399A JP4444738B2 (ja) 2004-06-18 2004-06-18 紙葉類の厚さ検出装置
JPJP-P-2004-00180399 2004-06-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0522A KR20060030522A (ko) 2006-04-10
KR100769374B1 true KR100769374B1 (ko) 2007-10-22

Family

ID=35509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1951A KR100769374B1 (ko) 2004-06-18 2005-06-17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 및 지폐 취급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764751B1 (ko)
JP (1) JP4444738B2 (ko)
KR (1) KR100769374B1 (ko)
CN (1) CN1820286B (ko)
TW (1) TWI273516B (ko)
WO (1) WO20051247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961B1 (ko) * 2009-04-27 2012-06-25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매체 두께 검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12460A1 (en) * 2006-11-14 2008-05-15 Ncr Corporation Detecting intaglio print
JP4527752B2 (ja) 2007-06-22 2010-08-1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識別装置及びそのセンサ部
KR101115779B1 (ko) * 2007-07-26 2012-03-06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지엽 두께 검출 장치
JP4924334B2 (ja) * 2007-09-28 2012-04-2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厚み検知装置
JP2009129390A (ja) * 2007-11-28 2009-06-11 Oki Electric Ind Co Ltd 媒体鑑別装置
JP4673393B2 (ja) * 2008-06-05 2011-04-20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及び方法
JP4616901B2 (ja) * 2008-06-20 2011-01-19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搬送ローラ、および厚さ検知ユニット
JP5299153B2 (ja) * 2009-07-31 2013-09-2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葉類判定装置
CN102222383A (zh) * 2010-04-16 2011-10-19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测定微量厚度变化的多点纸币测量装置及其测量方法
JP5487035B2 (ja) * 2010-07-22 2014-05-07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の厚さ検出装置及び紙幣取扱装置
JP5593247B2 (ja) * 2011-02-01 2014-09-17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媒体厚み検出装置
JP5450512B2 (ja) * 2011-05-27 2014-03-26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厚み検出装置および検知ローラ
CN103363887A (zh) * 2012-04-11 2013-10-23 北京华夏聚龙自动化股份公司 一种新型的材料厚度测量方法
US9284144B2 (en) 2014-01-29 2016-03-15 Crane Payment Innovations, Inc. Validator with a dynamic document path height
CN104408819B (zh) * 2014-12-05 2017-06-13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上胶带的检测方法
CN105069896B (zh) * 2015-08-06 2018-07-24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薄片介质的厚度检测装置及金融自助设备
CN105318820A (zh) * 2015-11-05 2016-02-10 威海华菱光电股份有限公司 厚度传感器
CN105333809A (zh) * 2015-12-04 2016-02-17 威海华菱光电股份有限公司 厚度检测传感器
CN106056749A (zh) * 2016-07-15 2016-10-26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检测装置
US20180172422A1 (en) * 2016-12-16 2018-06-21 Climax Machine Industry Co., Ltd Device for detecting thickness and thickness variation of a sheetlike object
CN106952390B (zh) * 2017-02-16 2019-12-10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纸币鉴伪装置和纸币鉴伪方法及金融自助交易设备
CN106898080B (zh) * 2017-03-22 2023-01-13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厚度检测装置及金融设备
CN108663004B (zh) * 2017-03-29 2020-04-28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厚度异常的检测方法及装置
CN107326717B (zh) * 2017-07-12 2019-05-28 东莞福迈包装印刷有限公司 一种可以检测纸张厚度的造纸机
EP3891088A4 (en) * 2018-12-03 2022-11-23 Crane Payment Innovations, Inc. DOCUMENT TRANSPORT PATH WITHOUT TENSION ROLLERS
US11734983B1 (en) 2018-12-18 2023-08-22 Cummins-Allison Corp. Banknote transport mechanisms and methods
WO2021080599A1 (en) * 2019-10-25 2021-04-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kew detection
WO2021166116A1 (ja) * 2020-02-19 2021-08-26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取扱プログラム及び紙葉類取扱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3122Y2 (ko) * 1985-02-25 1991-11-20
JP2004083172A (ja) * 2002-08-26 2004-03-18 Hitachi Ltd 紙葉類厚さ検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80309A3 (en) * 1981-11-16 1984-02-29 De La Rue Systems Limited Apparatus for analysing sheets
GB2150297B (en) * 1983-11-21 1987-07-29 Ncr Co Apparatus for indicating the thickness of sheets
JP3753916B2 (ja) * 2000-03-16 2006-03-0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計数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3122Y2 (ko) * 1985-02-25 1991-11-20
JP2004083172A (ja) * 2002-08-26 2004-03-18 Hitachi Ltd 紙葉類厚さ検知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961B1 (ko) * 2009-04-27 2012-06-25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매체 두께 검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64751B1 (en) 2012-10-24
JP4444738B2 (ja) 2010-03-31
KR20060030522A (ko) 2006-04-10
EP1764751A1 (en) 2007-03-21
CN1820286B (zh) 2014-10-29
JP2006004206A (ja) 2006-01-05
CN1820286A (zh) 2006-08-16
WO2005124702A1 (ja) 2005-12-29
TWI273516B (en) 2007-02-11
TW200620164A (en) 2006-06-16
EP1764751A4 (en)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9374B1 (ko)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 및 지폐 취급 장치
JP4366104B2 (ja) 紙葉類判別装置
TW581983B (en) Sheet counting apparatus
EP2184242B1 (en) Paper-sheet- thickness detecting device
US7319785B2 (en) Bill discriminating apparatus
US8091784B1 (en) Banking system controlled responsive to data bearing records
KR101287655B1 (ko) 지엽류의 두께 검출 장치 및 지폐 취급 장치
US8286867B1 (en) Banking system controlled responsive to data bearing records
US6012564A (en) Paper processing apparatus
KR101159961B1 (ko) 매체 두께 검지 장치
JP2009129390A (ja) 媒体鑑別装置
WO2004023402A1 (ja) 紙葉類特徴検出装置及び紙葉類特徴検出方法
JP4031962B2 (ja) 紙葉類厚さ検知装置
KR10095915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이매검지장치
JP5997018B2 (ja) 紙葉類厚み検出装置および紙葉類識別装置
KR101590635B1 (ko) 매체 겹침 검지 장치 및 그 방법
JP2791213B2 (ja) 紙幣処理装置
JP2002230619A (ja) 紙葉類厚さ検出装置
JPS6382257A (ja) 紙葉類の判別装置
JP2000088532A (ja) 紙葉類の厚み検出装置
KR101288766B1 (ko) 정전용량형 매체감지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금융자동화기기
JP4454397B2 (ja) 紙葉類識別装置
JP4674065B2 (ja) 媒体識別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JP2001160166A (ja) 紙葉類の厚さ検知装置
JPH03163687A (ja) 紙葉類認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